맨위로가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은 서울대학교에 설치된 단과대학으로, 학부, 일반대학원 및 경영전문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최고경영자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상학과를 전신으로 하며, 재무금융, 회계학, 전략, 인사조직, 마케팅, 생산서비스운영, 경영정보 등 다양한 전공 분야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학회 활동, 교환학생 프로그램, 졸업생 네트워크 등을 통해 학업 외에도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재계, 정계, 학계 등 각 분야의 졸업생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 연혁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은 학부 과정과 일반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식 MBA를 모델로 한 경영전문대학원(Full Time, Executive 과정)과 최고경영자과정(최고경영자, 고급금융, 공기업고급경영자, CFO전략, 최고감사인 과정)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2. 1. 서울대학교 상학과와 경영학과

서울대학교 상학과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전신이 되는 학과로 서울대학교 설립 당시 개설되었으나 나중에 신설된 경영학과에 흡수되었다. 즉, 상학과가 경영학과로 이름만 바뀐 것이 아니라, 상학과와 별도로 경영학과가 설치된 다음, 경영학과로 두 학과가 통합되었다.

2. 2. 경영전문대학원 및 최고경영자과정

현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은 학부 과정과 일반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식 MBA를 모델로 한 경영전문대학원(Full Time, Executive 과정)도 함께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경영자 과정(최고경영자, 고급금융, 공기업고급경영자, CFO전략, 최고감사인 과정)도 개설되어 있다.

3. 교과과정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은 재무금융, 회계학 외에도 전략, 인사조직, 마케팅, 생산서비스운영, 경영정보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1]

3. 1. 전공 분야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전공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재무금융: 경영학과의 세부 전공으로, 금융공학, 금융수학, 거시금융 등을 다룬다. Finance 학위를 전담하며, 교과 과정과 교수진의 다양성과 수준이 높다.[1]
  • 회계학: 재무회계, 관리회계, 세무회계, 회계감사 및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1]
  • 전략
  • 인사조직
  • 마케팅
  • 생산서비스운영
  • 경영정보

3. 2. 재무금융 및 회계학

서울대학교는 경영대학 경영학과에 재무금융 전공이 설치되어 있어, 금융 분야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가장 적합한 학과이다. 경영학과는 재무금융을 세부 전공으로 두고 Finance 학위를 전담하며, 교과 과정과 교수진의 다양성과 수준이 높다.[1]

재무금융과 함께 공부하면 좋은 회계학 역시 경영학과에서 배울 수 있다. 재무회계, 관리회계, 세무회계, 회계감사 및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이 마련되어 있다.[1]

4. 학과 생활

졸업생들은 재계, 법조계, 정관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경영대학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1]

4. 1. 수강신청

학생 당 교수 숫자가 상당히 큰 편이어서(강사까지 포함하면 더욱 커진다) 한 과목이 여러 개의 강의로 동시에 열리는 경우가 많다. 이에 더해, 경영학 주전공생은 전공필수 과목 수강신청 우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주전공생은 보다 넓은 선택권을 활용할 수 있다.

4. 2. 교환학생 및 국외교류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은 단과대학 차원에서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일한 단과대학이다.[1] 이와 함께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등을 방문하는 다양한 국외 교류 프로그램과 동아리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1]

4. 3. 장학금 및 시설

경영대학은 장학금 지원이 잘 되어 있으며, 시설 또한 졸업생의 기부 덕에 쾌적하다. 신축된 건물(59-1동) 덕에 교직원과 학생이 활용 가능한 공간이 늘어났다.[1]

경영대학 전산실과 도서관에서는 각종 유료 DB에 접근하여 수준 높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여러 저널과 신문들도 학교에서 제공하고 있다.[1]

4. 4. 강연 및 행사

경영대학 학생회에서 주최하는 강연과 행사에 회계법인, 금융투자업(투자은행,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 컨설팅, 법조계, 대기업, 스타트업, 국회, 행정부, 공기업 및 공공기관, 학계에서 일하고 있는 졸업생이 연사로 방문하고 있다.[1] 대표, 임원, 장·차관부터 중간관리자, 저년차 졸업생까지 각계각층에서 연사로 참여해오고 있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1]

기업과 경력개발, 기업경영특강과 같은 강연 형태 강의까지 포함하면 경영대학에서 열리는 행사 및 강연의 수는 훨씬 늘어난다.[1]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운영되지 않으나, 평시에는 일정한 주기로 유수 기업의 인사팀이나 소속 졸업생들이 경영대학 로비에 있는 부스에 방문하여 학부생을 대상으로 홍보와 상담 등을 진행해왔다.[1]

이 외에도 홍보대사 등을 통해 경영대학 차원에서 각종 행사 및 인터뷰를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으며 경영대학 자체 소식지와 경영대학 뉴스룸 웹사이트, 그리고 경영대학 인스타그램 및 유튜브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1]

새내기 때부터 꾸준히 이런 행사와 강연을 통해 각 분야에서 다양한 연차로 활동하고 있는 선배들과 교류할 수 있다.[1]

4. 5. 기업 홍보 및 상담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운영되지 않으나, 평시에는 일정한 주기로 유수 기업의 인사팀이나 소속 졸업생들이 경영대학 로비에 있는 부스에 방문하여 학부생을 대상으로 홍보와 상담 등을 진행해왔다.[1] 경영대학 학생회에서 주최하는 강연과 행사에는 회계법인, 금융투자업(투자은행,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 컨설팅, 법조계, 대기업, 스타트업, 국회, 행정부, 공기업 및 공공기관, 학계에서 일하고 있는 졸업생이 연사로 방문한다.[1] 대표, 임원, 장·차관부터 중간관리자, 저년차 졸업생까지 각계각층에서 연사로 참여해오고 있으며 그만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1]

4. 6. 유료 DB 및 자료 제공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전산실과 도서관에서는 각종 '''유료 DB'''에 접근하여 수준 높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여러 저널과 신문들도 학교에서 제공하고 있다.

4. 7. 학회

경영대학에는 FCRC, SMIC, MCSA, IFS, FIXERS, Growth Hackers, N-CEO, ENACTUS, ENS, 티움, BEVLS 등 경영학회들이 운영되고 있다. 경영대학이 재무/금융, 회계, 전략, 생산서비스운영, 마케팅, 경영정보, 인사조직을 세부전공으로 가진 만큼 각 학회도 실용적이고 실무적인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빡빡한 스케줄로 운영된다. 특히 재무금융과 전략 관련 학회(FCRC, SMIC, MCSA, IFS, FIXERS)의 인지도가 학내뿐 아니라 금융투자 및 컨설팅 업계에서도 아주 크며, 경쟁률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도 맨 앞의 세 학회는 언론에 실릴 정도로 학내와 업계에서 명성이 높다.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745949/1

4. 8. 과/반

서울대학교에서는 비교적 정원이 많은 만큼 신입생은 4개의 과/반에 소속된다. 각 반 배정은 신입생 성명의 가나다순이었지만 14학번부터 임의 배정되며, 과/반별 이름은 각각 '''패기반, 길벗반, 한빛반, 백두반'''이다. 과반마다 고유의 슬로건과 로고를 가지고 있다.

각 반 산하에 반 학회(패기반은 상상력, ETX, 길벗반은 GBA, 한빛반은 등불[1], 백두반은 활화산)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년 경영대학 학생회 주관으로 반 학회들이 참여하는 학회제가 열린다. 이들은 위의 단과대 소속 정규 학회와는 구분되는 반 내의 친목 학회이다.

여담으로 90년대에는 여성의 비중이 너무 적어서 여자가 한 명도 없는 반이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현재는 남녀 비중이 거의 같다.

5. 출신 인물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기타 분야 주요 출신 인물'''

5. 1. 재계/산업계

이름직함 및 경력
구지은아워홈 대표이사
권영수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김광수농협금융지주 회장
김광일MBK파트너스 대표
김근중INJ자산운용 대표이사
김수민유니슨캐피탈 대표이사
김신SK증권 대표이사
김양선인터파크씨어터 대표이사
김영규코리아펀딩 대표이사
김용범메리츠화재 대표이사
김영호IMM프라이빗에쿼티 대표이사
김이동삼정회계법인 부대표
김정태전 국민은행장
김종흔데브시스터즈 대표이사
나영호롯데온 대표이사
류혁선전 미래에셋 글로벌 부문 대표
류경표한진 대표이사
박경일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박번삼성선물 대표이사
박용만두산그룹 회장
박정림KB증권 대표
배화주삼일회계법인 대표이사
서상훈어니스트펀드 대표이사
손호승삼정회계법인 부대표
송규종삼성물산 부사장
송미선하나투어 대표이사
송인준IMM프라이빗에쿼티 대표이사
신상철GS건설 부사장
유재영GS칼텍스 부사장
윤경림KT그룹 사장
윤훈수삼일회계법인 대표이사
이석채KT 회장, 정보통신부 장관
이성수한화그룹 부사장
이만열미래에셋 사장
임재택한양증권 대표이사
장호진현대백화점 대표이사
정경수DB손해보험 자산운용본부 사장
정영채NH투자증권 대표이사
정인환DB월드 대표이사
정회경남에너지 대표
조민식베스핀글로벌 대표
지성배IMM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차정호신세계 대표이사
최석윤메리츠화재 사장, 전 골드만삭스 한국 대표
최은석CJ제일제당 대표이사
추호석대우중공업 사장
허홍키움 히어로즈 대표이사
홍우선코스콤 대표이사
홍원준엔씨소프트 부사장(CFO)
황성엽신영증권 대표이사


5. 2. 정/관계

이름직위
강민수대전지방국세청장
구영보전 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장
김대지국세청장
김명운감사원 제1사무차장
김명중강원도 경제부지사
김문수경기도지사
김병관국회의원
김상곤전 교육부총리
김석동전 금융위원회 위원장
김태겸전 강원도 행정부지사
김태현예금보험공사 사장,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김현준토지주택공사 사장
문성현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박경배충청북도 행정부지사
박진원국세청 감사관
박태의조세심판원 행정실장
변필건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1부장
송바우국세청 징세법무국장
신진창금융위원회 구조개선정책관
신희동산업통상자원부 대변인
신희철서울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안도걸기획재정부 제2차관
여한구통상교섭본부 본부장
염호열감사원 상임감사위원
오호선국세청 국제조세관리관
우범기전라남도 경제부지사
윤석헌전 금융감독원장
윤태식국세청 국제경제관리관
이경열중부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이동수의정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이수인국회의원
이영탁전 국무조정실장
이용재국가균형발전위원회 기획단장
임기근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임상우외교부 북미국장
임성빈서울지방국세청장
임태희전 대통령실장
전광춘감사원 제2사무차장
정승일한국전력 사장
정은보금융감독원장
조성욱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조정목대구지방국세청 청장
최성호감사원 사무총장
최운열국회의원, 전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한훈기획재정부 차관보
허경욱전 주OECD대사, 전 재정경제부 제1차관
현오석전 경제부총리
형진휘수원지방검찰청 안양지청장
홍재형전 경제부총리


5. 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