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명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명대학교는 1937년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으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1996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종합대학교이다. 서울과 천안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1985년 천안캠퍼스가 개설되었다. 교육 및 연구 활동으로 학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캠퍼스는 인문사회, 사범, 경영, 융합공과, 문화예술 계열, 천안캠퍼스는 글로벌인문, 디자인, 예술, 복합기술, 공학 계열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명대학교 - 상명행복생활관
상명행복생활관은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기숙사로, 2017년 개관하여 168명을 수용하며 쾌적한 면학 환경을 위해 편의 시설을 제공하고 3인 1실 구조의 사생실을 운영하며, 자율적인 공동생활 지원을 위해 규정과 상벌점 제도를 운영한다. - 상명대학교 -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는 1966년 상명여자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로 개교하여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이 되었으며, 2018년 2월 기준 18,017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사립 중학교이다. - 서울 종로구의 학교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는 서울과 수원에 캠퍼스를 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을 계승하여 근대 대학으로 개편 후 현재에 이르렀으며,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교육하고 삼성그룹이 재단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학교 -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는 1989년 경남대학교 북한학과를 시작으로 2004년 설립되어 2005년 개교한 대학원대학교이며,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6개의 전공을 운영한다. - 천안시의 학교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천안시의 학교 - 호서대학교
호서대학교는 1978년 천원공업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한 사립대학교로, 천안, 아산, 당진 캠퍼스를 운영하며 인문사회, 공학, 자연과학, 예체능 분야의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과 벤처 프런티어 엑셀런스 교육, 국제 교류를 제공하는 약 15,000명 규모의 대학교이다.
상명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상명대학교 |
로마자 표기 | Sangmyeong Daehakgyo |
한자 표기 | 祥明大學校 |
영어 표기 | Sangmyung University |
별칭 | SMU, 서울 중심, 사슴 대학교 |
설립일 | 1937년 |
개교일 | 1965년 |
학교 종류 | 사립 |
설립자 | 배상명 |
학교법인 | 학교법인 상명학원 |
총장 | 홍성태 |
위치 |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천안캠퍼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상명대길 31 |
캠퍼스 면적 | 405,516m² 152,207m²(서울) 253,309m²(천안) |
상징 | 사슴, 매화, 소나무 |
웹사이트 | 상명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캠퍼스 | |
캠퍼스 | 서울캠퍼스 종로구 홍지동 7 천안캠퍼스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300 |
캠퍼스 정보 |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천안캠퍼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상명대길 31 |
학부 | |
서울캠퍼스 | 인문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경영대학 융합공과대학 문화예술대학 |
천안캠퍼스 | 글로벌인문학부대학 디자인대학 예술대학 융합기술대학 공과대학 |
대학원 | |
대학원 |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문화기술대학원 예술디자인대학원 상담대학원 경영대학원 |
학생 | |
학부생 | 16,491명 (2022년) |
대학원생 | 1,217명 (2019년) |
기타 | |
![]() |
2. 연혁
1937년 12월 1일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이 설립되었다.[1]
1939년 2월 28일 '''상명실천여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45년 7월 15일 재단법인 상명학원이 설립되었다.
1965년 3월 5일 '''상명여자사범대학'''이 개교하였다.
1966년 2월 12일 부속초등학교, 부속유치원이 인가되었다.
1966년 11월 17일 부속여자중학교 설립이 인가되었다.
1966년 12월 29일 부속여자고등학교 설립이 인가되었다.
1983년 3월 1일 사범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하면서 '''상명여자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85년 3월 1일 캠퍼스 일부 이전 및 천안캠퍼스가 개설되었다.
1986년 11월 6일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6년 3월 1일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면서 '''상명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되었다.[2]
2. 1. 설립 초기 (1937-1965)
1937년 12월 1일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이 설립되었다.[1] 1939년 2월 28일 상명실천여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으며, 1945년 7월 15일 재단법인 상명학원이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설립된 상명여자고등학원은 1965년 상명여자사범대학으로 개교하였고, 초대 총장으로는 배상명이 취임하였다.[1] 1966년에는 부속초등학교, 부속유치원[1], 부속여자중학교, 부속여자고등학교가 설립 인가되었다.2. 2. 사범대학 시절 (1965-1983)
1937년 12월 1일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이 설립되었다.[1] 1965년 3월 5일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을 모체로 하여 '''상명여자사범대학'''이 개교하였으며, 초대 총장은 배상명이 취임하였다.[1] 1966년 2월 12일 부속초등학교, 부속유치원을 인가받았고, 11월 17일 부속여자중학교, 12월 29일 부속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1] 1983년 3월 1일 사범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하면서 '''상명여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2. 3. 종합대학으로의 발전 (1983-현재)
1983년 3월 1일 사범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하여 '''상명여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1985년 3월 1일 캠퍼스 일부를 이전하고 천안시에 천안캠퍼스를 개설하였다.[1] 1986년 11월 6일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여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1996년 3월 1일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면서 '''상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남녀공학 전환 이후 도서관 이용률과 졸업생 취업률이 증가하였으며, 남성 동문들의 활동이 활발해졌다.[2]
3. 역대 총장 및 이사장
3. 1. 상명학원 이사장
조동식은 1954년 7월부터 1970년 4월까지 재단의 이사장을 역임했다. 김영훈은 1970년 4월부터 1973년 3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신봉조는 1973년 3월부터 1980년 10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배상명은 1980년 4월부터 1986년 1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이준방은 1986년 1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곽종원은 1987년 3월부터 1989년 1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문남식은 1989년 1월부터 1989년 6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방정복은 1989년 6월부터 1991년 3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신봉조는 1991년 3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이준방은 1992년 12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구기헌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이사장을 역임했다. 강태범은 2022년 3월부터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3. 2. 상명대학교 총장
상명대학교의 총장은 1987년 3월부터 재직한 제1대 방정복 총장이다. 이후 김양수, 서명덕, 이현청, 강태범, 구기헌, 백웅기 총장이 재직하였다. 현재 총장은 2021년 9월부터 재직 중인 제12대 홍성태 총장이다. 방정복은 1대,3대,4대,5대 총장을 역임하였다.4. 캠퍼스
서울캠퍼스는 언덕이 유명할 정도로 학교 부지가 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밀레니엄관 옆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역사 유적지인 세검정과 자하문이 있어 '''세검정 교정''', '''자하 교정'''이라고도 불린다. 서울캠퍼스로 가는 길에는 기숙사인 상명행복생활관이 있다.
캠퍼스 내에는 4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미래백년관 5층에는 학생 및 교직원 식당이, 월해관 2층에는 식품영양학과에서 운영하는 식당인 안다미로가 있다. 또한, 미래백년관 지하 1층에는 카페 블루포트가, 중앙교수회관 1층에는 KB카페드림이 위치해 있다.
천안캠퍼스는 제9회 자연환경대상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았으며[3] 캠퍼스내에는 무대미술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 학생과 교수들이 제작한 독도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4]
5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학생 식당 1곳, 학생 및 교직원 식당 1곳, 카페 시설 3곳이 있다. 학생 식당은 학생회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생 및 교직원 식당은 한누리관 9층에 위치하고 있다. 카페 시설은 현재(2017) 팬도로시, 일반카페가 입점하고 있으며 학생생활관 2층(일반카페), 디자인대학관 1층・2층(팬도로시), 한누리관 1층(팬도로시)가 위치한다.
금융관련 시설로는 우리은행, 국민은행, 우체국 등 총 3개의 ATM이 있다. 복지 시설은 학생회관에 안경점, 미용실, 기념품점, 문구점이 있다. 기타시설로는 편의점 3곳, 복사실, 화방, 휴식터 등이 있으며 편의점은 계당관 1층 (세븐일레븐), 상록관 1층(CU), 학생생활관 2층(세븐일레븐)에 위치하고, 복사실은 학술정보관 2층, 화방은 디자인대학관 1층, 휴식터는 학술정보관, 송백관,독도조형물, 학생회관, 한누리관, 디자인대학관 등등 캠퍼스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법적으로 상명대학교의 두 캠퍼스는 같은 학교법인이 설립했지만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대학이다. 천안캠퍼스는 서울캠퍼스의 분교였으나, 2017년 한국 교육부에 의해 이원화 캠퍼스로 인정받아 현재 대학의 학과 구조와 행정을 통폐합하고 있다. 입시 난이도는 전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 '''평창동캠퍼스''' (서울캠퍼스 생활관 · 상명대학교 박물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433
- '''동숭동캠퍼스''' (예술디자인센터 · 예술디자인대학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길 1-38
- '''상명수련원''': 충청남도 보령시 석서1길 59번지
평창동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하며 상명대학교 박물관과 서울캠퍼스 학생생활관인 스뮤하우스(SMU HOUSE)가 있다. 동숭동캠퍼스(예술디자인센터)는 2001년 학산기술도서관을 인수하여 개설하였다. 현재 이곳은 예술디자인대학원의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술·디자인 계열 학생들의 졸업전시회나 상명대학교가 지원하는 전시회의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캠퍼스내의 상명아트홀에서는 다양한 연극 공연이 이뤄지고 있다.
법적으로 상명대학교의 두 캠퍼스는 같은 학교법인이 설립했지만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대학이다. 천안캠퍼스는 서울캠퍼스의 분교였으나, 2017년 한국 교육부에 의해 이원화 캠퍼스로 인정받아 현재 대학의 학과 구조와 행정을 통폐합하고 있다. 입시 난이도는 전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4. 1. 서울캠퍼스
서울캠퍼스는 언덕이 유명할 정도로 학교 부지가 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밀레니엄관 옆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역사 유적지인 세검정과 자하문이 있어 '''세검정 교정''', '''자하 교정'''이라고도 불린다. 서울캠퍼스로 가는 길에는 기숙사인 상명행복생활관이 있다.캠퍼스 내에는 4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미래백년관 5층에는 학생 및 교직원 식당이, 월해관 2층에는 식품영양학과에서 운영하는 식당인 안다미로가 있다. 또한, 미래백년관 지하 1층에는 카페 블루포트가, 중앙교수회관 1층에는 KB카페드림이 위치해 있다.
4. 2. 천안캠퍼스
천안캠퍼스는 제9회 자연환경대상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았으며[3] 캠퍼스내에는 무대미술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 학생과 교수들이 제작한 독도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4]5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학생 식당 1곳, 학생 및 교직원 식당 1곳, 카페 시설 3곳이 있다. 학생 식당은 학생회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생 및 교직원 식당은 한누리관 9층에 위치하고 있다. 카페 시설은 현재(2017) 팬도로시, 일반카페가 입점하고 있으며 학생생활관 2층(일반카페), 디자인대학관 1층・2층(팬도로시), 한누리관 1층(팬도로시)가 위치한다.
금융관련 시설로는 우리은행, 국민은행, 우체국 등 총 3개의 ATM이 있다. 복지 시설은 학생회관에 안경점, 미용실, 기념품점, 문구점이 있다. 기타시설로는 편의점 3곳, 복사실, 화방, 휴식터 등이 있으며 편의점은 계당관 1층 (세븐일레븐), 상록관 1층(CU), 학생생활관 2층(세븐일레븐)에 위치하고, 복사실은 학술정보관 2층, 화방은 디자인대학관 1층, 휴식터는 학술정보관, 송백관,독도조형물, 학생회관, 한누리관, 디자인대학관 등등 캠퍼스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법적으로 상명대학교의 두 캠퍼스는 같은 학교법인이 설립했지만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대학이다. 천안캠퍼스는 서울캠퍼스의 분교였으나, 2017년 한국 교육부에 의해 이원화 캠퍼스로 인정받아 현재 대학의 학과 구조와 행정을 통폐합하고 있다. 입시 난이도는 전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4. 3. 기타 시설
평창동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하며 상명대학교 박물관과 서울캠퍼스 학생생활관인 스뮤하우스(SMU HOUSE)가 있다. 동숭동캠퍼스(예술디자인센터)는 2001년 학산기술도서관을 인수하여 개설하였다. 현재 이곳은 예술디자인대학원의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술·디자인 계열 학생들의 졸업전시회나 상명대학교가 지원하는 전시회의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캠퍼스내의 상명아트홀에서는 다양한 연극 공연이 이뤄지고 있다.법적으로 상명대학교의 두 캠퍼스는 같은 학교법인이 설립했지만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대학이다. 천안캠퍼스는 서울캠퍼스의 분교였으나, 2017년 한국 교육부에 의해 이원화 캠퍼스로 인정받아 현재 대학의 학과 구조와 행정을 통폐합하고 있다. 입시 난이도는 전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5. 교육 및 연구
상명대학교는 캠퍼스간 학제가 이원화되어 있다. 캠퍼스간 전과 및 복수전공, 전공, 교양수업, 계절학기 수강이 가능하다. (해당 캠퍼스에서 각각 졸업요건을 충족한 학생이 다른 캠퍼스 전공 중에서 제2, 3전공을 선택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캠퍼스 간 전과도 동일계열 전공으로 가능)
5. 1. 학부
상명대학교는 캠퍼스간 학제가 이원화되어 있어, 캠퍼스간 전과 및 복수전공, 전공, 교양수업, 계절학기 수강이 가능하다. 캠퍼스 간 전과는 동일계열 전공으로 가능하다. 2015년 기준 학생정원은 총 11,286명(재학생 13,113명)이다. 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 4,170명(5,261명), 예∙체능계열 3,556명(3,865명), 자연과학계열 2,148명(2,471명), 공학계열 1,455명(1,515명) 순이다.서울캠퍼스는 인문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경영대학, 융합공과대학, 문화예술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문사회과학대학에는 인문콘텐츠학부, 공간환경학부, 공공인재학부, 가족복지학과, 국가안보학과가 있다. 사범대학에는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교육학과, 수학교육과가 있다. 경영대학에는 경제금융학부, 경영학부, 글로벌경영학과, 융합경영학과가 있다. 융합공과대학에는 소프트웨어융합학부, 전기전자공학부, 생명과학공학부가 있으며, 전기전자컴퓨터학부는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문화예술대학에는 외식의류학부, 스포츠무용학부, 미술학부, 음악학부가 있다.
천안캠퍼스는 글로벌인문학부대학, 디자인대학, 예술대학, 복합기술대학, 공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로벌인문학부대학에는 글로벌지역학부가 있다. 디자인대학에는 디자인학부가 있다. 예술대학에는 사진영상미디어전공, 영화영상전공, 연극전공 등이 있다. 복합기술대학에는 글로벌금융경영전공, 식물식품공학과, 환경조경학과, 간호학과, 스포츠융합학부가 있다. 공과대학에는 전자공학과,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정보보안공학과,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인간지능로봇공학과, 경영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그린화학공학과가 있다.
5. 2. 대학원
상명대학교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상담대학원, 문화기술대학원, 경영대학원, 예술디자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예술체육계열로 나뉜다. 인문사회계열에는 국어국문학과, 한국학과, 교육학과 등이 있으며, 자연과학계열에는 화학과, 생명과학과, 컴퓨터과학과 등이 있다. 공학계열에는 가공신소재학과, 감성공학과, 에너지그리드공학과 등이 있으며, 예술체육계열에는 조형예술학과, 생활예술학과, 음악학과 등이 있다. 교육대학원은 상담심리학과, 국어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등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상담대학원은 아동·청소년상담학과와 가족상담·치료학과를 운영하며, 문화기술대학원은 공연예술경영학과와 뮤직테크놀로지학과를 운영한다. 경영대학원은 웰스매니지먼트학과, 글로벌부동산학과 등을 운영하며, 예술디자인대학원이 있다.6. 학생 활동
6. 1. 총학생회
2020년 위드 총학생회가 있었지만 부정적 여론 형성으로 인해 2021년 투표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보이콧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2021년 기준 총학생회 부재 상태로 있다. 현재(2024) 서울캠퍼스에는 총학생회가 구성되어 있지않다.6. 2. 체육단
현재 상명대학교 소속의 체육단은 농구, 태권도, 사격 3개 종목이 있다. 태권도단은 서울캠퍼스를 근거지로, 농구단과 사격단은 천안캠퍼스를 근거지로 하고 있다.7. 국제 교류
8. 동문
상명대학교 출신 동문으로는 배슬기, 체리필터의 조유진, 최원영, 고수, 황선희, 임지은, 강동원, 길용우, 신화의 김동완, 주얼리의 김은정, 김재원, 김꽃비, 김원준, X1/위아이의 김요한, 권소현, 이슬비, 포미닛의 손지현, 엠파이어의 오현준, 레인보우의 오승아, 박보검, 박주연, 박세영, 박솔미, 신다은, 손태영, 연상호, 장승조 등이 있다.
9. 마스코트
'''수뭉이'''[5]는 상명대학교 캐릭터 공모전에서 선정된 캐릭터로 상명대학교의 상징 동물인 사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수뭉이의 뿔은 상명의 'ㅅ'과 'ㅁ'을 표현한 부분이 '수무'로 보인다고 하여 캐릭터의 동글동글한 외형을 반영해 'ㅇ' 받침을 추가했다. 수뭉이는 상명대학교 불어교육과 14학번 학생이 대학생 전용 애플리케이션 에브리타임을 통해 이름을 추천받아 정했다. 창작자는 수뭉이를 통해 상명대학교 이미지를 제고하고 대외적으로 더 많이 알릴 수 있는 홍보활동을 해보고 싶다고 한다.[5]
참조
[1]
일반텍스트
[2]
뉴스
정부, 43개 사립대학 재정지원 제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05
[3]
뉴스인용
상명대, 자연환경대상 공모전 '우수상'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09-12-18
[4]
뉴스인용
상명대 캠퍼스에 들어선 작은 독도
https://news.v.daum.[...]
[5]
일반텍스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분수령의 한국, 어디로 갈 것인가’…문익환평화포럼 25일 국회서
고3 중간고사, 이것만은 알고 준비하자!
서울시립대 원용걸 총장, ‘아동학대 예방 릴레이 캠페인’동참
마인드눅 ‘영상 감성 평가’ AI 모델 개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