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제곱근 법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제곱근 법칙은 한 국가의 의회 규모가 해당 국가 인구의 세제곱근에 비례한다는 경험적 법칙이다. OECD 국가의 하원 규모를 비교한 결과, 리투아니아가 이 규칙과 가장 일치하며, 덴마크, 캐나다, 멕시코도 근접하게 일치한다. 하지만 일부 국가는 혼합식 비례대표제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예외를 보인다. 조르지오 마가리톤도는 이 법칙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더 높은 지수를 가진 함수가 실험 데이터에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표 이론 - 선거 제도
    선거 제도는 국가 대표자를 선출하기 위한 규칙과 규정의 집합으로, 다수 대표제, 비례 대표제, 혼합 선거 제도로 분류되며, 헌법 또는 선거법에 의해 규정되고 유권자 참여, 의석 배분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며, 콩도르세 기준 등으로 평가되고, 한국은 소선거구제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 투표 이론 - 뒤베르제의 법칙
    뒤베르제의 법칙은 선거제도와 정당 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로, 단순 다수 대표제는 양당제를,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를 낳는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세제곱근 법칙
세제곱근 법칙
개요
유형정치학 개념
설명의회 의석수와 인구 간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법칙
세제곱근 법칙
영어 이름Cube root law
특징
내용국가의 의회 의석수는 인구의 세제곱근에 비례한다
주창자라인 타게페라

2. 세제곱근 법칙

2. 1. 법칙의 수학적 표현

3. OECD 국가의 하원 규모 비교 (2019년)

OECD와 민주주의 지수에 나열된 국가들을 비교해 보면, 리투아니아가 세제곱근 규칙과 정확히 일치하는 유일한 국가이다.[6] 덴마크, 캐나다, 멕시코도 이 규칙에 근접하게 일치한다.[6]

일부 국가(예: 독일)는 혼합식 비례대표제 시스템에 오버행 의석을 가지고 있어 국회 규모가 선거마다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OECD 각 국가의 하원 규모와 EIU 민주주의 지수 순위를 비교한 표이다.

국가하원 또는 단원제인구 (2019)[6]하원 규모 (2019)인구의 세제곱근 (가장 가까운 사람)하원과 인구의 세제곱근 간의 차이하원과 인구의 세제곱근 간의 차이 (%)의원당 인구의원당 인구 (세제곱근 하원)민주주의 지수 순위 (2022)[7]
호주하원25,364,307151294−143−49%167,97686,32715
오스트리아국가평의회8,877,067183207−24−12%48,50942,87320
벨기에하원11,484,055150226−76−34%76,56050,90136
캐나다하원37,589,262338335
31%
111,211112,21312
칠레하원18,952,038155267−112−42%122,27171,08419
콜롬비아하원50,339,443172363−191−53%303,250136,33453
체코하원10,669,709200220−20−9%53,34948,46625
덴마크폴케팅5,818,553179180−1−1%32,50632,3506
에스토니아리리고구1,326,590101110−9−8%13,13512,07327
핀란드의회5,520,314200177
2313%
27,60231,2355
프랑스국민 의회67,059,887577406
17142%
116,222165,06022
독일분데스탁83,132,799734436
29868%
113,260190,48014
그리스의회10,716,322300220
8036%
35,72148,60725
헝가리국회9,769,949199214−15−7%49,09545,70156
아이슬란드알싱기361,3136371−8−11%5,7355,0733
아일랜드데일5,100,000160173−13−8%31,87529,0118
이스라엘크네세트9,053,300120208−88−42%75,44443,43829
이탈리아하원60,297,396400392
82%
150,743153,76834
일본중의원126,264,931465502−37−7%271,537251,68416
대한민국국회51,709,098300373−73−20%172,384138,79624
라트비아세이마1,912,789100124−24−19%19,21815,40938
리투아니아세이마스2,786,84414114100%19,76519,80339
룩셈부르크하원619,8966085−25−29%10,3327,27013
멕시코하원127,575,529500503−3−1%255,151253,42289
네덜란드하원17,332,850150259−109−42%115,55266,9759
뉴질랜드하원4,917,000120170−50−29%40,97528,9162
노르웨이스토르팅5,347,896169175−6−3%31,64430,5811
폴란드세임37,970,874460336
12437%
82,545112,97146
포르투갈공화국 의회10,269,417230217
136%
44,65047,24628
슬로바키아국민 의회5,454,073150176−26−15%36,36030,98543
슬로베니아국민 의회2,087,94690128−38−30%23,19916,33631
스페인하원47,076,781350361−11−3%134,505130,37822
스웨덴릭스다그10,285,453349217
13261%
29,47147,2954
스위스국민 의회8,574,832200205−5−2%42,87441,8947
튀르키예대국민 의회83,429,615600437
16337%
139,049190,933103
영국하원66,834,405650406
24460%
102,822164,69018
미국하원328,239,523435690−255−37%754,574475,84030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민주주의 지수가 높은 국가일수록 하원 규모가 인구의 세제곱근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3. 1. EIU 민주주의 지수와의 비교

OECD와 민주주의 지수에 나열된 국가들을 비교해 보면, 리투아니아가 세제곱근 규칙과 정확히 일치하는 유일한 국가이다.[6] 덴마크, 캐나다, 멕시코도 이 규칙에 근접하게 일치한다.[6]

일부 국가(예: 독일)는 혼합식 비례대표제 시스템에 오버행 의석을 가지고 있어 국회 규모가 선거마다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OECD 각 국가의 하원 규모와 EIU 민주주의 지수 순위를 비교한 표이다.

국가하원 또는 단원제인구 (2019)[6]하원 규모 (2019)인구의 세제곱근 (가장 가까운 사람)하원과 인구의 세제곱근 간의 차이하원과 인구의 세제곱근 간의 차이 (%)의원당 인구의원당 인구 (세제곱근 하원)민주주의 지수 순위 (2022)[7]
호주하원25,364,307151294−143−49%167,97686,32715
오스트리아국가평의회8,877,067183207−24−12%48,50942,87320
벨기에하원11,484,055150226−76−34%76,56050,90136
캐나다하원37,589,262338335+3+1%111,211112,21312
칠레하원18,952,038155267−112−42%122,27171,08419
콜롬비아하원50,339,443172363−191−53%303,250136,33453
체코하원10,669,709200220−20−9%53,34948,46625
덴마크폴케팅5,818,553179180−1−1%32,50632,3506
에스토니아리리고구1,326,590101110−9−8%13,13512,07327
핀란드의회5,520,314200177+23+13%27,60231,2355
프랑스국민 의회67,059,887577406+171+42%116,222165,06022
독일분데스탁83,132,799734436+298+68%113,260190,48014
그리스의회10,716,322300220+80+36%35,72148,60725
헝가리국회9,769,949199214−15−7%49,09545,70156
아이슬란드알싱기361,3136371−8−11%5,7355,0733
아일랜드데일5,100,000160173−13−8%31,87529,0118
이스라엘크네세트9,053,300120208−88−42%75,44443,43829
이탈리아하원60,297,396400392+8+2%150,743153,76834
일본중의원126,264,931465502−37−7%271,537251,68416
대한민국국회51,709,098300373−73−20%172,384138,79624
라트비아세이마1,912,789100124−24−19%19,21815,40938
리투아니아세이마스2,786,84414114100%19,76519,80339
룩셈부르크하원619,8966085−25−29%10,3327,27013
멕시코하원127,575,529500503−3−1%255,151253,42289
네덜란드하원17,332,850150259−109−42%115,55266,9759
뉴질랜드하원4,917,000120170−50−29%40,97528,9162
노르웨이스토르팅5,347,896169175−6−3%31,64430,5811
폴란드세임37,970,874460336+124+37%82,545112,97146
포르투갈공화국 의회10,269,417230217+13+6%44,65047,24628
슬로바키아국민 의회5,454,073150176−26−15%36,36030,98543
슬로베니아국민 의회2,087,94690128−38−30%23,19916,33631
스페인하원47,076,781350361−11−3%134,505130,37822
스웨덴릭스다그10,285,453349217+132+61%29,47147,2954
스위스국민 의회8,574,832200205−5−2%42,87441,8947
튀르키예대국민 의회83,429,615600437+163+37%139,049190,933103
영국하원66,834,405650406+244+60%102,822164,69018
미국하원328,239,523435690−255−37%754,574475,84030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민주주의 지수가 높은 국가일수록 하원 규모가 인구의 세제곱근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3. 2. 대한민국 국회 분석

4. 미국 하원의 역사적 규모

인구 조사, 연도하원 규모
1차, 1790년158
2차, 1800년175
3차, 1810년194
4차, 1820년213
5차, 1830년235
6차, 1840년258
7차, 1850년286
8차, 1860년316
9차, 1870년338
10차, 1880년369
11차, 1890년398
12차, 1900년426
13차, 1910년453
14차, 1920년475
15차, 1930년500
16차, 1940년512
17차, 1950년536
18차, 1960년566
19차, 1970년590
20차, 1880년612
21차, 1990년631
22차, 2000년657
23차, 2010년677
24차, 2020년695



위 표는 헌팅턴-힐 방법에 따라 세제곱근 규칙에 따른 역사적인 미국 하원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4. 1. 시대별 하원 규모 변화

인구 조사, 연도하원 규모
1차, 1790년158
2차, 1800년175
3차, 1810년194
4차, 1820년213
5차, 1830년235
6차, 1840년258
7차, 1850년286
8차, 1860년316
9차, 1870년338
10차, 1880년369
11차, 1890년398
12차, 1900년426
13차, 1910년453
14차, 1920년475
15차, 1930년500
16차, 1940년512
17차, 1950년536
18차, 1960년566
19차, 1970년590
20차, 1980년612
21차, 1990년631
22차, 2000년657
23차, 2010년677
24차, 2020년695



다음 표는 헌팅턴-힐 방법에 따라 세제곱근 규칙에 따른 역사적인 미국 하원의 모습을 설명한다.

5. 추가 분석

조르지오 마가리톤도는 1972년 타아게페라가 처음 사용한 데이터셋을 포함한 실험 데이터가 세제곱근 법칙보다 더 높은 지수를 가진 함수에 더 잘 맞는다고 주장했다.[5] 또한 세제곱근 법칙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그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할 만큼 충분하다고 지적했다.[5]

마가리톤도는 대안적인 공식으로 A = 0.1PE (여기서 A는 집단의 크기, P는 인구, E = 0.45±0.03)를 제시했다.[5]

이 공식을 2020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미국 하원에 적용하면 하원 의원 수는 379명에서 1231명 사이가 되지만, 지수 0.4507을 사용하면 693명이 된다.[5] 이는 세제곱근 법칙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결과이다.

5. 1. 조르지오 마가리톤도의 비판

조르지오 마가리톤도는 1972년 타아게페라가 처음 사용한 데이터셋을 포함한 실험 데이터가 세제곱근 법칙보다 더 높은 지수를 가진 함수에 더 잘 맞는다고 주장했다.[5] 또한 세제곱근 법칙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그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할 만큼 충분하다고 지적했다.[5]

마가리톤도는 대안적인 공식으로 A = 0.1PE (여기서 A는 집단의 크기, P는 인구, E = 0.45±0.03)를 제시했다.[5]

이 공식을 2020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미국 하원에 적용하면 하원 의원 수는 379명에서 1231명 사이가 되지만, 지수 0.4507을 사용하면 693명이 된다.[5] 이는 세제곱근 법칙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결과이다.

5. 2. 법칙의 예외 사례

6. 결론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 논문 The size of national assemblies http://www.escholars[...] 1972
[3] 간행물 Why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Must Be Expanded and How Today's Congress Can Make It Happen https://www.fordham.[...] Fordham University School of Law 2020-09-17
[4] 뉴스 America Needs a Bigger House https://www.nytimes.[...] 2018-11-09
[5] 논문 Size of National Assemblies: The Classic Derivation of the Cube-Root Law is Conceptually Flawed 2021
[6]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 OECD members {{!}} Data https://data.worldba[...] 2020-09-19
[7] 웹사이트 EIU Report: Democracy Index 2022 https://www.eiu.com/[...] 2023-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