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셸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셸타어는 아일랜드 여행자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혼성 언어로, 칸트, 갬먼, 타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1870년대부터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아일랜드어, 히베르노-영어, 스코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셸타어는 비밀 유지를 위해 외부인과의 소통을 제한하는 특징을 가지며, 영어 문법에 아일랜드어 어휘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어휘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많으며, 음운 체계는 27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을 포함한다. 표준 표기법은 없으며, 아일랜드어 또는 영어식 표기법을 사용한다. 셸타어 어휘는 영어에 흡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의 혼용형 - 스팽글리시
    스팽글리시는 스페인어와 영어의 혼합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으로, 주로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용자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예술 분야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 영어의 혼용형 - 한국어식 영어
    한국어식 영어, 콩글리시는 한국어와 영어가 혼합되어 영어 단어, 표현이 한국어 문법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의미 축소, 일본어식 영어 영향, 한국어식 조어법 등으로 발생하며, 긍정적, 부정적 측면 모두 존재하여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아일랜드의 언어 -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자 국어로,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했으나 정부의 사용 장려 정책으로 게일타흐트 지역을 보호하고 있다.
  • 아일랜드의 언어 - 스코트어
    스코트어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서게르만어로, 중세 영어 북부 방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부흥 운동과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셸타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셸타어
다른 이름셀드루, 칸트, 세일티스
고유 이름데 감몬, 타리
사용 지역아일랜드
사용자아이리시 트래블러
사용자 수약 50,700명 (2008년 기준)
문자라틴 문자
언어 계통혼합 언어, 인도유럽어족 기반, 아일랜드어영어 혼합
ISO 639-3sth
Glottologshel1236
Linguasphere50-ACA-a

2. 언어 명칭과 어원

셸타어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그 이름들의 어원에 대해서는 논쟁이 많다. 셸타어 사용자들은 주로 "칸트(Cant)", "갬몬(Gammon)", "타리(Tarri)" 등으로 부른다.[3][4] 언어학자들은 "셸타(Shelta)"라는 명칭을 사용한다.[4]

"셸타"라는 명칭은 1882년 찰스 리랜드가 쓴 집시 관련 책에서 처음 등장한다.[4] 그는 이 책에서 셸타어를 언급하며 "6번째 켈트어"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단어의 정확한 뜻과 어원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었으나, 현대 켈트 연구가들은 아일랜드어 "siúl"( "걷다")와의 연관성이 높다고 본다. "걷는 사람"을 뜻하는 "siúltóir"나 이것의 형용사 형태인 "siúlta" 등은 유랑민들을 부르던 아일랜드어 명칭이라는 점에서 개연성이 높다.[8]

"아일랜드 영어 사전"에서는 셸타라는 단어가 "Celt"라는 단어의 변형일 가능성을 제시한다.[6]

셸타어는 그 외에도 ''보그 라틴'',[3] ''개먼'',[6] ''셸드루'',[3] ''셸터'',[3] ''셸터로흐'',[3] ''올드 씽'',[3] ''팅커스 칸트'',[3] 그리고 ''셸타 타리''[7]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3. 기원과 역사

언어학자들은 적어도 1870년대부터 셸타어를 기록해 왔다. 최초의 연구는 1880년과 1882년에 찰스 릴랜드에 의해 출판되었다.[4] 켈트학 학자 쿠노 마이어와 로마니어 전문가 존 샘슨은 셸타어가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10]

기록되지 않은 초창기에, 언어학자들은 여행자 공동체가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다가, 아일랜드어와 히베르노-영어, 그리고 스코틀랜드의 스코트어를 광범위하게 이중 언어 사용하면서 혼성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아마도 3개 국어 사용 단계를 거쳤을 것이다).[4] 그 결과로 생겨난 언어를 고대 셸타어라고 부르며, 이 언어 단계에서 더 이상 현대 셸타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영어 외의 통사론적, 형태론적 특징과 같은 독특한 특징이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4]

디아스포라 내에서, 셸타어는 다양한 하위 분파로 나뉜다. 잉글랜드의 셸타어는 점점 더 영어화되어 가고 있다. 원래 셸타어와 동의어였던 아메리카 아일랜드계 여행자의 은어는 현재 거의 완전히 영어화되었다.[3]

4. 언어적 특징

셸타어는 비밀 언어의 성격을 지니며, 외부인과의 의사소통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12][13][14] 영어 문법에 아일랜드어 어휘가 혼합된 형태를 보이며,[9] 어순 변경, 음절 전도, 음 추가 등의 방식을 통해 어휘가 변형된다.[3]

아일랜드 잉글리시와 주요 통사론적 특징 및 대부분의 형태론적 특징을 공유한다.[4] 복수형 접미사 "-s"와 과거 시제 표지가 그 예시이다.[4] 아일랜드어만큼 성(gender)이 중요하지 않으며, 복수형은 영어 접미사 /-s/ 또는 /-i/로 표시된다.[16]

사회학자 샤론 그멜치(Sharon Gmelch)는 아일랜드 여행자의 언어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11]

예를 들어 셸타어 단어 'gop'는 아일랜드어 'póg'에서 온 '키스'를, 'gather'는 아일랜드어 'athair'에서 온 '아버지'를 뜻한다.[3]

4. 1. 어휘

셸타어 어휘는 대부분 아일랜드어에서 기원했으며, 은어에서 자주 쓰이는 "뒤집기", "거꿀말" 등의 방식으로 변형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셸타어 단어 'gop'(키스)은 아일랜드어 'póg'를 뒤집은 것이다.[21] 음을 추가하거나 위치를 바꾸어 단어를 변형하기도 하는데, 'rodas'(문)는 아일랜드어 'doras'에서, 'lackeen'(소녀)는 아일랜드어 'cailín'에서 유래했다.[15]

롬어에서 차용한 어휘도 있다. 'dadje'(비유랑민), 'kushti'(좋은) 등이 그 예이다.[27]

일부 셸타어 어휘는 영어에 흡수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19세기 중반에 자주 쓰이던 'bloke'(사람, 놈)는 셸타어에서 유래했으며, 궁극적으로는 아일랜드어 'buachaill'(소년)에서 비롯되었다.[18]

4. 2. 문법

셸타어는 아일랜드 잉글리시와 주요 통사론적 특징 및 대부분의 형태론적 특징을 공유한다.[4] 복수형 접미사 "-s"와 과거 시제 표지가 그 예시이다.[4]

셸타어영어
de gyuck, de gloꭕsth; gloꭕisth그 남자; 남자들
de byor, de byohr, de beoirsth그 여자
lohsped, lóspedsth결혼한
sooblik, sublick, subla, subleensth소년, 젊은이
kamsth아들
lackin, lakeensth소녀
máillessth
lúrógssth
groogsth머리카락
sth
gopsth키스
ríspasth바지
guilliminssth신발
tugssth
griffinsth코트
lorchsth자동차
sth침대
nucelsth양초
rodassth
talóscsth
olomisth
luscánsth물고기
solk, bugsth가져가다
bugsth가다; 주다, 얻다
kroshsth가다, 오다
gloke, gratch, oagle, dashesth보다, 알다, 주시하다
nooksth머리
innicsth것, 도구; 거의 모든 것을 지칭할 수 있음
shay jougsth경찰
grubersth일, 직업
gaygesth무언가를 원해서 끈기 있게 조르다
carbsth무언가 또는 누군가를 치다
yonksth훔치다, 강탈하다
tharysth말하다, 이야기하다
wishtsth조용히 해, 말 그만해 (스코틀랜드어와 방언 잉글리시의 whisht도 참조)
glonsth
hawkingsth찾아다니는
tacksth자신의 소지품 (보통)
lushsth먹다, 음식
crudgysth어딘가를 급하게 떠나다
skraꭕosth나무, 덤불



셸타어에서는 아일랜드어만큼 성(gender)이 중요하지 않다. 복수형은 영어 접미사 /-s/ 또는 /-i/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남자'를 뜻하는 gloꭕsth는 '남자들'을 뜻하는 gloꭕisth가 된다.[16]

셸타어영어
the gawlya nawked the greidthe child stole the money
crush into the lawkget into the car


4. 3. 음운

셸타어는 27개의 자음과 6개의 음소 모음을 가지고 있다.[9]

많은 단어들은 여러 개의 자음을 포함하여 복잡한데, 예를 들어 '나무, 덤불'을 뜻하는 단어 skraꭕo|skraꭕosth는 목구멍 뒤쪽에서 내는, 다른 자음보다 길게 유지되는 /ꭕ/ 자음을 포함한다.[9]



모음 체계는 를 제외한 모든 모음에 대해 음소적인 장모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y, iy, ow, uw]는 셸타어의 특정 방언에서 이중 모음으로 실현될 수 있다.[17]


5. 표기법

표준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셸타어는 아일랜드어식 표기법 또는 영어식 표기법을 따라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한'을 뜻하는 단어는 lósped|로스페드sth 또는 lohsped|로스페드sth로 표기될 수 있으며, '여자'를 뜻하는 단어는 beoir|베이르sth 또는 byohr|뵤흐르sth로 표기될 수 있다.[4][20]

6. 다른 언어로의 영향

셸타어 어휘 일부는 영어에 흡수되어 (주로 속어로) 사용되었다. 19세기 중반, 블로크(bloke, 사람, 놈)라는 표현이 자주 쓰였는데, 이는 셸타어에서 유래했으며 궁극적으로 아일랜드어 buachaillga(소년)에서 비롯되었다.[18][28]

7. 예시

다음은 주기도문을 1세기 전 셸타어(고대 셸타어), 현재 셸타어, 현대 영어, 아일랜드어로 비교한 것이다.

19세기 셸타어에는 셸타어 특유의 어휘가 많이 나타나지만, 현대의 캔트어는 그러한 독특한 표현의 정도가 낮아지고 있다. 두 문구 모두 이언 핸콕(Ian Hancock)[19]의 저서에서 인용한 것이지만, 캔트어의 재현은 평소 상황에서의 실제 화법을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라는 단서가 붙어 있다.

고대 셸타어현대 셸타어영어아일랜드어
Mwilshas gater, swart a manyath,|Mwilshas gater, swart a manyath,sthOur gathra, who cradgies in the manyak-norch,|Our gathra, who cradgies in the manyak-norch,sth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Ár n-Athair atá ar neamh,|Ár n-Athair atá ar neamh,ga
Manyi graw a kradji dilshas manik.|Manyi graw a kradji dilshas manik.sthWe turry kerrath about your moniker.|We turry kerrath about your moniker.sth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Go naofar dainm,|Go naofar dainm,ga
Graw bi greydid, sheydi laadu|Graw bi greydid, sheydi laadusthLets turry to the norch where your jeel cradgies,|Lets turry to the norch where your jeel cradgies,sth나라가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Go dtaga do ríocht, Go ndéantar do thoil|Go dtaga do ríocht, Go ndéantar do thoilga
Az aswart in manyath.|Az aswart in manyath.sthAnd let your jeel shans get greydied nosher same as it is where you cradgie.|And let your jeel shans get greydied nosher same as it is where you cradgie.sth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ar an talamh, mar a dhéantar ar neamh.|ar an talamh, mar a dhéantar ar neamh.ga
Bag mwilsha talosk minyart goshta dura.|Bag mwilsha talosk minyart goshta dura.sthBug us eynik to lush this thullis,|Bug us eynik to lush this thullis,sth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Ár n-arán laethúil tabhair dúinn inniú,|Ár n-arán laethúil tabhair dúinn inniú,ga
Geychel aur shaaku areyk mwilsha|Geychel aur shaaku areyk mwilshasthAnd turri us youre nijesh sharrig for the eyniks we greydied|And turri us youre nijesh sharrig for the eyniks we greydiedsth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Agus maith dúinn ár bhfiacha|Agus maith dúinn ár bhfiachaga
Geychas needjas greydi gyamyath mwilsha.|Geychas needjas greydi gyamyath mwilsha.sthJust like we aint sharrig at the needies that greydi the same to us.|Just like we aint sharrig at the needies that greydi the same to us.sth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Mar a mhaithimid ár bhfiachóirí féin|Mar a mhaithimid ár bhfiachóirí féinga
Nijesh solk mwil start gyamyath,|Nijesh solk mwil start gyamyath,sthNijesh let us soonie eyniks thatll make us greydi gammy eyniks,|Nijesh let us soonie eyniks thatll make us greydi gammy eyniks,sth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Is ná lig sinn i gcathú|Is ná lig sinn i gcathúga
Bat bog mwilsha ahim gyamyath.|Bat bog mwilsha ahim gyamyath.sthBut solk us away from the taddy.|But solk us away from the taddy.sth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ach saor sinn ó olc.|ach saor sinn ó olc.ga
Diyil the sridag, taajirath an manyath|Diyil the sridag, taajirath an manyathsth대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Óir is leatsa an Ríocht agus an chumhacht agus an Ghlóir,|Óir is leatsa an Ríocht agus an chumhacht agus an Ghlóir,ga
Gradum a gradum.|Gradum a gradum.sth영원히 있사옵니다.Tré shaol na saol|Tré shaol na saolga
Naemia.|Naemia.sth아멘.Áiméan.|Áiméan.ga



셸타어일본어
Grāltʹa안녕하세요
Slum hawrum안녕하십니까
Slum dorahōg안녕하십니까
Lʹesk mwīlša a hu?잘 지내세요?
Mwī'lin topa, munʹia du hu네, 잘 지냅니다. 감사합니다.
Yoordjeele's soonee-in munya만나서 반갑습니다.
Muni kon안녕히 주무세요
Dhalyōn munʹia신의 축복이 있기를
Stafa tapa hu당신에게 긴 생명이 있기를!
Bin lar't ang lart안녕히 가세요/안녕히 계세요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https://archive.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 웹사이트 shelta http://www.tearma.ie[...] 2018-05-05
[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4] 서적 Travellers and Their Language Queen's University Belfast 2002
[5] 웹사이트 Shelta http://www.ethnologu[...] 2009
[6] 서적 A Dictionary of Hiberno-English Gill & MacMillan 2004
[7] 간행물 Leland on the Gypsies https://www.theatlan[...] 1882-09
[8] 서적 Collins Irish Dictionary HarperCollins 2006
[9] 문서 2015
[10] 논문 The secret languages of Ireland 1909
[11] 서적 Nan: The Life of an Irish Travelling Woman Souvenir Press 1986
[12] 문서 2015
[13] 문서 2015
[14] 문서 2015
[15] 논문 Irish Traveler Cant 1971
[16] 문서 2015
[17] 논문 Mixed Languages: 15 Case Studies in Language Intertwining https://www.jstor.or[...] 1995-12
[18] 문서 Oxford Dictionary – etymology
[19] 논문 The cryptolectal speech of the American roads: Traveller Cant and American Angloromani Duke University Press 1986
[20] 문서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21] 문서 Th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2] 문서 Travellers and their Language Queen's University Belfast 2002
[23] 문서 Shelta at Ethnologue 1992
[24] 문서 A Dictionary of Hiberno-English rGill & MacMillan 2004
[25] 문서 The secret languages of Ireland 1909
[26] 서적 Nan: The Life of an Irish Travelling Woman Souvenir Press 1986
[27] 문서 Roma in Europe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2007
[28] 문서 Oxford Dictionary – etymology
[29] 논문 The cryptolectal speech of the American roads: Traveller Cant and American Angloromani Duke University Press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