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아일랜드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자 국어이다. 게일어, 아일랜드 게일어라고도 불리며,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섬어와 함께 고이델어군에 속한다. 아일랜드어는 원시 아일랜드어에서 시작되어 고대, 중세, 근대 아일랜드어를 거쳐 현대 아일랜드어로 발전했다. 19세기 후반 아일랜드어 부흥 운동이 일어났지만,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했다. 현재 아일랜드 정부는 아일랜드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아일랜드어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게일타흐트 지역을 보호하고 있다. 아일랜드어는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음운론, 통사론, 형태론, 철자법 등에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일랜드의 언어 - 스코트어
스코트어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서게르만어로, 중세 영어 북부 방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부흥 운동과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북아일랜드의 언어 - 얼스터 아일랜드어
얼스터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얼스터 지역에서 사용되는 아일랜드어 방언으로, 얼스터 플랜테이션 이후 영어와 얼스터 스코트 방언의 영향으로 사용이 줄었으나, 서부 방언은 게일타흐트 지역에서 유지되고 벨파스트 아일랜드어와 같은 새로운 방언도 나타나며 독특한 어휘와 음운 체계를 가진다. - 아일랜드의 언어 - 스코트어
스코트어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서게르만어로, 중세 영어 북부 방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부흥 운동과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일랜드의 언어 - 욜라어
욜라어는 아일랜드 웨스포드 주 남동부에서 사용되었던 중세 영어 기반의 방언으로, 19세기에 소멸되었지만 지역 사회 활동을 통해 보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아일랜드어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아일랜드어 |
다른 이름 | 아일랜드 게일어 게일어 |
로마자 표기 | Gaeilge |
발음 | 코나흐트 아일랜드어: 먼스터 아일랜드어: 얼스터 아일랜드어: |
사용 국가 | 아일랜드 영국 |
사용 지역 | 아일랜드 섬 |
민족 | 아일랜드인 |
모국어 화자 | 알 수 없음 |
2022년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아일랜드어를 "매우 잘" 할 수 있다고 응답한 3세 이상 인구 | 195,029명 |
일상 생활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자 (교육 시스템 외부) | 2022년 아일랜드 공화국: 71,968명 2021년 북아일랜드: 43,557명 |
제2 언어 화자 | 알 수 없음 |
아일랜드어를 할 수 있다고 응답한 3세 이상 인구 | 2022년 아일랜드 공화국: 1,873,997명 2021년 북아일랜드: 228,600명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켈트어파 |
어군 | 도서 켈트어군 |
분파 | 고이델어 |
조상 언어 | 원시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 초기 근대 아일랜드어 |
방언 | 코나흐트 아일랜드어 렌스터 아일랜드어 (사멸) 먼스터 아일랜드어 뉴펀들랜드 아일랜드어 (사멸) 얼스터 아일랜드어 |
표준어 | (문어) |
문자 | 라틴 문자 (아일랜드어 알파벳) 오검 (역사적) 아일랜드어 점자 |
공용어 국가 |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유럽 연합 |
ISO 639-1 | ga |
ISO 639-2 | gle |
ISO 639-3 | gle |
Linguasphere | 50-AAA |
글롯로그 | iris1253 |
글롯로그 참조 | Irish |
Foras na Gaeilge | Foras na Gaeilge |
기타 정보 | |
위키백과 한국어 | 아일랜드어 |
위키백과 일본어 | アイルランド語 |
위키백과 영어 | Irish language |
2. 명칭
아일랜드어는 Gaeilgega라고 하며, 게일게(Gaeilge) 또는 겔게(Guailge)라고 읽는다. 아일랜드인의 고유 언어였으나, 영국에 의해 아일랜드 섬 전역이 거의 식민지화되었던 시대에 영어로 대체되면서 사용자 수가 급감했다. 아일랜드 대기근의 영향도 컸다.[141] 19세기 아일랜드 민족 운동이 일어나면서 게일어 연맹과 초대 대통령 더글러스 하이드 등에 의해 복흥 운동이 이루어졌다.
오늘날 아일랜드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매우 적으며, 아일랜드 국내에서도 “게일타흐트”(Gaeltachtga)라고 불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된다. 하지만 공공용 게시물이나 교통 표지판의 대부분에는 아일랜드어가 병기되어 있다. 또한 정부 공직(총리와 다일(Oireachtas), 정당, 의원 등)의 명칭을 아일랜드어로 표기하고, 방위군에서는 명령에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등, 민족주의적 관점에서도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2. 1. 아일랜드어
공식 표준어인 《아일랜드어 표준어(An Caighdeán Oifigiúil)에서 아일랜드어의 명칭은 남쪽 콘노트(Connacht) 형태에서 유래한 '''Gaeilgega'''이다. 1948년 철자 개혁 이전에는 Gaedhilgega로 표기되었으며, 이는 원래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사용된 Gaedhealgga의 소유격이었다.[12] 현대 표기는 Gaedhilgega에서 묵음인 dh를 삭제한 결과이다. 이전 표기법에는 고대 아일랜드어의 Gaoidhealgmga 와 고대 아일랜드어의 Goídelcsga 가 포함된다. 아일랜드어 어족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 고이델어족은 고대 아일랜드어 용어에서 유래했다.현대 아일랜드어 방언에서 사용되는 아일랜드어의 내부 명칭은 다음과 같다.
지역 | 내부 명칭 | 발음 |
---|---|---|
골웨이(Galway) | Gaeilgega | |
메이요(Mayo)와 얼스터 | Gaeilgga/Gaeilicga/Gaeiligga | |
서코크(Cork), 케리(Kerry) 문스터 | Gaelainnga/Gaoluinnga | |
중부와 동부 케리/코크와 워터포드(Waterford) 문스터 | Gaedhealaingga | (지역 발음) |
[13][14]
Gaeilgega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맨섬의 게일어, 그리고 아일랜드의 게일어를 포함하는 더 넓은 의미를 갖는다. 문맥상 필요한 경우 이들은 각각 Gaeilge na hAlbangd, Gaeilge Mhananngv 및 Gaeilge na hÉireannga로 구분된다.[15]
영어(여기에는 히베르노 영어도 포함)에서는 이 언어를 일반적으로 아일랜드어(Irish), 게일어(Gaelic), 아일랜드 게일어(Irish Gaelic)라고 부른다.[16][17] 영어 사용자들이 세 가지 고이델어(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의 관계를 논할 때는 "아일랜드 게일어(Irish Gaelic)"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18] "게일어(Gaelic)"는 고이델어를 통칭하는 용어이며,[6][19][2][20][21] 문맥이 명확할 경우 각 언어를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문맥이 특정하지만 불분명한 경우에는 아일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또는 맨섬 게일어와 같이 명칭을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어스(Erse)"라는 이름도 스코틀랜드어, 그리고 나중에는 영어에서 아일랜드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22]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지칭하기도 했다.
2. 2. 영어
영어에서 아일랜드어는 'Irish', 'Gaelic', 'Irish Gaelic' 등으로 불린다. 역사적으로 'Erse'라는 명칭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3. 역사
최초의 아일랜드어인 원시 아일랜드어는 기원후 4세기부터 오검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아일랜드섬 전역과 브리튼섬 서해안에서 발견된다. 5세기경 로마자로 표기된 고대 아일랜드어로 발전하면서, 고대 웨일스어를 통해 교회 용어를 포함한 라틴어 단어를 받아들였다. 라틴어 차용어의 예로는 easpagga(episcopusla(주교)에서 유래), Domhnachga(dominicala(일요일)에서 유래) 등이 있다.[141]
10세기에는 중세 아일랜드어로 발전하여 아일랜드섬, 스코틀랜드, 맨섬에서 사용되었으며, 얼스터 사이클을 포함한 많은 문학 작품이 이 시기에 쓰였다. 12세기부터는 아일랜드에서 현대 아일랜드어로, 스코틀랜드에서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맨섬에서 맨어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12세기의 근대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게일어권 문학의 기반이었으며, 세흐툰 케틴과 같은 작가들의 작품으로 대표되는 현대 아일랜드어는 17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8세기부터 아일랜드 동부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이 쇠퇴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설명된다.
- 영국에 의한 아일랜드어 사용 비권장
- 아일랜드 가톨릭교회의 영어 사용
- 1750년대부터 진행된 이중언어화와 언어 교체.[141]

이러한 변화는 양층언어 사회화와 과도기적 이중언어사용(부모는 아일랜드어만, 자식은 이중언어, 손자는 영어만 구사)으로 나타났다. 18세기 중반, 영어는 동부 지역 가톨릭 중산층과 지식인의 언어가 되었고, 학교에서 아일랜드어 사용 금지가 부모의 승인을 받았다.[142]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인한 미국, 캐나다로의 이민 가능성이 커지면서 영어 학습이 중요해졌으며, 이민자 중 1/3~1/4이 아일랜드어 사용자였다.[143]
19세기에도 아일랜드어는 주변부 언어가 아니었다. 19세기 전반 약 300만 명이 아일랜드어를 제1언어로 사용했고, 법정과 상업 거래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아일랜드어는 가톨릭 종교 관습 표준화와 정치적 맥락에서도 널리 쓰였다.[144]
19세기 후반, 지식인들은 아일랜드어 되살리기 운동을 시작했으나, 일부 성인만이 아일랜드어를 완벽히 학습할 수 있었다.[145] 게일 연맹은 민속 전통에 중점을 두고 저널리즘과 현대 문학 발전에 힘썼다.
아일랜드 성공회는 윌리엄 베델의 성경 아일랜드어 번역(1685년 출간) 외에는 아일랜드어 사용 장려 노력이 부족했다. 현재 교회 내 아일랜드어 화자들은 언어 되살리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146]

1921년 아일랜드 분단 이전, 아일랜드어는 학교 과목이었으나, 1921~1972년 얼스터연합당은 북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적대적이었다.[167] 분단 첫 50년간 방송에서 아일랜드어가 제외되었으나,[168] 1998년 성금요일 협정으로 영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고,[169] 2003년 유럽 헌장 비준을 받았다. 2006년 영국 정부는 아일랜드어 사용 촉진을 약속했으나,[170] 2019년 현재 갈 길이 멀다.[171] 북아일랜드 정부 구성 과정에서 아일랜드어는 협상 도구로 쓰였고, 법적 지위 보장 토론이 진행 중이다. An Dream Dearg는 'Acht na Gaeilge Anoisga'(지금 아일랜드어 법을)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172]
아일랜드어는 2007년 1월 1일 유럽연합 공식 언어가 되었고, 유럽 의원들은 유럽의회와 위원회에서 아일랜드어로 연설할 수 있게 되었다(동시통역 필요).[173] 5년마다 갱신되는 적용제외규정으로 공동결정절차만 의무 번역되지만, 2022년에는 완전 해제될 것으로 예상된다.[174]
근대에 아일랜드어는 이민으로 영국, 북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등지로 전파되었다. 17세기 올리버 크롬웰의 침략으로 많은 아일랜드인이 서인도제도로 보내졌고, 18세기 미국 이민, 1840년대 대기근으로 이민이 강화되었다. 아일랜드어 화자들은 18세기 후반 호주에 도착했고, 1860년대에 많은 집단이 정착했다. 뉴질랜드도 영향을 받았고, 아르헨티나는 대규모 유입이 있던 유일한 비영어권 국가였다. 이민자 중 아일랜드어 읽기/쓰기 능력자는 적었지만, 기록은 호주와 미국에 들어왔고, 아일랜드어 신문이 발간되었다. 1890년대 게일어 부흥은 해외에서도 호응을 얻어 Conradh na Gaeilgega 지부가 설립되었다.
3. 1. 원시 아일랜드어
기록된 아일랜드어는 서기 4세기의 오검 문자(Ogham) 비문에서 처음으로 확인되며, 이 시기의 언어는 원시 아일랜드어라고 알려져 있다.[23] 이러한 비문들은 아일랜드 전역과 그레이트브리튼 서해안에서 발견되었다.3. 2. 고대 아일랜드어
기록된 아일랜드어는 서기 4세기의 오가암(Ogham) 비문에서 처음으로 확인되며, 이 시기의 언어는 원시 아일랜드어(Primitive Irish)로 알려져 있다.[23] 이러한 비문들은 아일랜드 전역과 그레이트브리튼 서해안에서 발견되었다.3. 3. 중세 아일랜드어
Gaeilge Mheánachga라고 불리는 중세 아일랜드어는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맨섬에서 사용된 언어이다. 13세기부터는 근대 아일랜드어로 발전하여 아일랜드와 게일어를 사용하는 스코틀랜드 문학 언어의 기반이 되었다.서기 4세기의 오가암(Ogham) 비문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아일랜드어는 원시 아일랜드어로 알려져 있다.[23] 이러한 비문들은 아일랜드 전역과 그레이트브리튼 서해안에서 발견되었다.
3. 4. 근대 아일랜드어
현대 아일랜드어(때로는 후기 현대 아일랜드어라고도 함)는 제프리 키팅(Geoffrey Keating)과 같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그 이후로 현대 아일랜드어는 대중 문학의 매체가 되었다.[24][25]3. 5. 현대 아일랜드어
현대 아일랜드어는 j, k, q, w, x, y, z를 제외한 모든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하지만, 몇몇 외래어에서는 이 글자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síneadh fadaga ("장음 부호"; 복수형: sínte fadaga)로 알려진 양음 부호 (''á é í ó ú'') 역시 사용된다. 이 양음 부호는 모음을 장음화하거나 발음을 바꾼다. 예를 들어 먼스터 아일랜드어에서, ''a''는 이거나 이고 ''á''는 로 발음된다.전통적인 문자는 연음화를 나타내기 위해 몇몇 자음에서 점을 사용했다. 현대 아일랜드어에서 자음에 붙은 h는 그 자음의 연음화를 표시한다. ponc séimhithega이나 sí buailtega(줄여서 buailtega) 라고 하는 점 부호는 중세 문헌에서 취소선을 나타내는 기호에서 왔다.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이는 s와 f의 연음화를 나타내었다. (각 ( >), >묵음) c, p, t의 연음화는 뒤에 h를 붙여 나타내었고, b, d, g, m의 연음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았다.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달리 아일랜드어는 19세기 아일랜드의 근대화 과정에서 주변적인 존재가 아니었다. 19세기 전반에는 아일랜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약 300만 명에 달했고, 그들의 수만으로도 그들은 문화적,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은 (영어를 알더라도) 법정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았고, 상업 거래에서도 아일랜드어가 흔히 사용되었다. 아일랜드어는 가톨릭 종교 의례의 표준화를 특징짓는 "헌신적 혁명"에 크게 관여했으며, 정치적 맥락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대기근 시대와 그 이후에도 아일랜드어는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모든 계층에 의해 사용되었다.[29]
1921년 아일랜드 분단 이전에는 아일랜드어가 학교 과목이었다. 1921년과 1972년 동안 북아일랜드 의회의 여당이었던 얼스터연합당은 아일랜드어에 적대적이었는데, 북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167] 이 기간 동안 방송에서는 소수 문화를 보도하지 않았고, 아일랜드어 역시 분단 첫 50년 동안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에서 제외되었다.[168] 1998년 성금요일 협정에 따라 아일랜드어는 영국으로부터 어느 정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고,[169] 2003년에 지역 또는 소수 언어에 대한 유럽 헌장과 관련하여 영국 정부의 비준을 받았다. 2006년 세인트 앤드루 협정을 통해 영국 정부는 아일랜드어 사용을 촉진하기로 약속하였으나,[170] 2019년 시점에서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171]
북아일랜드의 정부 구성 과정에서, 아일랜드어는 An dream dearg와 같은 기구의 항의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협상 도구로 쓰여 왔다. 북아일랜드에서 법률로 아일랜드어의 지위를 보장하는 일에 대한 토론이 진행 중이다. An Dream Dearg는 'Acht na Gaeilge Anoisga'(지금 아일랜드어 법을)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172]
가톨릭교회가 아일랜드어 쇠퇴에 역할을 했다는 점이 지적되었지만, 개신교인 아일랜드 교회도 종교적 맥락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은 미미했다. 베델 주교가 의뢰한 레인스터 출신 Muircheartach Ó Cíonga|italic=noga의 구약 아일랜드어 번역은 신약 번역과 함께 1685년 이후에 출판되었다. 그 외에는 아일랜드화가 토착 아일랜드인을 '교화시키는' 것과 동의어로 여겨졌다. 현재 교회 내 현대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은 언어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31]
1800년에는 약 80만 명의 모국어 사용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기근이 끝날 무렵에는 32만 명으로 줄었고, 1911년에는 1만 7천 명 미만으로 감소했다.[32]
3. 5. 1. 쇠퇴
18세기부터 아일랜드어는 국가 동부 지역에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복잡하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이러한 변화는 이중 언어 사용(같은 공동체 내에서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현상)과 이행기 이중 언어 사용(아일랜드어만 사용하는 조부모 세대,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부모 세대, 영어만 사용하는 손주 세대)으로 나타났다. 18세기 중반까지 영어는 특히 국가 동부 지역에서 가톨릭 중산층, 가톨릭교회, 지식인들의 언어가 되었다. 영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부모들은 학교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을 금지했다.[27] 미국과 캐나다로의 이민에 대한 관심 증가 또한 아일랜드어 쇠퇴의 원인이 되었는데, 영어를 할 수 있으면 새로운 이민자들이 농업 이외의 분야에서 일자리를 얻는 데 유리했기 때문이다. 대기근 기간 중 미국의 이민자 중 약 4분의 1에서 3분의 1이 아일랜드어 사용자였다고 한다.[28]
3. 5. 2. 게일어 부흥 운동
19세기 후반, 아일랜드 지식인들 사이에서 아일랜드어를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들은 게일어 연맹을 중심으로 아일랜드어 부흥 운동을 펼쳤다.[167]4. 위상과 정책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인의 고유 언어였으나, 영국의 식민 지배와 아일랜드 대기근의 영향으로 사용자가 급감했다. 19세기 민족주의 운동과 함께 게일어 연맹 등을 중심으로 아일랜드어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오늘날 아일랜드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적으며, 게일타흐트(Gaeltacht)라고 불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공 게시물이나 교통 표지판에는 아일랜드어가 병기되어 있으며, 정부 공직 명칭도 아일랜드어로 표기하고, 아일랜드 방위군은 명령에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등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사용이 권장된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의무 교육에서 아일랜드어가 필수 과목이며, 공무원 시험 등에서도 아일랜드어 시험이 필수이다. 그러나 게일타흐트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의무 교육 종료 후 또는 취업 후에는 잊는 경우가 많다. 아일랜드 정부는 다양한 보호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미 영어가 우세 언어인 현실 때문에 아일랜드어를 모어로 하는 부모도 자녀의 미래를 위해 자녀에게 영어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138]
4. 1. 아일랜드
아일랜드 헌법에 따르면,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국어이자 제1공용어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부 사업 및 토론은 영어로 진행된다.[147] 1938년 게일어 연맹(Conradh na Gaeilge|italic=noga)의 창시자인 더글러스 하이드는 아일랜드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로스커먼아일랜드어로 취임 선언서를 낭독하였는데, 이는 그 방언으로 된 몇 안 되는 녹음 중 하나이다.[148][149][150][151]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0.5%가 매주 또는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7만 명 이상(4.2%)이 아일랜드어를 일상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답했다.[152]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설립 이후, 우체국 직원, 세금 징수원, 농업 검사원, 평화수호대(아일랜드 경찰) 등 새로 임명되는 모든 아일랜드 공무원에게는 일정 수준의 아일랜드어 유창성이 요구되었다. 평화수호대가 사람을 제지하고 아일랜드어로 물으면, 제지받은 사람은 아일랜드어로 대답해야 했다.[153] 그러나 1974년 언어 자유 운동과 같은 시위 단체의 활동으로 인해 공무원이 되기 위한 요건은 한 가지 공용어에만 유창하면 되도록 변경되었다.
아일랜드어는 여전히 공적 지원금을 받는 모든 아일랜드 학교에서 필수 과목이다. 초등학교 교사가 되려는 사람은 Scrúdú Cáilíochta sa Ghaeilgega라는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2005년부터 평화수호대 신입 경찰은 아일랜드어나 영어 Leaving Certificate가 필요하며, 2년간 아일랜드어 교육을 받는다. 2003년 아일랜드 공용어법에 따라, 아일랜드 정부의 가장 중요한 공식 문서는 아일랜드어로만 발행되거나 아일랜드어와 영어로 발행되어야 한다.
골웨이 국립대학교는 아일랜드어에 능통한 교수를 임명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으나, 2016년 아일랜드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차기 총장 임명 발표로 논란이 되었다. 결국 2017년 9월, 골웨이 국립대학교는 아일랜드어에 능통한 키어런 오 호거르티Ciarán Ó hÓgartaighga가 13대 총장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어 중심 학교에서 오랫동안 아일랜드어를 교육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이 아일랜드어 유창성을 획득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있었다.[156][157][158] 또한, 전통적인 아일랜드어 원어민 화자 수가 감소하는 것도 큰 관심사였다.[159][160][161][162] 2007년 영화감독 만찬 매건은 더블린에서 아일랜드어로만 대화하려 했으나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그의 다큐멘터리 ''No Béarla''에 기록되었다.[163]
하지만 더블린 등 도시 지역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 다수는 아일랜드어로 초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이들은 영어 사용 학교 학생들보다 고등 교육 기관에 더 많이 진학하는 경향이 있다.[164]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인의 고유 언어였지만, 영국의 식민 지배와 아일랜드 대기근의 영향으로 사용자 수가 급감했다. 19세기 민족주의 운동 속에서 게일어 연맹과 초대 대통령 더글러스 하이드 등에 의해 복흥 운동이 이루어졌다.
오늘날 아일랜드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적으며, 게일타흐트라고 불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공 게시물이나 교통 표지판에는 아일랜드어가 병기되어 있으며, 정부 공직 명칭도 아일랜드어로 표기하고, 아일랜드 방위군은 명령에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등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사용이 권장된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의무 교육에서 아일랜드어가 필수 과목이며, 공무원 시험 등에서도 아일랜드어 시험이 필수이다. 그러나 게일타흐트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의무 교육 종료 후 또는 취업 후에는 잊는 경우가 많다.
아일랜드 정부는 다양한 보호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미 영어가 우세 언어인 현실 때문에 아일랜드어를 모어로 하는 부모도 자녀의 미래를 위해 자녀에게 영어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138]
4. 1. 1. 게일타흐트

아일랜드에는 아일랜드어가 여전히 일상어로 어느 정도 사용되는 농촌 지역이 있으며, 이 지역들을 ''게일타흐트(Gaeltacht)''(복수형: Gaeltachtaíga)라고 한다. 게일타흐트 지역의 아일랜드어 유창 인구는 2만~3만 명으로 추산되는데,[165] 이는 전체 아일랜드어 유창 인구 중 소수이지만, 다른 지역보다 아일랜드어 사용자가 밀집되어 있고, 게일타흐트에서만 아일랜드어가 어느 정도 지역 방언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관광·문화·예술·게일타흐트·체육·미디어부 자료에 따르면, 게일타흐트 지역 가구의 4분의 1만이 아일랜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이 조사 분석 보고서 저자인 골웨이-메이요 기술대학교의 Donncha Ó hÉallaithe는 아일랜드 정부의 아일랜드어 정책을 "완전하고 절대적인 실패"라고 묘사했다. Foinsega에 발표된 그의 분석을 인용한 ''아일랜드 타임스(The Irish Times)''는 "아일랜드 국가 건설 당시 아일랜드어를 사용하거나 반쯤 사용하는 지역에 유창한 아일랜드어 사용자가 25만 명이었지만, 현재는 2만~3만 명으로 줄어든 것은 역대 아일랜드 정부의 완전한 책임"이라고 전했다.[165]
1920년대 아일랜드 자유국 건국 당시, 아일랜드어는 여전히 서해안 일부 지역의 방언이었다.[166] 1930년대에는 인구의 25% 이상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게일타흐트로 분류되었다. 오늘날, 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장 강력한 게일타흐트 지역은 남부 코네마라(Connemara), 딩글 반도(Dingle Peninsula) 서부, 도네갈주(County Donegal) 북서부 지역이며, 이곳의 많은 주민들은 여전히 아일랜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이러한 지역은 종종 Fíor-Ghaeltachtga(진정한 게일타흐트)라고 불리는데, 이 용어는 원래 인구의 50% 이상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공식적으로 적용되었다.
다음은 게일타흐트 지역이 있는 카운티(주) 목록이다.[58],[59]
주(County) | 게일타흐트 지역 |
---|---|
갈웨이주(County Galway) (Contae na Gaillimhega) | |
메이요주(County Mayo) (Contae Mhaigh Eoga) | |
도네갈주(County Donegal) (Contae Dhún na nGallga) | |
케리주(County Kerry) (Contae Chiarraíga) | |
코크주(County Cork) (Contae Chorcaíga) | |
워터포드주(County Waterford) (Contae Phort Láirgega) | |
미스주(County Meath) (Contae na Míga) |
도네갈주(County Donegal)의 그위도어(Gweedore) (Gaoth Dobhairga)는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게일타흐트 교구이다. 매년 수만 명의 십대들이 게일타흐트의 아일랜드어 여름 학교에 참석한다. 학생들은 게일타흐트 가정에서 생활하고, 수업을 듣고, 스포츠에 참여하고, céilithega에 참석하며, 아일랜드어를 사용해야 한다. 아일랜드 문화와 전통의 모든 측면이 장려된다.
4. 2. 북아일랜드
1921년 아일랜드 분할 이전, 아일랜드어는 일부 고등 교육 기관에서 학교 과목 및 "켈트어"로 인정받았다. 1921년부터 1972년까지 북아일랜드는 자치 정부를 가졌는데, 이 기간 동안 스토몬트 의회에서 집권했던 얼스터 연합당(UUP)은 민족주의자들의 아일랜드어 사용을 이유로 아일랜드어에 적대적이었다.[71] 이전 자치 정부의 처음 50년 동안 방송에서 소수 문화 문제에 대한 보도가 배제되었고, 아일랜드어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에서 거의 배제되었다.[72]
1998년 벨파스트 협정 이후 아일랜드어는 북아일랜드에서 공식적인 인정을 점차 받게 되었고,[73] 2003년 영국 정부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과 관련하여 아일랜드어를 비준했다. 2006년 세인트 앤드루스 협정에서 영국 정부는 아일랜드어 증진 법안 제정을 약속했으며,[74] 2022년에는 영어와 함께 아일랜드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이 법안은 2022년 12월 6일 왕실 재가를 받았다.[75]
아일랜드어는 북아일랜드 정부 구성 과정에서 종종 거래 수단으로 사용되어 An Dream Dearg|안 드림 데르그ga와 같은 단체 및 그룹의 항의를 불러일으켰다.[76]
4. 3. 유럽의회
아일랜드어는 2007년 1월 1일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이에 따라 아일랜드어에 능통한 유럽 의회 의원들은 유럽 의회와 위원회에서 아일랜드어로 연설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위원회에서 연설할 경우에는 다른 언어로 통역될 수 있도록 동시통역사에게 사전에 통보해야 한다.아일랜드어가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가 되었지만, 아일랜드 정부는 새로운 공식 지위 협상 시 5년간의 유예 기간을 요청했다. 이 때문에 2022년까지는 공동 의사 결정 규정만 아일랜드어로 이용할 수 있었다.[77] 아일랜드 정부는 이 기간 동안 필요한 수의 번역가와 통역사를 양성하고 관련 비용을 부담하기로 약속했다. 유예 기간은 2022년 1월 1일에 최종적으로 종료되었고,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역사상 처음으로 EU에서 완전히 인정받는 언어가 되었다.[78]
아일랜드어가 공식 언어가 되기 전에는 조약 언어 지위만 부여받았으며, EU의 최상위 문서만 아일랜드어로 제공되었다.
4. 4. 아일랜드섬 밖에서
아일랜드어는 근대에 대규모 디아스포라에 의해 해외로 전파되었는데, 주로 영국과 북아메리카,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아르헨티나로도 전파되었다.[79]최초의 대규모 이동은 17세기에 시작되었는데, 주로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서인도 제도로 보내진 크롬웰의 아일랜드 정복의 결과였다. 18세기에는 미국으로의 아일랜드 이민이 확립되었고, 1840년대에는 아일랜드 기근으로부터 도망친 수천 명의 사람들에 의해 강화되었다. 이러한 탈출은 영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때까지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아일랜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지만, 영어가 주요 언어로 자리 잡고 있었다.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은 18세기 후반에 유죄 판결을 받은 죄수와 군인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 처음 도착했고, 특히 1860년대에 많은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이 뒤따랐다. 뉴질랜드도 이러한 유입의 일부를 받았다. 아르헨티나가 많은 수의 아일랜드 이민자들을 받아들인 유일한 비영어권 국가였으며, 그들 중 아일랜드어 사용자는 거의 없었다.
이민자 중 상대적으로 적은 수만이 아일랜드어를 읽고 쓸 줄 알았지만, 아일랜드어로 된 원고들이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모두로 가져왔고, 미국에서 아일랜드어를 상당히 사용한 최초의 신문인 An Gaodhalga이 설립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아일랜드어는 인쇄물에 사용되었다. 1890년대 아일랜드에서 시작된 게일어 부흥은 해외에서도 반응을 얻었고,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이 이민 간 모든 국가에 Conradh na Gaeilgega의 지부가 설립되었다.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어의 쇠퇴와 이민의 감소는 수용 국가에서의 자연 감소와 함께 해외에서 아일랜드어의 감소를 가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규모의 열렬한 사람들은 디아스포라 국가들과 다른 곳에서 아일랜드어를 배우고 발전시키는 것을 계속했고, 이러한 경향은 20세기 후반에 강화되었다. 오늘날 아일랜드어는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아일랜드 이외 지역의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은 아일랜드어로 된 언론과 문학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상당한 아일랜드어 사용 네트워크가 있다.[79] 2006년에서 2008년 사이에 발표된 수치는 22,279명의 아일랜드계 미국인이 집에서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10]
아일랜드어는 켈트 연맹의 언어 중 하나이기도 한데, 켈트 연맹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르타뉴, 콘월, 맨섬에서 켈트 정체성과 문화를 증진하는 비정부 기구이며, 이들은 집합적으로 켈트 민족으로 알려져 있다.
아일랜드어는 뉴펀들랜드섬에서 뉴펀들랜드 아일랜드어로 알려진 형태로 20세기 초까지 공동체 언어로 사용되었다.[80] 특정 아일랜드어 어휘, 문법 및 발음 특징은 여전히 현대 뉴펀들랜드 영어에서 사용된다.[81]
5. 사용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일랜드어 구사 능력에 대해 '예'라고 답한 사람은 1,761,420명으로, 2011년에 비해 약간 감소(0.7%)했다. 이는 응답자의 39.8%에 해당한다.[82] 교육 시스템 외부에서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사람 73,803명 중 20,586명(27.9%)이 게일타흐트 지역에 거주했다.[82]
게일타흐트 지역 | 2011년 | 2016년 | 2022년 | 2011년-2022년 변화 | |
---|---|---|---|---|---|
수치 | % | ||||
코크주 | 982 | 872 | 847 | 135 | 13.7% |
도네갈주 | 7,047 | 5,929 | 5,753 | 1,294 | 18.3% |
골웨이 시 | 636 | 646 | 646 | 10 | 1.5% |
갈웨이주 | 10,085 | 9,445 | 9,373 | 712 | 7.0% |
케리주 | 2,501 | 2,049 | 2,131 | 370 | 14.7% |
메이요주 | 1,172 | 895 | 727 | 445 | 37.9% |
미스주 | 314 | 283 | 276 | 38 | 12.1% |
워터포드주 | 438 | 467 | 508 | 70 | 15.9% |
모든 게일타흐트 지역 | 23,175 | 20,586 | 20,261 | 2,914 | 12.5% |
colspan="10" | |
1996년 기준으로 아일랜드어를 매일 사용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세 선거구는 안 투를로흐(91% 이상), 스카이님(89% 이상), 민 안 클라다이(88% 이상)였다.[85]
영국의 식민 지배와 아일랜드 대기근의 영향으로 아일랜드어 사용자가 급감했다. 19세기 게일어 연맹 등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아일랜드어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오늘날 아일랜드어는 게일타흐트(Gaeltachtga)라 불리는 일부 지역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공공 게시물, 교통 표지판, 정부 공직 명칭, 아일랜드 방위군 명령 등에는 아일랜드어가 사용된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의무 교육에서 아일랜드어가 필수 과목이지만, 게일타흐트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의무 교육 이후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일랜드 정부는 게일타흐트 원어민 가정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다양한 보호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영어의 영향력이 커서 아일랜드어 사용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6. 방언
아일랜드어는 여러 전통적인 방언과 다양한 "도시" 아일랜드어 변종으로 나타난다. 후자는 독자적인 삶을 얻었고, 모어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방언 간의 차이는 강세, 억양, 어휘 및 구조적 특징에서 나타난다.
현존하는 세 가지 주요 방언 지역은 코노트 지방(Cúige Chonnachtga), 먼스터 지방(Cúige Mumhanga), 얼스터 지방(Cúige Uladhga)이다. 레인스터 지방(Cúige Laigheanga)의 일부 방언에 대한 기록은 아일랜드 민속위원회 등에서 작성했다.[86] 캐나다 동부의 뉴펀들랜드 섬에는 18세기 후반 먼스터 지방 아일랜드어에서 유래한 아일랜드어 형태가 있었다(뉴펀들랜드 아일랜드어 참조).
6. 1. 코노트
역사적으로 코노트 아일랜드어는 한때 아일랜드 중앙을 동서로 가로지르던 방언 지역의 서쪽 가장자리에 남아 있는 잔재를 나타낸다. 코노트 아일랜드어 중 가장 강한 방언은 코네마라와 아란 제도에서 발견된다.[86] 코노트 게일타흐트(Gaeltacht)에는 골웨이( Gaillimhga )와 메이요 주( Maigh Eoga )의 경계에 있는 작은 지역도 포함된다. 남부 코네마라, 메이요와 골웨이 경계의 중부 코노트/조이스 컨트리, 북부의 아킬과 에리스 형태의 아일랜드어 사이에는 여러 차이가 있다.[86]표준어와 다른 코노트 아일랜드어의 특징은 -achanga으로 끝나는 동사 명사를 선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lagúga 대신 lagachanga("약화")을 사용한다.[86] 코이스 파라이지(Cois Fharraige)의 발음은 길어진 모음과 크게 축소된 어미를 사용하여 독특하다.[86] 코노트와 울스터 방언의 특징적인 차이점은 단어 끝의 를 로 발음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산"을 의미하는 sliabhga는 코노트와 울스터에서는 이다.[86] 또한 코노트와 울스터 화자들은 "우리" 대명사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있었다"는 bhíomarga 대신 bhí muidga를 사용한다.[86]
먼스터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일부 단모음은 길어지고 다른 단모음은 이중 모음화된다. 예를 들어 ceannga ("머리"), camga ("구부러진"), gearrga ("짧은"), ordga ("대장간 망치"), gallga ("외국인, 비게일족"), iontasga ("경이로움, 놀라움") 등에서 볼 수 있다.[86] agaibhga와 같은 단어의 끝에 있는 형태는 로 발음된다.[86]
남부 코네마라에서는 sibhga, libhga, dóibhga와 같은 단어의 끝에 있는 를 로 대체하는 경향이 있다(다른 지역에서는 각각 "shiv", "liv", "dófaga"로 발음됨).[86] 이 B 음의 배치는 acuga 및 leoga와 같이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끝에도 나타난다.[86] 또한 agamga, agatga, againnga에서 을 생략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다른 코노트 방언의 특징이기도 하다.[86]
조이스 컨트리(로크 코리브(Lough Corrib)와 로크 마스크(Lough Mask) 주변 지역) 발음은 남부 코네마라와 유사하지만, 어휘에는 차이가 있다.[86] doilighga(어려운) 및 foscailtega와 같은 단어가 deacairga 및 oscailtega보다 선호된다.[86] 이 하위 방언의 또 다른 특징은 단어 끝의 거의 모든 모음이 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86] eilega(다른), cosaga(발), déantaga(완료)는 각각 eilíga, cosaíga, déantaíga로 발음된다.[86]
에리스(Erris)( Iorrasga ) 및 아킬(Achill)( Acaillga )의 북부 메이요 방언은 문법과 형태론에서 코노트 방언이지만, 얼스터 식민 이후 몰락한 사람들의 대규모 이주로 인해 울스터 아일랜드어와 일부 유사점을 보인다.[86] 예를 들어, -로 끝나는 단어는 소리가 훨씬 부드러우며, leoga 및 dóibhga와 같은 단어를 로 끝내는 경향이 있어 각각 leofaga 및 dófaga를 제공한다.[86] 코노트의 다른 지역의 어휘 외에도, amharcga(“보다”), nimhneachga(아프거나 쓰라림), druidga(가까운), mothaighga(듣다), doilighga(어려운), úrga(새로운), tig lega("할 수 있다"—즉, féidirga와 유사한 형태)와 같은 울스터 단어도 찾을 수 있다.[86]
아일랜드 대통령 더글러스 하이드(Douglas Hyde)는 로스코먼 방언의 마지막 화자 중 한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5]
6. 2. 먼스터
문스터 아일랜드어는 코크(Contae Chorcaí|콘테 코르키ga), 케리(Contae Chiarraí|콘테 키어리ga), 워터퍼드(Contae Phort Láirge|콘테 포르트 라르게ga)의 게일타흐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코크주의 게일타흐트 지역은 클레어 섬(Oileán Chléire|올랸 클레레ga)과 머스커리(Múscraí|무스크리ga)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케리주의 게일타흐트 지역은 코르카 두이브네|코르카 두이브네ga와 이베라 반도에 위치하고, 워터퍼드주의 게일타흐트 지역은 링(An Rinn|안 린ga)과 올드 패리시(An Sean Phobal|안 샨 포발ga)에 위치하며, 이 두 지역은 함께 게일타흐트 나 앤데이세를 형성한다. 세 주 중 코크주와 케리주에서 사용되는 아일랜드어는 매우 유사하지만, 워터퍼드주에서 사용되는 아일랜드어는 더욱 독특하다.[86]문스터 아일랜드어의 몇 가지 전형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대명사 주어 체계와 병행하여 종합적인 동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나는 ~였다"와 "너는 ~였다"는 문스터 방언에서는 bhíos|비스ga와 bhís|비스ga이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bhí méga와 bhí túga가 더 일반적이다.[86]
- 표준어에 포함되지 않은 독립/종속 동사 형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문스터 방언에서 "나는 본다"는 chím|킴ga인데, 이는 독립 형태이다. 얼스터 아일랜드어도 유사한 형태인 tchím|팀ga을 사용한다. 반면에 "나는 보지 않는다"는 ní fheicim|니 에킴ga이며, feicim|페킴ga은 종속 형태로, ní|니ga("아니다")와 같은 어미 뒤에 사용된다. Chím|킴ga은 표준어에서는 feicim|페킴ga으로 대체된다.[86]
- 등 앞에서, 단음절 단어와 다음에 자음이 오는 다음절 단어의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일부 단모음은 길어지고 다른 모음은 이중모음화된다. ceann|캰ga "머리", cam|캄ga "구부러진", gearr|갸르ga "짧은" 등이 그 예이다.[86]
- ea|에ga "그것"을 포함하는 서술어 구문이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나는 아일랜드인이다"는 문스터 방언에서 is Éireannach mé|이시 에이레나흐 메ga와 Éireannach is ea mé|에이레나흐 이스 에 메ga로 말할 수 있다.[86]
- insan|인산ga(sa|사ga/san|산ga) "안에", den|덴ga "의", don|돈ga "에게/위해" 뒤에서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 모두 연화된다.[86]
- sa|사ga 뒤 의 탈락: sa bhfeirm|사 비름ga, "농장 안에", san fheirm|산 이름ga 대신.[86]
- 전치사 + 단수 관사 뒤 와 의 탈락, insan|인산ga, den|덴ga, don|돈ga을 제외한 모든 전치사에서: ar an dtigh|아르 안 디ga "집 위에", ag an ndoras|아그 안 노라스ga "문 앞에".[86]
- 첫 음절에 단모음이 있고 두 번째 음절에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있거나 -인 경우, 단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두 번째 음절에 있다. 예를 들어, Ciarán|키어란ga는 이고, 코나흐트와 얼스터에서는 이다.[86]
6. 3. 얼스터
얼스터 지방(Cúige Uladhga)에서 사용되는 얼스터 아일랜드어는 다른 두 주요 방언과 상당히 다르게 들린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남부 방언 및 맨섬어와 여러 특징을 공유하며, 특징적인 단어와 의미 뉘앙스를 갖는다.[87][88]얼스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섬어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부정어로 먼스터와 코노트의 níga 대신 cha(n)ga를 사용한다.
- 1인칭 단수 동사 어미 -(a)imga을 -(e)amga으로 발음한다. (예: 먼스터/코노트 siúlaimga "나는 걷는다", 얼스터 siúlamga).
하지만, 오늘날 북아일랜드에서 원래 사용되던 아일랜드어 방언들이 사라지면서, 현재의 얼스터 아일랜드어를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어의 남부 및 서부 방언 사이의 중간 형태로 보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북부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먼스터 아일랜드어와 많은 비(非)얼스터 특징을 공유하기도 한다.
6. 4. 레인스터
레인스터 지방의 아일랜드어는 19세기 초, 그리고 그 이후에도 레인스터 12개 카운티 모두에서 사용되었다.[86] 지명, 문학 자료, 기록된 언어 등을 통해 볼 때, 레인스터 방언은 콘넛 서부에서 리피 강 어귀 동쪽, 웨크스퍼드 남쪽까지 이르는 넓은 중앙 지역에 걸쳐 있었으며, 많은 지역적 변이가 있었다. 미스와 라우스 카운티에는 얼스터 방언이, 킬케니와 남 라오이스에는 먼스터 방언이 사용되었다.[89]주요 방언은 오늘날 콘넛의 아일랜드어에만 그 특징이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 음절에 강세를 두었고, 표준 철자는 'cn'이지만 지명에서 'cr' 발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cnocga (언덕)이라는 단어는 crocga으로 발음되었다. 더블린 카운티의 크룩슬링(Cnoc Slinnega)과 칼로우의 크루킨(Cnoicínga)이 그 예이다. 동 레인스터는 pollga (구멍), cillga (수도원), coillga (숲), ceannga (머리), camga (구부러진), dreamga (무리)와 같은 단어에서 먼스터 및 콘넛 아일랜드어와 같이 이중 모음화 또는 모음 길이 변화를 보였다.[89]
동 레인스터 구어체 아일랜드어에 대한 초기 증거는 영국의 의사이자 여행가인 앤드류 보드(Andrew Borde)가 쓴 "지식 소개의 첫 번째 책"(1547)에서 찾을 수 있다.[90] 그가 사용한 예시 문구와 아일랜드어 철자는 다음과 같다.
영어 | 레인스터 아일랜드어 | |
---|---|---|
앵글리사이징된 철자 | 아일랜드어 철자 | |
잘 지내세요? | Kanys stato? | [Conas 'tá tú?ga] |
잘 지냅니다, 감사합니다 | Tam a goomah gramahagood. | [Tá mé go maith, go raibh maith agat.ga] |
선생님, 아일랜드어를 하실 수 있으세요? | Sor, woll galow oket? | [Sir, bhfuil Gaeilig [Gaela] agat?ga] |
아내, 빵을 주세요! | Benytee, toor haran! | [A bhean an tí, tabhair arán!ga] |
워터퍼드까지 얼마나 멀죠? | Gath haad o showh go part laarg?. | [Gá fhad as [a] seo go Port Láirge?ga] |
21마일입니다. | Myle hewryht. | [Míle a haon ar fhichid.ga] |
아내, 언제 자러 갈까요? | Gah hon rah moyd holow? | [Gathain a rachamaoid a chodladh?ga] |
6. 4. 1. 페일
페일( An Pháilga )은 후기 중세 더블린 주변 영국 정부의 통제하에 있던 지역이었다. 15세기 후반에는 더블린 남쪽의 달키에서 가리슨 도시 던덜크까지 해안선을 따라 위치했으며, 내륙 경계는 킬데어 백작령의 나스와 렉슬립, 그리고 북쪽의 미스 주 트림과 켈스를 포함했다.[91] 이 "영어권" 지역에서 영어는 실제로 지배적인 언어가 된 적이 없었고, 비교적 늦게 도입되었다. 최초의 식민 개척자들은 노르만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노르만인들이었으며, 그 이전에는 노르드인들이 있었다. 아일랜드어는 항상 대다수 인구의 언어였다. 1515년 한 영국 관리가 페일에 대해 "왕의 법을 따르는 해당 반주들의 일반 백성들은 대부분 아일랜드 태생이고, 아일랜드식 습관과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고 언급했다.[91]
영국의 문화적, 정치적 통제가 강화되면서 언어 변화가 시작되었지만, 이는 18세기까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때조차도 1771년부터 1781년까지 10년 동안 미스 주의 아일랜드어 사용자 비율은 최소 41%였다. 1851년에는 3% 미만으로 감소했다.[92]
6. 4. 2. 일반적인 쇠퇴
페일(An Pháil)은 후기 중세 더블린 주변 영국 정부의 통제하에 있던 지역이었다. 15세기 후반에는 더블린 남쪽의 달키에서 던덜크까지 해안선을 따라 위치했으며, 내륙 경계는 나스와 렉슬립, 그리고 북쪽의 트림과 켈스를 포함했다.[91] 이 지역에서 영어는 지배적인 언어가 된 적이 없었고, 아일랜드어가 대다수 인구의 언어였다. 1515년 한 영국 관리는 페일에 대해 "왕의 법을 따르는 백성들은 대부분 아일랜드 태생이고, 아일랜드식 습관과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고 언급했다.[91]영국의 통제가 강화되면서 언어 변화가 시작되었지만, 18세기까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1771년부터 1781년까지 10년 동안 미스 주의 아일랜드어 사용자 비율은 최소 41%였고, 1851년에는 3% 미만으로 감소했다.[92]
18세기에 영어는 레인스터 지방에서 크게 확장되었지만, 아일랜드어 화자는 여전히 많았다. 1771년부터 1781년까지의 10년 동안 일부 카운티의 아일랜드어 화자 비율은 다음과 같이 추정되었다.(추정치가 너무 낮을 가능성이 크다.)[92]
카운티 | 아일랜드어 화자 비율 |
---|---|
킬케니 | 57% |
라우스 | 57% |
롱포드 | 22% |
웨스트미스 | 17% |
아일랜드어는 더블린, 킬데어, 라이스, 웩스퍼드, 위클로 카운티에서 가장 빠르게 감소했다. 최근 위클로 주는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어 화자 비율이 가장 낮은 카운티(인구의 0.14%)로 주목받고 있다.[93] 레인스터 지방의 아일랜드어 사용 아동 비율은 1700년대 17%, 1800년대 11%, 1830년대 3%, 1860년대에는 거의 없었다.[94] 1851년 조사에 따르면 더블린 카운티에는 여전히 많은 고령의 아일랜드어 화자가 있었다.[92] 라우스 주 오미스(Omeath)의 마지막 화자 중 일부의 음성 녹음이 1928년부터 1931년 사이에 이루어졌다.[95] 오미스와 레인스터 전체에서 마지막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원어민 화자는 1960년에 사망한 애니 오핸론(앤니 도빈 출신)이었다.[27]
6. 5. 중세부터 19세기까지 도시에서의 사용
아일랜드어는 19세기까지 아일랜드의 도시들에서 공동체 언어로 사용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더블린과 페일(Pale) 지역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영국 행정관 윌리엄 제라드(William Gerard, 1518~1581)는 "모든 영국인들, 그리고 더블린에서조차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꺼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라고 언급했다.[97]크롬웰 시대의 영국 당국은 더블린에서 아일랜드어가 널리 사용되는 것을 알고 공식적으로 사용하도록 조치했다. 1655년 몇몇 지역 고위 인사들은 더블린에서 아일랜드어 강의를 감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656년 3월, 개종한 가톨릭 사제 세이머스 코르시(Séamas Corcy)는 매주 일요일 브라이드 교구에서 아일랜드어로 설교하도록 임명되었고, 드로에다(Drogheda)와 아티(Athy)에서도 설교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00] 1657년 더블린의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은 더블린 시의회에 청원서를 제출하여 "더블린에서 아일랜드어가 일반적이고 흔히 사용된다"고 불평했다.[101]
당시 다른 도시 지역에서도 아일랜드어 사용에 대한 증거가 있다. 1657년 코르크(Cork)에서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아일랜드어로 배교 선서(교황의 권위를 거부하는 선서)를 읽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102]
18세기 초 더블린에서는 아일랜드어가 유명한 시인 션(Seán)과 태그 오 니크테인(Tadhg Ó Neachtain)이 이끄는 시인과 서기관들의 모임의 언어로 사용될 만큼 강력했다.[103] 1851년 인구 조사 당시 더블린 군에는 여전히 상당수의 아일랜드어 사용자가 있었다.[105]
갤웨이(Galway)는 구 영국 상인들이 지배하고 아일랜드 연합 전쟁(1641~1653)까지 왕관에 충성했던 도시였는데, 아일랜드어 사용은 이미 헨리 8세(Henry VIII of England)의 법령(1536)을 통과시키게 만들었다. 이 법령은 다음과 같이 명령했다.
> "항목: 우리의 도시[갤웨이] 내의 모든 주민들은 영어를 사용하고 영국식으로 행동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특히 여러분과 여러분 각자는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 영어를 배우게 해야 한다…"[108]
17세기에 토착 문화 기관이 쇠퇴하면서 아일랜드어의 사회적 위신이 떨어졌고, 중산층의 점진적인 영국화가 이어졌다.[109] 그러나 1851년 인구 조사는 먼스터의 도시들에 여전히 상당한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1819년,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베테랑 감리교(Methodism) 평신도 설교자 제임스 맥퀴그(James McQuige)는 다음과 같이 썼다. "남부의 일부 대도시인 코르크(Cork), 킨세일(Kinsale), 심지어는 밴던(Bandon, County Cork)이라는 프로테스탄트 도시에서도 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거리에서 외치는 데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110] 1851년에도 코르크 인구의 40% 이상이 아일랜드어 사용자였다.[111]
6. 6. 현대 도시 사용
20세기 후반부터 도시 지역에서 아일랜드어 사용이 다시 활발해졌다. 이러한 변화는 아일랜드어로만 수업을 하는 학교인 Gaelscoil|게일스코일ga이 빠르게 늘어난 덕분이다. 2019년 기준으로 더블린에만 37개의 게일스코일 초등학교가 있다.[114]19세기 말 게일어 부흥 운동으로 Conradh na Gaeilge|게일 연맹ga 지부를 중심으로 아일랜드어 사용자 네트워크가 형성되었고, 문학 활동도 활발해졌다.[112] 1930년대에는 더블린에서 아일랜드어로 된 문학 작품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13]
도시 지역의 젊은 아일랜드어 사용자들은 학교에서 아일랜드어를 배우거나, 아일랜드어로 교육을 받았거나,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는 가정에서 자랐다. 이들은 nuachainteoirí|새로운 화자ga라고 불리기도 하며, 축제나 팝업 이벤트 등을 통해 아일랜드어를 연습하고 실력을 향상시키고 있다.[116]
도시 아일랜드어는 전통적인 게일타흐트 아일랜드어와 비교하여, 음운론과 문법의 기본이 되는 넓고 가는 자음 구분이 완전히 또는 일관되게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 아일랜드어가 새로운 방언이 되거나, 장기적으로는 게일타흐트 아일랜드어와 구별되는 크리올어 (새로운 언어)로 발전할 가능성도 제기된다.[115]
일부에서는 여전히 게일타흐트 지역의 아일랜드어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117] 다른 한편으로는 젊은 도시 화자들이 자신들만의 독특한 방언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도 있다.[118] 또한, 토착 게일타흐트 화자들의 아일랜드어를 가장 존중하고 "더블린"(도시) 아일랜드어는 언론에서 과소 대표된다는 주장 등 아일랜드어 사용자들 사이에 엘리트주의가 존재한다는 주장도 있다.[119]
6. 7. 표준화
아일랜드어 발음에 대한 단일 공식 표준은 없다. Foclóir Pócaga와 같은 일부 사전에서는 단일 발음을 제공하지만, ''Foclóir Béarla-Gaeilge''[120]와 같은 온라인 사전에서는 3개의 주요 방언의 오디오 파일을 제공한다. 방언 간의 차이는 상당하며, "표준 아일랜드어"를 개념화하는 데 있어 반복적인 어려움을 야기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서로 다른 방언 사용자 간의 접촉이 더 빈번해짐에 따라 방언 간의 차이가 덜 눈에 띄게 되었다.[121]An Caighdeán Oifigiúilga("공식 표준어", 종종 An Caighdeánga으로 줄여 씀)는 아일랜드 정부가 개발하고 사용하는 아일랜드어의 철자 및 문법 표준이다. 아일랜드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 규칙을 따르지만, 아일랜드어 사용 지역 및 그 인근의 학교에서는 지역 방언도 사용한다. 이 표준은 1953년 아일랜드 의회ga 번역부에서 발표되었으며,[122] 2012년[123]과 2017년에 업데이트되었다.
7. 음운론
발음에서 아일랜드어는 가장 가까운 친척 언어인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맨섬어와 가장 유사하다.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자음(단, 제외)이 "넓은(넓게 발음됨, 혀의 뒤쪽이 연구개 쪽으로 당겨짐)"과 "가는(좁게 발음됨, 혀의 중간이 경구개 쪽으로 밀어 올려짐)"의 쌍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넓고 가는 자음의 쌍은 아일랜드어에만 있는 것은 아니며(예를 들어 러시아어에서도 발견됨), 아일랜드어에서는 문법적 기능을 한다.
rowspan="2" | | 전설 | 중설 | 후설 | |||
---|---|---|---|---|---|---|
짧은 | 긴 | 짧은 | 짧은 | 긴 | ||
고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중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저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아일랜드어의 이중모음은 이다.
모음 음소는 /a/, /e/, /i/, /o/, /u/의 다섯 개 단모음과 각각에 대응하는 장모음, 그리고 (애매모음)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강세는 첫 번째 음절에 떨어지며, 강세를 갖지 않는 단모음은 로 중화된다.
자음 음소는 파열음 /p/, /b/, /t/, /d/, /k/, /ɡ/, 마찰음 /f/, /s/, /h/, 비음 /m/, /n/, /ŋ/, 유음 /r/, /l/을 갖는다. 이들 외에, 후술하는 자음 약화(緩音現象)에 의해 마찰음 또는 첨음(接近音) /v~w/, /ɣ~j/, /x/가 음소에 추가된다. 또한,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제외한 자음은 각각 구개화된 것(좁은 자음: slender consonant)과 그렇지 않은 것(넓은 자음: broad consonant)의 두 가지로 나뉘기 때문에, 자음 음소의 수는 비교적 많다. 이러한 구별은 슬라브어 학에서 연음·경음이라고 불리는 것에 상당한다.
8. 통사론과 형태론
아일랜드어는 융합어이며, VSO형 주격-목적격 언어이다. 동사 중심 구조나 위성 중심 구조가 아니며, 지시어 동사를 자유롭게 사용한다.
명사는 3개의 수(단수, 이중수(“두 개”를 뜻하는 dhága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만), 복수), 2개의 성(남성, 여성), 4개의 격(주격-목적격(ainmneachga), 호격(gairmeachga), 소유격(ginideachga), 그리고 전치격-여격(tabharthachga)으로, 오래된 목적격(cuspóireachga)의 흔적이 남아있다)으로 어미가 변화한다.[139] 형용사는 수, 성, 격에서 명사와 일치한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오지만, 일부는 명사 앞에 오거나 명사에 접두사로 붙는다. 지시어 형용사는 근접, 중간, 원격 형태를 갖는다. 전치격-여격은 관례적으로 여격이라고 불리지만, 원래는 원시 켈트어의 조격에서 유래했다.
동사는 3개의 시제(과거, 현재, 미래), 2개의 상(완료, 미완료), 2개의 수(단수, 복수), 4개의 법(직설법, 가정법, 조건법, 명령법), 2개의 관계절 형태(현재 관계절과 미래 관계절), 그리고 일부 동사에서는 독립 및 종속 형태로 활용된다. 동사는 3인칭과 작용자가 없는 비인칭 형태로 활용되며, 3인칭 단수는 어떤 사람이나 수를 가리킬 수 있는 인칭이 없는 인칭 형태로 작용한다.
"이다"를 뜻하는 동사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두 가지 형태(isga "현재"와 baga "과거"와 "조건절")만 있는 본질적인 속성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동사 형용사를 제외한 모든 형태를 갖춘 일시적인 속성을 위한 것이다. 두 동사는 하나의 동사 명사를 공유한다.
아일랜드어 동사 형성은 활용 시 시제, 수, 법, 인칭에 따라 분석적 및 종합적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혼합 시스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공식 표준에서 현재 시제 동사는 1인칭과 자율 형태(molaimga '나는 칭찬하다', molaimidga '우리는 칭찬하다', moltarga '칭찬받다, ~가 칭찬하다') 에서만 활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모든 인칭은 분석적으로 전달된다(molann séga '그는 칭찬하다', molann sibhga '너희들은 칭찬하다'). 주어진 동사 패러다임에서 분석적 형태와 종합적 형태의 비율은 다양한 시제와 법에 따라 다르다. 조건절, 명령법, 과거 습관적 형태는 대부분의 인칭과 수에서 종합적 형태를 선호하는 반면, 가정법, 과거, 미래, 현재 형태는 대부분 분석적 형태를 선호한다.
수동태의 의미는 주로 자율 동사 형태를 통해 전달되지만, 수동적 및 결과적 구성과 유사한 다른 구조도 존재한다. 또한 부정, 의문, 가정법, 관계절 등을 나타내는 여러 개의 동사 앞 어미가 있다. 동사 명사와 동사 형용사가 있다. 동사 형태는 매우 규칙적이며, 많은 문법에서는 불규칙 동사 11개만 인식한다.
전치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서로 다른 전치사는 서로 다른 격을 통제한다. 고대 아일랜드어와 중세 아일랜드어에서 전치사는 의도된 의미론에 따라 다른 격을 통제했는데, 이것은 현대 아일랜드어에서는 화석화된 형태를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아일랜드어에는 "소유하다"를 나타내는 동사가 없다. 대신 "에" 등을 의미하는 agga라는 단어가 일시적인 "이다" 동사 bheithga와 함께 사용된다.
- ''Tá leabhar'' agam.|italic=unsetga "나는 책이 있다." (직역: "나에게 책이 있다", 러시아어 У меня есть книга, 핀란드어 ''minulla on kirja'', 프랑스어 ''le livre est à moi'' 참조)
- ''Tá leabhar'' agat.|italic=unsetga "너(단수)는 책이 있다."
- ''Tá leabhar'' aige.|italic=unsetga "그는 책이 있다."
- ''Tá leabhar'' aici.|italic=unsetga "그녀는 책이 있다."
- ''Tá leabhar'' againn.|italic=unsetga "우리는 책이 있다."
- ''Tá leabhar'' agaibh.|italic=unsetga "너희들(복수)은 책이 있다."
- ''Tá leabhar'' acu.|italic=unsetga "그들은 책이 있다."
수사는 추상적, 일반적, 서수의 세 가지 형태를 갖는다. 2에서 10까지의 숫자(그리고 이것들이 더 큰 숫자와 결합된 경우)는 사람에게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수사 명사가 사용된다.
- a dóga "둘"
- dhá leabharga "두 권의 책"
- beirtga "두 사람, 한 쌍", beirt fhearga "두 명의 남자", beirt bhanga "두 명의 여자"
- daraga, tarnaga (자유 변이) "둘째"
아일랜드어에는 십진법과 이십진법이 모두 있다.
- 10: a deichga
- 20: fichega
- 30: 이십진법 – a deich is fichega; 십진법 – tríochaga
- 40: 이십진법 – daichead, dá fhicheadga; 십진법 – ceathrachaga
- 50: 이십진법 – a deich is daicheadga; 십진법 – caogaga (또한: leathchéadga "50")
- 60: 이십진법 – trí fichidga; 십진법 – seascaga
- 70: 이십진법 – a deich is trí fichidga; 십진법 – seachtóga
- 80: 이십진법 – cheithre fichidga; 십진법 – ochtóga
- 90: 이십진법 – a deich is cheithre fichidga; 십진법 – nóchaga
- 100: 이십진법 – cúig fichidga; 십진법 – céadga
35와 같은 숫자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다.
- a cúigdéag is fichidga "15 더하기 20"
- a cúig is tríochaga "5 더하기 30"
- a cúigdéag ar fhichidga "20 위에 15"
- a cúig ar thríochaidga "30 위에 5"
- a cúigdéag ficheadga "20의 15 (소유격)"
- a cúig tríochadga "30의 5 (소유격)"
- fiche 's a cúigdéagga "20 더하기 15"
- tríocha 's a cúigga "30 더하기 5"
마지막 것은 수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아일랜드어 초기 변화
아일랜드어에는 두 가지 종류의 초기 자음 변화가 있는데, 이는 동사, 명사, 형용사에서 문법적 관계와 의미를 나타낸다.
- 연화(séimhiúga)는 파열음을 마찰음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124] 게일어 활자에서는 점 위에 점(ponc séimhithega)으로 표시되며, 로마자에서는 h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 caith!ga "던져라!" – chaith méga "내가 던졌다" (과거 시제 표지로서의 연화, 현재는 일반적으로 생략되는 doga라는 어미에 의해 발생)
- gága "필요" – easpa an ghága "필요의 부족" (남성 명사의 소유격을 표시하는 연화)
- Seánga "존" – a Sheáin!ga "존!" (호격의 일부로서의 연화, Sheáinga 앞의 호격 표지인 aga에 의해 호격 연화가 유발됨)
- 음절 탈락(urúga)은 무성 파열음의 유성화와 유성 파열음의 비음화를 포함한다.
- Athairga "아버지" – ár nAthairga "우리 아버지"
- túsga "시작", ar dtúsga "시작할 때"
- Gaillimhga "골웨이" – i nGaillimhga "골웨이에"
변화는 종종 문법 형태를 구별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그녀의", "그의", "그들의"라는 소유격 대명사를 구별하는 유일한 비문맥적 방법은 모든 의미가 같은 단어 aga로 표현되기 때문에 초기 변화를 통해서이다.
- 그의 신발 – a bhrógga (연화)
- 그들의 신발 – a mbrógga (음절 탈락)
- 그녀의 신발 – a brógga (변화 없음)
초기 변화, 접두사, 첨가어, 접미사, 어근 활용, 어미 형태론, 탈락, 샌디, 삽입, 동화로 인해 단어의 처음, 중간, 끝이 문맥에 따라 급격하게 그리고 동시에 변할 수 있다.
기본 어순은 VSO이다. 예를 들어,
:Chonaic mé é.ga 나는 그를 보았다.
라는 문장은 “보았다・나는・그를”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켈트어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특정 구문 환경에서 어두 자음이 변하는 연음 현상이 있다.
켈트어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아일랜드어에는 연화와 암화의 두 종류가 존재한다.
연음화를 받은 자음은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원 표기 > 변화 후 표기 /음/ 순으로 적는다. 여기에 제시된 자음은 비구개화음(광자음)을 대표하여 제시하였다.
p > ph /f/ | b > bh /v/ 또는 /w/ | f > fh (무음) |
t > th /h/ | d > dh /ɣ/ | s > sh /h/ |
c > ch /x/ | g > gh /ɣ/ | m > mh /v/ 또는 /w/ |
대체로 파열음이 마찰음 또는 접근음으로 변화한다. d와 g, b와 m은 이 연음화의 결과로 같은 소리를 나타내게 된다.
한 예로, 명사의 여성 단수 주격 형에 정관사 an이 붙는 경우에 이 연음화가 일어난다.
- 남성명사 fear (a man) > an fear (the man)
- 여성명사 bean (a woman) > an '''bh'''ean (the woman)
암음화를 받은 자음은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원 표기 > 변화 후 표기 /소리/ 순으로 기재한다. 여기에 제시된 자음은 비구개화음(광자음)으로 대표시켰다.
p > bp /b/ | b > mb /m/ | f > bhf /w/ 또는 /v/ |
t > dt /d/ | d > nd /n/ | |
c > gc /ɡ/ | g > ng /ŋ/ |
대체로 무성음이 유성음으로, 유성음이 비음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전치사 i ()가 사용되면 그 뒤에 오는 명사에 이 암음화가 발생한다. 참고로, 대문자로 시작하는 고유명사의 경우, 그 앞에 붙이는 암음화를 나타내는 문자는 소문자로 쓴다.
:Tóiceo (Tokyo) > i '''dT'''óiceo (in Tokyo)
아일랜드어의 명사는 기본적으로 남성 명사·여성 명사의 두 성, 단수·복수의 두 수, 주격·소유격의 두 격을 구별한다.
아일랜드어의 명사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로 나뉜다. 대략적으로 말해서, 어미가 비구개음화음(광자음)으로 끝나는 것은 남성 명사, 구개음화음(협자음)으로 끝나는 것은 여성 명사인 경향이 있다.
- 남성 명사: teach(집), leabhar(책) 등
- 여성 명사: cathair(도시), spéir(하늘) 등
하지만, 이것에는 많은 예외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srón(코)는 비구개음화음으로 끝나지만 여성 명사이다.
아일랜드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한다. 복수형의 어미는 매우 다양하며, 기본적으로는 하나하나 암기해야 한다. 또한, 방언에 따라 복수형이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중 일부를 아래에 제시한다.
- 어말 자음의 구개음화
- bád > bá'''id''' (배)
- 어말에 -a 추가
- clann > clann'''a''' (아이, 가족)
- 어말에 -anna 추가
- am > am'''anna''' (시간)
- 어말에 -acha 추가
- teanga > teang'''acha''' (혀, 언어)
아일랜드어의 명사는 주격과 소유격 두 가지를 구분한다. 하지만 일부 명사는 이와 별도로 여격 형태를 가진다. 또한 많은 경우 다른 격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지만, 호격도 존재한다.
주격은 동사의 주어나 직접목적어 등에 사용되고, 소유격은 명사 간의 수식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여격은 전통적으로 그렇게 불리지만,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특정 전치사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단수 소유격은 크게 다음 5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 어말 자음을 구개음화
- bád > bá'''id'''(배)
- 이 경우, 대부분 단수 소유격과 복수 주격이 같은 형태가 된다.
- (어말 자음이 비구개음화이면 구개음화하여)-e를 추가
- súil > sú'''ile'''(눈)
- fuinneog > fuinneo'''ige'''(창문)
- (어말 자음이 구개음화이면 비구개음화하여)-a를 추가
- rud > ru'''da'''(것)
- dochtúir > dochtú'''ra'''(의사)
- 불변화
- teanga > teanga(혀, 언어)
- 어말 자음을 비구개음화(또는 비구개음화 자음을 추가)
- athair > atha'''r'''(아버지)
- caora > caora'''ch'''(양)
실제로는 이러한 것들에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복수형과 함께 하나하나 기억해야 한다.
복수 소유격은 기본적으로 복수 주격을 그대로 사용한다. 하지만 특별한 복수 소유격 형태를 사용하는 명사도 있다.
관사는 정관사만 존재한다. 즉, 정관사가 붙지 않으면 그 명사는 부정명사가 된다.
남성 | 여성 | 복수 | |
---|---|---|---|
주격 | an an t-(모음 앞) | an + 연음화 an t-(s 앞) | na na h-(모음 앞) |
소유격 | an + 연음화 an t-(s 앞) | na na h-(모음 앞) | na + 폐쇄음화 na n-(모음 앞) |
동사는 시제와 법에 따라 활용한다. 활용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사전형(2인칭 단수 명령형)이 1음절인지 그 이상인지로 구분할 수 있다.
유형 I | 유형 II | |
---|---|---|
명령형 | glac (잡다) | codail (자다) |
습관 현재 | glacann | codlaíonn |
습관 과거 | ghlacadh | chodlaíodh |
과거 | ghlac | chodail |
미래 | glacfaidh | codlóidh |
조건법 | ghlacfadh | chodlódh |
접속법 | go nglaca | go gcodlaí |
과거와 관련된 시제(과거, 습관 과거 및 과거미래에 해당하는 조건법)에서는 동사 어두에 연음화가 발생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와 연음화 결과 첫 음절 자음을 잃는 f-로 시작하는 동사에는 d'-를 붙여 이러한 형태를 만든다.
:ól (마시다) >'''d'''ól-
:fan (기다리다) >'''d'fh'''an-
주어의 인칭과 수에 일치하는 인칭 형태도 존재하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인칭대명사와의 결합형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인칭 형태와 주어 인칭대명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위의 glac(잡다)의 습관 현재 1인칭 단수형은
- :glacaim
이 되지만,
*glacaim mé
와 같이 대응하는 인칭대명사를 놓을 수 없다.
이 인칭 형태는 동사 활용의 패러다임에서 모두 갖춰져 있는 것이 아니며, 사용 범위도 방언에 따라 다르다.
9. 철자법
원래의 문자 체계인 오감 문자는 5세기 서기에 라틴 문자가 도입될 때까지 고대 아일랜드어와 고대 아일랜드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125] 라틴 문자 도입 이후, 아일랜드어를 쓰는 데 사용되는 주요 활자체는 20세기 중반에 로마자체로 대체될 때까지 게일어 활자체였다.
전통적인 아일랜드어 알파벳(áibítir|아이비티르ga)은 a, b, c, d, e, f, g, h, i, l, m, n, o, p, r, s, t, u의 18개 문자로 구성되며, j, k, q, v, w, x, y, z는 포함되지 않는다.[126][127] 그러나 현대 아일랜드어는 완전한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이전에 사용되지 않던 문자는 현대 외래어에서 사용된다. v는 소수의 (주로 의성어적인) 고유어와 속어에 나타난다.
모음은 악센트인 예각 악센트로 표시될 수 있다 (; 아일랜드어와 아일랜드 영어: (síneadh) fada|시너 파다ga "긴 (표시)"), 하지만 알파벳 순서에는 고려되지 않는다.[128] 이것은 다른 관례들 중에서 긴 모음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e는 이고 é는 이다.
점(ponc séimhithe|퐁크 세이웨ga "연화의 점")은 전통적인 표기법에서 연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An Caighdeán은 이 목적으로 뒤에 h를 사용한다. 즉, 점이 있는 문자(litreacha buailte|리트라흐 부얼테ga "쳐진 문자") ḃ, ċ, ḋ, ḟ, ġ, ṁ, ṗ, ṡ, ṫ는 bh, ch, dh, fh, gh, mh, ph, sh, th와 동일하다.
오늘날 게일어 활자체와 점의 사용은 전통적인 스타일을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제한된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방위군 모자 휘장의 Óglaiġ na h-Éireann|오글리 나 헤런ga (위의 참조)가 그렇다. 점을 로마자체로 확장하면 이론적으로 아일랜드어 텍스트를 상당히 짧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gheobhaidh sibh|여와이 시브ga "너희들은 얻을 것이다"는 ġeoḃaiḋ siḃ|예오와이 시브ga가 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무렵 아일랜드 정부(the Irish government)의 번역부(Rannóg an Aistriúcháin)를 담당했던 세이머스 달툰(Séamas Daltún)은 아일랜드어 철자와 문법을 표준화(standardise)하는 방법에 대한 자체 지침을 발표했다. 이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은 이후 국가에서 승인되었고, 방언 간의 묵음(silent letter)을 제거하고 모음 조합을 단순화하여 철자와 문법을 단순화하고 표준화한 an Caighdeán Oifigiúil|안 카이안 오피귈ga로 발전했다. 같은 단어에 대해 여러 방언에 여러 버전이 있는 경우 하나를 선택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beirbhiughadh|베르위우ga → beiriú|베류ga ("요리하다")
- biadh|비아ga → bia|비어ga ("음식")
- Gaedhealg|게일그ga / Gaedhilg|게일그ga / Gaedhealaing|게일링ga / Gaeilic|게일릭ga / Gaelainn|게일린ga / Gaoidhealg|게일그ga / Gaolainn|겔린ga → Gaeilge|게일저ga ("아일랜드어")
An Caighdeán|안 카이안ga은 모든 방언을 동일한 정도로 반영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cruaidh|크루아이ga ("단단한"), leabaidh|랴바이ga ("침대"), tráigh|트라이ga ("해변")은 개정된 철자가 남 코노트(South Connacht) 발음 만 반영하고, 이전 철자로 표현되었던 다른 방언의 발음 (메이요(Mayo)와 울스터(Ulster)) 또는 (먼스터(Munster))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crua|크루어ga, leaba|랴버ga, trá|트라ga로 표준화되었다.[129] 이러한 이유로 개혁 전 철자는 방언 발음을 반영하기 위해 일부 화자에 의해 사용된다.
다른 예로는 "음식"을 뜻하는 bia|비어ga (개혁 전 biadh|비아ga)의 소유격과 "삶, 세계"를 뜻하는 saol|셀ga (개혁 전 saoghal|세이얼ga)이 있다. 먼스터에서는 와 로 발음되는데, 이는 먼스터 발음을 반영하지 않고 bia|비어ga와 saoil|세일ga로 표준화된 개혁 전 철자 bídh|비이ga와 saoghail|세일ga을 반영한다.[130][131]
10. 샘플 텍스트
아일랜드어 | 영어 |
---|---|
Saolaítear gach duine den chine daonna saor agus comhionann i ndínit agus i gcearta. Tá bua an réasúin agus an choinsiasa acu agus ba cheart dóibh gníomhú i dtreo a chéile i spiorad an bhráithreachais.ga |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 milestone' passed as Irish language legislation becomes law
https://www.irishnew[...]
2022-12-06
[2]
웹사이트
Gaelic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2-22
[3]
웹사이트
Irish Language at UW-Milwaukee {{!}} Center for Celtic Studies
https://uwm.edu/celt[...]
2024-10-18
[4]
서적
Sermons in Irish-Gaelic
Gill
1877
[5]
웹사이트
Our Role Supporting You
https://www.forasnag[...]
2021-01-08
[6]
웹사이트
Gaelic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7]
간행물
"Reawakening the Irish Language through the Irish Education System: Challenges and Priorities"
https://files.eric.e[...]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8]
웹사이트
Irish Language and the Gaeltacht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2023-12-19
[9]
웹사이트
Frequency of Speaking Irish
https://www.nisra.go[...]
2023-03-21
[10]
표
Language
Census
[11]
서적
Míle Míle i gCéin: The Irish Language in Canada
Borealis Press
[12]
서적
Foclóir Gaedhilge agus Béarla
Irish Texts Society
[13]
서적
An Ghaeilge, Podręcznik Języka Irlandzkiego
Redakcja Wydawnictw Katolickiego Uniwersytetu Lubelskiego
[14]
서적
Teach Yourself Irish
https://archive.org/[...]
English Universities Press
1961
[15]
서적
Foclóir Gaeilge–Béarla
[16]
뉴스
Ireland speaks up loudly for Gaelic
https://www.nytimes.[...]
2005-03-29
[17]
웹사이트
Irish: Ethnologue
https://www.ethnolog[...]
2018-12-22
[18]
저널
Nuclear Accents in Four Irish (Gaelic) Dialects
2019-07
[19]
웹사이트
Interinstitutional Style Guide: Section 7.2.4. Rules governing the languages of the institutions
http://publications.[...]
European Union
2016-04-27
[20]
웹사이트
Gaelic: Definition of Gaelic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Incorporated
[21]
웹사이트
Gaelic
https://www.thefreed[...]
[22]
저널
House of Commons, 1 August 1922: Ireland: Erse language (18)
Houses of Parliament
1922-08-01
[23]
웹사이트
Ogham
https://www.worldhis[...]
[24]
서적
A History of the Irish Language: From the Norman Invasion to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5]
서적
A History of the Irish Language: From the Norman Invasion to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6]
서적
The Great Silence: The Study of a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Irish Books & Media
[27]
서적
Ó Gráda 2013.
[28]
뉴스
"The unadulterated Irish language": Irish Speakers in Nineteenth Century New York
http://blog.nyhistor[...]
2015-03-17
[29]
서적
An Irish-Speaking Island: State, Religion, Community, and the Linguistic Landscape in Ireland, 1770–187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0]
서적
McMahon 2008, pp. 130–131.
[31]
뉴스
The Irish language and the Church of Ireland
https://www.ireland.[...]
[32]
저널
Is there an educational advantage to speaking Irish?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ability to speak Irish
https://researchrepo[...]
2009-09
[33]
뉴스
Ireland speaks up loudly for Gaelic
https://www.nytimes.[...]
2005-03-29
[34]
웹사이트
Douglas Hyde's inauguration – a signal of a new Ireland
https://www.rte.ie/e[...]
2018-01-25
[35]
뉴스
Douglas Hyde Opens 2RN 1 January 1926
http://www.rte.ie/ar[...]
2012-02-15
[36]
웹사이트
Allocution en irlandais, par M. Douglas Hyde
https://gallica.bnf.[...]
2018-09-06
[37]
웹사이트
The Doegen Records Web Project
https://doegen.ie/ta[...]
[38]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6 – Profile 10 Education, Skills and the Irish Language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www.cso.ie/en[...]
2017-11-23
[39]
서적
The Celtic Languages
Routledge
[40]
웹사이트
NUI Entry Requirements – Ollscoil na hÉireann –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http://www.nui.ie/co[...]
Nui.ie
2012-07-07
[41]
웹사이트
Obligation to appoint Irish speakers
http://www.irishstat[...]
[42]
뉴스
University of Galway president Ciarán Ó hÓgartaigh to step down from his role
https://www.irishtim[...]
2024-06-26
[43]
뉴스
Academic claims the forced learning of Irish 'has failed'
http://www.independe[...]
2006-01-19
[44]
뉴스
End compulsory Irish, says FG, as 14,000 drop subject
https://www.irishexa[...]
2010-05-04
[45]
웹사이트
Litir oscailte chuig Enda Kenny
http://www.beo.ie/al[...]
[46]
뉴스
Study sees decline of Irish in Gaeltacht
https://www.irishtim[...]
2007-07-16
[47]
간행물
The Gaeltacht and the Future of Irish
[48]
서적
Gaeltacht
Oxford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Death of the Irish Language: A Qualified Obituary
Taylor & Francis
[50]
뉴스
Cá Bhfuil Na Gaeilg eoirí? *
https://www.theguard[...]
2007-01-09
[51]
웹사이트
Why choose Irish-medium education? Gaeloideachas
https://gaeloideacha[...]
2023-12-15
[52]
웹사이트
Language and Occupational Status: Linguistic Elitism in the Irish Labour Market
https://ideas.repec.[...]
[5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eland
http://www.taoiseach[...]
Government of Ireland
1937-07-01
[54]
웹사이트
Over 2.3m people using language app to learn Irish
https://www.rte.ie/l[...]
2016-11-25
[55]
뉴스
Ar fheabhas! President praises volunteer Duolingo translators
https://www.irishtim[...]
[56]
뉴스
Only 25% of Gaeltacht households fluent in Irish – survey
2003-01-06
[57]
문서
Irish speakers by towns and distinct electoral divisions, census 1926
[58]
웹사이트
The Gaeltacht Our Language & the Ghaeltacht
https://udaras.ie/en[...]
2023-12-15
[59]
웹사이트
Gaeltacht Affairs
https://www.gov.ie/e[...]
2020-10-05
[60]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Act 2003
https://www.tcd.ie/g[...]
2020-11-05
[61]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Act 2003
https://www.gov.ie/e[...]
2020-07-22
[62]
서적
Official Languages Act 2003: Guidebook
https://www.tcd.ie/g[...]
[63]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Act 2003 (and related legislation)
https://www.gov.ie/e[...]
2020-08-31
[64]
웹사이트
Review of Official Language Act 2003
https://www.gov.ie/e[...]
2015-07-03
[65]
웹사이트
Irish Language Policy
https://www.gov.ie/e[...]
2019-07
[66]
서적
Official Languages Act 2003: Language Scheme 2019–2022
https://www.gov.ie/e[...]
[67]
웹사이트
20-Year Strategy for the Irish Language
https://www.gov.ie/e[...]
2020-09-29
[68]
서적
20-Year Strategy for the Irish Language 2010–2030
https://www.gov.ie/e[...]
[69]
뉴스
Plan could treble number speaking Irish, says Cowen
https://www.irishtim[...]
[70]
웹사이트
Irish Language and the Gaeltacht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2023-12-19
[71]
웹사이트
CAIN: Issues: Language: O'Reilly, C. (1997) Nationalists and the Irish Language in Northern Ireland: Competing Perspectives
http://cain.ulst.ac.[...]
Cain.ulst.ac.uk
2015-10-31
[72]
웹사이트
GPPAC.net
https://web.archive.[...]
2007-05-13
[73]
웹사이트
Belfast Agreement – Full text – Section 6 (Equality) –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ssues"
http://cain.ulst.ac.[...]
Cain.ulst.ac.uk
2012-07-07
[74]
뉴스
Irish language future is raised
http://news.bbc.co.u[...]
2006-12-13
[75]
웹사이트
'Historic milestone' passed as Irish language legislation becomes law
https://www.irishnew[...]
2022-12-06
[76]
뉴스
Thousands call for Irish Language Act during Belfast rally
https://www.irishtim[...]
[77]
웹사이트
Is í an Ghaeilge an 21ú teanga oifigiúil den Aontas Eorpach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Irish to be fully recognised as an official EU language from New Year's Day
https://www.thejourn[...]
2021-12-31
[79]
웹사이트
An Analysis of the Irish-Speaking Communities of North America: Who are they, what are their opinions, and what are their needs?
https://wpunj.academ[...]
[80]
웹사이트
The Irish in Newfoundland
https://www.heritage[...]
2003-02-00
[81]
웹사이트
Language
https://www.heritage[...]
1999-00-00
[82]
서적
Report of the 2016 Census of Ireland
Central Statistics Office
2017-00-00
[83]
웹사이트
Census 2016 Summary Results – Part 1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www.cso.ie/en[...]
[84]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22 Profile 8 - The Irish Language and Education
https://www.cso.ie/e[...]
2023-12-19
[85]
웹사이트
Department of Tourism, Culture, Arts, Gaeltacht, Sport and Media
https://www.gov.ie/e[...]
[86]
웹사이트
The Doegen Records Web Project
https://doegen.ie/ta[...]
[87]
서적
A Phonetic Study of the Irish of Tory Island, County Donegal
Institute of Irish Studies, 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88]
서적
Grammar of Ros Goill Irish, County Donegal
Institute of Irish Studies, 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89]
문서
Williams 1994
[90]
웹사이트
'The Fyrst Boke of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https://archive.org/[...]
N. Trubner & Co.
1870-00-00
[91]
문서
State of Ireland & Plan for its Reformation
State Papers Ireland
[92]
문서
Fitzgerald 1984
[93]
웹사이트
The Irish Language in Co. Wicklow
https://heritage.wic[...]
2019-06-27
[94]
문서
Ó Gráda 2013
[95]
웹사이트
The Doegen Records Web Project | DHO
http://www.doegen.ie[...]
Dho.ie
1928-09-05
[96]
웹사이트
Cur síos ar an chainteoir ó dhúchas deireannach ón Ó Méith, Co Lú, Anna Uí AnnluainCur síos ar an chainteoir ó dhúchas deireannach ón Ó Méith, Co Lú, Anna Uí Annluain
https://www.rte.ie/a[...]
RTÉ Archives
[97]
문서
The Politics of Language in Ireland 1366–1922: A Sourcebook and Mere Irish and Fior-Ghael: Studies in the Idea of Irish Nationality, Its Development and Literary Expression Prior to the Nineteenth Centu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98]
웹사이트
The Description of Ireland
http://www.perseus.t[...]
[99]
문서
Ó hÓgáin 2011
[100]
서적
Hell or Connnaught! The Cromwellian Colonisation of Ireland 1652–1660
Hamish Hamilton
[101]
문서
Berresford Ellis 1975
[102]
문서
Berresford Ellis 1975
[103]
문서
Williams & Uí Mhuiríosa 1979
[104]
문서
Ní Mhunghaile 2010
[105]
문서
Fitzgerald, 1984
[106]
서적
McCabe
[107]
서적
The Irish Sections of Fynes Moryson's unpublished itinerary
IMC
[108]
서적
The History of the Town and Country of the County of Galway
https://books.google[...]
Dublin
[109]
서적
[110]
서적
[111]
간행물
Estimates for baronies of minimal level of Irish-speaking amongst successive decennial cohorts, 117-1781 to 1861–1871
[112]
서적
[113]
서적
Cumann na Scríbhneoirí: Memoir
An Clóchomhar Tta
[114]
웹사이트
Dublin : Gaelscoileanna – Irish Medium Education
http://www.gaelscoil[...]
2020-04-08
[115]
뉴스
Schism fears for Gaeilgeoirí
https://www.irishtim[...]
2010-01-16
[116]
보고서
Research Report on New Speakers of Irish
https://www.forasnag[...]
Foras na Gaeilge
2015-10
[117]
뉴스
Gá le doirse a oscailt do nuachainteoirí na Gaeilge: Cén chaoi gur féidir cainteoirí gníomhacha, féinmhuiníneacha a dhéanamh astu seo a fhoghlaimíonn an Ghaeilge ar scoil?
https://www.irishtim[...]
2019-07-22
[118]
학술지
Minority Language Ownership and Authority: Perspectives of Native Speakers and New Speakers
2016-01-12
[119]
뉴스
'I'm gonna speak Irish the way that's natural for me' – craoltóir buartha faoi éilíteachas shaol na Gaeilge
https://www.tuairisc[...]
2019-07-23
[120]
웹사이트
Leabharlann Teanga agus Foclóireachta
https://www.teanglan[...]
2020-04-08
[121]
웹사이트
Irish Dialects copy of Irishlanguage.net
http://www.irishlang[...]
[122]
웹사이트
Beginners' Blas
https://www.bbc.co.u[...]
BBC
2005-06
[123]
웹사이트
An Caighdeán Oifigiúil
http://www.oireachta[...]
2012-01
[124]
서적
The Sound Structure of Modern Irish
De Gruyter Mouton
2014-04-11
[125]
웹사이트
Celtic languages – Irish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16
[126]
서적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i.
https://www.worldcat[...]
An Gúm
[127]
웹사이트
Irish Orthography
http://www.nualearga[...]
[128]
웹사이트
Irish 'fada' to get legal protection – and must appear in all State IT systems and computer keyboards
https://www.independ[...]
2021-07-08
[129]
서적
An Ghaeilge, Podręcznik Języka Irlandzkiego
Redakcja Wydawnictw Katolickiego Uniwersytetu Lubelskiego
[130]
서적
An Ghaeilge, Podręcznik Języka Irlandzkiego
Redakcja Wydawnictw Katolickiego Uniwersytetu Lubelskiego
[131]
서적
An Ghaeilge, Podręcznik Języka Irlandzkiego
Redakcja Wydawnictw Katolickiego Uniwersytetu Lubelskiego
[13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133]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134]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135]
문서
Irish Gaelic
[136]
서적
ヨーロッパ
駐日欧州委員会代表部
[137]
웹사이트
国情報 > アイルランド
http://www.studybook[...]
Studybooking.com
[138]
서적
言語の興亡
岩波書店
[139]
문서
音声の項を参照
[140]
웹인용
Irish: Ethnologue
https://www.ethnolog[...]
[141]
서적
The Great Silence: The Study of a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Irish Books & Media
[142]
문서
Ó Gráda 2013
[143]
뉴스
"The unadulterated Irish language": Irish Speakers in Nineteenth Century New York
http://blog.nyhistor[...]
2015-03-17
[144]
서적
An Irish-Speaking Island: State, Religion, Community, and the Linguistic Landscape in Ireland, 1770–187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45]
문서
McMahon 2008, pp. 130–131
[146]
뉴스
The Irish language and the Church of Ireland
https://www.ireland.[...]
[147]
뉴스
Ireland speaks up loudly for Gaelic
https://www.nytimes.[...]
2005-03-29
[148]
웹사이트
Douglas Hyde's inauguration – a signal of a new Ireland
https://www.rte.ie/e[...]
2018-01-25
[149]
뉴스
Douglas Hyde Opens 2RN 1 January 1926
http://www.rte.ie/ar[...]
2012-02-15
[150]
웹사이트
Allocution en irlandais, par M. Douglas Hyde
https://gallica.bnf.[...]
1922-01-28
[151]
웹사이트
The Doegen Records Web Project
https://doegen.ie/ta[...]
[152]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6 – Profile 10 Education, Skills and the Irish Language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www.cso.ie/en[...]
[153]
서적
The Celtic Languages
Routledge
[154]
웹사이트
NUI Entry Requirements – Ollscoil na hÉireann –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http://www.nui.ie/co[...]
Nui.ie
[155]
웹사이트
http://www.irishstat[...]
[156]
뉴스
Academic claims the forced learning of Irish 'has failed'
http://www.independe[...]
2006-01-19
[157]
뉴스
End compulsory Irish, says FG, as 14,000 drop subject
https://www.irishexa[...]
2010-05-04
[158]
웹사이트
Litir oscailte chuig Enda Kenny
http://www.beo.ie/al[...]
[159]
뉴스
Study sees decline of Irish in Gaeltacht
https://www.irishtim[...]
2007-07-16
[160]
간행물
The Gaeltacht and the Future of Irish
[161]
서적
Gaeltacht
Oxford University Press
[162]
서적
The Death of the Irish Language: A Qualified Obituary
Taylor & Francis
[163]
뉴스
Cá Bhfuil Na Gaeilg eoirí? *
https://www.theguard[...]
2007-01-09
[164]
웹사이트
Language and Occupational Status: Linguistic Elitism in the Irish Labour Market
https://ideas.repec.[...]
[165]
뉴스
Only 25% of Gaeltacht households fluent in Irish – survey
2003-01-06
[166]
문서
Hindley 1991, Map 7: Irish speakers by towns and distinct electoral divisions, census 1926
[167]
웹사이트
CAIN: Issues: Language: O'Reilly, C. (1997) Nationalists and the Irish Language in Northern Ireland: Competing Perspectives
http://cain.ulst.ac.[...]
Cain.ulst.ac.uk
[168]
웹사이트
GPPAC.net
http://www.gppac.net[...]
[169]
웹사이트
Belfast Agreement – Full text – Section 6 (Equality) –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ssues"
http://cain.ulst.ac.[...]
Cain.ulst.ac.uk
[170]
뉴스
Irish language future is raised
http://news.bbc.co.u[...]
2006-12-13
[171]
웹사이트
We will continue to campaign until we achieve equality for the Irish language
http://connemarajour[...]
Connemara Journal
2014-03-12
[172]
웹사이트
Thousands call for Irish Language Act during Belfast rally
https://www.irishtim[...]
[173]
웹사이트
Is í an Ghaeilge an 21ú teanga oifigiúil den Aontas Eorpach
http://ec.europa.eu/[...]
[174]
웹사이트
Irish to be given full official EU language status
https://www.euractiv[...]
2015-12-10
[175]
서적
Scottish Gaelic in Three Months
Hugo's Language Books
[176]
웹인용
CÉ FADA LE FÁN
http://www.drb.ie/es[...]
2017-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