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칙은 부풍군 출신으로, 후한 말, 조위 시대의 인물이다. 젊은 시절 학문과 품행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효렴과 무재에 천거되었으나 관직을 사양했다. 삼보의 혼란을 피해 안정의 부호에게 의탁했으나 홀대받은 후, 태백산에 은거하여 독서에 전념했다. 이후 주천, 안정, 무도 태수를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었고, 조조에게 발탁되어 하서 회랑을 개척했다. 국연의 반란을 진압하고 관내후에 봉해졌으며, 조위 시중으로 동소와 함께 일했다. 조비에게 간언하다가 경계의 대상이 되었고, 동평 상으로 좌천되어 가는 도중 사망했다. 진수는 소칙을 칭찬했으며, 손성은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

2. 생애

소칙은 젊은 시절부터 학문과 품행으로 명성을 얻었다. 효렴과 무재에 추천되고 삼공부에 초빙되었으나 모두 응하지 않았다. 그는 강직하고 악을 미워하는 성격으로, 급암을 존경했다고 전해진다.

흥평 연간(194년 ~ 195년), 장안 지역이 혼란에 빠지자 굶주림을 피해 안정군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부호 사량에게 냉대를 받자, 훗날 안정군 태수가 되어 속된 무리들을 꺾어주겠다고 다짐하며 풍익의 길무 등과 함께 태백산에 은거하며 독서를 즐겼다.

이후 주천군, 안정군, 무도군의 태수를 역임하며 권위와 명성을 떨쳤다. 안정 태수 시절에는 과거 자신을 냉대했던 사량 등을 안심시키고 후한 대접을 했다고 한다.

조조장로를 토벌할 때 무도군을 지나가다 소칙을 만나 마음에 들어 군의 선두를 맡겼다. 장로를 격파한 후에는 하변의 족들을 안정시키고 하서의 가도를 개통시킨 공으로 금성 태수로 임명되었다. 금성군은 황폐하고 인구가 감소했으나, 소칙은 족을 초빙하여 식량을 모으고, 금령을 통해 상벌을 철저히 하며 백성들에게 직접 경작을 가르쳤다. 그 결과, 부임 10개월 만에 수천 가구가 행정에 복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농서군에서 이월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는 강족을 이끌고 진압하여 즉시 항복을 받아냈다.

조조 사후, 서평군의 곡연이 반란을 일으켜 호강교위를 자칭하자 소칙이 공격하여 항복시켰다. 이 공로로 호강교위를 더하고 관내후 작위를 받았다.

얼마 후 곡연이 장액군의 장진, 주천군의 황화와 함께 다시 반란을 일으키고, 무위군의 이민족들까지 호응하여 길이 막히자, 무위태수 관구흥이 소칙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소칙은 군의 고관들과 논의하여 조칙을 어기더라도 기회를 보아 반란을 진압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장기의 원조를 받아 무위를 구원하고 이민족을 항복시켰다. 또한 관구흥과 함께 장진을 공격하고, 곡연을 회견 자리에서 참살하여 하서를 평정했다. 이 공로로 도정후에 봉해지고 300호를 받았다.

중앙으로 소환되어 시중이 되었고, 동소와 동료가 되었다. 동소가 소칙의 무릎을 베고 눕자 "내 무릎은 아첨꾼의 베개가 아니다"라며 밀쳐냈다는 일화가 있다. 헌제가 조비에게 선양했을 때 헌제가 붕어한 것으로 오인하여 상을 입고 통곡하기도 했다. 조비는 소칙에게 서역과의 교역 재개에 대해 질문했으나, 소칙은 위엄이 서역에 이르면 자연히 교역이 이루어질 것이라 답하여 조비의 침묵을 받았다.

조비의 사냥에 수행했을 때 관리들이 실수로 사슴을 놓아주자 조비가 그들을 참수하려 했다. 소칙은 "고대의 군주는 금수 따위의 일로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고 간언하여 조비가 그들을 용서하게 했지만, 이 일로 소외되었다. 223년, 동평의 상으로 좌천되었고, 부임지로 가는 도중에 병사했다. 시호는 강후이다.

아들 소의가 뒤를 이었고, 소의가 죽자 동생 소유가 계승했다. 소유는 성실하고 영리하여 태상, 광록대부, 상서 등을 역임했다. 후에 양주 자사가 되었으나, 선비의 두발수기능의 난으로 전사했다. 소유의 아들 소소는 오왕의 스승이 되었고 시를 잘 지었다. 소소의 동생 소신은 좌 위장군이 되었다.

진수는 소칙을 "위엄으로 동란을 평정했다. 정치에 대해 훌륭했고, 강직하고 엄격한 태도는 칭찬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손성은 소칙이 헌제를 위해 울었던 것에 대해 "이미 새로운 조정에 이름을 올리고, 다른 왕조에 출사했으면서, 거기서 처음으로 두 마음을 품고 분노를 드러내고, 위세 좋은 말을 하려 했다. 선비로서 품위가 없고, 행동이 정해져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소칙은 부풍군 우궁현() 출신으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1] 그는 소순(蘇純중국어)과 소장(蘇章중국어)의 후손이다. 젊은 시절 학문에 정진하여 학식과 품행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효렴(孝廉중국어)과 모재(茂才중국어)로 추천받았으나 관직을 사양했다.[2] 그는 강직하고 솔직한 성품으로 악행을 혐오했으며, 서한 시대 관료 급암(汲黯; 기원전 112년 사망)을 존경했다.[3]

195년경 관중 지역에 기근이 발생하자, 소칙은 안정군(安定郡; 현재 간쑤성 전위안현 일대)으로 피난하여 부유한 시량(師亮중국어)에게 의탁했다. 그러나 시량은 소칙을 홀대했고, 이에 소칙은 훗날 안정군의 태수(太守중국어)가 되어 복수하겠다고 다짐했다.

200년경, 그는 친구 길무(吉茂중국어)와 함께 태백산으로 가서 독서하며 시간을 보냈다.[4]

2. 2. 지방관 시절

조조장로를 토벌하러 갈 때 소칙이 다스리는 군을 지나갔는데, 조조는 그를 만나보고 매우 마음에 들어하여 선봉을 맡겼다.[8] 장로를 무찌른 후, 소칙은 하변(下辯)에 있는 저족들을 안정시켜 하서(河西)의 길을 닦고, 금성태수로 전임되었다.[7]

소칙은 금성군에서 금령(禁令)을 확고히 하여 어기는 자가 있으면 바로 처형하고, 가르침을 따르는 자는 반드시 포상하였다. 친히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큰 수확을 거두었고, 때문에 소칙에게 의탁하는 유민이 나날이 늘었다.

2. 3. 반란 진압

조조 사후, 서평국연이 반란을 일으켜 호강교위(護羌校尉)를 자칭했으나, 소칙이 토벌에 나서자 항복했다. 이 공로로 문제는 소칙을 호강교위에 임명하고 관내후에 봉했다.[15][16]

그러나 국연은 다른 군과 연계하여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장액의 장진(張進)은 장액태수 두통(杜通)을 억류하고, 주천의 황화(黃華)는 주천태수 신기(辛機)의 통치를 거부하며 각자 태수를 자칭하며 국연에게 호응했다. 무위의 오랑캐들도 노략질을 하여 길이 끊겼고, 무위태수 관구흥(毌丘興)은 소칙에게 위급함을 알렸다.[19] 옹주와 양주의 여러 호족들은 모두 장진 등의 뜻을 따랐으므로, 금성의 백성들은 장진을 대적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장군 학소와 위평(魏平)은 금성에 주둔하고 있었으나, 조서를 받았기 때문에 함부로 군세를 움직일 수 없었다.[20]

소칙은 학소와 위평에게 잠시 조서를 어기더라도 군세를 움직여 반란을 진압할 것을 청했다. 학소와 위평은 의견을 받아들여 군세를 이끌고 무위를 구원하고 오랑캐를 항복시켰으며, 관구흥과 함께 장진을 쳤다. 국연은 이 소식을 듣고 보병과 기병 3천 명을 이끌고 소칙을 맞이했는데, 말로는 도우러 왔다고 했지만 실은 반란을 일으키려 한 것이었다.[22]

소칙은 국연을 꾀어 회견을 청하고, 그 자리에서 죽여 이를 공표하니 나머지 무리는 모두 흩어져 달아났다. 소칙이 장액을 포위하여 격파하고 장진과 그 추종자들을 모두 죽이자, 무리는 모두 항복했다. 황화는 국연이 패하자 항복했고, 소칙은 금성으로 돌아갔다. 조정에서는 소칙을 도정후(都亭侯)에 봉하고 식읍 3백 호를 내렸다.[24]

2. 4. 조위 조정에서의 활동

문제는 소칙을 동소와 함께 시중(侍中)으로 임명했다. 어느 날 동소가 소칙의 무릎을 베고 자려 하자, 소칙은 "내 무릎은 아첨꾼의 베개가 아니다"라며 그를 밀어냈다.[25]

헌제가 문제에게 선양했다는 소식을 듣고 헌제가 붕어한 것으로 오인하여 복상했다. 훗날 위나라가 건재함을 알고 자신의 행동을 불안히 여겼다. 조식조조의 환심을 잃은 것을 슬퍼하여 곡한 일로 인해, 문제는 "사람의 마음은 제각각이다. 내가 제위를 이었을 때, 천하에 곡하는 자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소칙은 이것이 자신을 일컫는 것으로 오해하여 사죄하려 했으나, 시중 부손의 눈짓으로 겨우 사정을 이해하고 대답을 멈추었다.[27][28]

문제는 소칙에게 서역과의 교역에 대해 질문했다. 소칙은 "만일 폐하께서 교화로 중국을 다스리고 덕을 사막까지 퍼지게 하신다면, 이익을 구하지 않아도 자연히 올 것입니다. 구하여 얻는 것은 진귀한 것이 아닙니다"라고 답했다.[30]

한번은 사냥터에서 목책이 정비되지 않아 사슴이 달아났다. 문제는 담당관들을 모두 죽이려 했으나, 소칙은 "옛날 성군은 금수의 일로 사람을 해치지 않았습니다"라고 간언하여 담당관들을 사면받게 했다.[32] 그러나 이 일로 소칙은 문제에게 경계 대상이 되었다.[33]

2. 5. 죽음

황초 4년(223년)에 소칙은 동평으로 좌천되었으나, 임지에 도착하기 전에 병으로 죽었다.[1] 시호(剛)으로 정해졌고, 작위는 아들 소이(蘇怡)가 이었다.[1] 조비는 소칙에게 "강후"(剛侯)라는 시호를 내렸다.[3] 아들 소유(蘇愉)는 서진태상·광록대부를 지냈다.[2]

3. 평가

진수는 소칙을 "위엄으로 동란을 평정했고, 정치에 훌륭했으며, 강직하고 엄격한 태도는 칭찬할 만하다"라고 평가했다. 손성은 소칙이 헌제를 위해 울었던 것에 대해 "이미 새로운 조정에 이름을 올리고, 다른 왕조에 출사했으면서, 거기서 처음으로 두 마음을 품고 분노를 드러내고, 위세 좋은 말을 하려 했다. 선비로서 품위가 없고, 행동이 정해져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4. 가계

蘇怡|소이중국어는 수제의 장남으로, 아버지의 작위와 향후(都亭侯)를 물려받았다. 소이는 사망했을 때 그를 계승할 아들이 없었다.[35]

蘇愉|소유중국어는 수제의 차남으로, 형 소이를 계승했다. 소유의 는 휴예(休豫)였으며, 조위에서 벼슬하여 264년과 265년 사이에 상서(尙書)의 지위에 올랐다.[36] 진(266년 2월) 조위를 대체한 후, 소유는 진 정부에서 태상(太常)과 광록대부(光祿大夫)로 계속 봉직했다. 죽림칠현 중 한 명인 산도는 한때 소유의 충성심과 지성을 칭찬했다.[37]

소유는 3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아들, 蘇紹|소소중국어, 蘇慎|소신중국어이 그들이다. 소유의 이름 없는 아들은 석숭(249–300)과 결혼한 딸을 두었다. 소소의 는 세사(世嗣)였으며, 그의 작품이 『금곡집(金谷集)』에 포함될 정도로 유명한 시인이었다. 소소는 또한 진나라 진 무제의 아들인 사마안(281–311)의 스승이기도 했다. 소신은 진나라에서 좌위장군(左衞將軍)을 지냈다.[38]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Wei Shu
[4] 서적 Weilue
[5] 서적 Sanguozhi
[6] 서적 Weilue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Sanguozhi
[9] 서적 Sanguozhi
[10] 서적 Sanguozhi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Zizhi Tongjian
[15] 서적 Sanguozhi
[16] 서적 Sanguozhi
[17] 서적 Wei Mingchen Zou
[18] 서적 Wei Mingchen Zou
[19] 서적 Sanguozh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Sanguozhi
[23] 서적 Sanguozhi
[24] 서적 Sanguozhi
[25] 서적 Sanguozhi
[26] 서적 Weilue
[27] 서적 Sanguozhi
[28] 서적 Weilue
[29] 서적 Sanguozhi
[30] 서적 Sanguozhi
[31] 서적 Sanguozhi
[32] 서적 Sanguozhi
[33] 서적 Sanguozhi
[34] 서적 Sanguozhi
[35] 서적 Sanguozhi
[36] 서적 Sanguozhi vol. 16
[37] 서적 Sanguozhi vol. 16
[38] 서적 Sanguozhi vol. 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