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국가별 기록
4. 1. 남자 롱 코스
2024년 2월까지 남자 롱 코스 계영 800m 세계 기록은 다음과 같다.[33]
| 순위 | 기록 | 선수 | 국적 | 날짜 | 개최지 | 참고 | 
|---|
| 1 | 6:58.55 | 마이클 펠프스 (1:44.49) 리키 베렌스 (1:44.13)
 데이비드 월터스 (1:45.47)
 라이언 록티 (1:44.46)
 |  | 2009년 7월 31일 | 로마 | 
|---|
| 2 | 6:58.58 | 톰 딘 (1:45.72) 제임스 가이 (1:44.40)
 매튜 리차즈 (1:45.01)
 덩컨 스콧 (1:43.45)
 |  | 2021년 7월 28일 | 도쿄 | [34] | 
|---|
| 3 | 6:59.15 | 니키타 로빈체프 (1:45.10) 미하일 폴리슈크 (1:45.42)
 다닐라 이조토프 (1:44.48)
 알렉산드르 수호루코프 (1:44.15)
 |  | 2009년 7월 31일 | 로마 | 
|---|
| 4 | 7:00.85 | 클라이드 루이스 (1:45.58) 카일 찰머스 (1:45.37)
 알렉산더 그레이엄(1:45.05)
 맥 호턴 (1:44.85)
 |  | 2019년 7월 26일 | 광주 | 
|---|
| 5 | 7:01.73 | 양재훈 (1:46.83) 이호준 (1:45.36)
 김우민 (1:44.50)
 황선우 (1:44.53)
 |  | 2023년 9월 26일 | 항저우 | [35] | 
|---|
| 6 | 7:01.84 | 지신지에 (1:46.45) 왕하오위(1:45.69)
 판잔러 (1:43.90)
 장잔슈오 (1:45.80)
 |  | 2024년 2월 16일 | 도하 | [36] | 
|---|
| 7 | 7:02.01 | 필리포 메글리 (1:45.86) 가브리엘레 데티 (1:45.30)
 스테파노 발로 (1:45.27)
 스테파노 디 콜라 (1:45.58)
 |  | 2019년 7월 26일 | 광주 | 
|---|
| 8 | 7:02.26 | 우치다 쇼 (1:45.90) 오쿠무라 요시히로 (1:45.83)
 히하라 쇼고 (1:45.99)
 마쓰다 다케시 (1:44.54)
 |  | 2009년 7월 31일 | 로마 | 
|---|
| 9 | 7:02.77 | 아모리 레보 (1:46.70) 그레고리 말레(1:46.83)
 클레멘트 르페르(1:46.00)
 야닉 아그넬 (1:43.24)
 |  | 2012년 7월 31일 | 런던 | 
|---|
| 10 | 7:03.19 | 폴 비더만 (1:42.81) 펠릭스 볼프 (1:47.65)
 야닉 레버츠 (1:47.31)
 클레멘스 랩 (1:45.42)
 |  | 2009년 7월 31일 | 로마 | 
|---|
2009년 7월 31일 로마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마이클 펠프스, 리키 베렌스, 데이비드 월터스, 라이언 록티가 세운 6분 58초 55가 현재 세계 기록이다.[33] 2021년 7월 28일 도쿄 올림픽에서 톰 딘, 제임스 가이, 매튜 리차즈, 덩컨 스콧이 6분 58초 58로 영국 신기록을 세웠다.[34] 니키타 로빈체프, 미하일 폴리슈크, 다닐라 이조토프, 알렉산드르 수호루코프는 2009년 7월 31일 로마에서 6분 59초 15를 기록했다. 2019년 7월 26일 광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클라이드 루이스, 카일 찰머스, 알렉산더 그레이엄, 맥 호턴이 7분 00초 85로 오스트레일리아 신기록을 달성했다.
대한민국은 양재훈, 이호준, 김우민, 황선우가 2023년 9월 26일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7분 01초 73으로 아시아 신기록을 세웠다.[35]
4. 2. 남자 쇼트 코스
2022년 12월까지 남자 쇼트 코스 국가별 상위 10개 기록은 다음과 같다.[37]
| 순위 | 기록 | 선수 | 국적 | 날짜 | 개최지 | 참고 | 
|---|
| 1 | 6:40.51 | 루크 홉슨 (1:38.91) 카슨 포스터 (1:40.77)
 셰인 카사스 (1:40.34)
 키어런 스미스 (1:40.49)
 |  | 2024년 12월 13일 | 부다페스트 | [38][69] | 
|---|
| 2 | 6:44.12 | 키어런 스미스 (1:41.04) 카슨 포스터 (1:40.48)
 트렌턴 줄리안 (1:41.44)
 드류 키블러 (1:41.16)
 |  | 2022년 12월 16일 | 멜버른 | [39][70] | 
|---|
| 3 | 6:45.54 | 맥시밀리안 줄리아니 (1:40.73) 에드워드 솜머빌 (1:41.03)
 해리슨 터너 (1:42.21)
 엘리야 위닝턴 (1:41.57)
 |  | 2024년 12월 13일 | 부다페스트 | [40][71] | 
|---|
| 4 | 6:46.54 | 토마스 닐 (1:41.50) 카일 찰머스 (1:40.35)
 플린 사우스햄 (1:41.50)
 맥 호턴 (1:43.19)
 |  | 2022년 12월 16일 | 멜버른 | [41][72] | 
|---|
| 5 | 6:46.81 | 루이즈 알타미르 멜루 (1:42.03) 페르난두 셰페르 (1:40.99)
 레오나르두 코엘류 산투스 (1:42.81)
 브레노 코레아(1:40.98)
 |  | 2018년 12월 14일 | 항저우 |  | 
|---|
| 6 | 6:46.84 | 마틴 말류틴 (1:42.34) 미하일 베코비슈체프 (1:41.57)
 이반 기레프 (1:41.85)
 알렉산드르 크라스니흐 (1:41.08)
 |  | 2018년 12월 14일 | 항저우 |  | 
|---|
| 7 | 6:47.53 | 지 신지에 (1:42.67) 쉬 지아유 (1:41.68)
 쑨양 (1:41.25)
 왕 순 (1:41.93)
 |  | 2018년 12월 14일 | 항저우 |  | 
|---|
| 8 | 6:49.63 | 마테오 치암피 (1:42.68) 토마스 체콘 (1:42.61)
 알베르토 라제티 (1:42.76)
 파올로 콘테 보닌 (1:41.58)
 |  | 2022년 12월 16일 | 멜버른 | [42][77] | 
|---|
| 9 | 6:51.05 | 콜린 러셀 (1:43.60) 스테판 히르니악 (1:43.41)
 브렌트 헤이든 (1:41.49)
 조엘 그린쉴즈 (1:42.55)
 |  | 2009년 8월 7일 | 리즈 |  | 
|---|
| 10 | 6:52.04 | 와타나베 텐마 (1:43.78) 마쓰모토 가쓰히로 (1:40.66)
 마노 히데나리 (1:43.18)
 마쓰모토 슈야 (1:44.42)
 |  | 2022년 12월 16일 | 멜버른 | [43][80] | 
|---|
4. 3. 여자 롱 코스
2023년 7월까지 여자 롱 코스 계영 800m 세계 기록은 오스트레일리아가 7분 37초 50으로 가장 빠르다.[44] 이 기록은 2023년 7월 27일 후쿠오카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몰리 오'칼라한, 셰이나 잭, 브리아나 스로셀, 아리안 티트머스가 세웠다.[81] 2위는 7분 40초 33을 기록한 중국으로, 2021년 7월 29일 도쿄 올림픽에서 양쥔쉬안, 탕무한, 장위페이, 리빙지에가 달성했다.[46][84] 3위는 미국으로, 2021년 7월 29일 도쿄 올림픽에서 앨리슨 슈미트, 페이지 매든, 케이티 매클로린, 케이티 레데키가 7분 40초 73을 기록했다.[47][85]
4위는 캐나다(7분 43초 77),[48][90] 5위는 영국(7분 45초 51),[44] 6위는 이탈리아(7분 46초 57),[44] 7위는 프랑스(7분 47초 49),[44] 8위는 헝가리(7분 48초 04),[44] 9위는 러시아(7분 48초 25),[44] 10위는 일본(7분 48초 96)이다.[44]
| 순위 | 기록 | 선수 | 국적 | 날짜 | 개최지 | 참고 | 
|---|
| 1 | 7:37.50 | 몰리 오'칼라한 (1:53.66) 셰이나 잭 (1:55.63)
 브리아나 스로셀 (1:55.80)
 아리안 티트머스 (1:52.41)
 |  | 2023년 7월 27일 | 후쿠오카 | [45] | 
|---|
| 2 | 7:40.33 | 양쥔쉬안 (1:54.37) 탕무한 (1:55.00)
 장위페이 (1:55.66)
 리빙지에 (1:55.30)
 |  | 2021년 7월 29일 | 도쿄 | [46] | 
|---|
| 3 | 7:40.73 | 앨리슨 슈미트 (1:56.34) 페이지 매든 (1:55.25)
 케이티 매클로린 (1:55.38)
 케이티 레데키 (1:53.76)
 |  | 2021년 7월 29일 | 도쿄 | [47] | 
|---|
| 4 | 7:43.77 | 서머 매킨토시 (1:55.74) 레베카 스미스 (1:57.30)
 케일라 산체스 (1:55.59)
 페니 올렉시악 (1:55.14)
 |  | 2021년 7월 29일 | 도쿄 | [48] | 
|---|
| 5 | 7:45.51 | 조앤 잭슨 (1:55.98) 재즈민 칼린 (1:56.78)
 캐틀린 매클래치 (1:56.42)
 레베카 애들링턴 (1:56.33)
 |  | 2009년 7월 30일 | 로마 | 
|---|
| 6 | 7:46.57 | 레나타 파비올라 스파뇰로 (1:58.79) 알레시아 필리피 (1:56.97)
 앨리스 카르파네세 (1:57.36)
 페데리카 펠레그리니 (1:53.45)
 |  | 2009년 7월 30일 | 로마 | 
|---|
| 7 | 7:47.49 | 카미유 뮈파 (1:55.51) 샬롯 보네 (1:57.78)
 오필리-시리엘 에티엔 (1:58.05)
 코랄리 발미 (1:56.15)
 |  | 2012년 8월 1일 | 런던 | 
|---|
| 8 | 7:48.04 | 아그네스 무티나 (1:56.64) 에벌린 베라스토 (1:57.20)
 에스터 다라 (1:59.04)
 커틴커 호스주 (1:55.16)
 |  | 2009년 7월 30일 | 로마 | 
|---|
| 9 | 7:48.25 | 안나 예고로바 (1:58.19) 아나스타샤 구젠코바 (1:56.43)
 발레리야 살라마티나 (1:56.93)
 베로니카 안드루센코 (1:56.70)
 |  | 2019년 7월 25일 | 광주 | 
|---|
| 10 | 7:48.96 | 이가라시 치히로 (1:57.88) 이케에 리카코 (1:54.69)
 시라이 리오 (1:58.29)
 오하시 유이 (1:58.10)
 |  | 2018년 8월 10일 | 도쿄 | 
|---|
4. 4. 여자 쇼트 코스
여자 쇼트 코스 계영 800m 세계 기록은 오스트레일리아가 2022년 12월 14일 멜버른에서 세운 7분 30초 87이 최고 기록이다.[49] 그 뒤를 이어 네덜란드가 2014년 12월 3일 도하에서 7분 32초 85를 기록했다.[93] 캐나다는 7분 32초 96으로 3위를 기록했다.[50] 4위는 중국이 2018년 12월 15일 항저우에서 기록한 7분 34초 08이다. 5위는 미국이 2022년 12월 14일 멜버른에서 기록한 7분 34초 70이다.[51]
2022년 12월까지의 기록을 보면 상위 10위권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캐나다, 중국, 미국이 있으며,[93] 그 외에도 러시아, 프랑스, 영국, 헝가리, 스웨덴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 순위 | 기록 | 선수 | 국가 | 날짜 | 개최지 | 참고 | 
|---|
| 1 | 7:30.87 | 매디슨 윌슨(1:53.13) 몰리 오칼라한(1:52.83)
 리아 네일(1:52.67)
 라니 팰리스터(1:52.24)
 |  | 2022년 12월 14일 | 멜버른 | [49] | 
|---|
| 2 | 7:32.85 | 잉에 데커(1:54.73) 펨케 헤임스케르크(1:51.22)
 라노미 크로모위조요(1:54.17)
 샤론 반 로웬달(1:52.73)
 |  | 2014년 12월 3일 | 도하 |  | 
|---|
| 3 | 7:32.96 | 서머 매킨토시(1:54.30) 카일라 산체스(1:52.97)
 카테린 사바드(1:54.01)
 레베카 스미스(1:51.68)
 |  | 2021년 12월 20일 | 아부다비 | [50] | 
|---|
| 4 | 7:34.08 | 리빙지에(1:54.56) 양준쉬안(1:53.06)
 장위한(1:53.94)
 왕젠자헤(1:52.52)
 |  | 2018년 12월 15일 | 항저우 |  | 
|---|
| 5 | 7:34.70 | 알렉스 월시(1:53.90) 할리 플릭킹어(1:53.48)
 에린 젬멜(1:52.23)
 리아 스미스(1:55.09)
 |  | 2022년 12월 14일 | 멜버른 | [51] | 
|---|
| 6 | 7:36.64 | 안나 에고로바(1:54.18) 다리아 물라카예바(1:55.22)
 아나스타샤 구젠코바(1:53.94)
 베로니카 안드루센코(1:53.30)
 |  | 2018년 12월 15일 | 항저우 | 
|---|
| 7 | 7:38.33 | 카미유 뮈파(1:53.17) 코랄리 발미(1:53.71)
 밀렌 라자르(1:56.24)
 오펠리 에티엔(1:55.21)
 |  | 2010년 12월 15일 | 두바이 | 
|---|
| 8 | 7:38.96 | 조앤 잭슨(1:54.78) 멜라니 마샬(1:55.83)
 케이트린 맥클래치(1:54.64)
 레베카 애들링턴(1:53.71)
 |  | 2008년 4월 10일 | 맨체스터 | 
|---|
| 9 | 7:39.21 | 에블린 베라스토(1:54.65) 주잔나 야카보스(1:54.85)
 보글라르카 카파스(1:56.58)
 커틴커 호스주(1:53.13)
 |  | 2014년 12월 3일 | 도하 | 
|---|
| 10 | 7:41.91 | 가브리엘라 파군데스(1:56.42) 사라 셰스트룀(1:54.88)
 이다 바르가(1:55.31)
 페트라 그란룬드(1:53.30)
 |  | 2014년 12월 3일 | 도하 | 
|---|
5. 기타
2021년 5월 18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혼성 계영 800m 경기에서 톰 딘, 제임스 가이, 애비 우드, 프레야 앤더슨이 출전한 영국 대표팀이 7분 26초 67로 1위를 차지했다.[52] 2018년 8월 4일 글래스고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야코프 하이트만, 헤닝 뮐레트너, 레바 포스, 안니카 브룬이 출전한 독일 대표팀이 7분 28초 43을 기록했다.[53] 2022년 8월 16일 로마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아드리앙 살반, 위삼 아마지 예바, 샤를로트 보네, 루실 테사리올이 출전한 프랑스 대표팀이 7분 29초 25를 기록했다.[54]
2021년 5월 18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혼성 계영 800m 경기에서는 스테파노 발로, 스테파노 디 콜라, 페데리카 펠레그리니, 마르게리타 판치에라가 출전한 이탈리아 대표팀이 7분 29초 35를 기록했고,[52] 데니스 로크테프, 론 폴론스키, 안드레아 무레즈, 아나스타샤 고르벤코가 출전한 이스라엘 대표팀이 7분 32초 96을 기록했다.[52] 같은 날, 미켈 가드가드, 안드레아스 한센, 시네 브로, 헬레나 로젠달 바흐가 출전한 덴마크 대표팀은 7분 35초 81을 기록했다.[52]
2018년 8월 4일 글래스고에서 열린 경기에서 미하일 베코비시체프, 미하일 도브갈류크, 발레리야 살라마티나, 빅토리아 안드레예바가 출전한 러시아 대표팀이 7분 29초 37을 기록했고,[55] 크리슈토프 밀라크, 난도르 네메트, 커틴커 호스주, 주잔나 야카보스가 출전한 헝가리 대표팀이 7분 31초 19를 기록했다.[56] 같은 날, 카일 스톨크, 스탄 파이넨부르크, 펨커 헤임스케르크, 로빈 노이만이 출전한 네덜란드 대표팀은 7분 32초 39를 기록했다.[57]
2022년 8월 16일 로마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카밀시에라츠키, 마테우시 호바니에츠, 알렉산드라 크노프, 알렉산드라 폴란스카가 출전한 폴란드 대표팀이 7분 41초 29를 기록했다.[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