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1989년 4월 2일에 개장한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를 거쳐 2015년부터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4년 구장명칭 공모를 통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리모델링을 거쳐 시설을 개선했으며, 2015년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스포츠 시설 - 수원실내체육관
    수원실내체육관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실내 체육 시설로, V리그 경기와 여러 실내 스포츠 경기 및 행사가 열리며,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프로배구단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KT 위즈 - Kt wiz
    KT 위즈는 KT와 수원시의 연합으로 창단되어 KBO 리그에 소속된 프로 야구단으로, 2015년부터 1군 리그에 참여하여 2021년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수원 KT 위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KBO 리그 경기장 - 사직야구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한 사직야구장은 1985년 완공되어 1986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주요 경기가 개최되었고 롯데 자이언츠 투수 최동원의 등번호 11번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KBO 리그 경기장 - 창원NC파크
    창원NC파크는 2019년 개장한 NC 다이노스의 야구장으로, 파퓰러스가 설계에 참여하여 124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으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편리한 접근성을 갖춘 창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경기장 이름수원 kt 위즈 파크
이전 이름수원종합운동장 야구장
전체 이름수원종합운동장 야구장
위치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893 (조원동)
개장1989년 4월 2일
보수2013년
확장2013년
소유주수원시시설관리공단
운영수원시시설관리공단
표면천연잔디 (1989년~현재) 워닝트랙 및 내·외야 파울 존 인조잔디 (2015년~현재)
건설 비용60억원
사용 정보
사용 팀태평양 돌핀스 (1989년~1995년)
현대 유니콘스 (1996년~2007년)
kt wiz (2015년~현재)
개최 대회KBO 올스타전 (1999년, 2015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2008년~2010년, 2016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2011년 ~ 2012년)
시설 정보
수용 인원20,000명 (2015년~2016년)
22,067석 (2017년)
20,800석 (2018년)
규모좌우 펜스 - 98m
좌우 중앙 - 115m
중앙 - 120m
펜스 높이 - 4m
기타 정보
수원 kt 위즈 파크 이미지
수원 kt 위즈 파크
2022년 수원 kt 위즈 파크 이미지
2022년 수원 kt 위즈 파크
일루 측 관중석에서 바라본 경기장 전경
일루 측 관중석에서 바라본 경기장 전경

2. 역사

1989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수원종합운동장 내에 수원야구장이 개장하였다. 2005년 신청사가 완공되기 전까지 구장 내 일부 시설을 장안구청 청사로 사용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MBC 주말특별기획드라마 2009 외인구단의 촬영지로 사용되기도 했다.[3]

2. 1. 건립 초기 (1989년 ~ 1999년)

1989년 4월 2일에 개장한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인천·경기 지역 연고팀인 태평양 돌핀스의 제2홈구장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기존의 춘천 의암야구장을 대신해서 이용하게 되었다. 같은 해 플레이오프 3~4차전 홈경기가 있었으나[2] 이런저런 사정 때문에 무산됐다. 1996년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로 바뀌면서 현대 유니콘스의 제2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개장 당시 펜스 거리는 좌우 95미터, 중앙이 120미터이며 천연 잔디가 깔려 있었다. 1989년 설계 당시에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처럼 좌·우 100미터, 중앙 125미터로 국내 최대 규모였으나, 현대 유니콘스 감독이었던 김재박의 요청으로 5미터씩 축소하여 보조 펜스를 설치하였고 펜스의 높이는 2.5미터였다. 최대 관중 수용 인원은 2만 명이었으며 이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사직야구장, 인천SSG랜더스필드 다음으로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큰 규모의 야구장이었다.[1]

2. 2. 현대 유니콘스 시대 (2000년 ~ 2007년)

2000년 현대 유니콘스인천을 떠나 수원으로 임시 연고지를 정하면서 홈구장으로 이용되었다.[1] 현대 유니콘스서울로 홈구장을 이전하려 했으나, 2005년경부터 심각한 경영난을 겪으며 실현하지 못했고, 2007년 시즌을 끝으로 프로야구에서 철수하여 해체되었다.[3]

2. 3. 프로야구 공백기 (2008년 ~ 2014년)

2000년 현대 유니콘스인천을 떠나 수원으로 임시 연고지를 정했을 때부터 홈구장으로 이용되다가, 2007 시즌을 끝으로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면서 인천·경기 지역 연고팀인 SK 와이번스의 명목상 제2홈구장이 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1] SK수원시에서 1년에 9경기 정도의 홈 경기를 개최할 계획이었으나, 수원시시설관리공단이 허락하지 않았고 인천 연고를 강조하는 구단의 성격상 수원에서 홈 경기를 치르면서 '인천 SK'를 외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였기 때문이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는 봉황대기 고교야구대회 등 고교 야구나 사회인 야구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현대 유니콘스는 서울로 홈구장 이전을 희망했지만, 2005년경부터 심각한 경영난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고, 2007년 시즌을 끝으로 프로야구에서 철수하여 해체되었다. 그 대안으로 2008년 창설된 신구단 히어로즈는 현대 유니콘스 선수들을 거의 그대로 영입했지만, 홈구장을 서울의 목동야구장으로 정했기 때문에 이 구장은 일단 프로야구 홈구장으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후 대한야구협회는 전년까지 동대문야구장에서 개최되었던 봉황대기 2008년 대회를 이 구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고, 2009년, 2010년에도 이 구장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히어로즈와 아마추어 대회의 공동 사용으로 인한 목동야구장의 과밀 스케줄 및 일정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역할을 수행했다.

2009년에는 프로야구를 소재로 한 MBC 제작의 TV 드라마 『스트라이크 러브』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2012년 12월 2일에는 김인식, 김성근 두 감독이 이끄는 프로야구 선수, 연예인 등의 혼성팀이 참여하는 야구 자선 경기가 개최되었다.

2. 4. KT 위즈 시대 (2015년 ~ 현재)

2013년 1월 11일 전라북도와 프로야구 제10구단 유치 경쟁에서 수원시가 승리하면서 리모델링을 거쳐 2015년부터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3] 2014년 10월 16일 KT 위즈의 이름 공모전을 통해 구장명을 '''수원케이티위즈파크'''로 변경하였다.

KT의 프로야구 신구단 kt 위즈의 홈구장이 될 것이 결정됨에 따라, 2013년 7월부터 관중석 증설 공사가 시작되어 2014년 10월에 완료되었다. 공사 중인 2014년 kt 위즈의 홈경기(2군 퓨처스리그만)는 인근 성균관대학교 수원 캠퍼스 야구장에서 진행되었다. kt 위즈가 1군에 진출한 2015년부터 “'''수원 kt 위즈파크'''”라는 이름으로 kt 위즈의 홈경기가 개최되었다(2015년 3월 31일 첫 kt 위즈 주최 공식 경기: 삼성 라이온즈전 개최). 2015년 7월 18일, 1999년 이후 16년 만에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2017년 4월에 다시 한번 개수 공사가 완료되어 관중석이 2,000석 증설되었다.

3. 시설 개선

2015년부터 kt wiz의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2013년부터 대대적인 증축 리모델링 공사에 착수했다. 야구장 연면적은 11000m2에서 32000m2로 확장되고, 관중석은 1만 4,000석 규모의 2층에서 KBO가 요구하는 프로구단 전용구장 기준 2만 5,000석 규모로 최종 증축할 계획이었다. 1988년 준공된 수원야구장은 시설이 낙후되어 쾌적하지 않은 환경이었기 때문에,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필요했다.[1]

1, 2차 리모델링과 이후 추가 개선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3. 1. 1차 리모델링 (2013년 ~ 2014년)

2013년 1월 4일부터 kt wiz의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대대적인 증축 리모델링 공사가 시작되었다. 290억 원을 들여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조 공법으로 내부시설 변경, 야외관중석 교체, 실내 관중석 VIP, 스카이박스 신설, 불펜 개선, 조명타워(최초 자연조명탑) 교체, 2D HD + TV스크린 화면 전광판 설치 등이 이뤄졌다.[1] 관람석은 기존 1만 4465석에서 2만 석으로 늘리고, 지붕 캐노피도 1, 3루 내야석까지 넓혔다.[1] 외야 펜스는 안전성을 강화한 안전펜스로 교체하고, 좌우펜스를 3m 늘려 중앙펜스 120m, 좌우펜스 98m로 구장 크기를 넓혔다.[1] 펜스 높이 또한 2.5m에서 4m로 변경되었다.[1]

사업비는 수원시가 127억 원, 경기도 89억 원, 대한민국 정부가 75억 원을 지원하여 총 300여억 원이 투입되었다.[1] 당초 2013년에 공사 완료 예정이었으나 시공업체 선정 과정에서 두 번의 유찰로 지연되었다.[1] 수의 계약 체결 후 2013년 7월 착공, 2014년 12월 1차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1]

3. 2. 2차 리모델링 (2016년)

2016 시즌 종료 후 160억 원을 투입해 2차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여, 관중석을 2만 2,067석으로 증설했다. 기존 4층이었던 1, 3루석을 5층으로 증축했고, U자형 경기장 지붕을 추가로 78m가량 확장했다. 3루 스카이존을 증설했고, 외야에는 테이블석인 포켓닥터존, 발코니석으로 구성된 5G존 및 테라스석, 레스토랑을 신설했다. 스카이박스도 기존의 16개에서 31개로 늘어났고, 익사이팅존은 경기 승리 시 선수들과 하이파이브를 할 수 있게끔 개조되었다.[1]

3. 3. 이후 추가 개선 (2018년 ~ 현재)

2018 시즌에는 관중 편의를 위해 외야 관중석을 넓히고 테이블석을 증축하여 좌석 수가 1,200여 석 줄어들어 총 20,800석이 되었다.

2020 시즌에는 일부 좌석을 교체하고 띠전광판을 신설했다.

2021 시즌 2020 도쿄 올림픽 브레이크 기간 동안 수원시의 지원으로 기존의 플라스마 조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했다.

4. 기타

2012년 12월 2일 김인식, 김성근 감독이 이끄는 프로야구 선수, 연예인 등이 참여한 야구 자선 경기가 열렸다.[3] KT의 프로야구 신구단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결정됨에 따라, 2013년 7월부터 관중석 증설 공사가 시작되어 2014년 10월 완료되었다. 2015년 3월 31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첫 kt 위즈 주최 공식 경기가 열렸고, 2015년 7월 18일에는 1999년 이후 16년 만에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4. 1. 명칭

2014년 10월 16일 KT 위즈의 이름 공모전을 통해 구장명이 '''수원케이티위즈파크'''로 변경되었다.[3]

4. 2. 특별 이벤트

2012년 12월 2일, 김인식, 김성근 두 감독이 이끄는 프로야구 선수, 연예인 등이 참여한 야구 자선 경기가 개최되었다.

KT의 프로야구 신구단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결정됨에 따라, 2013년 7월부터 관중석 증설 공사가 시작되어 2014년 10월에 완료되었다. kt 위즈가 1군에 진출한 2015년부터 “'''수원 kt 위즈파크'''”라는 이름으로 kt 위즈의 홈경기가 개최되었다. 2015년 3월 31일에는 삼성 라이온즈와의 첫 kt 위즈 주최 공식 경기가 열렸고, 2015년 7월 18일에는 1999년 이후 16년 만에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5. 교통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수원역 또는 화서역에서 내려 버스로 약 15분이면 도착한다. 2호선·4호선 사당역에서 수원 방면 고속 시외버스를 타면 종합운동장 앞 버스 정류장에 내릴 수 있다.

참조

[1] 일반텍스트
[2] 뉴스 플레이오프 3.4차전 수원으로 장소 바꿔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89-10-14
[3] 뉴스 '10구단' KT 수원 홈구장 이름, '위즈 파크'로 확정 http://sports.news.n[...] 뉴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