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막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는 반투명한 막으로, 눈을 보호하고 수분 공급, 이물질 제거, 시력 보호 등의 기능을 한다. 영장류에서는 흔적 기관인 반달 주름으로 진화했으며, 일부 포유류는 완전한 순막을 유지한다. 순막은 동물의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특히 조류는 능동적으로 순막을 제어할 수 있다. 순막의 이상은 질병의 징후가 될 수 있으며, 일부 품종의 개에서는 탈출 현상인 체리 아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추동물해부학 - 등지느러미
등지느러미는 수생 척추동물의 등 중앙선에 위치하여 몸의 좌우 기울임을 방지하고 방향 전환을 돕는 짝을 이루지 않는 지느러미이며, 일부 어종은 추진력, 먹이 유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종을 식별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 척추동물해부학 - 총배설강
총배설강은 동물의 배설물, 생식세포, 배설물을 배출하는 단일 개구부이며, 조류는 짝짓기에 사용하고, 일부 거북이는 호흡에 사용하며, 포유류는 발생 과정에서 형성되나 성체에서는 분리되어 있다. - 눈 (해부학) - 윙크
윙크는 눈을 깜빡이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친밀감 표현, 은밀한 메시지 전달, 농담 암시, 성적 관심 표현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문화권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일부 동물에게서도 관찰된다. - 눈 (해부학) - 홍채
홍채는 눈의 색을 결정하고 동공 크기를 조절하여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멜라닌 색소의 양에 따라 다양한 색깔을 나타내고 개인 식별 및 건강 상태 분석에 활용되기도 한다.
순막 | |
---|---|
개요 | |
![]() | |
유형 | 눈꺼풀 |
부분 | 눈 |
관련 | 눈물샘 |
세부 정보 | |
어원 | 라틴어 "nictare" (눈을 깜빡이다) |
설명 | 일부 동물의 눈에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세 번째 눈꺼풀로, 눈을 보호하고 촉촉하게 유지하면서 시야를 유지함 |
기능 | |
보호 | 눈을 보호하고 이물질로부터 보호 |
윤활 | 눈을 촉촉하게 유지 |
시야 유지 | 시야를 가리지 않고 눈을 보호 |
분포 | |
동물 | 파충류 조류 포유류 (일부) 어류 |
예외 | 개구리: Hymenochirus, Pseudhymenochirus, Pipa 종 제외 |
인간 | 흔적 기관으로 존재 |
추가 정보 | |
관련 질병 | 체리안 (개에서 발생) |
2. 분포
완전히 발달된 순막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에서 발견되지만, 영장류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4][5] 사람의 경우, 반달 주름(반월주름이라고도 함)과 관련된 근육은 다른 포유류 및 척추동물에서 보이는 순막과 상동이다.[6] 대부분의 영장류 종에서는 반달 주름이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여우원숭이와 로리스류 영장류에서는 완전히 발달된 순막을 찾을 수 있다.[7][8] 낙타, 북극곰, 물개 및 땅돼지와 같은 일부 포유류는 완전한 순막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포유류는 눈 구석에 막의 작은 흔적기관 부분을 유지한다. 제3 안검(순막선) 또는 하르더선의 샘은 일부 동물의 순막에 부착되어 있으며 눈물막의 최대 50%를 생성할 수 있다.[11]
2. 1.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완전히 발달된 순막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에서 발견되지만, 영장류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4][5] 양서류나 어류의 일부 (상어의 종류), 그리고 조류, 파충류는 발달한 순막을 가지고 있다.[13][14] 새는 자유롭게 순막을 움직일 수 있다.
2. 2. 포유류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와 달리 포유류에서는 순막이 흔적 기관이 된 종이 많다.[13][14] 하지만 낙타, 북극곰, 아르마딜로, 기각류(바다사자나 물개 등)는 완전한 순막을 가지고 있다. 일부 포유류는 눈 구석에 막의 작은 흔적 기관 부분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3안검(순막선) 또는 하르더선의 샘은 순막에 부착되어 눈물막의 최대 50%를 생성할 수 있다.[11]2. 2. 1. 영장류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에서 완전히 발달된 순막이 발견되지만, 영장류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4][5] 사람의 경우, 반달 주름(반월주름이라고도 함)과 관련된 근육은 다른 포유류 및 척추동물에서 보이는 순막과 상동이다.[6] 대부분의 영장류 종에서는 반달 주름이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여우원숭이와 로리스류 영장류에서는 완전히 발달된 순막을 찾을 수 있다.[7][8]사람의 경우, 반달 주름(plica semilunaris 또는 semilunar fold)과 거기에 연결된 근육은 다른 순막에 상동 기관에 대응하는 기관으로 생각된다.[15] 영장류의 대부분의 종은 이 반달 주름을 가지고 있지만, 여우원숭이나 로리스하목의 종은 충분히 발달한 순막을 가지고 있다.[16][17]
3. 기능
순막은 일부 동물에게 존재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세 번째 눈꺼풀로, 시야를 유지하면서 눈을 보호하고 적시는 기능을 한다. "눈을 깜빡이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nictare''에서 유래했으며, 흔히 '제3 눈꺼풀' 또는 '하우'라고 불린다. 과학적 용어로는 ''반월주름'', ''membrana nictitans'', ''palpebra tertia''라고 한다. 위아래 눈꺼풀과 달리 순막은 안구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움직인다. 많은 종에서 안구에 자극(예: 공기 분사)이 가해지면 순막 반사 반응이 일어난다.[3]
3. 1. 눈 보호
순막은 일부 동물에게 존재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세 번째 눈꺼풀로, 시야를 유지하면서 눈을 보호하고 적시는 역할을 한다. 흔히 '제3 눈꺼풀'이라고 불린다. 위아래 눈꺼풀과 달리 순막은 안구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움직인다.바다사자를 포함한 일부 잠수 동물은 육상에서 모래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순막을 사용한다. 악어의 순막은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지만, 수중 시야를 방해하기도 한다. 비버와 매너티는 투명한 순막을 가지고 있어 물속에서 눈을 보호한다.
조류는 순막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9] 맹금류의 순막은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동안 부모의 눈을 보호하며, 송골매가 먹이를 향해 시속 200마일로 급강하할 때 눈을 깜박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분을 공급한다. 딱따구리는 부리로 나무 줄기를 쪼기 직전 순막을 조여 망막 손상을 예방한다.[10]
상어는 먹이를 공격하는 동안 순막으로 눈을 보호한다. 북극곰의 순막은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설맹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많은 동물은 안구에 자극(바람 등)을 받으면 반사적으로 순막을 닫아 눈을 보호한다. 이러한 순막 반사는 토끼의 고전적 조건화 실험에 널리 사용된다.[19]
3. 2. 수분 공급 및 이물질 제거
순막은 일부 동물에게 존재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세 번째 눈꺼풀로, 시야를 유지하면서 눈을 보호하고 적시는 기능을 한다. 많은 종에서 안구에 가해지는 자극(예: 공기 분사)은 순막 반사 반응을 유발한다.[3]바다사자를 포함한 일부 잠수 동물에서는 모래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육상에서 순막이 활성화된다. 악어는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지만 수중 시야를 방해하기도 한다. 비버와 매너티의 경우 순막이 투명하며, 물속에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을 가로질러 움직인다.
조류는 순막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9] 맹금류에서 이 막은 먹이를 주는 동안 새끼로부터 부모의 눈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며, 송골매가 200mph로 다이빙할 때 순막을 반복적으로 깜박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눈에 수분을 공급한다. 딱따구리는 부리가 나무 줄기에 부딪히기 1/1000초 전에 순막을 조여 흔들림으로 인한 망막 손상을 예방한다.[10]
상어는 먹이를 공격하는 동안 눈을 보호하는 데 순막을 사용하며, 북극곰의 순막은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설맹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눈꺼풀과 달리 순막은 수평 방향으로 움직여 안구를 덮고 보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투명하지만, 비버나 매너티 등은 수중에서 안구를 보호하기 위해 순막을 닫고 활동하며, 순막도 투명하다. 바다사자처럼 먼지나 쓰레기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육상에서 순막을 닫는 경우도 있다. 맹금류는 새끼에게 먹이를 줄 때, 눈을 쪼이지 않도록 순막을 닫는다. 매는 먹이를 노리고 급강하할 때, 반복적으로 순막을 깜박여 안구의 윤기를 유지하고 쓰레기가 붙지 않도록 한다. 상어는 먹이를 습격할 때 눈을 보호하기 위해 순막을 닫는다. 딱따구리는 나무 줄기를 부리로 쪼는 순간에 순막을 닫아 망막을 보호한다.[18]
많은 동물은 안구에 어떤 자극(바람 등)을 받으면 눈을 보호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순막을 닫는다. 이러한 반사를 이용하여 토끼에게 고전적 조건화를 실시하는 실험도 많다.[19]
3. 3. 시력 보호
순막은 일부 동물에게 존재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세 번째 눈꺼풀로, 시야를 유지하면서 눈을 보호하고 적시는 기능을 한다. 위쪽 및 아래쪽 눈꺼풀과 달리, 순막은 안구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움직인다.바다사자를 포함한 일부 잠수 동물에서는 모래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육상에서 순막이 활성화된다. 악어의 순막은 눈을 물로부터 보호하지만 수중 시야를 방해하기도 한다. 비버와 매너티의 경우 순막이 투명하며, 물속에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을 가로질러 움직인다.
조류는 순막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9] 맹금류에서 이 막은 먹이를 주는 동안 새끼로부터 부모의 눈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며, 송골매가 200mph로 다이빙할 때 순막을 반복적으로 깜박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눈에 수분을 공급한다. 딱따구리는 부리가 나무 줄기에 부딪히기 1/1000초 전에 순막을 조여 흔들림으로 인한 망막 손상을 예방한다.[10]
상어는 먹이를 공격하는 동안 눈을 보호하기 위해 순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으며, 북극곰에게서 설맹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많은 동물은 안구에 어떤 자극(바람 등)을 받으면 눈을 보호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순막을 닫는다. 이러한 반사는 토끼에게 고전적 조건화를 실시하는 실험에 많이 이용된다.[19]
3. 4. 기타 기능
순막은 시야를 유지하면서 눈을 보호하고 습기를 주는 기능을 한다. 바다사자를 포함한 일부 잠수 동물은 모래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육상에서 순막을 활성화한다. 악어의 순막은 눈을 물로부터 보호하지만, 수중 시야를 방해하기도 한다. 비버와 매너티의 순막은 투명하며, 물속에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을 가로질러 움직인다.조류는 순막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9] 맹금류의 순막은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동안 부모의 눈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송골매가 200mph로 다이빙할 때 순막을 반복적으로 깜박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눈에 수분을 공급한다. 딱따구리는 부리가 나무 줄기에 부딪히기 1/1000초 전에 순막을 조여 흔들림으로 인한 망막 손상을 예방한다.[10]
상어는 먹이를 공격하는 동안 순막으로 눈을 보호한다.
북극곰의 순막은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설맹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4. 흔적기관
영장류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완전히 발달된 순막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에서 발견된다.[4][5] 낙타, 북극곰, 물개 및 땅돼지와 같은 일부 포유류는 완전한 순막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포유류는 눈 구석에 막의 작은 흔적기관 부분을 유지한다. 사람의 경우, 반달 주름(반월주름이라고도 함)과 관련된 근육은 다른 포유류 및 척추동물에서 보이는 순막과 상동이다.[6] 대부분의 영장류 종에서는 반달 주름이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여우원숭이와 로리스류 영장류에서는 완전히 발달된 순막을 찾을 수 있다.[7][8]
양서류나 어류의 일부 (상어의 종류), 그리고 조류, 파충류는 발달한 순막을 가지고 있지만, 포유류에서는 순막이 흔적 기관이 된 종도 많으며, 영장류에서는 일부 종에 한정된다.[13][14]
5. 질병
고양이와 개의 순막에는 근섬유가 많지 않아서 보통 보이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보이는 것은 건강이 좋지 않거나 질병의 징후로 간주해야 한다.[11] 하지만 건강한 동물이 잠들었을 때 눈을 살짝 벌리거나 안구를 아래로 밀거나 압력을 가하면 순막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일부 개 품종에서는 순막이 제3안검의 선을 탈출시키는 경향이 있어 체리 아이라고 불리는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11]
개나 고양이의 순막(제3안검)은 근섬유 부분이 그다지 발달하지 않아 평소에는 보이지 않지만, 순막이 항상 보일 때는 어떠한 신체 이상이나 질병이 의심된다.[20] 건강한 개나 고양이도 잠자는 동안 눈을 천천히 뜨거나 눈 주변을 누르면 순막을 확인할 수 있다. 순막이 탈출하여 "체리아이cherry eye|체리 아이영어"라고 불리는 증상이 나타나기 쉬운 견종도 있다.[20]
참조
[1]
서적
Forms of Animal Life : A Manual of Comparative Anatomy, with Descriptions of Selected Types.
Clarendon Press
1898
[2]
서적
Herpetology: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Academic Press
[3]
논문
Nictitating Membrane: Classical Conditioning and Extinction in the Albino Rabbit
1962
[4]
서적
Comparative Vertebrate Neuroanatomy: Evolution and Adaptation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5-09-02
[5]
뉴스
Why do cats have an inner eyelid as well as outer ones?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06-11-20
[6]
서적
The Eye: Basic Sciences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7]
서적
Primates Comparative Anatomy and Taxonomy I—Strepsirhini
Edinburgh University Press
[8]
서적
Primate Anatomy
Academic Press
[9]
서적
Ophthalmology for the Veterinary Practitioner
https://books.google[...]
[10]
논문
Protective ocular mechanisms in woodpeckers
2007
[11]
웹인용
Why do cats have an extra eyelid?
http://gurumagazine.[...]
2013-02-07
[12]
웹사이트
目の病気について
http://www.masunaga-[...]
マスナガ動物病院
2012-11-26
[13]
서적
Comparative Anatomy and Physiology of Vertebrates
London
1866–1868
[14]
뉴스
Why do cats have an inner eyelid as well as outer ones?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06-11-20
[15]
서적
The Eye: Basic Sciences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16]
서적
Primates Comparative Anatomy and Taxonomy I—Strepsirhini
Edinburgh University Press
[17]
서적
Primate Anatomy
Academic Press
[18]
논문
Protective ocular mechanisms in woodpeckers
2007
[19]
논문
Nictitating Membrane: Classical Conditioning and Extinction in the Albino Rabbit
1962
[20]
서적
Ophthalmology for the Veterinary Practitioner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