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파르타쿠스 봉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파르타쿠스 봉기는 1919년 1월 독일에서 일어난 좌익 봉기로, 독일 11월 혁명 이후 수립된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과 독일 공산당(KPD) 창당을 배경으로 발생했다. 1918년 12월 인민 해군 사단의 무장 해제를 둘러싼 갈등, 에밀 아이히호른 베를린 경찰청장의 해임 등이 봉기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봉기는 대규모 시위와 총파업으로 시작되었으나,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이어진다. 봉기 과정에서 로자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가 살해되었고,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과 좌파 세력 분열에 영향을 미쳤다. 봉기는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에도 매년 1월 둘째 주말에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를 기념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독립사회민주당 - 스파르타쿠스 동맹
    스파르타쿠스 동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카를 리프크네히트 주도로 스파르타쿠스단을 재건하여 독일에서 결성된 혁명적 좌익 정치 조직으로, 군부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소비에트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독일 공산당 창당 후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해체되었으며 독일 혁명과 좌익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919년 노동쟁의 - 비엔니오 로소
    비엔니오 로소는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사회적 격변과 정치적 불안정 시기로, 노동자들이 총파업, 공장 및 토지 점거를 통해 노동자 자주관리를 시도했으나, 사회당의 소극적 대응과 파시스트 세력의 반격으로 좌절되어 무솔리니 정권 등장의 배경이 되었다.
스파르타쿠스 봉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이름스파르타쿠스 봉기
다른 이름스파르타쿠스단 봉기
1월 봉기
일부독일 11월 혁명
날짜1919년 1월 5일 ~ 1919년 1월 12일
장소베를린, 바이마르 공화국
결과바이마르 공화국 정부 승리
사회민주주의자, 민주주의자들의 승리
뮌헨 평의회 공화국 멸망
급진좌파 성향의 스파르타쿠스 연맹 진압
브란덴부르크 문에서 스파르타쿠스 봉기 중인 군인들
스파르타쿠스 봉기 중 브란덴부르크 문의 군인들
베를린의 스파르타쿠스 연맹원들
베를린의 스파르타쿠스 연맹원들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바이마르 공화국 인민대표평의회
자유군단
교전 세력 2독일 공산당
스파르타쿠스 연맹
독립사회민주당
뮌헨 평의회 공화국
독일 자유노동자조합
지휘관
지휘관 1프리드리히 에베르트
구스타프 노스케
지휘관 2카를 리프크네히트
로자 룩셈부르크
전력
전력 13,000 자유군단
전력 2불확실
사상자
사상자 1사망 17명
부상 20명
사상자 2사망 130–180명
총 사상자150–197명 (불확실한 수의 민간인 사망자 포함)
관련 정보
관련 정보독일 혁명 (1918년-1919년)

2. 배경

독일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붕괴되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후, 1918년 11월 10일 다수파 사회민주당(MSPD)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와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후고 하제를 공동 대표로 하는 인민대표평의회가 임시 정부로 구성되었다. 인민대표평의회는 MSPD와 USPD 각각 3명의 대표로 구성되었다.[4] 같은 날, 독일군 참모총장 빌헬름 그뢰너는 에베르트에게 군의 충성을 보장하는 비밀 협정(에베르트-그뢰너 협정)을 통해 최고군사령부는 암묵적으로 인민대표평의회를 인정했다. 그 대가로 에베르트는 좌익 봉기 진압과 군 지휘권 유지를 약속했다.[5]

MSPD 지도부는 제헌 의회 구성을 통해 민주적 절차로 복귀하려 했으나, USPD와 혁명적 노동자평의회 등은 재산 국유화, 군부 권력 박탈, 평의회 공화국 수립 등 혁명적 목표를 추구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6]

1918년 12월 23일, 인민 해군 사단의 체불 임금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여 오토 벨스가 인질로 잡혔고, 에밀 아이히호른이 경찰력 동원을 거부하면서 1918년 크리스마스 위기가 발생했다. 에베르트는 군대를 동원하여 인민 해군 사단을 무력 진압했고, 이 과정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7]

1918년 12월 29일, USPD 대표 3명이 인민대표평의회에서 사임하면서, USPD는 인민대표평의회를 더 이상 합법적인 임시 정부로 간주하지 않았다. 노동자 평의회에서 다수파는 에베르트의 요구에 따라 아이히호른을 해임하는 데 동의했지만, USPD와 독일 공산당(KPD)는 이를 혁명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했다.

제국의 붕괴 후 독일의 통치는 「인민대표위원회」(Rat der Volksbeauftragten)가 담당했다. 그러나 1918년 12월 23일 좌파의 인민해병단(Volksmarinedivision)의 무장해제를 발단으로 폭동이 발생하였고(인민해병단 사건), 1918년 12월 29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이 위원회에서 이탈했다. 이후 위원회의 주도권을 잡은 것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를 대표로 하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이었다.

사회민주당(SPD)이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를 대표로 하여 위원회의 주도권을 잡은 후, 12월 30일에는 스파르타쿠스단의 주도로 독일 공산당(KPD)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급진 좌파이자 스파르타쿠스단과 가까웠던 혁명적 오프로이트는 합류하지 않았다.

1918년 12월 23일, 좌파 인민해병단(Volksmarinedivision)의 무장해제를 계기로 폭동이 발생하였다. (인민해병단 사건) 12월 29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이 인민대표위원회에서 이탈하면서,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위원회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12월 30일에는 스파르타쿠스단의 주도로 독일 공산당(KPD)이 창설되었다.

1919년 1월 1일, 로자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가 독일 공산당을 창당했다. 11월 혁명의 진행 방향에 많은 노동자들이 불만을 품었기에 다른 좌파 사회주의 단체들이 당 창당에 동참했다. 하지만 혁명적 노동자평의회는 스파르타쿠스단과의 논의 끝에 USPD에 잔류하기로 결정했다. 룩셈부르크는 1918년 12월 31일에 창당 강령을 발표했는데, 그 안에서 공산주의자들이 대다수 국민의 명확한 지지 없이는 결코 권력을 잡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1월 1일, 그녀는 다시 KPD가 제헌 의회 선거에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지만, 다수의 반대에 부딪혔다. 다수는 공장에서의 계속적인 선동과 거리의 압력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기를 희망했다.

2. 1. 독일 혁명과 임시 정부 수립

독일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붕괴되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후, 1918년 11월 10일 다수파 사회민주당(MSPD)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와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후고 하제를 공동 대표로 하는 인민대표평의회가 임시 정부로 구성되었다. 인민대표평의회는 MSPD와 USPD 각각 3명의 대표로 구성되었다.[4] 같은 날, 독일군 참모총장 빌헬름 그뢰너는 에베르트에게 군의 충성을 보장하는 비밀 협정(에베르트-그뢰너 협정)을 통해 최고군사령부는 암묵적으로 인민대표평의회를 인정했다. 그 대가로 에베르트는 좌익 봉기 진압과 군 지휘권 유지를 약속했다.[5]

MSPD 지도부는 제헌 의회 구성을 통해 민주적 절차로 복귀하려 했으나, USPD와 혁명적 노동자평의회 등은 재산 국유화, 군부 권력 박탈, 평의회 공화국 수립 등 혁명적 목표를 추구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6]

1918년 12월 23일, 인민 해군 사단의 체불 임금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여 오토 벨스가 인질로 잡혔고, 에밀 아이히호른이 경찰력 동원을 거부하면서 1918년 크리스마스 위기가 발생했다. 에베르트는 군대를 동원하여 인민 해군 사단을 무력 진압했고, 이 과정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7]

1918년 12월 29일, USPD 대표 3명이 인민대표평의회에서 사임하면서, USPD는 인민대표평의회를 더 이상 합법적인 임시 정부로 간주하지 않았다. 노동자 평의회에서 다수파는 에베르트의 요구에 따라 아이히호른을 해임하는 데 동의했지만, USPD와 독일 공산당(KPD)는 이를 혁명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했다.

제국의 붕괴 후 독일의 통치는 「인민대표위원회」(Rat der Volksbeauftragten)가 담당했다. 그러나 1918년 12월 23일 좌파의 인민해병단(Volksmarinedivision)의 무장해제를 발단으로 폭동이 발생하였고(인민해병단 사건), 1918년 12월 29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이 위원회에서 이탈했다. 이후 위원회의 주도권을 잡은 것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를 대표로 하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이었다.

2. 2. 독일 공산당(KPD) 창당

사회민주당(SPD)이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를 대표로 하여 위원회의 주도권을 잡은 후, 12월 30일에는 스파르타쿠스단의 주도로 독일 공산당(KPD)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급진 좌파이자 스파르타쿠스단과 가까웠던 혁명적 오프로이트는 합류하지 않았다.

2. 3. 1918년 크리스마스 위기와 아이히호른 해임

1918년 12월 23일, 좌파 인민해병단(Volksmarinedivision)의 무장해제를 계기로 폭동이 발생하였다. (인민해병단 사건)[44] 12월 29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이 인민대표위원회에서 이탈하면서,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위원회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44] 12월 30일에는 스파르타쿠스단의 주도로 독일 공산당(KPD)이 창설되었다.[44]

1919년 1월 5일, 인민대표위원회는 베를린 경찰청장 에밀 아이히호른(de)을 해임했다.[44] 아이히호른은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당원으로서 유일하게 요직에 있던 인물이었다. 그는 해임을 거부하고 경찰 건물에 칩거했다.[44]

3. 봉기의 전개

1919년 1월 베를린의 바리케이드 전투


1919년 1월 5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당원으로서 유일하게 요직에 있던 베를린 경찰청장 에밀 아이히호른(de)이 위원회에 의해 해임되었다.[44] 아이히호른은 해임을 거부하고 경찰 건물에 틀어박혔다. 스파르타쿠스단이 이끄는 무장한 노동자들이[44] 베를린 코흐슈트라세의 신문사 편집부 사무실을 폐쇄하고 통신 시설을 점거한 후[44] 거리에 바리케이드를 쌓았다. 곧 더 많은 노동자들이 합류하여 SPD 기관지 「폴베르츠」(en) 사무실 등 베를린 중심부의 신문사가 밀집한 거리 여러 곳을 봉쇄했다. 이 신문은 9월 초부터 스파르타쿠스단을 적대시하는 기사를 게재하고 있었다.

== 봉기의 전개 ==

=== 대규모 시위와 총파업 ===

1919년 1월 4일, 우겐 에른스트가 에밀 아이히호른(de)을 대신하여 베를린 경찰청장에 임명되자,[8] 베를린 (USPD) 집행위원회와 혁명적 운영위원회는 다음 날 대규모 시위를 열기로 결정했다. 1월 5일, 시위는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로 진행되었으며,[9] 무장 시위대는 사회민주당 신문 '폴베르츠' (en)와 베를리너 타게블라트de의 인쇄소를 포함한 여러 출판사 건물, 인쇄소, 전신국을 점령했다.[9][44]

1월 5일 저녁, 혁명적 운영위원회, USPD, (KPD) 주요 인사들은 회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 대다수는 베를린 신문 지구 점령을 지지하고 사회민주당 정부에 맞서 싸우는 것에 찬성했다. 리하르트 뮐러와 에른스트 도이밍만이 반대했다.[11] 1월 7일, 혁명 위원회는 베를린 노동자들에게 총파업을 호소하며 에베르트 정부를 전복할 것을 촉구했고, 최대 50만 명의 노동자들이 이에 호응하여 시내 중심부로 몰려들었다.[12][13] "대베를린 혁명 노동자"는 전단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독재 만세! 혁명 만세!"를 외치며 권력을 장악하고 혁명을 배신한 정부를 전복할 것을 촉구했다.[17]

=== 혁명위원회 결성과 내부 갈등 ===

스파르타쿠스 봉기의 바리케이드


혁명적 노동자평의회,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독일 공산당(KPD) 지도자들은 혁명위원회를 결성하고 에베르트 정부 타도를 결의했다.[14] 게오르크 레데부르, 리프크네히트, 폴 숄체가 공동 의장을 맡았다. 혁명위원회는 무장 봉기 여부를 두고 의견이 분열되었는데, 일부 대표들은 무장 봉기를 촉구했지만, 다른 대표들은 에베르트와의 협상을 호소했다.[14]

리프크네히트는 룩셈부르크의 조언에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내전을 일으키는 계획을 지지했다.[15] 인민대표평의회는 무력으로 타도될 것이었고, 1월 19일로 예정된 국민의회 선거는 저지될 것이었다.[15] 반면, 룩셈부르크는 내전 유발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1월 6일 혁명위원회는 USPD 지도부의 중재를 통해 에베르트와 협상을 시작했지만, 양측의 타협 의지 부족으로 1월 7일 협상은 결렬되었다.[10]

=== 정부의 대응과 무력 진압 ===

1918년 12월 초, 에베르트는 구스타프 노스케에게 베를린과 그 주변 군대 지휘권을 넘겨주고 자유군단(Freikorps) 부대 편성을 지시했다.[16] 자유군단은 전선 병사들과 자원병들로 구성되었으며, 에베르트와 노스케는 이들을 베를린 주변에 집결시켰다. 노스케는 혁명위원회 구성원들을 감시하여 체포할 수 있도록 50명의 장교를 베를린의 모든 우체국에 배치했다.[16]

1월 8일, 인민대표평의회는 인민들에게 반란군과 정부 장악 시도에 저항할 것을 촉구하고, "폭력은 오직 폭력으로만 대처할 수 있다"며 폭력에 맞설 것을 천명했다.[17] 1월 9일, 베를린 USPD와 KPD 중앙 집행위원회는 "정부의 유다들"에 맞서 싸울 것을 요구하는 공동 호소문을 발표했다.[18] 그러나 노동계급 대다수는 총파업 호소에는 따랐지만 군사적 투쟁에는 관여하지 않고, 사회주의 세력의 통합을 요구하며 모든 사회주의 정당이 대표되는 정부 수립을 촉구했다.[9]

1월 10일, 빌헬름 라인하르트 대령이 이끄는 자유군단 라인하르트 여단이 슈판다우에 있는 스파르타쿠스 본부를 공격했다.[19] 1월 11일, 노스케는 포르베르츠(Vorwärts) 신문사 건물 점거자들에 대한 작전 개시 명령을 내렸다.[19] 포츠담 자유군단은 화염방사기, 기관총, 박격포, 포병을 동원하여 건물을 점령했고, 1월 12일까지 다른 점령 건물과 거리들도 장악했다.[19]
정부군이 포르베르츠 건물에 진입한 모습
조직적인 전투는 없었고 많은 반란군이 항복했지만, 군대는 100명이 넘는 반란군과 다수의 민간인을 사살했다.[19] 프로이센 의회 조사위원회는 사망자 수를 156명으로 집계했다.[19]

1월 13일, 왈데마르 파브스트 대위 지휘 하에 자유군단 부대와 근위 기병 사단이 베를린으로 진입했다.[20] 베를린 신문들은 군대의 진입을 "평화와 질서"의 회복으로 칭송했지만, 군대 점령 이후 극우 부대에 의한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20]

1월 6일, 에베르트는 국방장관 구스타프 노스케에게 최고 지휘권을 부여하고, 독일 자원군(독일의용군, Freikorps)의 무력을 이용하여 진압하기로 결정했다.[44] 독일 자원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무기를 가지고 있어 우위에 있었고, 이들은 노동자들이 점거하고 있던 거리와 건물을 신속하게 탈환했다.[44] 많은 노동자들이 항복하거나 사살되었고, 다수의 시민들도 전투에 휘말려 사망했다.[44]

3. 1. 대규모 시위와 총파업

1919년 1월 4일, 우겐 에른스트가 에밀 아이히호른(de)을 대신하여 베를린 경찰청장에 임명되자,[8] 베를린 (USPD) 집행위원회와 혁명적 운영위원회는 다음 날 대규모 시위를 열기로 결정했다. 1월 5일, 시위는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로 진행되었으며,[9] 무장 시위대는 사회민주당 신문 '폴베르츠' (en)와 베를리너 타게블라트de의 인쇄소를 포함한 여러 출판사 건물, 인쇄소, 전신국을 점령했다.[9][44]

1월 5일 저녁, 혁명적 운영위원회, USPD, (KPD) 주요 인사들은 회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 대다수는 베를린 신문 지구 점령을 지지하고 사회민주당 정부에 맞서 싸우는 것에 찬성했다. 리하르트 뮐러와 에른스트 도이밍만이 반대했다.[11] 1월 7일, 혁명 위원회는 베를린 노동자들에게 총파업을 호소하며 에베르트 정부를 전복할 것을 촉구했고, 최대 50만 명의 노동자들이 이에 호응하여 시내 중심부로 몰려들었다.[12][13] "대베를린 혁명 노동자"는 전단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독재 만세! 혁명 만세!"를 외치며 권력을 장악하고 혁명을 배신한 정부를 전복할 것을 촉구했다.[17]

3. 2. 혁명위원회 결성과 내부 갈등



혁명적 노동자평의회,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독일 공산당(KPD) 지도자들은 혁명위원회를 결성하고 에베르트 정부 타도를 결의했다.[14] 게오르크 레데부르, 리프크네히트, 폴 숄체가 공동 의장을 맡았다. 혁명위원회는 무장 봉기 여부를 두고 의견이 분열되었는데, 일부 대표들은 무장 봉기를 촉구했지만, 다른 대표들은 에베르트와의 협상을 호소했다.[14]

리프크네히트는 룩셈부르크의 조언에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내전을 일으키는 계획을 지지했다.[15] 인민대표평의회는 무력으로 타도될 것이었고, 1월 19일로 예정된 국민의회 선거는 저지될 것이었다.[15] 반면, 룩셈부르크는 내전 유발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1월 6일 혁명위원회는 USPD 지도부의 중재를 통해 에베르트와 협상을 시작했지만, 양측의 타협 의지 부족으로 1월 7일 협상은 결렬되었다.[10]

3. 3. 정부의 대응과 무력 진압

1918년 12월 초, 에베르트는 구스타프 노스케에게 베를린과 그 주변 군대 지휘권을 넘겨주고 자유군단(Freikorps) 부대 편성을 지시했다.[16] 자유군단은 전선 병사들과 자원병들로 구성되었으며, 에베르트와 노스케는 이들을 베를린 주변에 집결시켰다. 노스케는 혁명위원회 구성원들을 감시하여 체포할 수 있도록 50명의 장교를 베를린의 모든 우체국에 배치했다.[16]

1월 8일, 인민대표평의회는 인민들에게 반란군과 정부 장악 시도에 저항할 것을 촉구하고, "폭력은 오직 폭력으로만 대처할 수 있다"며 폭력에 맞설 것을 천명했다.[17] 1월 9일, 베를린 USPD와 KPD 중앙 집행위원회는 "정부의 유다들"에 맞서 싸울 것을 요구하는 공동 호소문을 발표했다.[18] 그러나 노동계급 대다수는 총파업 호소에는 따랐지만 군사적 투쟁에는 관여하지 않고, 사회주의 세력의 통합을 요구하며 모든 사회주의 정당이 대표되는 정부 수립을 촉구했다.[9]

1월 10일, 빌헬름 라인하르트 대령이 이끄는 자유군단 라인하르트 여단이 슈판다우에 있는 스파르타쿠스 본부를 공격했다.[19] 1월 11일, 노스케는 포르베르츠(Vorwärts) 신문사 건물 점거자들에 대한 작전 개시 명령을 내렸다.[19] 포츠담 자유군단은 화염방사기, 기관총, 박격포, 포병을 동원하여 건물을 점령했고, 1월 12일까지 다른 점령 건물과 거리들도 장악했다.[19] 조직적인 전투는 없었고 많은 반란군이 항복했지만, 군대는 100명이 넘는 반란군과 다수의 민간인을 사살했다.[19] 프로이센 의회 조사위원회는 사망자 수를 156명으로 집계했다.[19]

1월 13일, 왈데마르 파브스트 대위 지휘 하에 자유군단 부대와 근위 기병 사단이 베를린으로 진입했다.[20] 베를린 신문들은 군대의 진입을 "평화와 질서"의 회복으로 칭송했지만, 군대 점령 이후 극우 부대에 의한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20]

1월 6일, 에베르트는 국방장관 구스타프 노스케에게 최고 지휘권을 부여하고, 독일 자원군(독일의용군, Freikorps)의 무력을 이용하여 진압하기로 결정했다.[44] 독일 자원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무기를 가지고 있어 우위에 있었고, 이들은 노동자들이 점거하고 있던 거리와 건물을 신속하게 탈환했다.[44] 많은 노동자들이 항복하거나 사살되었고, 다수의 시민들도 전투에 휘말려 사망했다.[44]

4. 로자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의 피살

극우 단체들은 1월 봉기 전부터 이미 독일 공산주의자들과 그 지도자들을 공격하는 선동을 벌이고 있었다. 반볼셰비키 동맹은 베를린 시민들에게 볼셰비키 배후 조종자들을 찾아 군에 넘기라고 촉구하는 포스터와 호소문을 배포했다. 거액의 현상금이 걸렸다. 다량으로 유포된 전단지 하나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었다.[44]

조국이 멸망 직전입니다. 조국을 구하십시오! 외부의 위협이 아닌 내부의 위협, 바로 스파르타쿠스 동맹으로부터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들의 지도자들을 죽이십시오! 리프크네히트를 죽이십시오! 그러면 평화와 일자리, 그리고 빵을 얻을 것입니다. –전선 병사들


봉기가 진압된 후, 스파르타쿠스 지도자들은 목숨의 위협을 느껴 숨어 지냈다. 정부는 그들을 쿠데타 미수범으로 지목하여 1월 19일 선거 전에 기소하려 했다. 필립 샤이데만의 사위인 프리츠 헨크는 1월 14일 베를린 시민들에게 봉기 지도자들이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말했다. 그는 며칠 안에 "그들에게도 심각한 상황이 닥칠 것"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21]

로자 룩셈부르크


칼 리프크네히트


1월 15일 저녁, 로자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는 베를린-빌머스도르프의 친구 마르쿠스존 박사의 아파트에서 빌머스도르프 시민 민병대에 의해 발각되어 체포되어 에덴 호텔로 끌려갔다. 그들의 행방은 노스케가 지시한 전화 감청을 통해 알려졌을 가능성이 높다.[16] 발데마르 파브스트는 수 시간 동안 포로들을 심문하고 폭행했다. 그날 저녁 아파트를 방문했다가 함께 체포된 KPD 지도자 빌헬름 피크는 폭행과 여러 차례의 전화 통화를 목격했다.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의 살해는 암살처럼 위장되었다. 오토 룬게 사병은 호텔에서 끌려나가는 룩셈부르크를 소총 개머리판으로 때렸다. 의식을 잃은 그녀는 대기 중인 차에 밀어 넣어졌고, 프라이코어 중위 헤르만 조숑에 의해 관자놀이에 총을 맞았다. 그녀의 시신은 대위 쿠르트 포겔에 의해 베를린 란트베어 운하에 버려졌다. 시신은 5월 31일에야 발견되었다.[22]

리프크네히트는 룩셈부르크 직후 호텔에서 끌려나와 대기 중인 차에 태워진 후, 역시 오토 룬게에 의해 거의 의식을 잃을 정도로 얻어맞았다. 차는 베를린 티어가르텐에서 멈췄고, 리프크네히트는 차에서 끌려나와 "도망자"로서 등에 총을 맞았다. 그의 시신은 "신원 미상의 시체"로 베를린 경찰서에 인계되었다.[23]

KPD 지도자 빌헬름 피크는 자신을 감옥으로 이송하는 명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했고, 이송 도중 탈출했다.[24]

4. 1. 체포와 살해

1919년 1월 15일, 로자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는 베를린-빌머스도르프에서 시민 민병대에 체포되어 에덴 호텔로 압송되었다.[16] 이들은 발데마르 파브스트의 지휘 하에 심문과 폭행을 당했다. 함께 체포된 빌헬름 피크는 이 과정을 목격했다.[24]

룩셈부르크는 호텔에서 끌려나와 오토 룬게 사병에게 소총 개머리판으로 폭행당했다. 의식을 잃은 룩셈부르크는 차에 태워져 헤르만 조숑 중위에게 관자놀이에 총을 맞고 살해되었다. 쿠르트 포겔 대위는 룩셈부르크의 시신을 란트베어 운하에 유기했고, 시신은 5월 31일이 되어서야 발견되었다.[22]

리프크네히트 역시 호텔에서 끌려나와 오토 룬게에게 폭행당한 후 차에 태워졌다. 차는 티어가르텐에서 멈췄고, 리프크네히트는 "도망자"로 위장되어 등에 총을 맞고 살해되었다. 그의 시신은 "신원 미상의 시체"로 경찰서에 인계되었다.[23] 빌헬름 피크는 감옥으로 이송되는 명령을 받아냈고, 이송 도중 탈출했다.[24]

극우 단체들은 1월 봉기 이전부터 스파르타쿠스 동맹과 지도자들을 공격하는 선동을 벌였다.[44] 반볼셰비키 동맹은 베를린 시민들에게 볼셰비키 배후 조종자들을 찾아 군에 넘기라는 포스터와 호소문을 배포하고 거액의 현상금을 걸었다.[44]

4. 2. 진상 은폐와 논란

1월 16일 베를린 언론은 리프크네히트가 당국으로부터 도망치다 총에 맞았고 룩셈부르크는 격분한 군중에게 살해당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보도는 파브스트가 살인 사건 당일 저녁 작성하여 자신의 부대의 공식 보고서로 발표한 문서에 기반한 것이었다.[25] 살인 사건이 공개된 후 정부는 특별 회의를 소집했고, 에베르트는 수십 년 동안 알고 지낸 전 SPD 동료들의 살인에 충격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MSPD 대표들은 이 살인 사건으로 인해 봉기가 확대될 것을 우려하여 일부는 사임을 잠시 고려하기도 했다. 반면 구스타프 노스케(Gustav Noske)는 1923년 회고록에서 살해된 사람들을 혁명이 내전으로 변질된 주요 원흉으로 묘사하며, 수천 명이 그 이전에 "아무도 문제를 일으키는 자들을 무력화시키지 않을 것인가"라고 질문했다고 밝혔다.[25]

룩셈부르크의 전 동지인 레오 요기체스(Leo Jogiches)는 룩셈부르크의 죽음 이후 KPD의 지도자를 맡아 살인 사건의 진상을 밝히려고 노력했다. 그는 1919년 2월 12일 당의 Die Rote Fahnede(''붉은 깃발'') 신문 기사에서 자신의 조사를 통해 연루되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몇몇 사람들의 이름을 밝혔다. 그러나 그는 1919년 3월 좌익 노동 지도자들에 대한 프라이코어 추가 작전 중 체포되어 감옥에서 살해당했다.[25]

정부군에 사살된 혁명군 병사(1919년 3월)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가 설계한 스파르타쿠스단 봉기 기념비(Revolutionsdenkmal). 나치에 의해 파괴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4. 3. 법적 절차와 논란

피살 사건 가해자들에 대한 형사 소추는 즉각적으로 시작되지 않았다. 1919년 2월 16일, 독일 공산당(KPD) 당원들은 증거 은폐를 우려하여 군사 재판이 아닌 특별 법원에 의한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1919년 5월, 오토 룬게(Otto Runge)와 쿠르트 포겔(Kurt Vogel)을 포함한 일부 가해자들이 자체 사단의 군사 야전 법정에 회부되었고, 5월 8일부터 14일까지 주요 재판이 진행되었다.[26] "MSPD를 지원하는 부처"가 스파르타쿠스 지도자 체포에 10만 마르크의 현상금을 걸었다는 증언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 빌헬름 피크(Wilhelm Pieck)는 살인 사건으로 이어진 호텔에서 발생한 사건의 가장 중요한 목격자 중 한 명으로, 장교들과 상관들 사이의 전화 통화를 엿들었다고 증언했다.[27]

245x245px


룬게는 징역 2년, 포겔은 28개월을 선고받았다. 관련 장교인 하인츠(Heinz)와 호르스트 폰 플루크-하르퉁(Horst von Pflugk-Harttung) 형제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28] 그들의 지휘관인 파브스트(Pabst)는 기소되지 않았고, 명령을 내렸을 가능성이 있는 다른 사람들도 찾지 않았다. 구스타프 노스케(Gustav Noske)는 최고 사령관으로서 자신의 서명으로 판결을 직접 확인했다.[29] 포겔은 선고 3일 후, 빌헬름 카나리스(Wilhelm Canaris)의 도움으로 네덜란드로 도주했다.[30]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대표들과 일부 독일 사회민주당(MSPD) 및 자유주의자들은 군사 재판과 판결을 사법적 스캔들로 간주했다. 판결에 이의를 제기하고 상급 법원에서 재판을 재개하려는 시도는 연기되었다. 1929년에야 재판에서 군사 판사였던 파울 요른스(Paul Jorns)가 편파 판결로 해임되었다.

5. 봉기의 결과와 영향

프리드리히 에베르트(Friedrich Ebert)


이 봉기는 대중적 기반이 없었고, 역사학자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빙클러(Heinrich August Winkler)에 따르면 단지 "급진적 소수에 의한 쿠데타 시도"에 불과했다. 따라서 이것이 신속하게 진압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아마도 이는 불가피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 결과는 아마도 독일 전역의 내전과 승전국의 군사 개입으로 이어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봉기가 진압된 후,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는 의회 수립이라는 길을 계속 걸어갈 수 있었다. 1919년 1월 19일 국민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국민의회는 8월 11일 바이마르 헌법을 확정하고, 독일 최초의 민주 국가인 바이마르 공화국을 건설했다.

봉기의 유혈 진압은 독일 사회민주당(MSPD)에 큰 짐을 지웠다. 국민의회 선거에서 독일 사회민주당은 37.9%의 득표율을 얻은 반면,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는 7.6%를 얻었다. 그 결과 이미 적대적인 두 좌파 정당은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이후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은 30%를 넘는 득표율을 달성하지 못했고, 따라서 1922년 USPD의 대부분과 재통합된 후에도 정부에 참여하기 위해 중도 계급 정당들과의 연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5. 1.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립과 좌파의 분열

프리드리히 에베르트(Friedrich Ebert)는 봉기 진압 후 의회 수립을 추진하여, 1919년 1월 19일 국민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국민의회는 8월 11일 바이마르 헌법을 확정하고, 독일 최초의 민주 국가인 바이마르 공화국을 건설했다.

하지만 봉기의 유혈 진압은 독일 사회민주당(MSPD)에 큰 부담을 안겨주었다. 국민의회 선거에서 독일 사회민주당은 37.9%의 득표율을 얻었지만,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는 7.6%를 얻는 데 그쳐, 이미 적대적인 두 좌파 정당은 과반수 확보에 실패했다. 이후 선거에서도 사회민주당은 30%를 넘는 득표율을 달성하지 못했고, 1922년 USPD의 대부분과 재통합된 후에도 정부에 참여하기 위해 중도 계급 정당들과의 연정에 의존해야 했다. 이는 좌파 세력의 분열을 심화시켜 결과적으로 좌파 세력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역사학자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빙클러(Heinrich August Winkler)는 이 봉기가 "급진적 소수에 의한 쿠데타 시도"에 불과했다고 평가했다.

5. 2. 나치 정권의 역사 왜곡

나치 정권은 1935년 1월, 로자 룩셈부르크카를 리프크네히트의 무덤을 파괴하고 유골을 처리했을 가능성이 있다.[33] 또한 1934년에는 나치 정권은 납세자의 돈을 사용하여 살인 가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31][32]

6. 평가와 기억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역사 학계는 1월 혁명을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스 몸젠(Hans Mommsen)은 봉기자들의 행동을 "테러리스트 쿠데타 전술"이라고 규정했다.[39] 하겐 슐체(Hagen Schulze)는 그들의 목표가 "사회주의적 붉은 혁명과 노동자 계급의 독재"였다고 썼다.[40]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빙클러(Heinrich August Winkler)는 1월 혁명을 "민주주의에 대한 반란"으로 본다.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Lenin)과 볼셰비키가 1918년 1월에 민주적으로 선출된 러시아 입헌의회를 무력으로 해산시킨 10월 혁명과 마찬가지로, 리프크네히트와 그의 추종자들은 국민의회 선거 이전에 공화제와 의회 제도의 수립을 막고자 했다. 역사가 헤닝 쾰러(Henning Köhler)는 1월 혁명을 "맹목적인 행동", "볼셰비키 모델에 상응하는… 권력 투쟁"으로 규정한다.[41] 한스-울리히 벨러(Hans-Ulrich Wehler)는 로자 룩셈부르크의 조언에 반하여 독일 공산당(KPD)이 "베를린 1월 혁명을 통해 독일 내전을 일으키려는 쿠데타 세력에 굴복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15] 죄네케 나이첼(Sönke Neitzel)은 1월 혁명을 "자발적이고 지도자 없는 행동"이라고 부른다.[42] 아일랜드 역사가 마크 존스(Mark Jones)는 유사한 견해를 제시하며, 1월 혁명을 "성공 가능성이 매우 낮은 즉흥적인 쿠데타 시도"라고 규정한다.[43]

봉기 당시 사망한 투사들을 위한 기념비


매년 1월 둘째 주말에는 카를 리프크네히트로자 룩셈부르크를 기념하기 위해 베를린에서 리프크네히트-룩셈부르크 시위가 열린다. 이 시위는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의 사회주의자 기념비에서 끝난다.

6. 1. 기념



매년 1월 둘째 주말에는 카를 리프크네히트로자 룩셈부르크를 기념하기 위해 베를린에서 리프크네히트-룩셈부르크 시위가 열린다. 이 시위는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의 사회주의자 기념비에서 끝난다.

참조

[1] 서적 Europe on the Path to Self-Destruction: Nationalism and the Struggle for Hegemony, 1815-1945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2
[1] 서적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A History of Nazi Germany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990
[2] 서적 Die deutsche Revolution 1918/1919 Knaur
[3] 서적 Weimar 1918–1933. Die Geschichte der ersten deutschen Demokratie C.H. Beck
[4] 웹사이트 Weimar: the Essence and Value of Democracy https://www.dhm.de/m[...] 2024-06-05
[5] 웹사이트 The Weimar Republic: Mutiny, Unrest, and Violence https://encyclopedia[...] 2024-06-05
[6] 웹사이트 Vom Kaiserreich zur Republik 1918/19: Rätesystem oder Parlamentarismus? https://www.bpb.de/t[...] 2024-06-05
[7] 웹사이트 Die Weihnachtskämpfe 1918 https://www.dhm.de/l[...] 2024-06-05
[8] 웹사이트 Ernst, Eugen https://www.deutsche[...] 1959
[9] 서적 Geschichte der deutschen Revolution Olle & Wolte
[10] 서적 Der lange Weg nach Westen. Band 1: Deutsche Geschichte vom Ende des Alten Reiches bis zum Untergang der Weimarer Republik C.H. Beck
[11] 서적 Richard Müller – Der Mann hinter der Novemberrevolution Dietz
[12] 뉴스 taz archiv: chronik der revolution https://taz.de/!5547[...] 2023-12-13
[13] 웹사이트 Fünfzehn Tage die die Welt Erschütterten https://www.rosalux.[...] 2023-12-13
[14] 웹사이트 Der Spartakusaufstand: Ein deutsches Drama https://www.deutschl[...] 2024-06-09
[15] 서적 Deutsche Gesellschaftsgeschichte, Bd. 4: Vom Beginn des Ersten Weltkrieges bis zur Gründung der beiden deutschen Staaten 1914–1949 C.H. Beck Verlag
[16] 서적 Gustav Noske. Eine politische Biographie Droste
[17] 웹사이트 Deutsche Revolution (Quellentext) https://www.bpb.de/s[...] 2024-06-06
[18] 서적 Die deutsche Revolution 1918–1919: Dokumente Hoffmann und Campe
[19] 서적 Deutsche Geschichte 1866–1945 C.H. Beck
[20] 서적 Die verspielte Freiheit. Der Weg der Republik von Weimar in den Untergang 1918 bis 1933 Propyläen
[21] 서적 Der Mord an Rosa Luxemburg und Karl Liebknecht. Dokumentation eines politischen Verbrechens Suhrkamp
[22] 웹사이트 Wilhelm Pieck https://spartacus-ed[...] 2022-12-06
[23] 웹사이트 Ermordung von Karl Liebknecht und Rosa Luxemburg https://weimar.bunde[...] 2022-12-06
[24] 뉴스 Und ob wir dann noch leben werden … Der Mordfall Liebknecht/Luxemburg. Eine Exkursion zu den Tatorten in Berlin https://www.zeit.de/[...] 2008-09-01
[25] 서적 Eine Leiche im Landwehrkanal. Die Ermordung der Rosa L. Verlag 1900
[26] 서적 Die Geschichte der Rosa Luxemburg und ihrer Zeit Beltz und Gelberg
[27] 서적 Rosa Luxemburg in Selbstzeugnissen und Bilddokumenten Rowohlt
[28] 웹사이트 Es werden verurteilt http://www.lsg.musin[...] 1967
[29] 웹사이트 Ermordung von Karl Liebknecht und Rosa Luxemburg. Der Prozess https://weimar.bunde[...] 2024-06-06
[30] 서적 Canaris – Hitlers Abwehrschef Propyläen
[31] 웹사이트 1919 – Chronik der Ereignisse (14. Mai) http://novemberrevol[...] 2024-06-07
[32] 서적 Fiktion und Wirklichkeit: Die Darstellung Rosa Luxemburgs in der biographischen und literarischen Prosa https://books.google[...] Kulturmaschinen
[33] 서적 Tailoring Truth. Politicizing the Past and Negotiating Memory in East Germany, 1945–1990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34] 서적 Als Antibolschewist 1918–1919 Neuer Zeitverlag GmbH
[35] 뉴스 Ich ließ Rosa Luxemburg richten. SPIEGEL-Gespräch mit dem Putsch-Hauptmann Waldemar Pabst https://www.spiegel.[...] 1962-04-17
[36] 서적 Der Konterrevolutionär. Waldemar Pabst – eine deutsche Karriere Edition Nautilus
[37] 서적 Das wahre Gesicht des Wilhelm Franz Canaris https://books.google[...] DVG - Digitalverlag Grossrosseln
[38] 서적 Die Weimarer Republik Oldenbourg.
[39] 서적 Aufstieg und Untergang der Republik von Weimar 1918–1933 Ullstein
[40] 서적 Weimar: Deutschland 1917–1933 Siedler
[41] 서적 Deutschland auf dem Weg zu sich selbst. Eine Jahrhundertgeschichte Hohenheim-Verlag
[42] 서적 Weltkrieg und Revolution, 1914–1918/19 be.bra.
[43] 서적 Am Anfang war Gewalt: Die deutsche Revolution 1918/19 und der Beginn der Weimarer Republik Propyläen
[44] 웹사이트 The Spartacist Revolt http://www.bbc.co.uk[...] BBC 2015-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