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자 룩셈부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자 룩셈부르크는 폴란드 출신으로 스위스와 독일에서 활동한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자 이론가이다. 1871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러시아 정부의 탄압을 피해 스위스로 망명하여 취리히 대학교에서 학업과 정치 활동을 병행했다.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당내 좌파 활동을 전개하며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비판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반전 운동을 주도했다. 카를 리프크네히트 등과 스파르타쿠스단을 결성하고 독일 공산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1919년 1월 스파르타쿠스 봉기 이후 체포되어 살해당했다. 그녀는 자본주의의 붕괴를 주장하는 독자적인 자본 축적론과 '자발성과 조직의 변증법'을 제시했으며, 혁명적 사회주의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룩셈부르크의 사상은 레닌, 트로츠키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동독에서는 공산주의 순교자로 숭배되었으나, 폴란드에서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모시치 출신 - 프셰미스와프 티톤
    프셰미스와프 티톤은 폴란드 국적의 축구 골키퍼로, 에레디비시와 라리가에서 활약하며 폴란드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고, 유로 2012 개막전 페널티킥 선방, KNVB컵, 요한 크루이프 스할 우승, 에레디비시 우승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자모시치 출신 - 마레크 그레후타
    마레크 그레후타는 폴란드 출신의 가수, 작곡가, 배우로서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시도하며 폴란드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친 예술가이다.
  • 폴란드의 여자 정치인 - 한나 수호츠카
    한나 수호츠카는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폴란드 최초의 여성 총리를 역임했으며, 헌법학 연구, 하원 의원 활동, 법무장관 역임, 바티칸 대사 활동, 국제적인 활동과 아동 인권 보호 기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 폴란드의 여자 정치인 - 에바 코파치
    에바 코파치는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의사로, 폴란드 총리와 하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럽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독일의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가 - 카를 리프크네히트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반대 운동을 이끌고 독일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시도했으며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살해당해 독일 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가 - 이반 골
    알자스-로렌 출신의 독일-프랑스 이중 국적 시인이자 작가인 이반 골은 표현주의 운동을 시작으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주며 전쟁, 망명, 죽음에 대한 성찰을 담은 시와 희곡을 발표했다.
로자 룩셈부르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로자 룩셈부르크
원어 이름Róża Luksemburg
출생 이름로잘리아 루크센부르크
로마자 표기Rozalia Luksenburg
출생일1871년 3월 5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폴란드 입헌왕국 자모시치
사망일1919년 1월 15일
사망지독일 베를린
국적폴란드
시민권독일
학력
모교취리히 대학교
박사 학위1897년 7월 (법학 박사)
직업
직업경제학자
철학자
혁명가
사회운동가
소속 정당
소속 정당프로레타리아당 (1882–1886)
폴란드 왕국-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1893–1918)
독일 사회민주당 (1898–1915)
독일 독립사회민주당 (1917–1918)
스파르타쿠스단 (1915–1918)
독일 공산당 (1919)
개인 관계
배우자구스타프 뤼베크
동반자레오 요기헤스
코스티야 체트킨
부모에드바르트 엘리아시 루크센부르크, 리나 레벤슈테인
친척나탄 뢰벤슈타인 폰 오포카 (사촌)
기타 정보
로자 룩셈부르크 (1895년–1905년경)
로자 룩셈부르크 (1895년–1905년경)
종교무종교 (무신론)
서명

2. 생애

폴란드 출신의 독일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철학자, 경제학자, 반전 운동가, 혁명적 사회주의자이다.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SDKPiL)과 독일 사회민주당(SPD),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스파르타쿠스 연맹, 독일 공산당(KPD)에서 활동하며 제1차 세계 대전 반대 운동과 독일 혁명을 이끌었다. 그녀의 삶과 사상은 20세기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민주주의와 대중 행동을 통한 사회 변혁을 강조했다.

2. 1. 유년 시절과 성장 과정

룩셈부르크의 출생지인 잠우시(Zamość), 폴란드


로자 룩셈부르크는 1871년 3월 5일 (혹은 1870년[131]) 폴란드 남동부 자모시치에서 '''로잘리아 룩셈부르크'''(Rozalia Luxenburgpl)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9][10][130] 당시 폴란드는 프로이센, 러시아, 오스트리아에 의해 분할된 상태였고, 그녀가 태어난 곳은 러시아령 폴란드인 폴란드 입헌왕국이었다. 그녀의 집안은 폴란드 유대인이었으며, 아버지 에드워드 엘리아스 룩셈부르크 3세는 목재상이었고 어머니는 리네 뢰벤슈타인이었다.[130] 아버지는 개혁 유대교를 지지하는 자유주의적 성향이었고, 어머니는 종교적이면서도 독서를 즐겼다.[11] 가정은 자유주의적 지적 분위기를 가졌으며 경제적으로도 유복했고, 로자는 다섯 남매 중 막내였다. 그녀는 아버지로부터 자유주의 사상을, 어머니로부터는 학구적인 태도를 물려받았다고 회고했다.[11]

그녀의 할아버지 아브라함 룩셈부르크는 잠우시(Zamość)와 바르샤바를 중심으로 단치히, 라이프치히, 베를린, 함부르크까지 사업망을 가진 성공한 목재 사업가였다.[35][7] 그는 개혁 유대교 운동을 지지했고, 잠우시의 저명한 계몽주의 유대인(Maskilim) 회원이었다.[7] 그는 유대인 해방에 헌신했으며, 폴란드어이디시어를 구사했고 자녀들도 이 언어들을 사용하도록 했다.[7] 로자의 아버지 에드워드 역시 개혁 유대교 공동체의 주요 인물이었으며,[7] 1월 봉기 당시 폴란드 반군에게 무기를 제공하고 자금을 지원했다.[35] 봉기 실패 후 차르 경찰의 표적이 되어 바르샤바로 피신해야 했다.[7]

1873년, 로자의 가족은 바르샤바로 이주했다.[8][131] 그녀는 다섯 살 때 병을 앓아 엉덩이 문제로 잘 걷지 못하게 되었다. 집에서는 폴란드어독일어를 사용했고, 로자는 러시아어도 배웠다.[11] 그녀는 동유럽 유대인의 세계시민주의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며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고, 영어이탈리아어에도 능숙해졌다.[21][20][22]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가족에게 편지를 쓰고 폴란드 고전 시 판 타데우시를 낭송하며 친척들을 감탄시켰다.[7] 로자는 할아버지와 아버지로부터 유대인 정체성보다 폴란드인 정체성을 우선시하는 믿음을 물려받았으며, 폴란드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강한 유대감과 제정 러시아에 대한 반감을 가졌다.[7] 가족은 '모세 율법을 따르는 폴란드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졌다.[7] 가족은 유럽 전역에 흩어져 살았지만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로자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했다.[7]

12세 로자 룩셈부르크의 초상화, 1883년경


1884년, 로자는 바르샤바의 제2여자고등학교(체육관)에 입학하여 1887년까지 다녔다.[12][132] 이 학교는 폴란드인 학생을 거의 받지 않았고 유대인 학생의 입학은 더욱 드물었으며, 학생들에게 러시아어만 사용하도록 강요했다.[13] 로자는 학교의 러시아화 정책에 반발하여 폴란드 시인과 작가들의 작품을 공부하는 비밀 모임에 참여했다.[14] 1886년부터는 불법 폴란드 좌익 정당인 프롤레타리아트(Proletariat)에 가담하여 총파업을 조직하는 등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133] 이 당은 지도부 4명이 처형되고 해산되었으나, 남은 당원들은 비밀리에 활동을 이어갔다. 로자는 제정 러시아 정부의 반정부주의자 탄압에 분노하며 정치적으로 급진화되었다. 1887년, 그녀는 우수한 성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시험(마투라)에 합격했다.

취리히 대학교 정치학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기 위한 개회 논문. 스위스 유대인 박물관 소장.


프롤레타리아트당 활동으로 차르 경찰의 수배를 받게 되자, 로자는 시골에서 가정교사로 숨어 지내다[15] 1889년 체포를 피해 스위스로 망명했다.[16][134] 그녀는 취리히 대학교에 입학했는데, 이 대학은 여성이나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입학을 거부하지 않는 곳이었다. 그녀는 철학, 역사, 정치학, 경제학, 동물학[17][18] 및 수학[19]을 공부했고, 다음 해에는 법학부로 옮겨 국가학(Staatswissenschaftde), 국민경제학, 공법학을 전공했다. 취리히에서 그녀는 마르크스주의자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897년 봄, "폴란드의 산업 발전"(Die Industrielle Entwicklung Polensde)이라는 논문으로 법학 박사 학위를 최우수 평가로 취득했으며,[138] 이는 세계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면서 최초의 폴란드 여성 정치경제학 박사가 되는 영예였다.[16] [20]

1893년, 로자는 레오 요기체스, 율리안 마르흘레프스키(가명 율리우스 카르스키)와 함께 폴란드 사회당(PPS)의 민족주의 노선에 반대하며 신문 Sprawa Robotnicza|노동자의 대의pl를 창간했다.[135] 그녀는 폴란드 독립이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투쟁은 민족 독립이 아닌 자본주의 자체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민족 자결권 부정 입장은 훗날 블라디미르 레닌과의 주요한 이견 지점이 되었다. 같은 해, 그녀는 요기체스와 함께 폴란드 왕국 사회민주당(SDKP)을 공동 창당했다.[136] 이 당은 1899년 리투아니아 사회민주주의 조직과 합병하여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SDKPiL)이 되었다.[137] 독일에서 주로 활동했지만, 로자는 SDKPiL의 핵심 이론가로서 요기체스와 함께 당을 이끌었다.[16] 그녀는 폴란드 문화에 대한 애정을 간직했으며, 가장 좋아하는 시인으로 아담 미츠키에비치를 꼽았다. 또한 프로이센 분할 지역에서의 폴란드인에 대한 독일화 정책[21]과 러시아 제국 내 폴란드인에 대한 러시아화 정책[22] 모두에 격렬히 반대하며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2. 2. 스위스 망명과 학업

제정 러시아 정부의 반정부주의자 탄압과 수배를 피해[134] 1889년 스위스 취리히로 망명했다. 취리히 대학교는 당시 여성과 유대인에게도 입학을 허용하는 곳이었기에 철학부에 입학하여[134] 철학,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수학 등을 공부했다. 이후 법학부로 옮겨[131] 국민경제학, 공법학, 국가학(Staatswissenschaft|슈타츠비센샤프트deu), 중세사, 경제 및 증권 공황 이론 등을 연구했다.[134] 이 시기 룩셈부르크는 마르크스주의자로서의 사상적 기반을 다지기 시작했다.

1895년 스위스 유학 시절의 로자 룩셈부르크


학업과 병행하여 사회주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93년, 레오 요기헤스, 유리안 마르플레프스키 등과 함께 폴란드 사회당(PPS)의 민족주의 노선에 반대하며 잡지 『노동자의 대의』(Sprawa Robotnicza|스프라바 로보트니차pol)를 창간했다.[135] 룩셈부르크는 폴란드의 독립은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에서의 혁명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투쟁의 목표는 독립이 아닌 자본주의 자체에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35] 이는 소수 민족의 민족 자결권보다 계급투쟁과 국제적 연대를 우선시하는 입장이었으며,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과의 논쟁 지점이 되기도 했다. 같은 해(1893년), 요기헤스와 함께 폴란드 왕국 사회민주당(SDKP)을 창설했다.[136] 이 정당은 훗날 폴란드 공산당의 주요 전신 중 하나가 된다.[137] 1896년에는 제2인터내셔널 런던 대회에 SDKP 대표로 참석했다.[138]

학문 연구에도 매진하여 1897년, 「폴란드의 산업 발전」(Die industrielle Entwicklung Polens|디 인두스트리엘레 엔트비클룽 폴렌스deu)이라는 논문으로 취리히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최우수 성적으로 취득했다.[138] 1898년에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활동 무대를 독일로 넓혔고, 같은 해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2. 3. 독일 사회민주당 입당과 활동

1898년, 로자 룩셈부르크는 독일 시민권을 얻기 위해 구스타프 뤼베크와 형식적인 결혼을 하고[139] 베를린으로 이주했다.[140] 그녀는 당시 독일 사회민주노동당이었던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당내 좌파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입당 직후부터 당내 주류였던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에 맞섰다. 1899년 베른슈타인이 「사회주의를 위한 전제와 사회민주주의의 과제」를 발표하자, 룩셈부르크는 「사회개량인가, 혁명인가」라는 글을 통해 이를 강하게 비판했다.[141] 이 논쟁으로 룩셈부르크는 SPD의 주요 이론가이자 연설가로서 당내외는 물론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42]

전쟁의 조짐이 짙어지자, 룩셈부르크는 SPD가 점차 의회 활동에 안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비판했다. 그녀는 자본과 노동 사이의 근본적인 모순은 프롤레타리아가 권력을 장악하고 생산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해결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수정주의자들의 탈당까지 바랐다(비록 이것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입장은 의회 민주주의를 중시하던 당내 다수파 및 카우츠키와 같은 지도부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그러나 카우츠키 역시 당 강령에서 마르크스주의를 포기하는 데까지 나아가지는 않았다.

1900년 이후 룩셈부르크는 『라이프치히 인민신문』 등 유럽 전역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당시의 경제·사회 문제에 대한 분석과 의견을 활발히 발표했다. 1904년부터 1906년 사이에는 정치 활동 혐의로 세 차례 투옥되었으나,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특히 1905년 러시아 1차 혁명은 그녀의 입장을 더욱 급진적으로 만들었다. 그녀는 이 혁명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지했고, 총파업이야말로 노동자 계급의 중요한 투쟁 수단이라고 확신하며 이를 당의 공식 전술로 채택할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실제로 그녀는 혁명에 동참하기 위해 바르샤바로 갔다가 1906년 러시아 당국에 체포되어 2개월간 투옥되기도 했다.

1907년에는 런던에서 열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5차 대회에 폴란드 대표로 참석하여 레닌과 교류했으며, 같은 해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제2 인터내셔널 대회에서는 레닌과 함께 반전 결의안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143] 또한 1907년부터 베를린의 SPD 당 학교에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가르쳤는데, 이때 수강생 중에는 훗날 바이마르 공화국 초대 대통령이 되는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도 있었다.[144] 그녀는 점증하는 독일의 군국주의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갔다.

1910년 룩셈부르크는 노동자들의 단결과 총파업을 당의 핵심 전술로 삼아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작성했지만, 카우츠키가 편집장으로 있던 당 기관지 『신시대』(Die Neue Zeit)는 게재를 거부했다. 이 사건으로 카우츠키와의 결별은 불가피해졌다.[145]

1912년에는 SPD 대표로 유럽 사회주의 정당 대회들에 참석하여 프랑스의 사회주의자 장 조레스 등과 함께 전쟁 발발 시 유럽 노동자 정당들이 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약속했다. 1914년 발칸반도의 긴장이 고조되자, 룩셈부르크는 프랑크푸르트 등지에서 전쟁 반대 시위를 조직하고 양심적 병역 거부와 군 명령 불복종을 촉구했다. 이 때문에 "법과 질서에 대한 불복종을 선동"했다는 이유로 징역 1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46] 형 집행이 연기되어 같은 해 7월 브뤼셀에서 열린 국제 반전 회의에 참석했지만, 각국 사회주의 정당 내에서 민족주의계급 의식을 압도하는 현실을 확인하고 실망했다.[147]

1914년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 왕국에 선전포고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다. 8월 3일에는 독일 제국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하였다. 다음 날, 의회는 전시 국채를 발행하여 전쟁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만장일치로 결의하였다. SPD 의원들도 모두 이를 지지하였고[148] "성내 평화"라는 이름 아래, 전쟁 기간 동안 파업을 자제하고 정부와 휴전하기로 약속하였다. 이는 국제 노동자 운동의 연대 약속을 저버린 것으로, 제2 인터내셔널은 사실상 붕괴했다. 이 소식은 룩셈부르크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149], SPD 주류와의 결별을 확정짓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로자 룩셈부르크는 칼 리프크네히트, 클라라 체트킨 등 소수의 반전파들과 함께 독자적인 혁명 노선을 걷게 된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반전 운동

1918년 11월 4일, 독일 군항에서 발생한 수병들의 반란과 러시아 혁명 당시 소비에트를 본뜬 ‘노동자·병사 평의회’의 결성이 촉매가 되어 독일 혁명이 발발했다. 같은 달 9일 황제가 퇴위되자,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은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함께 공화정 신정부를 수립했고(수반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이 됨), 세력을 확장했다.

1918년 11월 9일 브로츠와프 감옥에서 석방된 로자 룩셈부르크[155]는 이미 석방된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함께 스파르타쿠스단을 재편하고, 11월 18일에는 기관지 Die Rote Fahne|디 로테 파네de(적기)를 발간했다.[156] 이 기관지에 실린 첫 논문에서는 모든 정치범에 대한 사면과 사형 제도 폐지를 요구했다.

한편, 급진파인 USPD 등을 달가워하지 않던 에베르트는 군부와 손을 잡았다. 이 협정으로 혁명으로 붕괴 직전에 놓였던 국군의 잔당과 국가주의자, 우익 등에 의한 반혁명 자유군단(독일 의용군, 프라이코르)이 창설되었고, 혁명파에 대한 무력 진압이 시작되었다. 12월 23일 좌파의 인민해병사단(Volksmarinedivision)이 일으킨 반란 진압을 둘러싸고 USPD는 강력히 항의하며 연립 정부에서 이탈했다.[157]

한편, 1918년 말 스파르타쿠스단은 USPD에서 다시 분리되어, 다른 사회주의자 및 공산주의자 그룹(독일 국제공산당(IKD) 포함)과 연합했다. 12월 30일[158]부터 이듬해 1919년 1월 1일까지 열린 창립 대회에서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를 지도자로 하는 독일 공산당(KPD)이 탄생했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의회가 될 전국 헌법 제정 의회에는 반대했지만, 1월 19일에 예정된 의회 선거에는 참가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당내 지지를 얻지 못했고, 독일 공산당의 선거 불참이 당 대회에서 결의되었다.[159]

1월, 독일 혁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1월 4일 베를린 경찰청장 에밀 아이히호른(Emil Eichhorn)이 해임되자, 다음 날인 5일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베를린 각지의 주요 시설들이 무장한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한 혁명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리프크네히트와 독립사회민주당의 게오르크 레데부어(Georg Ledebour) 등이 이러한 움직임을 지지했기 때문에, 이 봉기는 일반적으로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라고 불리게 된다. 그러나 이 봉기는 공산당(스파르타쿠스단)이 계획한 것이 전혀 아니었고, 룩셈부르크를 비롯한 다른 공산당 간부들은 처음에 이 봉기에 강하게 반대했다고 한다.[160] 그러나 봉기에 가담하기로 결정된 후에는 혁명 완수를 호소하게 되었다.[161] 다음 날인 6일에는 총파업이 시작되었지만, 봉기측은 그 이상의 행동을 취하지 않았고, 그 사이에 체제를 정비한 에베르트의 SPD 정부는 자유군단을 출동시켜 혁명군에 대한 탄압을 본격화했다.[162] 1월 9일부터 15일까지의 격렬한 전투에서 스파르타쿠스단을 비롯한 혁명군은 궤멸되었고, 평의회(라테)도 해체되었다.

로자와 리프크네히트는 1월 15일 베를린에서 자유군단에 체포되어 수백 명의 동지들과 마찬가지로 살해되었다. 리프크네히트는 후두부를 맞고 신원 미상의 시체 안치소로 옮겨졌고, 로자는 총검으로 찔려 근처 강에 버려졌다.[163] 로자의 시체는 6개월 동안 방치되었고, 발견되었을 때는 신원 확인이 어려웠다고 한다. 이후, 시체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 정권에 의해 행방불명이 되었다. 2009년 5월, 베를린 샤리테 병원에서 로자의 것과 일치하는 신체적 특징을 가진 머리가 없는 시체가 발견되어 현재 조사 중이라고 보도되었다(나치에 의한 무덤 파괴도 이때 밝혀졌다).[164]

2. 5. 스파르타쿠스단 결성과 독일 혁명

1916년 2월 잠시 석방되었으나, 같은 해 7월부터 1918년 11월까지 다시 보호관찰 처분을 받았다. 이 기간에도 정치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개량주의적이고 관료화된 독일 사회민주당을 비판하며 급진 좌파 세력을 이끌었고, 이후 결성된 스파르타쿠스 연맹(스파르타쿠스단)의 지도부에 참여했다. 스파르타쿠스 연맹의 기관지인 《붉은 깃발》의 주요 필진이었으며, 1918년 12월 말 독일 공산당(KPD) 창립 총회에서 연설했다.

1918년 11월 4일 킬 군항 수병 봉기와 노동자·병사 평의회(라테) 결성을 계기로 독일 혁명이 발발했다. 11월 9일 황제가 퇴위하고,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이 연립하여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를 수반으로 하는 공화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룩셈부르크는 1918년 11월 9일 브레슬라우 감옥에서 석방되었다.[155] 그녀는 이미 석방되어 있던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함께 스파르타쿠스단을 재건하고, 11월 18일 기관지 《붉은 깃발》을 창간했다.[156] 창간호 첫 논문에서 그녀는 모든 정치범 석방과 사형제 폐지를 주장했다.

하지만 사회민주당의 에베르트 정부는 군부와 손을 잡고 구 군대와 우익 세력을 중심으로 반혁명 자유군단(프라이코르)을 창설하여 혁명 세력에 대한 무력 탄압에 나섰다. 12월 23일, 좌파 성향의 인민해병사단 봉기 진압을 둘러싸고 USPD는 연립 정부에서 탈퇴했다.[157]

1918년 말, 스파르타쿠스단은 USPD에서 분리되어 다른 좌파 그룹들(독일 국제공산당(IKD) 포함)과 연합하여 12월 30일부터 1919년 1월 1일까지 창립 대회를 열고 독일 공산당(KPD)을 창당했다.[158]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가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룩셈부르크는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을 위한 제헌의회 자체에는 반대했지만, 1월 19일로 예정된 선거 참여는 주장했다. 그러나 당 대회에서는 선거 불참이 결정되었다.[159]

1919년 1월, 베를린 경찰청장 에밀 아이히호른(Emil Eichhorn) 해임에 반발하여 1월 5일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고 무장 노동자들이 주요 시설을 점거했다. 이 봉기는 흔히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공산당(스파르타쿠스단)이 계획한 것이 아니었으며 룩셈부르크 등 지도부는 처음에 봉기에 반대했다.[160] 그러나 봉기가 시작되자 이를 지지하며 혁명 완수를 호소했다.[161] 1월 6일 총파업이 벌어졌으나 봉기군은 추가 행동에 나서지 못했고, 그 사이 에베르트 정부는 자유군단을 투입해 1월 9일부터 15일까지 격렬한 시가전 끝에 봉기를 잔혹하게 진압했다.[162]

1919년 1월 15일 밤,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자유군단에게 체포되었다. 리프크네히트는 후두부를 가격당한 뒤 살해되어 신원 미상자 안치소로 보내졌고, 룩셈부르크는 개머리판으로 심하게 구타당하고 총에 맞아 살해된 후 시신이 란트베어 운하에 던져졌다.[163][169] 시신은 1919년 5월 31일에야 발견되었다. 그녀의 동지였던 카를 리프크네히트, 레오 요기헤스, 후고 하세, 쿠르트 아이즈너 등도 비슷한 박해와 암살을 당했다. 룩셈부르크의 시신은 사망 90년 만인 2009년 베를린 샤리테 병원 지하실에서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으며,[164] 이로 인해 기존 묘지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170]

2. 6. 스파르타쿠스 봉기 참여와 죽음

1916년 7월부터 1918년 11월까지 보호관찰 처분을 받았지만, 로자 룩셈부르크는 이 기간에도 정치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그녀는 개량주의적이고 관료적인 독일 사민당을 비판하며 급진 좌파 세력을 이끌었고, 이후 결성된 스파르타쿠스 연맹의 지도부에 참여했다. 룩셈부르크는 스파르타쿠스 연맹의 기관지인 Die Rote Fahne|붉은 깃발de에 글을 기고했으며, 1918년 12월 말 독일 공산당 창립 총회에서 연설하기도 했다.

1919년 1월, 그녀는 스파르타쿠스 봉기에 막후에서 참여했다. 그러나 봉기는 실패로 돌아갔고, 1919년 1월 15일 밤 룩셈부르크는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함께 우익 성향의 민병대 조직인 의용군(Freikorps)에게 체포되었다. 체포 후 룩셈부르크는 심한 욕설과 함께 개머리판으로 구타당한 뒤 총에 맞아 살해되었다. 그녀의 시신은 란트베어 운하에 던져졌고, 넉 달 이상 지난 1919년 5월 31일에야 발견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탄압과 살해는 그녀의 동지였던 카를 리프크네히트, 레오 요기헤스, 후고 하세, 쿠르트 아이즈너 등 다른 좌파 지도자들에게도 가해졌다.

한편, 룩셈부르크가 사망한 지 90년이 지난 2009년, 베를린샤리테 병원 지하실에서 발견된 신원 미상의 여성 유해가 로자 룩셈부르크의 것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69] 이 발견으로 인해 베를린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에 있는 기존의 로자 룩셈부르크 묘가 실제 그녀의 묘가 아닐 수도 있다는 논란이 일었다.[170]

3. 수정주의 논쟁

로자 룩셈부르크는 베른슈타인수정주의를 비판하며 카를 카우츠키와 공동 전선을 폈지만, 카우츠키와는 미묘한 시각 차이를 보였다. 베른슈타인은 자본이 집중되고 독점화되는 경향과 동시에, 주식회사 제도를 통해 부가 분산되는 현상에도 주목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다고 보았다.

룩셈부르크와 카우츠키는 기존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면서도, 당시 명백히 나타나던 자본주의의 지속적인 생명력을 설명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우츠키는 과소 소비론을, 룩셈부르크는 자본 축적론을 각각 제시했다. 두 이론 모두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의 세계 팽창과 자본주의의 생존 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려 시도했다.

룩셈부르크의 자본 축적론은 자본주의가 당장의 생존을 이어가면서도 결국에는 몰락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에게 자본주의는 끊임없이 잉여 가치를 창출하고 착취해야만 유지될 수 있는 폐쇄적인 경제 체제였다. 자본주의는 잉여 자본을 투자하고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자본주의 이전 단계의 생산 방식(예: 식민지)을 자본주의 체제 안으로 흡수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생명력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언젠가 자본주의가 흡수할 수 있는 비자본주의적 영역이 사라지면, 더 이상 확대 재생산이 불가능해져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록 사민당은 카우츠키의 이론을 공식 당론으로 채택했지만, 당 내부적으로는 이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 노선에 대한 지지가 커지고 있었다. 베른슈타인은 공식적인 논쟁에서는 패배한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 당의 운영 방향은 그의 수정주의 노선을 따르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룩셈부르크가 독일 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게 된 것은 사민당 내 노선 갈등과 무관하지 않다.

4. 사상

로자 룩셈부르크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혁명가로서, 자본주의 비판, 혁명 전략, 사회주의 민주주의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독창적인 사상을 발전시켰다. 그녀의 사상은 당대 독일 사회민주당(SPD) 내 수정주의와 정통 마르크스주의 논쟁, 러시아 혁명의 경험, 그리고 폴란드의 독립 문제 등 복잡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형성되었다.

룩셈부르크는 특히 민족주의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국제주의적 사회주의 혁명을 강조했다. 1893년, 그녀는 레오 요기체스, 율리안 마흘레프스키 등과 함께 폴란드 사회당(PPS)의 민족주의적 경향에 반대하며 Sprawa Robotnicza|노동자의 대의pl를 창간했다.[16] 룩셈부르크는 폴란드의 독립이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투쟁의 초점은 민족 독립이 아닌 자본주의 자체에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이러한 민족 자결권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블라디미르 레닌과의 중요한 이론적 차이점이기도 했다. 그녀는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사회민주주의당(SDKPiL)의 핵심 이론가로서 활동하며 이러한 국제주의적 관점을 견지했다.[16]

그녀의 주요 사상적 기여는 혁명적 사회주의 민주주의, 자본 축적론, 그리고 자발성과 조직의 변증법 등의 개념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4. 1. 혁명적 사회주의 민주주의

룩셈부르크는 민주주의혁명의 필요성에 대한 헌신을 강조했다. 그녀의 민주주의 개념은 노동 계급이 더 높은 권위 없이 스스로를 "해방"시켜야 한다는 칼 마르크스의 견해와 유사하며, 이는 공산당의 역할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주류 공산주의와 차이를 보인다.[71]

룩셈부르크는 초기부터 러시아 혁명에서 나타난 권위주의적 경향을 비판했다. 그녀는 민주적 제도와 보호 없이는 "모든 공공 기관에서 삶이 사라진다"고 주장했으며, 자유의 부족은 결국 "소수 정치인들의 독재"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50] 그녀의 유명한 말은 다음과 같다.

정부 지지자들, 아무리 많더라도 한 정당의 구성원들에게만 자유가 주어진다는 것은 전혀 자유가 아닙니다. 자유는 항상 그리고 오직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자유입니다. 어떤 광신적인 "정의" 개념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 자유에서 교훈적이고 건전하며 정화하는 모든 것이 이 필수적인 특징에 달려 있으며, "자유"가 특별한 특권이 될 때 그 효과는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사회주의 민주주의는 사회주의 경제의 기반이 마련된 후 약속의 땅에서야 시작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중간에 충실하게 소수의 사회주의 독재자들을 지지한 가치 있는 사람들에게 일종의 크리스마스 선물처럼 오는 것이 아닙니다. 사회주의 민주주의는 계급 지배의 파괴와 사회주의 건설의 시작과 동시에 시작됩니다.


룩셈부르크는 감옥에서 저술하고 사후 파울 레비에 의해 출판된 "러시아 혁명" 에세이를 포함한 여러 글에서 볼셰비키의 정책, 특히 1918년 1월 제헌의회 해산과 민족 자결권 정책 등을 비판했다. 그녀는 볼셰비키의 전략적 실수가 관료주의와 같은 심각한 위험을 초래했다고 보았다. 또한 10월 혁명의 결점은 "국제 프롤레타리아의 완전한 실패"를 반영한다고 지적했다.[74] 그녀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75]

그러나 볼셰비키들이 오늘날 처한 어색한 입지는 그들의 대부분의 실수와 함께 국제적으로, 특히 독일 프롤레타리아가 그들에게 제기한 문제의 기본적인 해결 불가능성의 결과입니다. 반동적 제국주의 통치에 둘러싸인 단일 국가에서 그리고 인류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 나는 세계 대전의 격노 속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사회주의 혁명을 수행하는 것은 원을 그리는 것과 같습니다. 어떤 사회주의 정당이라도 이 과업에 실패하고 멸망할 것입니다 – 그것이 자기 포기의 정책을 지침으로 삼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에 대해 레닌이나 트로츠키와 같은 볼셰비키 이론가들은 룩셈부르크의 개념이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하지만, 1917년 러시아의 특수한 상황에는 적용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그들은 부르주아 정당과의 대결과 같은 실제 경험을 통해 마르크스주의 전략을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룩셈부르크 자신도 감옥에서 풀려난 후 독일 혁명 과정에서 바이마르 국민의회 문제에 직면했는데, 이는 볼셰비키가 러시아 제헌의회와의 갈등에서 겪었던 상황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76]

10월 혁명을 지켜본 룩셈부르크는 독일 노동자들이 스스로 혁명을 일으켜 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 "역사적 책임"이라고 주장했다.[77] 독일 혁명이 시작되자 그녀는 즉시 사회 혁명을 위한 활동에 나섰으며,[78] 이것이 볼셰비키 혁명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할 수 있는 길이라고 믿었다.[75]

일각에서는 룩셈부르크가 제시한 민주주의 개념의 모호함이 초기 단계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 요인 중 하나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룩셈부르크 자신은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연방에 관한 글을 통해 민주주의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4. 2. 자본 축적론

룩셈부르크는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비판하며 카를 카우츠키와 공동 노선을 취했지만, 자본주의의 생명력을 설명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베른슈타인은 주식회사를 통한 부의 분산 가능성을 제시한 반면, 룩셈부르크와 카우츠키는 기존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며 자본주의가 어떻게 지속되는지를 설명해야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우츠키는 과소 소비론을, 룩셈부르크는 자본 축적론을 주장하였다. 이 이론들은 당시 자본주의 국가들의 세계 팽창과 자본주의의 생명력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시도였다.

룩셈부르크의 자본 축적론은 자본주의가 현 단계에서 생존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몰락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 이론이다. 그녀는 자본주의가 폐쇄적인 경제체제만으로는 유지될 수 없으며, 끊임없는 억압과 착취를 통해 잉여를 창출해야만 생존 가능하다고 보았다. 자본주의는 잉여 자본을 투자하고 확대 재생산하기 위해, 식민지와 같은 '전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을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으로 흡수하고 통합하는 과정 속에서 생명력을 유지해 나간다는 것이다. 룩셈부르크는 결국 언젠가 자본주의가 흡수 통합할 전자본주의적 세계가 남아있지 않게 되면, 자본주의는 더 이상 확대 재생산할 수 없으므로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사민당은 카우츠키의 이론을 공식 당론으로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당 내부는 실제로는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 노선에 더 기울어져 있었다.

1907년 책을 읽는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의 경제학 저서로는 생전에 유일하게 출판된 『자본의 축적』(The Accumulation of Capital영어)이 있다.[79] 이 논쟁적인 저서에서 그녀는 자본주의가 새로운 공급원, 잉여가치 시장, 그리고 노동력의 보고에 접근하기 위해 비자본주의 지역으로 끊임없이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룩셈부르크에 따르면, 마르크스는 Das Kapital|자본론de에서 중요한 점을 간과했다. 즉, 프롤레타리아는 자신들이 생산한 상품을 모두 구매할 여력이 없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요 부족 때문에 폐쇄적인 자본주의 시스템 내에서는 자본가가 이윤을 완전히 실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본가들은 잉여 상품을 비자본주의 경제에 판매함으로써 이윤을 실현하려 하며, 이것이 바로 자본주의 국가들이 약소 경제를 지배하려는 제국주의 현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비자본주의 경제가 자본주의 시스템에 점점 더 흡수됨에 따라 그 경제들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비자본주의 경제가 파괴되면 잉여 상품을 떠넘길 시장이 더 이상 없어지고 자본주의는 붕괴할 것이라고 예측했다.[80]

『자본의 축적』은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마르크스주의 및 비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은 폐쇄적인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이윤 실현의 불가능성을 선언한 그녀의 논리가 순환적이라는 점과 그녀의 과소소비 이론에 기반한 설명이 다소 조잡하다는 점을 지적했다.[80]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시스템의 한계가 제국주의와 전쟁으로 이어진다는 그녀의 결론은 룩셈부르크가 평생 군국주의식민주의에 맞서 싸우는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79]

4. 3. 자발성과 조직의 변증법

'자발성과 조직의 변증법'은 룩셈부르크의 정치 철학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여기서 자발성은 민중적인 방식으로 계급 투쟁을 조직하는 것을 의미하며, 조직은 상향식 또는 전위주의적인 방식으로 계급 투쟁을 조직하는 것을 가리킨다. 룩셈부르크는 자발성과 조직이 서로 분리될 수 없거나 별개의 활동이 아니라, 하나의 정치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국면이라고 보았다. 즉, 하나가 없이는 다른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계급 투쟁이 기본적인 자발적 상태에서 시작하여 점차 민주적인 조직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그녀의 관점에서 비롯되었다.[81]

룩셈부르크는 유럽에서 일어난 대규모 파업, 특히 1905년 러시아 혁명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발성과 조직의 변증법' 이론을 발전시켰다.[82] 그녀는 제2 인터내셔널의 사회민주주의 정통과는 다른 입장을 취했는데, 사회주의 운동에서의 조직을 노동자들을 계몽하기 위한 일시적인 수단으로 간주했다.

사회민주주의는 단순히 현대 프롤레타리아 계급 투쟁의 구현이며, 그 투쟁은 그 자체의 역사적 결과에 대한 의식에 의해 추진된다. 대중은 실제로 그들 자신의 지도자이며, 변증법적으로 그들 자신의 발전 과정을 창조한다. 사회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성장하고, 강해질수록, 계몽된 노동자 대중은 그들 자신의 운명, 그들의 운동의 지도력, 그리고 그 방향의 결정을 그들 자신의 손으로 맡게 될 것이다.[83]


또한 그녀는 계급 투쟁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현대 프롤레타리아 계급은 어떤 책이나 이론에 제시된 계획에 따라 투쟁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다. 현대 노동자의 투쟁은 역사의 일부이며, 사회 진보의 일부이다."[84]

5. 저작

로자 룩셈부르크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혁명가로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펼쳤다. 그의 저작은 자본주의 비판, 제국주의 분석, 사회주의 혁명 전략, 민주주의자유의 중요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학문적, 정치적 논의를 제공한다.

주요 저서로는 1900년 발표된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1913년 출간된 대표작 《자본의 축적》, 제1차 세계 대전 중 집필한 《사회민주주의의 위기》(유니우스 팸플릿), 사후 출판된 《러시아 혁명》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논문, 기사, 연설문, 서한 등을 남겼다.

그의 저작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독일에서는 5권짜리 《전집》( Gesammelte Werkedeu, 1970-1975)과 6권짜리 《전집 서한》( Gesammelte Briefedeu, 1982-1997)이 출간되었다. 영어권에서는 14권으로 구성된 《로자 룩셈부르크 전집》(The Complete Works of Rosa Luxemburg, 2011-)이 출간 중이며, 주요 저작들을 선별하여 엮은 《로자 룩셈부르크 독자》(The Rosa Luxemburg Reader) 등도 있다. 한국어판으로는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등이 소개되었다.

5. 1. 주요 저서

로자 룩셈부르크는 다수의 중요한 저작을 남겼으며, 그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Sozialreform oder Revolution?deu): 1900년 발표된 저서로,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등이 주장한 수정주의적 사회 개혁 노선을 비판하고 사회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강조했다. 한국어 번역판이 출간되었다.
  • '''대중 파업, 정당 그리고 노동 조합''' (Massenstreik, Partei und Gewerkschaftendeu): 1906년 발표. 1905년 러시아 혁명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중 파업의 중요성과 정당, 노동조합의 역할을 분석했다.
  • '''자본의 축적''' (Die Akkumulation des Kapitalsdeu): 1913년 출간된 대표적인 경제학 저서이다.[79] 룩셈부르크는 이 책에서 카를 마르크스자본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자본주의 체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내부 시장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새로운 시장과 자원을 찾아 비자본주의 영역으로 끊임없이 팽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자본 축적 과정이 필연적으로 제국주의군국주의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79][80] 이 저서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이윤 실현 메커니즘과 과소소비 문제에 대한 분석으로 마르크스주의 및 비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로부터 다양한 논쟁과 비판을 불러일으켰다.[80][33]
  • '''사회민주주의의 위기''' (Die Krise der Sozialdemokratiedeu 또는 '''유니우스 팸플릿'''(Junius-Broschüre)): 1915년 감옥에서 '유니우스'라는 필명으로 작성하여 1916년 출간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을 포함한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국제주의 원칙을 버리고 각국 정부의 전쟁 수행을 지지한 것을 강하게 비판하며, 전쟁의 제국주의적 본질을 폭로하고 혁명적 국제주의를 호소했다. (영어 전문)
  • '''러시아 혁명''' (Die Russische Revolutiondeu): 1918년 감옥에서 집필되었고 사후에 출판되었다. 러시아 혁명을 프롤레타리아 혁명으로 규정하며 지지했지만,[72] 볼셰비키가 제헌의회를 해산하고 일당 독재와 테러 통치를 강화하는 등 비민주적인 정책을 펼치는 것에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와 비판을 제기했다.[74] 그는 자유민주주의 없는 사회주의는 불가능하며, 노동자 계급의 자발적인 참여와 광범위한 민주주의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50][75] 이러한 비판에 대해 블라디미르 레닌레프 트로츠키 등은 당시 러시아의 특수한 상황과 혁명적 실천의 필요성을 들어 반박했다.[76]


이 외에도 다수의 논문, 기사, 서한 등이 있으며, 그의 사상과 활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주요 저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저작연도영어 번역본 링크번역가영어 출판 연도
폴란드의 산업 발전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Polandeng)1898영어 본문테사 드칼로(Tessa DeCarlo)1977
국가의 방어에 관하여 (In Defence of Nationalityeng)1900영어 본문에말 갬샤릭(Emal Ghamsharick)2014
사회 개혁 또는 혁명? (Social Reform or Revolution?eng)1900영어 본문
프랑스의 사회주의 위기 (The Socialist Crisis in Franceeng)1901영어 본문
러시아 사회민주주의의 조직적 문제들 (Organizational Questions of the Russian Social Democracyeng)1904영어 본문
대중 파업, 정당 그리고 노동 조합 (The Mass Strike, the Political Party and the Trade Unionseng)1906영어 본문패트릭 라빈(Patrick Lavin)1906
민족 문제 (The National Questioneng)1909영어 본문
이론과 실천 (Theory & Practiceeng)1910영어 본문
자본의 축적 (The Accumulation of Capitaleng)1913영어 본문애그니스 슈바르츠실드(Agnes Schwarzschild)1951
자본의 축적: 반비판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 Anti-Critiqueeng)1915영어 본문
유니우스 팸플릿 (The Junius Pamphleteng)1915영어 본문
러시아 혁명 (The Russian Revolutioneng)1918영어 본문
러시아 비극 (The Russian Tragedyeng)1918영어 본문


5. 2. 주요 연설

로자 룩셈부르크의 주요 연설은 다음과 같다.

연설 제목연도원문
슈투트가르트 대회 연설1898[https://www.marxists.org/archive/luxemburg/1898/10/04.htm 영어]
하노버 대회 연설1899[https://www.marxists.org/archive/luxemburg/1899/10/11.htm 영어]
독일 사회민주당 뉘른베르크 대회 연설1908[https://www.marxists.org/archive/luxemburg/1908/09/14.htm 영어]


6. 평가와 유산

6. 1. 폴란드

로자 룩셈부르크 전기램프 제조 공장, 바르샤바, 1970년대


로자 룩셈부르크는 폴란드 국적이었고 폴란드 문화와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제2폴란드공화국 독립에 대한 반대와 후대 스탈린주의자들의 비판으로 인해 현대 제3폴란드공화국의 정치 담론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역사적 인물로 평가받는다.[6][20][35]

폴란드인민공화국 시대에는 그녀가 자란 바르샤바의 볼라 지역에 전기 램프 제조 시설이 세워져 그녀의 이름을 딴 Zakłady Wytwórcze Lamp Elektrycznych im. Róży Luksemburgpl (pl)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체제 변혁 이후, 이 공장은 1991년에 사유화되어 네 개의 다른 회사로 분할되었고, 공장 건물은 1993년에 매각되어 1994년부터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85]

과거 또는 현재 그녀의 이름을 딴 거리나 장소가 폴란드 여러 도시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슈프로타바에 있던 ulica Róży Luksemburgpl(로자 룩셈부르크 거리)는 2018년 9월 ulica Różanapl(장미 거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6]

로자 룩셈부르크의 이름을 딴 폴란드 내 장소 (과거 또는 현재)[87][91][88][89][90]
도시장소 유형비고
바르샤바거리 등
글리비체거리 등
벤진거리 등
슈프로타바거리2018년 9월 ulica Różanapl(장미 거리)로 변경[86]
우블린거리 등
폴코비체거리 등
우치거리 등



포즈난과 그녀의 출생지인 자무시 등 여러 폴란드 도시에서 그녀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우려는 노력이 있었다. 2019년 바르샤바에서는 그녀의 삶과 관련된 장소를 둘러보는 45분짜리 관광 투어가 조직되기도 했다. 또한 알프레드 예시온이 제작한 그녀의 동상이 1950년대 폴란드 조각 갤러리의 일부로 바르샤바 요새에 전시된 바 있다.[91]

그러나 그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2013년에는 포즈난에 있는, 그녀가 1903년 5월에 거주했던 건물의 기념비가 페인트로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했다.[92] 2021년에는 브로츠와프의 한 광장을 그녀의 이름으로 명명하자는 공식 청원이 있었으나, 지방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93]

6. 2. 독일

베를린에서는 매년 1월,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망일을 기념하여 Liebknecht-Luxemburg-Demonstration|리프크네히트-룩셈부르크 시위de (약칭 LL-Demode) 시위가 열린다. 이 시위는 그들의 사망일이 포함된 1월 둘째 주 주말에 베를린-프리드리히샤인의 프랑크푸르터 토르에서 시작하여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또는 Gedenkstätte der Sozialisten|사회주의자 기념관de)에 있는 그들의 묘소까지 이어진다.[65] 동독 시절에는 이 행사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정치인과 유명 인사들을 위한 행사로 여겨졌으며, 국영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되었다.[66]

평화혁명 기간 동안, 동베를린에서 열린 이 연례 행진은 동독 반체제 인사들이 체제에 대한 비판적인 요구를 제기하는 기회로 활용되었다. 1988년 1월 17일, 에리히 호네커 수상이 행진을 사열하는 동안, 한 무리의 반체제 인사들이 자유독일청년 대열 사이에서 로자 룩셈부르크의 저서 『러시아 혁명』(Die Russische Revolutionde)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인 "Freiheit ist immer Freiheit der Andersdenkenden|자유는 언제나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의 자유이다de"가 적힌 현수막을 펼쳤다. 이 책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와 소련의 검열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40] 당시 행진을 지켜보던 시민들은 동독 슈타지 요원들이 이 구호를 외친 사람들을 체포하고 구타하는 모습을 목격해야 했다.[67]

2019년 1월, 독일 좌파 정당들은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의 총살 100주기를 기념했다.[68][69][70]

매년 1월, 살해된 공산주의자들을 기리는 리프크네히트-룩셈부르크 시위(Liebknecht-Luxemburg Demonstration)의 2016년 베를린 현장


1919년,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룩셈부르크를 기리는 서정시 "비문"(Epitaphde)을 썼고, 쿠르트 바일은 1928년 "베를린 레퀴엠"(The Berlin Requiemde)에서 이 시에 곡을 붙였다.

붉은 로자도 이제 사라졌네,

그녀가 누운 곳은 보이지 않네.

그녀는 가난한 자들에게 삶이 무엇인지 말했지,

그래서 부자들은 그녀를 없애버렸네.

그녀가 평화롭게 잠들기를.


1926년 베를린-리히텐베르크에 세워졌다가 1935년 파괴된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 기념비(원래 명칭: Revolutionsdenkmal|11월 혁명 기념비de)는 모더니즘 건축가이자 이후 바우하우스 학장이 된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했다.[96] 이 기념비는 벽돌 덩어리를 이용한 구체주의 구성물 형태를 취했는데,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이 사람들(로자 룩셈부르크, 카를 리프크네히트 및 혁명의 다른 전사들) 대부분이 벽돌 담 앞에서 총에 맞았으므로, 기념비로는 벽돌 담을 세울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기념비 건립은 에두아르트 푸크스를 통해 의뢰되었으며, 기념비는 나치가 집권한 후 파괴되었다.

스파르타쿠스 연맹 지도자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를 기리는 기념비.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하여 1926년 준공되었으나, 나치에 의해 파괴됨


1951년, 리프크네히트와 룩셈부르크는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의 "사회주의자 기념관"(Gedenkstätte der Sozialistende)에 상징적인 묘지가 마련되었다.

옛 동독과 동베를린에서는 동독 공산당에 의해 룩셈부르크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졌다. 여기에는 로자 룩셈부르크 광장(Rosa-Luxemburg-Platz)과 지하철역이 있으며, 이들은 냉전 기간 동안 동베를린에 위치해 있었다. 광장 근처 보도에는 "Ich war, ich bin, ich werde sein|나는 있었다, 나는 있다, 나는 있을 것이다de"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폴크스뷔네(인민극장)도 로자 룩셈부르크 광장에 있다.

1989년 평화혁명과 독일 통일 이후, 베를린 시의회의 기독교민주연합(CDU) 대표들은 마르크스, 아우구스트 베벨, 리프크네히트, 룩셈부르크, 클라라 체트킨 등을 기리는 모든 거리와 광장의 이름을 변경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PDS와 사회민주당(SPD) 대표들의 반발로 논쟁이 커지자 이 문제에 대해 자문하기 위한 독립 위원회가 임명되었다. 위원회는 궁극적으로 "바이마르 공화국을 무너뜨리거나 동독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줄 만큼 오래 살지 못한 공산주의자들은 제거되어서는 안 된다"는 타협안을 권고했다.[97] 이러한 이유로, 옛 동베를린의 거리와 광장은 여전히 로자 룩셈부르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어 있다.

드레스덴에는 룩셈부르크의 이름을 딴 거리와 전차 정류장이 있으며, 독일 통일 후에도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티어가르텐 가장자리, 란트베어 운하(Landwehr Canal)의 남쪽 제방에는 그녀의 시신이 프라이코어프스 부대에 의해 운하에 버려진 장소를 표시하는 기념비가 민간 주도로 설치되었다. 기념비에는 로자 룩셈부르크의 이름이 대문자로 새겨져 있다.

베를린 란트베어 운하(Landwehr Canal)에 시체가 버려진 곳에 세워진 로자 룩셈부르크 기념비


독일 연방헌법수호청은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에 대한 숭배가 독일 연방공화국의 극좌 극단주의의 중요한 전통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한다.[5] 냉전 기간 동안,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는 동독의 집권당에 의해 순교자로 숭배되었고, 그 후신인 좌파당에 의해서도 계속해서 숭배되고 있다.[5]

여성주의자, 트로츠키주의자, 그리고 독일의 다른 좌파들은 특히 룩셈부르크의 사상에 관심을 보인다. 룩셈부르크주의자로 묘사되기도 한 어니스트 만델과 같은 저명한 현대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은 룩셈부르크의 사상을 전통적인 혁명 이론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으로 보았다.[98] 2002년, 베를린에서는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를 위한 행진에 1만 명이 참여했고, 9만 명의 사람들이 그들의 무덤에 카네이션을 헌화했다.[99]

6. 3. 러시아

룩셈부르크가 사망한 직후인 1919년 1월 18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연설에서 볼셰비즘에 대한 그녀의 평가를 지지하며 명성을 기렸다.[57] 레닌 역시 사후에 룩셈부르크를 노동 계급의 "독수리"라고 칭찬하며, 그녀의 업적이 다른 사회주의 혁명가들에게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62]

러시아의 혁명가 레온 트로츠키 또한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의 죽음을 공개적으로 애도했다.[63] 훗날 트로츠키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룩셈부르크를 비난한다고 주장하며 그녀를 자주 옹호했다.[11] 트로츠키는 "로자 룩셈부르크에게 손대지 마라!"라는 글에서, 룩셈부르크의 이론적 오류를 인정하면서도 스탈린의 비난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그렇다, 스탈린은 로자 룩셈부르크를 증오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러나 그만큼 더 우리의 의무는 양반구의 고용된 관리들에게 걸린 스탈린의 중상으로부터 로자의 기억을 보호하고 이 진정으로 아름답고, 영웅적이며, 비극적인 이미지를 모든 위대함과 영감을 주는 힘으로 젊은 프롤레타리아 세대에게 전달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64]

반면, 극좌파에 반대하는 이들과 비평가들은 룩셈부르크의 죽음에 대해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러시아 역사가 에드바르트 라진스키는 소비에트 정부가 리프크네히트와 룩셈부르크 같은 인물들의 활동에 해외 자금을 과도하게 지원하며 바이마르 공화국 등 서방 정부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전복하려 했다고 비판했다. 당시 소비에트 연방은 러시아 내전과 1921년 러시아 기근으로 극심한 기근을 겪고 있었다. 라진스키는 "굶주리는 모스크바가 전 세계 공산당에 자금을 대고 있었다. 사람들은 굶주림으로 부어 있었지만, 세계 혁명이 임박했기에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다"고 지적했다.[100] 스탈린은 1932년에 룩셈부르크를 사후에 "트로츠키주의자"로 규탄했다.[101][102]

한편, 바이마르 공화국에 거주하던 백색 이민(반공산주의 러시아 망명자)들은 독일 사회민주당과 프라이코르가 정치적 차이를 잠시 접어두고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를 성공적으로 진압한 것을 부러워하기도 했다. 이들은 스파르타쿠스 봉기를 볼셰비키 혁명과 같은 독일판 시도로 간주했다.[103] 1922년 해리 그라프 케슬러와의 대화에서 한 망명자는 다음과 같이 한탄했다.[103]

1만 5천 명의 러시아 장교들이 스스로 방어할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혁명에 의해 학살당했다니 치욕스럽다! 독일인들처럼 행동하지는 왜 않았을까? 그들은 로자 룩셈부르크를 그렇게 죽여서 그녀의 냄새조차 남기지 않았다.

6. 4. 대중문화 속의 로자 룩셈부르크

영화로는 1985년 서독에서 제작된 로자 룩셈부르크가 있다.

7. 유해 확인 논란

1919년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의 묘 사진


베를린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에 있는 로자 룩셈부르크의 묘


2009년 5월 29일, 독일 뉴스 잡지 ''Der Spiegel''의 온라인판인 ''슈피겔 온라인''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것으로 알려진 유해가 실제로는 다른 사람의 것일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고 보도했다.[51]

이 의혹은 베를린 샤리테 대학 법의학 및 법과학 연구소장인 마이클 초코스가 샤리테 의학사 박물관 지하실에서 머리, 발, 손이 없는 시신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초코스는 해당 시신의 부검 보고서에 의문을 품고 CT 스캔을 진행했다. 시신은 물에 잠겼던 흔적이 있었고, 스캔 결과 골관절염을 앓았으며 룩셈부르크처럼 다리 길이가 다른 40~50세 여성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의 한 연구소에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시신은 룩셈부르크가 살해된 시기와 같은 시대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스펠데 묘지에 안장된 시신에 대해 1919년 6월 13일에 실시된 최초 부검 기록은 초코스의 가설과 여러 면에서 모순되었다. 당시 부검 기록에는 고관절 손상이 없고 다리 길이 차이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또한 룩셈부르크가 소총 개머리판으로 맞았다는 증언과 달리, 두개골 상부에서 관련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1919년 검시관들은 시신의 머리 왼쪽 눈과 귀 사이에 구멍을 발견했지만, 출혈 흔적이나 총알은 찾지 못했다.

당시 부검에 참여했던 조수 법의학자 파울 프라엔켈은 자신이 검사한 시신이 룩셈부르크의 것이 맞는지 의심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고, 동료의 결론과 거리를 두는 부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러한 부검 기록과의 불일치와 목격자들의 증언(시신을 운하에 버릴 때 발목과 손목에 추를 달았다는 내용)을 토대로, 초코스는 발견된 시신이 물속에서 시간이 지나며 사지가 절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추가 조사를 진행했다.[51]

초코스는 시신의 신원을 확실히 밝히기 위해 DNA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의 팀은 룩셈부르크가 사용했던 우표에서 DNA를 찾으려 했으나, 그녀는 우표를 직접 핥지 않고 젖은 천을 사용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실패했다. 결국 연구팀은 룩셈부르크의 살아있는 친척을 찾기로 했고, 2009년 7월 독일 신문 ''빌트 암 존탁''은 룩셈부르크의 79세 조카딸 이레네 보르데를 찾았다고 보도했다. 그녀는 DNA 비교를 위해 머리카락 샘플을 제공했다.[127]

2009년 12월, 베를린 당국은 룩셈부르크의 무덤에 시신을 매장하기 전 부검을 위해 시신을 압수했다.[128] 같은 해 12월 말, 베를린 검찰청은 발견된 시신이 룩셈부르크의 것일 가능성이 있다는 정황은 있지만, 이를 확증할 결정적인 증거는 부족하다고 발표했다. 특히 조카딸에게서 얻은 DNA와 시신의 DNA가 일치하지 않았다. 초코스 역시 이전에 DNA 일치 확률이 40%에 불과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추가적인 조직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발견된 유해는 공개되지 않은 장소에 매장될 예정이라고 알려졌다.[129]

8. 참고 문헌


  • Abraham, Richard (1989). ''로자 룩셈부르크: 국제주의를 위한 삶''.
  • Basso, Lelio (1975). ''로자 룩셈부르크: 재평가''. 런던.
  • Bronner, Stephen Eric (1984). ''로자 룩셈부르크: 우리 시대의 혁명가''.
  • 토니 클리프 (1980) [1959]. "로자 룩셈부르크". ''국제 사회주의'' (런던) (2/3).
  • Dunayevskaya, Raya (1982). ''로자 룩셈부르크, 여성 해방, 그리고 마르크스의 혁명 철학''. 뉴저지.
  • Ettinger, Elzbieta (1988). ''로자 룩셈부르크: 일생''.
  • 파울 프뢸리히 (1939). ''로자 룩셈부르크: 그녀의 삶과 업적''.
  • 노먼 제라스 (1976). ''로자 룩셈부르크의 유산''.
  • Gietinger, Klaus (1993). ''란트베어 운하의 시체 – 로자 L.의 살인'' (Eine Leiche im Landwehrkanal – Die Ermordung der Rosa L.de). 베를린: Verlag. ISBN 978-3-930278-02-2.
  • Gietinger, Klaus (2019). ''로자 룩셈부르크의 살인'' (The Murder of Rosa Luxemburg영어). Halborn, L. (translator). 뉴욕: Verso. ISBN 978-1-78873-448-6.
  • Hetmann, Frederik (1980). ''로자 룩셈부르크: 자유를 위한 삶''. 프랑크푸르트. ISBN 978-3-596-23711-1.
  • Jones, Mark (2016). ''바이마르 건국: 폭력과 1918-1919년 독일 혁명''.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1-107-11512-5.
  • Joffre-Eichhorn, Hjalmar Jorge (2021, ed.). ''Post Rosa: Letters against Barbarism''.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 뉴욕.
  • Kemmerer, Alexandra (2016). "로자 편집: 룩셈부르크, 혁명, 그리고 유아화 정치". ''유럽 국제법 저널'', 27권(3호), 853–864. doi:10.1093/ejil/chw046.
  • Hudis, Peter; Anderson, Kevin B., 편집. (2004). ''로자 룩셈부르크 독자''. Monthly Review Press.
  • Kulla, Ralf (1999). ''혁명적 정신과 공화주의적 자유. 한나 아렌트와 로자 룩셈부르크의 간과된 근접성에 관하여. 게르트 셰퍼의 서문과 함께''. 한노버 대학교 정치학 연구소 논의 자료. Band 25. 한노버: Offizin Verlag. ISBN 978-3-930345-16-8.
  • J. P. 네틀 (1966). ''로자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의 결정적인 전기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다.)
  • Roland Holst, Henriette (1937). ''로자 룩셈부르크: 그녀의 삶과 업적''. 취리히: Jean-Christophe-Verlag.
  • Shepardson, Donald E. (1996). ''로자 룩셈부르크와 고귀한 꿈''. 뉴욕.
  • Waters, Mary-Alice (1970). ''로자 룩셈부르크 연설''. 런던: Pathfinder. ISBN 978-0873481465.
  • Weitz, Eric D. (1997). ''독일 공산주의 창조, 1890–1990: 대중 항의에서 사회주의 국가까지''. 프린스턴, 뉴저지: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Priestand, David (2009). ''붉은 깃발: 공산주의 역사''. 뉴욕: 그로브 프레스.
  • Weitz, Eric D. (1994). "'로자 룩셈부르크는 우리 것이다!'" 독일 공산주의와 룩셈부르크 유산. ''중앙 유럽 역사'' (27: 1). pp. 27–64.
  • Evans, Kate (2015). ''붉은 로자: 로자 룩셈부르크의 그래픽 전기''. 뉴욕: Verso.
  • Luban, Ottokar (2017). ''1918년 11월 9일 이후 스파르타쿠스단의 역할과 KPD의 형성''. Hoffrogge, Ralf; LaPorte, Norman (eds.)에서. ''대중 운동으로서의 바이마르 공산주의 1918–1933''. 런던: 로렌스 & 위샤트. pp. 45–65.

참조

[1] 서적 Rosa Luxemburg. Ein Leben für die Freiheit
[2] 뉴스 The Murder of Rosa Luxemburg review – tragedy and farce http://www.theguardi[...] 2019-01-09
[3] 웹사이트 Cinco obras de Rosa Luxemburgo para recordar su legado https://www.tercerai[...] 2023-01-16
[4]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Vol. 2: The Golden Age W. W. Norton & Company
[5] 간행물 Gedenk an Rosa Luxemburg und Karl Liebknecht – ein Traditionselement des deutschen Linksextremismus https://www.verfassu[...] Federal Office for th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6]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7] 웹사이트 Rosa Luxemburg, Her Family and the Origins of her Polish-Jewish Identity https://www.praktyka[...] Praktyka Teoretyczna 2013-06-16
[8] 서적 Rosa Luxembu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Glossary of People: L http://www.marxists.[...] 2018-02-22
[10] 웹사이트 Matrikeledition https://web.archive.[...] 2018-02-22
[11] 웹사이트 Rosa Luxemburg: A Socialist With a Human Face https://web.archive.[...] 1998
[12] 웹사이트 Luxemburg, Rosa https://www.bundesst[...] Karl Dietz Verlag, Berlin &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Berlin 2019-01-16
[13] 서적 Rosa Luxemburg: Briefe aus dem Gefängnis: Denken und Erfahrungen der internationalen Revolutionärin https://books.google[...] Musaicum Books
[14]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15]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16]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17] 웹사이트 Rosa's secret collection https://www.exberlin[...] 2019-01-10
[18] 웹사이트 Rosa Luxemburg: A Thousand More Things https://www.wikidata[...]
[19] 학술지 A "plant love story": The lost (and found) private herbarium of the radical socialist revolutionary Rosa Luxemburg https://www.wikidata[...] 2023-06-03
[20] 웹사이트 Róża Luksemburg. Pierwsza Polka z doktoratem z ekonomii https://ciekawostkih[...] 2019-06-24
[21]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22] 학술지 O wynaradawianiu (Z powodu dziesięciolecia rządów jen.-gub. Hurki) 1893-07
[23]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24]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25] 서적 O rewolucji: 1905, 1917 Instytut Wydawniczy "Książka i Prasa"
[26] 서적
[27] 서적
[28] 뉴스 Selbst im Gefängnis Trost für andere http://www.zeit.de/1[...] Die Zeit (online) 1984-10-05
[29] 웹사이트 Heute war mir Dein süßer Brief ein solcher Trost https://www.rosalux.[...] Rosa-Luxemburg-Stiftung Gesellschaftsanalyse und politische Bildung e. V., Berlin
[30] 서적 Rosa Luxemburg: Gesammelte Briefe
[31] 서적
[32] 웹사이트 The Letters of Rosa Luxemburg, translated by George Shriver https://www.theglobe[...] 2011-03-25
[33] 서적
[34] 웹사이트 Wątek niemiecki w zapomnianej korespondencji Róży Luksemburg http://www.1917.net.[...] Instytut Politologii, Uniwersytet Zielonogórski 2011-09-28
[35] 웹사이트 Prawdziwe oblicze Róży Luksemburg? https://histmag.org/[...] 2020-04-18
[36] 논문 "'Rosa Luxemburg Belongs to Us!'"
[37] 서적 Red Rosa: A Graphic Biography of Rosa Luxemburg Verso
[38] 서적 Creating German Communism, 1890–1990: From Popular Protests to Socialist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9] 서적 Rosa Luxemburg Haymarket Books
[4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Rosa Luxemburg - Rosa-Luxemburg-Stiftung https://www.rosalux.[...]
[41]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 Chapter 6: The Problem of Dictatorship https://www.marxists[...] 2017-02-05
[42] 웹사이트 Die Krise der Sozialdemokratie (Junius-Broschüre) http://mlwerke.de/lu[...]
[43] 서적 Stalin: The First In-Depth Biography Based on Explosive Documents from Russia's Secret Archive Anchor Books
[44] 웹사이트 Der Rat der Volksbeauftragten https://www.dhm.de/l[...] 2024-05-01
[45] 웹사이트 Arbeiter- und Soldatenräte https://www.dhm.de/l[...] 2024-02-28
[46] 웹사이트 Long Live the Republic – 9 November 1918 http://www.dw.de/lon[...] 2014-11-30
[47] 서적 Spies and Commissars: The Early Years of the Russian Revolution Public Affairs Books
[48] 논문 The Role of the Spartacist Group after 9 November 1918 and the Formation of the KPD Lawrence & Wishart
[49] 서적 The Rosa Luxemburg Reader Monthly Review
[50]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Workers Age Publishers 1940
[51] 뉴스 Revolutionary Find: Berlin Hospital May Have Found Rosa Luxemburg's Corpse http://www.spiegel.d[...] 2014-11-30
[52] 뉴스 How Rosa Luxemburg Died http://nla.gov.au/nl[...] 1921-04-02
[53] 뉴스 Rosa Luxemburg Murder Case Reopened https://www.telegrap[...] 2014-11-30
[54] 서적 From Ambivalence to Betrayal: The Left, the Jews, and Israel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5] 서적 Spies and Commissars: The Early Years of the Russian Revolution Public Affairs Books
[56] 서적 Collected Works
[57] 서적 Waters
[58] 서적 Rosa Luxemburg Oxford University Press
[59] 웹사이트 Martyrdom of Liebknecht and Luxemburg http://revolutionary[...] 2018-02-22
[60] 서적 The murder of Rosa Luxemburg https://www.worldcat[...]
[61] 서적 Stalin: The First In-Depth Biography Based on Explosive Documents from Russia's Secret Archive Anchor Books
[62] 웹사이트 Ninety Years after the Murder of Rosa Luxemburg: Lessons of the Life of a Revolutionary http://www.marxist.c[...] 2015-05-18
[63] 웹사이트 Karl Liebknecht and Rosa Luxemburg http://www.marxist.c[...] 1919-01-15
[64] 웹사이트 Hands Off Rosa Luxemburg! http://www.marxist.c[...] 1932-06
[65] 웹사이트 Liebknecht-Luxemburg-Demonstration https://www.xhain.in[...] 2019-01-13
[66] 웹사이트 Luxemburg-Liebknecht-Demonstration https://www.jugendop[...]
[67] 서적 Berlin Basic Books
[68] 뉴스 Gloomy German left remembers murdered Rosa Luxemburg https://www.thelocal[...] 2019-01-13
[69] 웹사이트 Berlin: 15,000 Rally to Remembe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Assassination Of Communists Rosa Luxemburg and Karl Liebknecht https://xenagoguevic[...] 2019-01-13
[70] 웹사이트 What can we learn from Rosa Luxemburg, 100 years after her murder? https://www.thelocal[...] 2019-01-15
[71] 웹사이트 Rosa Luxemburg Was the Great Theorist of Democratic Revolution - Rosa-Luxemburg-Stiftung https://www.rosalux.[...] 2022-09-21
[72] 서적 Collected Works
[73] 웹사이트 The Nationalities Question in the Russian Revolution (Rosa Luxemburg, 1918) http://libcom.org/li[...] Libcom.org 2006-07-11
[74] 서적 Collected Works
[75] 간행물 The Russian Tragedy https://www.marxists[...] 1918-09-00
[76] 서적 Collected Works
[77] 서적 Collected Works
[78] 서적 Collected Works
[79] 서적 The Essential Rosa Luxemburg: Reform or Revolution and The Mass Strike https://archive.org/[...] Haymarket Books 2008-00-00
[80]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W. W. Norton & Company
[81] 서적 Collected Works
[82] 백과사전
[83] 서적 Collected Works
[84] 서적 Collected Works
[85] 웹사이트 Kalendarium historii polskiego przemysłu oświetleniowego http://www.lighting.[...] 2008-10-23
[86] 웹사이트 Szprotawa – Ulica Róży Luksemburg – ulicą Różaną https://szprotawa.pl[...] Urząd Miejski w Szprotawie 2018-09-11
[87] 웹사이트 Komunikat w sprawie ul. Róży Luksemburg https://www.bedzin.p[...] Urząd Miejski w Będzinie 2018-01-19
[88] 간행물 Ulica Róży Luksemburg (dziś ulica Popiełuszki) https://biblioteka.t[...] Ośrodek "Brama Grodzka – Teatr NN" 1960-05-15
[89] 웹사이트 Dawnych bohaterów czar https://polkowice.eu[...] Urząd Gminy Polkowice
[90] 웹사이트 Słownik nazewnictwa miejskiego Łodzi (opracowanie autorskie) > L https://www.log.lodz[...] Łódzki Ośrodek Geodezji
[91] 뉴스 Warszawa potrzebuje Róży Luksemburg https://warszawa.wyb[...] Gazeta Wyborcza 2019-01-16
[92] 뉴스 Bohaterowie poznańskich ulic: Róża Luksemburg na zniszczonej tablicy https://poznan.nasze[...] Polska Press Sp. z o. o. 2013-03-05
[93] 뉴스 Skwer przy ul. Kleczkowskiej we Wrocławiu nie będzie nosił imienia Róży Luksemburg https://www.radiowro[...] Radio Wrocław 2021-04-22
[94] 논문 A "plant love story": The lost (and found) private herbarium of the radical socialist revolutionary Rosa Luxemburg 2023-06-03
[95] 서적 Rosa Luxemburg: Herbarium https://www.wikidata[...] Karl Dietz Verlag Berlin 2016-01-01
[96] 웹사이트 Mies van der Rohe https://www.facebook[...]
[97] 서적 Berlin Basic Books 2000-00-00
[98] 웹사이트 The Actuality of Ernest Mandel http://www.ernestman[...]
[99] 뉴스 Workers World Jan. 31, 2002: Berlin events honor left-wing leaders http://www.workers.o[...]
[100] 서적 Stalin: The First In-Depth Biography Based on Explosive Documents from Russia's Secret Archive Anchor Books 1996-00-00
[101]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Verso Books 2015-01-05
[102] 서적 Rosa Luxemburg: The Biograph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9-01-29
[103] 서적 Berlin in Lights: The Diaries of Count Harry Kessler (1918–1937) Grove Press 1990-00-00
[104] 뉴스 German corpse 'may be Luxemburg' http://news.bbc.co.u[...] BCC News 2009-05-29
[105] 뉴스 14 Badass Historical Women To Name Your Daughters After https://www.buzzfeed[...] 2016-01-13
[106] 웹사이트 Hristo Smirnenski Kimdir? http://hakkindabilgi[...] 2019-04-21
[107] 웹사이트 Die Geduld der Rosa Luxemburg (1986) https://www.rottento[...] 2019-03-30
[108] 웹사이트 Rosa Luxemburg http://www.imdb.com/[...] 2019-03-30
[109] 웹사이트 Rosa Luxemburg (Die Geduld der Rosa Luxemburg) https://www.independ[...] 2019-03-30
[110] 웹사이트 Rosa Luxemburg http://archive.org/d[...] 2019-03-30
[111] 웹사이트 Jean-Paul Riopelle "Tribute to Rosa Luxemburg" http://www.mnbaq.org[...] 2019-03-30
[112] 웹사이트 Mitchell {{!}} Riopelle – Nothing in Moderation https://www.newswire[...] 2019-03-30
[113] 서적 Europe central https://archive.org/[...] Viking 2005
[114] 학술지 The Desire of Nowhere – Nadine Gordimer's Burger's Daughter in a Trans-cultural Perspective https://www.ceeol.co[...] Instytut Slawistyki Polskiej Akademii Nauk
[115] 서적 The resurrections : a novel https://archive.org/[...] Four Walls Eight Windows 1994
[116] 백과사전 Balliol College, Oxford
[117] 뉴스 Balliol made them https://www.telegrap[...] 2010-04-27
[118] 웹사이트 Morskaya (Nautical), by Mumiy Troll https://mumiytroll.b[...] 2019-04-21
[119] 웹사이트 Langston Hughes – Kids Who Die https://genius.com/L[...] 2019-04-21
[120] 서적 Karl and Rosa : a novel https://archive.org/[...] Fromm International Pub. Corp 1983
[121] 서적 Time and time again
[122] 뉴스 The Radical Life of Rosa Luxemburg http://www.thenation[...] 2019-04-20
[123] 학술지 Max Beckmann's "Tribute" to Rosa Luxemburg 1997
[124] 웹사이트 Melrose Quartet https://melrosequart[...] 2019-11-07
[125] 웹사이트 About https://lux-magazine[...]
[126] 서적 Birds, Art, Life: A year of observation
[127] 뉴스 DNA of Great-Niece May Help Identify Headless Corpse http://www.spiegel.d[...] SpiegelOnline 2009-07-21
[128] 뉴스 Berlin Authorities Seize Corpse for Pre-Burial Autopsy http://www.spiegel.d[...] SpiegelOnline 2009-12-17
[129] 웹사이트 Rosa Luxemburg "floater" released for burial after 90 years http://open.salon.co[...] Salon.com 2009-12-30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163] 논문
[164] 뉴스 Mysterious Berlin corpse probably Rosa Luxemburg https://www.reuters.[...] 2019-02-17
[165] 서적 Gedenken an Rosa Luxemburg und Karl Liebknecht – ein Traditionselement des deutschen Linksextremismus https://www.verfassu[...] 연방헌법옹호청
[166] 서적 Gedenken an Rosa Luxemburg und Karl Liebknecht – ein Traditionselement des deutschen Linksextremismus https://www.verfassu[...] 연방헌법옹호청
[167] 웹사이트 The Mystery of Rosa Luxemburg’s Corpse https://observer.com[...] 2021-04-21
[168] 웹사이트 Central Cemetery Friedrichsfelde https://www.visitber[...] 2021-04-21
[169] 웹인용 독일 여성 혁명가 로자 90년 만에 시신 발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1-25
[170] 웹인용 ‘로자 룩셈부르크 시신 90년 만에 발견’ 엉뚱한 묘 조성해 논란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3-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