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는 불가리아의 마지막 차르이자, 불가리아 총리를 역임한 인물이다. 1943년 6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 정권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어 망명했다. 이후 사업가로 활동하다가 1990년대 불가리아로 돌아와 정치 활동을 시작, 2001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총리가 되었다. 그는 2005년까지 총리직을 수행했으며, 저서 출간 및 다양한 훈장 수여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계 불가리아인 - 엘리아스 카네티
    엘리아스 카네티는 불가리아 출신의 작가이자 사회학자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대표작으로는 사회 비판적 소설 『현혹』, 군중 심리 분석 논문 『군중과 권력』, 회고록 3부작 등이 있다.
  • 불가리아인의 차르 - 보리스 3세
    보리스 3세는 소피아에서 태어나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불가리아의 차르가 되어 정치적 격변과 암살 시도 속에서 "왕의 정부" 시대를 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가담 후 히틀러와의 회담 직후 사망하여 그의 아들 시메온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불가리아인의 차르 - 페르디난트 1세 (불가리아)
    페르디난트 1세는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출신으로 불가리아 공으로 선출되어 차르를 지냈으며 불가리아 독립을 선언하고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가 패전 후 퇴위하였다.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7년 시메온
2017년
출생일1937년 6월 16일
출생지브라나 궁전, 소피아, 불가리아 차르국
배우자마르가리타 고메스-아세보 이 세후엘라 (1962년 결혼)
자녀카르담
키릴
쿠브라트
콘스탄틴-아센
칼리나
아버지보리스 3세
어머니조반나 디 사보이아
가문삭스코부르크고타-코하리 가문
종교동방 정교회
서명
불가리아의 차르
즉위1943년 8월 28일
퇴위1946년 9월 15일
이전보리스 3세
이후'왕정 폐지, 바실 콜라로프 (대통령 권한대행)'
섭정1943년 8월 28일 – 1944년 9월 9일:

1944년 9월 9일 – 1946년 9월 15일:
총리보그단 필로프
페투르 가브롭스키 (권한대행)
도브리 보질로프
이반 이바노프 바그랴노프
콘스탄틴 무라비에프
키몬 게오르기에프
총리
임기 시작2001년 7월 24일
임기 종료2005년 8월 17일
대통령페타르 스토야노프
게오르기 파르바노프
부총리니콜라이 바실레프
리디아 슐레바
코스타딘 파스칼레프
플라멘 파나요토프
이전이반 코스토프
이후세르게이 스타니셰프
안정과 진보를 위한 국민운동 대표
임기 시작2002년 4월 6일
임기 종료2009년 11월 28일
이전신설
이후흐리스티나 흐리스토바

2. 왕실 역사

시메온은 보리스 3세 국왕과 요안나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3] 1943년 8월, 아버지 보리스 3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불과 6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4][5]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삼촌 키릴 공을 포함한 섭정단이 정무를 대행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불가리아는 추축국에 속해 있었으나 소련과는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44년 9월, 소련은 불가리아에 선전포고 후 붉은 군대를 진주시켰고, 곧이어 소련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가 발생하여 기존 섭정단이 축출되고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했다.[6] 이전 섭정들을 포함한 많은 구체제 인사들이 이후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처형되었다.[6]

1946년 9월, 소련군의 영향 하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제가 폐지되었다.[7] 이 국민투표는 기존 헌법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시메온 2세와 왕족은 불가리아에서 추방되어 이집트알렉산드리아로 망명했다. 이후 1951년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 하의 스페인이 망명을 허가하면서 스페인으로 거처를 옮겼다.[8]

2. 1. 즉위 과정

어린 시메온 공


불가리아의 시메온 공


시메온은 불가리아의 소피아에서 국왕 보리스 3세와 왕비 요안나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위로는 누나 마리야 루이자 공주가 있다. 시메온이 태어난 후, 아버지 보리스 3세는 그의 정교회 세례를 위해 공군 장교를 요르단강으로 보내 물을 떠오게 했다고 전해진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3년 8월 28일, 아버지 보리스 3세가 아돌프 히틀러와의 만남을 마치고 불가리아로 돌아온 직후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4][5] 시메온은 불과 6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여 시메온 2세로 즉위했다.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삼촌인 프레슬라프 공 키릴과 총리 보그단 필로프, 그리고 불가리아 육군 중장 니콜라 미호프가 섭정으로 임명되어 정무를 대행했다.[6]

당시 불가리아는 추축국의 일원이었으나, 소련과는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4년 9월 5일, 스탈린은 불가리아에 선전포고를 했고, 사흘 뒤 붉은 군대가 별다른 저항 없이 불가리아에 진입했다. 다음 날인 1944년 9월 9일, 소련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가 발생하여 키릴 공을 비롯한 섭정단은 폐위되고 체포되었다. 세 명의 섭정과 이전 세 정부의 모든 각료, 의회 의원, 군 수뇌부, 주요 언론인들은 1945년 또는 1947년 2월에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처형되었다.[6]

결국 종전 후인 1946년,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왕정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당시 9세였던 시메온 2세는 어머니 요안나 왕비와 함께 불가리아를 떠나 이집트로 망명길에 올랐고, 이후 스페인으로 망명지를 옮겼다. 스페인으로 이주한 후에는 미국의 밸리 포지 군사 아카데미 앤 칼리지를 졸업하고 실업가로서 활동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왕정 폐지



1943년 8월 28일, 아버지 보리스 3세 국왕이 아돌프 히틀러와의 만남 후 불가리아로 돌아와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시메온은 불과 6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4][5]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그의 삼촌인 키릴 공, 보그단 필로프 총리, 그리고 불가리아 육군의 중장 니콜라 미호프가 섭정으로 임명되어 정무를 맡았다.[6]

당시 불가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추축국에 가담했지만, 소련과는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4년 9월 5일, 스탈린은 불가리아에 선전포고를 했고, 3일 뒤 붉은 군대는 별다른 저항 없이 불가리아에 진입했다. 다음 날인 9월 9일, 소련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가 발생하여 키릴 공을 비롯한 섭정단은 폐위되고 체포되었다.[6] 이후 세 명의 섭정과 이전 정부의 각료들, 의회 의원, 군 수뇌부, 주요 언론인 등 많은 인물들이 1947년 2월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처형되었다.[6]

쿠데타 이후 왕족, 즉 요안나 왕비, 어린 시메온 2세, 그리고 그의 누이 마리아 루이차 공주는 수도 소피아 근교의 브라나 궁전에 머물렀다. 공산주의자인 토도르 파블로프, 베넬린 가네프, 츠베트코 보보셰프스키가 새로운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1946년 9월 15일, 소련 군대가 주둔한 상황에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이 투표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선포하는 안건에 대한 것이었으며, 공식 발표 결과 투표자의 95.6%가 군주제 폐지에 찬성했다.[7] 그러나 이 국민투표는 국가 형태 변경은 오직 대국민 의회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터르노보 헌법 규정을 위반했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왕정은 폐지되고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46년 9월 16일, 시메온 2세와 왕족은 불가리아에서 추방되었다. 그들은 상당량의 동산을 가지고 나가는 것이 허락되었으며, 처음에는 시메온의 외할아버지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망명 중이던 이집트알렉산드리아로 갔다. 시메온은 그곳에서 빅토리아 칼리지를 다녔다. 1951년 7월,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 하의 스페인이 망명을 허가하면서 왕족은 스페인으로 거처를 옮겼다.[8]

2. 3. 망명 생활

1943년 아버지 보리스 3세 국왕이 갑자기 사망하자, 시메온은 6세의 나이로 시메온 2세로 즉위했다. 정무는 삼촌인 프레슬라프 공 키릴과 보그단 필로프 총리 등이 포함된 섭정단이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에는 섭정이었던 키릴 공과 필로프 총리가 처형되었다.

왕족인 국왕 요안나와 시메온, 그리고 그의 누이 마리아 루이차는 소피아 근교의 브라나 궁전에 머물렀고, 토도르 파블로프, 베넬린 가네프, 츠베트코 보보셰프스키 등 세 명의 새로운 섭정(공산주의자)이 임명되었다. 1946년 9월 15일, 소련 군대가 주둔한 가운데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이 투표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선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공식 결과는 95.6%의 찬성으로 68년간 이어져 온 군주제가 폐지되었다.[7] 그러나 이 국민투표는 국가 형태 변경은 오직 차르가 소집한 대국민 의회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터르노보 헌법 규정을 위반한 것이었다.

1946년 9월 16일, 왕정 폐지에 따라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시메온 2세는 9세의 나이에 어머니 요안나 왕비, 누이 마리아 루이차 공주와 함께 불가리아에서 추방되었다. 왕족은 상당량의 동산을 가지고 나가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시메온의 외할아버지인 이탈리아의 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망명 생활을 하던 이집트알렉산드리아로 갔다. 그곳에서 시메온은 빅토리아 칼리지에서 공부했으며, 1951년에는 알바니아의 왕세자 레카 알바니아와 함께 수학하기도 했다.

이후 망명지를 스페인으로 옮겼다. 1951년 7월,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의 스페인 독재 정권이 시메온 가족에게 망명을 허가했기 때문이다.[8] 스페인으로 이주한 후에는 미국의 밸리 포지 군사 아카데미 앤 칼리지를 졸업했으며, 이후 실업가로서 생계를 유지했다.

3. 교육 및 경제 활동

마드리드에서 시메온은 리세 프랑세 드 마드리드에서 공부했다. 1955년 6월 16일, 18세가 되자 시메온은 터르노보 헌법에 따라 불가리아 국민에게 포고문을 읽고 자신이 불가리아의 차르임을 주장하며, 당시 불가리아를 통치하던 공산주의 정권의 원칙에 반대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1958년에는 미국 밸리 포지 군사 학교 및 대학교에 입학하여 "사관생도 릴스키 6883번"으로 알려졌으며, 소위로 졸업했다.[6] 다시 스페인으로 돌아와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법학과 경영학을 공부했다.

그는 이후 사업가가 되었다. 13년 동안 프랑스의 방위 및 전자 그룹인 톰슨의 스페인 자회사의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또한 은행, 호텔, 전자, 케이터링 분야의 고문으로 활동했다.

4. 결혼과 가족

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

5. 정치 활동

1989년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무너진 후, 시메온은 1990년에 새로운 불가리아 여권을 발급받았다. 1996년, 망명 50년 만에 조국으로 돌아온 그는 많은 환영을 받았으나, 초기에는 정치적인 활동 계획을 밝히지 않았다.[9] 그러나 경제 개혁의 어려움 속에서 전 국왕이자 서방에서의 사업 경험을 가진 그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커지자, 시메온은 정계 참여를 결심했다.

2001년, 그는 '시메온 보리소프 삭스코부르크고츠키'라는 이름으로 "개혁과 정치적 통합"을 내걸고 국민운동 시메온 2세(NMSP)를 창당했다. NMSP는 같은 해 6월 총선에서 예상을 깨고 압승하여 의회 과반수에 가까운 120석(총 240석)을 확보했다. 2001년 7월 24일, 시메온은 불가리아 총리로 공식 취임했으며, 소수 민족인 터키계 정당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MRF)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그의 내각은 주로 테크노크라트(전문 기술 관료)와 서방에서 교육받은 경제 전문가들로 채워졌다.

폴란드 대통령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예프스키와 시메온, 2003년 8월 28일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불가리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했으며, 미국이 주도한 이라크 전쟁에 연합군으로 참여했다. 그의 정부는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훗날 2007년 유럽 연합(EU) 가입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2년에는 평화를 향한 길 재단으로부터 평화의 길 상을 받기도 했다.[10]

2005년 총선에서 NMSP는 득표율 약 20%로 2위를 차지하여 불가리아 사회당(BSP)에 제1당 자리를 내주었다. 사회당의 세르게이 스타니셰프가 총리가 되었고, NMSP는 사회당 및 MRF와 함께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 시메온은 총리직에서 물러나 연립 정부 내에서 '연립 위원회 의장'이라는 비공식 직함을 맡았다. NMSP는 2007년 당명을 '안정과 진보를 위한 국민 운동'(National Movement for Stability and Progress)으로 변경했다.

2009년 총선에서 NMSP는 득표율 3.01%에 그쳐 의회 진출에 필요한 최소 득표율(4%)을 넘지 못하고 원외 정당으로 밀려났다. 선거 패배 직후인 2009년 7월 6일, 시메온은 당 대표직에서 사임하며 사실상 정계를 은퇴했다.[11]

5. 1. 불가리아 귀국

1990년, 1989년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무너진 지 몇 달 후, 시메온은 새로운 불가리아 여권을 발급받았다. 1996년, 군주제가 폐지된 지 50년 만에 시메온은 불가리아로 돌아왔고, 많은 곳에서 환영하는 군중의 환호를 받았다. 당시 그는 정치적인 의도를 보이지 않았고, 동유럽 혁명 이후 민주화를 상징하는 사건 정도로 여겨졌다.[9] 그는 귀국 전 텔레비전 인터뷰(1990)에서 불가리아 내 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그가 왕정 시대의 재산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초기 우호적인 여론은 점차 변화했다.

당시 불가리아는 경제 개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전 국왕이라는 상징성과 서방에서의 사업가 경력 덕분에 시메온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이 커졌다. 이에 부응하여 시메온은 2001년, '시메온 보리소프 삭스코부르크고츠키'라는 이름으로 불가리아 정치에 참여할 것을 선언했다. 그는 "개혁과 정치적 통합"을 목표로 새로운 정당인 국민운동 시메온 2세(NMSII, National Movement Simeon II)를 창당했다. 시메온은 800일 안에 국민들이 정부 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체감하고 삶의 질이 눈에 띄게 향상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NMSII는 2001년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는 돌풍을 일으켰고, 시메온은 불가리아 공화국의 총리로 취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불가리아 경제는 회복세로 돌아섰으며, 이는 훗날(2007년) 유럽 연합(EU) 가입의 발판이 되었다.

전 국왕이 총리가 된 것은 공산주의화로 왕위를 잃었던 다른 동유럽 왕족들에게 희망을 주기도 했지만, 유럽 의회 의원이 된 구 오스트리아 황제 가문의 오토 폰 합스부르크나 카를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부자 같은 사례 외에는 시메온과 같이 자국의 정부 수반이 된 경우는 나오지 않았다. 총리 취임 시 공화국 헌법에 선서한 것을 두고 왕위 포기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었으나, 시메온 자신은 "왕정 복고는 불가리아 국민이 결정할 문제"라며 직접적인 언급을 피해왔다.

2005년 총선에서 NMSII(2007년 National Movement for Stability and Progress|안정과 진보를 위한 국민 운동영어으로 개명)는 득표율 20%에 그쳐 제1당 자리를 불가리아 사회당(BSP)에게 내주었다. 사회당의 정부 구성이 난항을 겪은 끝에, 8월 15일 시메온의 NMSII는 사회당의 세르게이 스타니셰프가 이끄는 연립 내각에 참여하기로 결정했고, 시메온은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5. 2. 총리 취임과 불가리아 정치

1989년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붕괴된 후, 1990년에 시메온은 새로운 불가리아 여권을 발급받았다. 1996년, 군주제가 폐지된 지 50년 만에 그는 불가리아로 돌아왔고, 많은 곳에서 환영하는 군중의 환호를 받았다. 당시 그는 불가리아 내 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며[9], 정치적인 활동 계획은 없어 보였다. 그러나 이후 그가 총리직을 수행하면서 1945년 이전 군주제 하에서 소유했던 부동산 등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초기 우호적인 여론은 다소 변화했다.

2001년, 시메온은 '시메온 보리소프 삭스코부르크고츠키'라는 이름으로 정계 복귀를 선언했다. 그는 "개혁과 정치적 통합"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당인 국민운동 시메온 2세(NMSP, National Movement Simeon II)를 창당하고, 800일 안에 불가리아인들이 정부 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체감하고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당시 불가리아는 동유럽 혁명 이후 경제 개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전 국왕이자 서방에서 성공한 사업가라는 그의 배경은 국민들의 기대를 모았다.

NMSP는 2001년 불가리아 총선에서 42.74%의 득표율로 전체 240석 중 120석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2001년 7월 24일, 시메온은 불가리아 총리로 공식 취임했으며, 소수 민족인 터키계 정당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MRF)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그는 내각에 주로 테크노크라트(전문 기술 관료)와 서방에서 교육받은 경제 전문가들을 기용하여 경제 개혁에 집중했다. 그의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불가리아 경제는 회복세로 돌아섰고, 이는 훗날 2007년 유럽 연합(EU) 가입의 발판이 되었다. 또한, 불가리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했으며, 미국이 주도한 이라크 전쟁에 연합군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2002년에는 평화를 향한 길 재단으로부터 평화의 길 상을 받았다.[10]

전 국왕이 총리로 복귀한 사건은 공산화로 왕위를 잃었던 다른 동유럽 국가의 옛 왕족들에게 희망을 주었으나, 시메온과 같이 실질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회복한 사례는 드물다 (유럽 의회 의원이 된 오토 폰 합스부르크와 카를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부자 정도가 예외적이다). 총리 취임 시 공화국 헌법에 대한 선서가 사실상 왕위 포기로 해석되기도 했지만, 시메온 자신은 왕정 복고 여부에 대해 "불가리아 국민이 결정할 일"이라며 직접적인 언급을 피해왔다.

2005년 불가리아 총선에서 NMSP는 19.88%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하며 불가리아 사회당(BSP)에 밀렸다. 사회당의 세르게이 스타니셰프가 총리가 되었고, NMSP는 사회당 및 MRF와 함께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 시메온은 총리직에서 물러나 연립 정부 내에서 '연립 위원회 의장'이라는 비공식 직함을 맡았다. 2007년, NMSP는 당명을 '안정과 진보를 위한 국민 운동'(National Movement for Stability and Progress)으로 변경했다.

2009년 불가리아 총선에서 NMSP는 득표율 3.01%에 그쳐 의회 진출에 실패했다. 선거 직후인 2009년 7월 6일, 시메온은 당 대표직에서 사임하며 사실상 정계를 떠났다.[11]

6. 왕정 복고에 대한 입장

1990년, 1989년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붕괴된 지 몇 달 후, 시메온은 새로운 불가리아 여권을 발급받았다. 1996년, 군주제가 폐지된 지 50년 만에 시메온은 불가리아로 돌아왔고, 많은 곳에서 환영하는 군중의 환호를 받았다. 그는 당시 텔레비전 인터뷰(1990)에서 불가리아 내 재산에 대한 청구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이미 밝혔기에, 처음에는 정치적인 발표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9] 그러나 그가 총리직을 수행한 이후, 1945년 이전 군주제가 통치하던 시절의 광대한 토지나 부동산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러한 우호적인 사회 분위기는 점차 희미해졌다.

2001년, 당시 '시메온 보리소프 삭스코부르크고츠키'라는 이름을 사용하던 시메온은 "개혁과 정치적 통합"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당인 국민운동 시메온 2세(나중에 NMSP로 개명)를 창당하며 불가리아 정치 무대에 복귀할 것을 선언했다. 그는 800일 안에 불가리아인들이 자신의 정부가 가져올 실질적인 긍정적 효과를 느끼고 삶의 질이 눈에 띄게 향상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시메온과 그의 가족은 아직 불가리아 왕위에 대한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는 않았다. 망명 기간 동안 정치적 발언에서는 "불가리아의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불가리아로 돌아온 이후, 그리고 자신의 정당 이름에 '시메온 2세'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불가리아 군주제 복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일관되게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12] 총리직을 맡으면서 시메온은 공화국 헌법을 준수하겠다고 선서했다.

7. 저술 활동

시메온 2세


시메온은 프랑스어로 자서전 『불가리아의 시메온 2세, 특별한 운명』(Siméon II de Bulgarie, un destin singulier프랑스어)을 집필했다.[13] 이 책은 2014년 10월 22일 프랑스 파리유네스코 본부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14][15] 불가리아에서는 2014년 10월 28일에 출간되었다.[13]

8. 칭호 및 영예

(내용 없음)

8. 1. 칭호


  • 1937년 6월 16일 – 1943년 8월 28일: ''그의 왕자 전하'' 터르노보 공
  • 1943년 8월 28일 – 1946년 9월 15일: ''그의 폐하'' 불가리아차르 시메온 2세
  • 1946년 9월 15일 – 현재: ''그의 폐하'' 불가리아 차르 시메온 2세 (칭호상 및 예우)
  • 2001년 7월 24일 – 2005년 8월 17일: ''각하''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


2015년 5월 1일 불가리아 정교회는 웹사이트에 발표한 성명에서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를 불가리아 정교회 관구에서 열리는 모든 공적 및 사적 예배에서 불가리아의 차르로 지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8. 2. 왕조 훈장


  •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훈장 기사 및 그랜드 마스터[20]
  •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성 알렉산더 왕실 훈장 그랜드 마스터[20]
  •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용맹 왕실 훈장 그랜드 마스터[20]
  •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시민 공로 왕실 훈장 그랜드 마스터[20]
  •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군사 공로 왕실 훈장 그랜드 마스터[20]
  •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차르 시메온 2세 성년 기념 메달 수여

8. 3. 국가 훈장

wikitext

국가수여 기관훈장명등급/종류
불가리아스타라 플라니나 훈장1등급[21][22][23]
불가리아불가리아 국방부정의 훈장칼라[24]


8. 4. 외국 훈장 및 영예

8. 5. 기타 수상

9. 가계도


  • '''아버지''': 보리스 3세
  • * '''친할아버지''': 페르디난트 1세
  • ** '''친증조할아버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아우구스트 공
  • ** '''친증조할머니''': 오를레앙의 클레멘틴 공주
  • * '''친할머니''': 부르봉파르마 공주 마리 루이즈
  • ** '''친외증조할아버지''':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 ** '''친외증조할머니''': 양시칠리아 공주 마리아 피아
  • '''어머니''': 사보이 공주 조반나
  • * '''외할아버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 '''외친증조할아버지''': 움베르토 1세
  • ** '''외친증조할머니''': 사보이 공주 마르게리타
  • * '''외할머니''': 몬테네그로 공주 엘레나
  • ** '''외외증조할아버지''': 니콜라 1세
  • ** '''외외증조할머니''': 밀레나 부코티치

참조

[1] 웹사이트 Simeon Saxecoburggotski prime minister and former king of Bulgar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17
[2] 뉴스 Bulgaria http://news.bbc.co.u[...] 2015-04-14
[3] 웹사이트 Once upon a time in Bulgaria https://www.theguard[...] 2001-06-20
[4] 뉴스 Bulgarian Rule Goes to Son, 6. Reports on 5-Day Illness Conflict United Press 1943-08-28
[5] 서적 Crowns in Conflict John Murray (Publishers) Ltd. 1986
[6] 서적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yric Books Ltd. 1979
[7]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8] 웹사이트 History of King Simeon II http://www.kingsimeo[...] King Simeon 2017-05-12
[9] Youtube Симеон: Нямам материални имуществени претенции към България https://www.youtube.[...] quoted video in a follow-up conversation 2014-02-03
[10] 웹사이트 The Path to Peace Foundation homepage http://www.thepathto[...] Thepathtopeacefoundation.org 2015-07-24
[11] 뉴스 Симеон Сакскобургготски подаде оставка https://web.archive.[...] Труд 2009-07-06
[12] 웹사이트 Will Bulgaria Become Monarchy Again? https://www.research[...] null
[13] 서적 Un destin singulier Flammarion 2014-10-29
[14] 웹사이트 Simeon II of Bulgaria presents a preview of his autobiography at UNESCO http://www.unesco.or[...] UNESCO 2014-10-22
[15] 서적 Simeón II de Bulgaria https://books.google[...] Ediciones Paraninfo, S.A. 2016-06-01
[16] 웹사이트 HIS MAJESTY KING SIMEON II – Royal Palace of Vrana http://dvoretz-vrana[...]
[17] 웹사이트 Biography: His Majesty King Simeon II of the Bulgarians http://www.kingsimeo[...]
[18] 웹사이트 Letter from Prime Minister Simeon Saxe Coburg Gotha to President Bush (September 13) https://web.archive.[...] Bulgaria-embassy.org 2001-09-13
[19] 뉴스 Simeon Saxe-Coburg-Gotha Enthroned by Holy Synod – News – BULGARIAN NEWS AGENCY http://www.bta.bg/en[...] Bta.bg
[20] 웹사이트 The Grand Master of the Bulgarian Orders http://www.kingsimeo[...]
[21] 웹사이트 null http://www.kingsimeo[...] 2016-02-29
[22] 웹사이트 Speech by King Simeon II at the ceremony of his award of the Stara Planina Order, Ist degree – H.R.H. King Simeon II http://www.kingsimeo[...] 2016-02-28
[23] 웹사이트 One World magazine – COUBURGS http://www.oneworld-[...] Oneworld-bg.net
[24] 웹사이트 Н.В. Цар Симеон II | Новини -> Симеон II получи най-високото отличие на Министерството на правосъдието https://archive.toda[...] Kingsimeon.bg 2009-05-26
[25] 웹사이트 Queen Anne of Romania and Princess Lilian of Belgium followed by King... News Photo http://www.gettyimag[...] Getty Images 2013-07-02
[26] 웹사이트 The Royal family attended the reception on the occasion of the Day of St. John the Baptist, patron of the Order of Malta – H.R.H. King Simeon II http://www.kingsimeo[...] 2016-02-28
[27] 웹사이트 The Majesties attended the celebrations of the 900th anniversary of the Sovereign Order of Malta – H.R.H. King Simeon II http://www.kingsimeo[...] 2016-02-28
[28] 웹사이트 MEMBERSHIP OF THE ROYAL ILLUSTRIUOS ORDER OF ST. JANUARIUS https://web.archive.[...] g/ The Royal House of the Two Sicilies
[29] 웹사이트 Membership of the Constantinian Order https://web.archive.[...] g/ Sacred Military Constantinian Order of Saint George
[30] Youtube - YouTube https://www.youtube.[...]
[31] 웹사이트 Цар Симеон II беше награден с почетния знак на Държавата Палестина | Н.В. Цар Симеон II https://www.kingsime[...]
[32] 웹사이트 SAINTANNA.RU – Кавалеры 1-й степени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SAINTANNA.RU – List of recipients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7 julio 1955 B. O. del E—Núm. 188 http://www.boe.es/da[...] 2009-05-28
[35] 웹사이트 BOE 238 de 02/10/2004 Sec 3 Pag 33224 a. 33224 http://www.boe.es/bo[...] 2004-10-02
[36] 뉴스 King Simeon II of Bulgaria Photos – Zimbio http://m.zimbio.com/[...] M.zimbio.com 2015-07-22
[37] 웹사이트 Н.В. Цар Симеон II | Новини -> Н.В. Цар Симеон ІІ получи медал и грамота в чест на 125-ата годишнина на 9-и пехотен полк на Княгиня Клементина https://archive.toda[...] Kingsimeon.bg 2015-07-22
[38] 웹사이트 Н.В. Цар Симеон II | Новини -> Негово Величество получи почетния знак на българските читалища https://archive.toda[...] Kingsimeon.bg 2015-07-22
[39] 웹사이트 Н.В. Цар Симеон II | Новини -> Н. В. Цар Симеон ІІ бе удостоен с наградата на Паневропейския съюз за големия му принос за европейската интеграция на България https://web.archive.[...] Kingsimeon.bg 2010-11-18
[40] 웹사이트 Н.В. Цар Симеон II | Новини -> Под заглавие "Ексклузивно от Букурещ – Симеон II посрещнат с почести" списание Hello публикува три страници за посещението на Техни Величества в румънската столица https://archive.toda[...] Kingsimeon.bg 2012-12-16
[41] 웹사이트 Simeón de Bulgaria recibe el título de hijo adoptivo de Madrid https://www.elmundo.[...] 2004-09-30
[42] 웹사이트 Н.В. Цар Симеон II | Новини -> Царят е патрон на Деня на България в Загреб https://archive.toda[...] Kingsimeon.bg 2010-05-24
[43] 문서 実際のブルガリア語の発音では、同じ子音クラスタ内の子音は有声化・無声化の影響を受けるため、{{Lang|bg|Сакскобургготски}}の{{Lang|bg|-гг-}}の部分が「クゴ」と発音されることはない。従って発音上は'''サクスコブルゴツキ'''が近い。
[44] 웹사이트 中東欧情報 - 欧州 - ジェトロ http://www.jetro.go.[...]
[45] 웹사이트 外務省: ブルガリア共和国 https://www.mofa.go.[...]
[46] 뉴스 http://www.bg-patria[...] 2015-08-30
[47] 뉴스 http://www.bg-patria[...] 2015-08-30
[48] 뉴스 Kardam, son of Bulgaria’s last king, dies at 52 http://sofiaglobe.co[...] 2015-04-07
[49] 웹사이트 ONLINE GOTHA/BULGARIA http://www.angelf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