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몬 마카베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몬 마카베오는 마타티아의 아들이자 유다 마카베오의 형제로,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항한 마카베오 항쟁에 참여했다. 그는 요나단 압푸스가 디오도투스 트리폰에게 사로잡히자 예루살렘에서 지도자로 선출되었으며,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와 동맹을 맺어 유대의 정치적 독립을 인정받았다. 기원전 141년 하스몬 왕조가 설립되었으며, 로마 공화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그는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항하여 유대인의 반독립을 이끌었으며, 기원전 135년 사위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암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해된 기원전 2세기 군주 - 나비스
    나비스는 쇠퇴하는 스파르타의 국력 회복을 위해 급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내부 반발과 대외 갈등을 야기하여 암살당하고 스파르타는 독립을 잃었다.
  • 살해된 기원전 2세기 군주 - 브리하드라타 마우리아
    브리하드라타 마우리아는 마우리아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영토가 축소되었고 장군 푸시야미트라 숭가에게 암살당해 숭가 왕조가 시작되었으며,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침공을 받았다.
  • 이스라엘의 군주 - 아각
    아각은 아말렉 왕의 칭호이자 고대 이스라엘과 아말렉 민족 간 갈등을 상징하는 성경 속 인물로, 사울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가 사무엘에게 죽임 당했으며, 에스델기에 등장하는 하만과 관련된 원한의 배경이 되었다.
  • 이스라엘의 군주 - 요한 히르카노스
    요한 히르카노스는 하스몬 왕조 유대의 지도자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향력 약화를 틈타 유대 독립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마리아 정복, 이두매아인 강제 개종, 로마 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호세아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는 앗시리아의 꼭두각시 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집트와 손잡고 독립을 추구하다가 사마리아 함락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며 통치를 마감했다.
시몬 마카베오
기본 정보
기욤 루이예의 "프로ンプトゥアリ・イコヌム・インシギオルム" (1553)에 묘사된 시몬 タッシ의 상상도
이름시몬 탓시
로마자 표기Simon Thassi
통치
마카베오 지도자142년 기원전 ~ 135년 기원전
이전 지도자요나단 아푸스
다음 지도자요한 히르카누스
다음 군주요한 히르카누스
이전 대사제요나단 아푸스
다음 대사제요한 히르카누스
가문
왕조하스몬 왕조
아버지마타티아스
종교
종교헬레니즘 유대교
사망
사망 년도기원전 135년
사망 장소도크

2. 명칭

"타시"라는 이름은 "현명한 자"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이는 "지도자", "안내자", "조언가", "열정적인 자"를 의미하기도 한다.[1][2] 이 시몬은 때때로 '''하스몬 왕조 시몬''', '''마카베오 시몬''' 또는 (라틴어에서) '''시몬 마카베우스'''로 구별되기도 한다.

3. 초기 생애 및 마카베오 항쟁

기원전 167년 시몬은 아버지 마타티아와 형 유다 마카비, 요나단과 함께 셀레우코스 왕조에 대한 봉기에 나섰다.[3] 유다 마카베오 아래에서 갈릴리 유대인을 구출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이후 동생 요나단의 지휘 아래에서 베테술과 욥바를 점령했다.[3]

요나단이 셀레우코스 왕조의 장군 디오도투스 트리폰에게 붙잡히자, 시몬은 유대인의 지도자가 되었다 (기원전 142년).[3] 요나단은 몸값을 지불했지만 풀려나지 못하고 처형되었다. 시몬은 유해를 수습하여 고향 모딘에 장례를 치르고, 부모와 형제를 위해 피라미드를 세우고 그리스풍 장식을 더했다.

4. 유대 지도자 즉위

디오도투스 트리폰이 요나단 압푸스를 포로로 잡자, 예루살렘에 모인 백성들은 시몬을 지도자로 선출하였다. 그는 즉시 수도의 요새화를 완료하고 욥바를 안전하게 만들었다.[4][5]

시몬은 하디드에서 트리폰의 진격을 저지하였는데, 트리폰은 유대에 진입하여 시리아의 왕위를 찬탈하려고 시도하였다. 트리폰은 무력으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요나단에 대한 몸값과 요나단의 아들들을 인질로 넘길 것을 요구했다. 시몬은 트리폰이 그를 속일 것을 충분히 알고 있었지만, 요세푸스와 마카베오기 1서는 그가 형을 위해 모든 것을 다 했다는 것을 백성들이 볼 수 있도록 두 요구를 모두 수락했다고 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나단은 배신당해 암살당했고, 인질들은 돌려보내지지 않았다. 이로써 시몬은 백성의 유일한 지도자가 되었다.[3]

5. 유대 독립 쟁취 및 통치

시몬은 형제인 유다 마카베오와 요나단 압푸스가 이끈 유대인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한 반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대인의 성공으로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지도자들은 그들에게 호의를 보였다. 안티오코스 6세는 시몬을 티레의 사다리에서 이집트까지 뻗어 있는 해안 지역의 군사 사령관인 ''스트라테고스''로 임명했다. 시몬은 ''스트라테고스''로서 베츠루와 욥바의 도시를 장악하고 유대군을 주둔시켰으며 아디다 요새를 건설했다.[3]

셀레우코스 장군 디오도투스 트리폰이 요나단을 포로로 잡자, 시몬은 예루살렘에 모인 백성들에 의해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그는 즉시 수도의 요새화를 완료하고 욥바를 안전하게 만들었다.[4][5] 그는 하디드에서 트리폰의 진격을 막았는데, 트리폰은 시리아 왕위를 찬탈하려고 시도했다. 트리폰은 무력으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요나단에 대한 몸값과 요나단의 아들들을 인질로 넘길 것을 요구했다. 시몬은 트리폰이 그를 속일 것을 알았지만, 요세푸스와 마카베오기 1서 모두 그가 형을 위해 모든 것을 다 했다는 것을 백성들이 볼 수 있도록 두 요구를 모두 수락했다고 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나단은 배신당해 암살당했고, 인질들은 돌려보내지지 않았다. 이로써 시몬은 백성의 유일한 지도자가 되었다.[3]

기원전 138년, 시리아 왕에 안티오코스 7세가 즉위하자, 아테노비오스를 파견하여 유대 요새의 반환을 요구했다. 시몬은 이를 거부했고, 시리아 측은 켄데바이오스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얌니아 주변을 약탈했다. 시몬은 아들 유다와 요한 히르카노스 1세에게 명하여 반격하게 했고, 승리를 거두었다.

기원전 135년 2월,[7] 시몬과 그의 두 아들 마타티아스, 유다는 예리코의 셀레우코스 총독인 사위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독에서 열린 연회에서 암살되었다. 시몬의 셋째 아들 요한 히르카누스는 그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대제사장과 통치자가 되었지만, 프톨레마이오스를 사로잡는 데는 실패했다.

5. 1.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디오도투스 트리폰에 반대하여, 시몬은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왕의 편에 서기로 결심하고, 그에게 대표단을 보내 과세 면제를 요청했다. 그의 요청은 받아들여졌고, 이는 유대의 정치적 독립이 인정되었음을 의미한다.[3]

시몬은 히브리인 하스몬 왕조의 첫 번째 군주가 되었으며, 기원전 142년부터 135년까지 통치했다. 하스몬 왕조는 기원전 141년에 채택된 결의안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이 결의안은 "제사장들과 백성, 그리고 그 땅의 장로들의 대규모 회의"에서 시몬을 "충실한 예언자가 나타날 때까지 영원히 그들의 지도자이자 대제사장으로 삼는다"는 내용이었다.[6]

기원전 139년경, 시몬을 대표하는 대표단이 로마에 있었을 때, 로마 공화국은 새로운 왕조를 인정했다. 이로써 시몬은 유대인들을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반독립시켰다.

당시 셀레우코스 제국은 왕위 쟁탈전을 벌이고 있었고, 기원전 142년, 군주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가 유대인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독립이 달성되었다. 지도자 시몬은 그대로 유대의 통치자가 되었고, 공문서와 계약서에는 "유대인의 대제사장, 장군, 지도자 시몬의 첫 해, 몇 월 며칠"이라고 기록되었다. 기원전 141년, 시몬은 게젤, 예루살렘의 요새 (아크라)를 공략하여 시리아의 거점을 제거했다. 시몬이 원로원에 사절을 파견했기 때문에, 이 독립 정부는 로마 공화국, 스파르타에서 승인받았고,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형태가 되었다. 사절 누메니오스는 로마로부터의 서한을 가지고 돌아왔다.

기원전 140년, 예루살렘에서 포고가 내려졌고, 청동 판에 다음과 같은 결의가 공식적으로 기록되었다. 유대 대집회는 시몬이 지도자가 되어 신뢰할 수 있는 예언자가 나타날 때까지 지도자·대제사장 지위를 맡는 것을 인정한다는 내용이다. 시몬과 자손은 지위의 세습을 인정받아 하스몬 왕조가 성립되었다. 『마카베오기』 1에 따르면, 제사장들과 민중들의 전면적인 찬동을 얻어 하스몬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이것은 하스몬 왕조 측의 의도가 포함된 문서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시몬은 왕권은 주장하지 않고, "민족 지도자 (에트나르케스)" 칭호를 사용했다.

5. 2. 하스몬 왕조 성립과 국제적 인정

시몬 마카베오 시대의 하스몬 왕국


기원전 142년, 셀레우코스 제국의 군주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가 유대인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유대는 독립을 달성했다. 지도자 시몬은 그대로 유대의 통치자가 되었고, 공문서와 계약서에는 "유대인의 대제사장, 장군, 지도자 시몬의 첫 해, 몇 월 며칠"이라고 기록되었다.[3] 기원전 141년, 시몬은 게젤, 예루살렘의 요새 (아크라)를 공략하여 시리아의 거점을 일소했다.

기원전 140년경, 시몬은 로마 공화국스파르타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유대 독립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시몬을 대표하는 대표단이 로마에 있었을 때, 로마 공화국은 새로운 왕조를 인정했다.[6] 사절 누메니오스는 로마로부터의 서한을 가지고 돌아왔다.

기원전 140년, 예루살렘에서 포고가 내려졌고, 청동 판에 다음과 같은 결의가 공식적으로 기록되었다. 유대 대집회는 시몬이 지도자가 되어 신뢰할 수 있는 예언자가 나타날 때까지 지도자·대제사장 지위를 맡는 것을 인정한다는 내용이다. 시몬과 자손은 지위의 세습을 인정받아 하스몬 왕조가 성립되었다.[6]마카베오기』 1에 따르면, 제사장들과 민중들의 전면적인 찬동을 얻어 하스몬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이것은 하스몬 왕조 측의 의도가 포함된 문서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몬은 왕권은 주장하지 않고, "민족 지도자 (에트나르케스)" 칭호를 사용했다.

5. 3. 시리아와의 갈등 및 군사적 승리

기원전 140년, 예루살렘에서 유대 대집회가 시몬을 지도자와 대제사장으로 임명하고, 그 지위가 세습되는 하스몬 왕조가 성립된다는 내용의 포고가 청동 판에 공식적으로 기록되었다. 『마카베오기』 1에 따르면, 제사장들과 민중들의 전면적인 찬동을 얻어 하스몬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이는 하스몬 왕조 측의 의도가 포함된 문서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시몬은 왕권은 주장하지 않고, "민족 지도자 (에트나르케스)" 칭호를 사용했다.[6]

기원전 138년, 안티오코스 7세가 시리아 왕에 즉위하자, 아테노비오스를 파견하여 유대 요새의 반환을 요구했다. 시몬은 이를 거부했고, 시리아는 켄데바이오스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얌니아 주변을 약탈했다. 이에 시몬은 아들 유다와 요한 히르카노스 1세에게 명하여 반격하게 했고, 승리를 거두었다.[3]

6. 암살

기원전 135년 2월,[7] 시몬은 그의 두 아들 마타티아스와 유다와 함께 예리코의 셀레우코스 총독이자 사위인 프톨레마이오스가 독에서 연 연회에서 암살되었다.[7] 시몬의 셋째 아들 요한 히르카누스가 그 뒤를 이어 대제사장과 통치자가 되었지만, 프톨레마이오스를 사로잡는 데는 실패했다.

7. 평가

시몬(시메온)은 하스몬 왕국과 로마 유대에서 약 3세기 동안 가장 인기 있는 남자 이름이 되었다. 이는 유대 국가의 독립을 쟁취한 유대 영웅을 기리기 위함이며, "시몬"이 그리스인들에게 인위적이거나 낯설게 들리지 않았기 때문이다.[8][9]

시몬 타시는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유대인의 독립을 이끌어낸 영웅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셀레우코스 제국은 왕위 쟁탈전을 벌이고 있었고, 기원전 142년, 군주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가 유대인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독립이 달성되었다. 시몬은 원로원에 사자를 파견하여 로마 공화국, 스파르타에서 독립 정부를 승인받았고,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기원전 140년, 예루살렘에서 유대 대집회는 시몬이 신뢰할 수 있는 예언자가 나타날 때까지 지도자·대제사장 지위를 맡는 것을 인정한다는 결의를 청동판에 공식적으로 기록하였다. 시몬과 자손은 지위의 세습을 인정받아 하스몬 왕조가 성립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Thassi http://net.bible.org[...]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2021-01-06
[2] 웹사이트 The Story of Chanukah http://www.chabad.or[...] 2016-12-11
[3] 웹사이트 Simon Maccabeus http://www.jewishenc[...]
[4] 성경 1 Maccabees 13:8-13:11 KJV
[5] 문서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Bk. 13, Ch. 6, § 4 http://www.gutenberg[...]
[6] 성경 1 Maccabees 14:41 KJV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OUP Oxford
[8] 서적 Judentum und Hellenismus: Studien zu ihrer Begegnung unter besonderen Berücksichtigung Palästinas bis zur Mitte des 2. Jahrhunderts vor Christus SCM Press 1974
[9] 서적 Jesus and the Eyewitnesse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