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편 84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편 84편은 시편 제3권의 시작을 알리는 시로, 이스라엘 공동체의 고난과 희망을 노래하며, 특히 하나님의 임재를 성전과 연결하여 당시 백성들의 심정을 반영한다. 고라 자손의 것으로 추정되며, 바빌론 유수기 전후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시편은 하나님의 거처에 대한 찬양과 그곳을 갈망하는 시인의 마음을 묘사하며, 세 부분으로 나뉘어 성전에 대한 사모함, 순례자들의 복, 하나님의 보호와 은혜를 노래한다. 시편 84편은 가톨릭교회와 잉글랜드 교회의 예배, 2차 세계 대전 중 퓌턴 마을의 사건, 앨번 W. 바클리 부통령의 연설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과 현대 사회에서 의미를 지니며,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요하네스 브람스 등 많은 작곡가들이 이 시편을 바탕으로 음악 작품을 만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편 - 시편 22편
    시편 22편은 다윗의 시로, 고통 속에서 구원을 간구하는 내용과 구원 후의 감사와 찬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대교에서는 왕족 또는 이스라엘 민족의 고난을 상징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예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예배 의식에서 사용된다.
  • 시편 - 시편 115편
    시편 115편은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고 우상 숭배의 허무함을 강조하며 하느님의 유일성과 전능하심을 선포하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느님을 의지할 것을 촉구하는 시편이다.
시편 84편
개요
제목시편 84편
부제만군의 여호와여, 주의 장막들이 어찌 그리 사랑스러운지요
종류찬가 시편 · 순례 시편
원작고라 자손
언어히브리어 (원어)
창작 시기기원전 6세기 또는 그 이전
관련 구절주의 뜰에 대한 언급은 회당과 교회에서 볼 수 있음 (샬롱-앙-샹파뉴 회당)

2. 문맥

시편 84편은 시편 89편까지 이어지는 시편 제3권의 시작을 알리는 시편이다. 시편 3권은 이스라엘 공동체가 겪는 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하나님께 희망을 두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이 시편은 하나님의 임재를 성전과 연결하며, 당시 사회적, 정치적 어려움 속에서 영적 위안을 찾는 백성들의 심정을 반영하고 있다.

시편 84편, 85편, 87편, 88편은 역대기에 성막의 문지기로 묘사된 고라 자손의 것으로 추정된다.

3. 배경 및 주제

시편 84편은 바빌론 유수기(기원전 6세기) 전후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3] 고라 자손에게 귀속되며, 다윗에 의해 시편으로 편찬되었다고 전해진다.[2][3]

이 시편은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에 대한 찬양으로 시작하며, 시인이 그곳을 갈망한다고 묘사한다. 하나님은 신성한 칭호인 만군의 주로 불리며, 시편의 시작과 끝에 등장한다. 시인은 단순히 하나님이 계신 곳뿐만 아니라 "살아 계신 하나님"의 임재를 갈망한다. 하나님은 "생명을 주시는 분"으로서 태양과 보호하는 방패로 동일시되며, "나의 왕, 나의 하나님"으로 불리며 생명 뒤에 있는 권능으로 묘사된다.

원래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은 예루살렘 성전을 의미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시편이 성전으로 가는 순례자들의 관점에서 쓰여졌다고 보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파괴된 솔로몬 성전을 복원하려는 포로 시대의 열망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기독교 사상에서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은 종종 영생과 동일시된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주의 뜰에서 하루가 천 날보다 낫다"는 구절이 인간의 삶에서 여러 날보다 하나님과 함께하는 평화롭고 영원한 하루가 더 낫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하는 등 상세한 주석을 남겼다. 제임스 루터 메이스는 시편 84편이 하나님의 거처를 묵상하는 모든 시편 중에서 특히 사랑받는 시편이며, 세 가지 팔복이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히브리어 עֵמֶק הַבָּכָאhe(6절)는 눈물의 골짜기 또는 눈물[4], 바카 골짜기로 번역되었다.[7]

4. 내용

시편 84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부분(1-4절)은 성전에 대한 간절한 사모함을 노래한다. 시인은 여호와의 궁정을 사모하여 쇠약해질 정도이며, 마음과 육체가 살아 계시는 하나님께 부르짖는다고 고백한다. 참새와 제비도 주의 제단에서 집을 얻는 것을 보며, 주의 집에 거하는 자들의 복을 찬양한다.

둘째 부분(5-8절)은 시온으로 순례를 떠나는 자들의 복을 노래한다. 주께 힘을 얻고 마음에 시온의 대로가 있는 자는 복이 있으며, 눈물 골짜기를 지날 때에도 샘과 이른 비의 축복을 받는다고 말한다. 순례자들은 힘을 얻고 더 얻어 시온에서 하나님 앞에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노래한다.

셋째 부분(9-12절)은 하나님의 보호와 은혜를 간구하는 내용이다. 시인은 하나님을 방패로 묘사하며,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살펴봐 달라고 간청한다. 주의 궁정에서의 하루가 다른 곳의 천 날보다 귀하며, 악인의 장막보다 하나님의 성전 문지기가 되는 것이 더 좋다고 고백한다. 하나님은 해와 방패이시며, 은혜와 영화를 베푸시고 정직하게 행하는 자에게 좋은 것을 아끼지 않으신다고 노래한다.

마지막으로 시인은 만군의 여호와께 의지하는 자가 복이 있다고 선포하며 시를 마무리한다.

4. 1. 히브리어 원문 및 번역

히브리어 원문개역개정 번역
1לַֽמְנַצֵּ֥חַ עַל־הַגִּתִּ֑ית לִבְנֵי־קֹ֥רַח מִזְמֽוֹר(고라 자손의 시, 인도자를 따라 깃딧에 맞춘 노래)
2מַה־יְּדִיד֥וֹת מִשְׁכְּנוֹתֶ֗יךָ יְהֹוָ֥ה צְבָאֽוֹת만군의 여호와여, 주의 장막이 어찌 그리 사랑스러운지요
3נִכְסְפָ֬ה וְגַם־כָּלְתָ֨ה נַפְשִׁי֘ לְחַצְר֪וֹת יְהֹ֫וָ֥ה לִבִּ֥י וּבְשָׂרִ֑י יְ֜רַנְּנ֗וּ אֶל־אֵ֥ל חָֽי내 영혼이 여호와의 궁정을 사모하여 쇠약함이여 내 마음과 육체가 살아 계시는 하나님께 부르짖나이다
4גַּם־צִפּ֨וֹר / מָ֪צְאָה בַ֡יִת וּדְר֚וֹר קֵ֥ן לָהּ֘ אֲשֶׁר־שָׁ֪תָה אֶפְרֹ֫חֶ֥יהָ אֶת־מִ֖זְבְּחוֹתֶיךָ יְהֹוָ֣ה צְבָא֑וֹת מַ֜לְכִּ֗י וֵֽאלֹהָֽי나의 왕, 나의 하나님, 만군의 여호와여 주의 제단에서 참새도 제 집을 얻고 제비도 새끼 둘 보금자리를 얻었나이다
5אַשְׁרֵי יֽוֹשְׁבֵ֣י בֵיתֶ֑ךָ ע֜֗וֹד יְהַֽלְל֥וּךָ סֶּֽלָה주의 집에 사는 자들은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항상 주를 찬송하리이다 (셀라)
6אַשְׁרֵ֣י אָ֖דָם ע֣וֹז לוֹ־בָ֑ךְ מְ֜סִלּ֗וֹת בִּלְבָבָֽם주께 힘을 얻고 그 마음에 시온의 대로가 있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
7עֹֽבְרֵ֚י בְּעֵ֣מֶק הַ֖בָּכָא מַעְיָ֣ן יְשִׁית֑וּהוּ גַּם־בְּ֜רָכ֗וֹת יַעְטֶּ֥ה מוֹרֶֽה그들이 눈물 골짜기로 지나갈 때에 그 곳에 많은 샘이 있을 것이며 이른 비가 복을 채워 주나이다
8יֵֽלְכוּ מֵחַ֣יִל אֶל־חָ֑יִל יֵֽרָאֶ֖ה אֶל־אֱלֹהִ֣ים בְּצִיּֽוֹן그들은 힘을 얻고 더 얻어 나아가 시온에서 하나님 앞에 각기 나타나리이다
9יְהֹוָ֚ה אֱלֹהִ֣ים צְ֖בָאוֹת שִׁמְעָ֣ה תְפִלָּתִ֑י הַֽאֲזִ֨ינָה אֱלֹהֵ֖י יַֽעֲקֹ֣ב סֶֽלָה만군의 하나님 여호와여 내 기도를 들으소서 야곱의 하나님이여 귀를 기울이소서 (셀라)
10מָ֣גִנֵּנוּ רְאֵ֣ה אֱלֹהִ֑ים וְ֜הַבֵּ֗ט פְּנֵ֣י מְשִׁיחֶֽךָ우리 방패이신 하나님이여 주께서 기름 부으신 자의 얼굴을 살펴 보옵소서
11כִּ֚י טוֹב־י֥וֹם בַּֽחֲצֵרֶ֗יךָ מֵ֫אָ֥לֶף בָּחַ֗רְתִּי הִ֖סְתּוֹפֵף בְּבֵ֣ית אֱלֹהַ֑י מִ֜דּ֗וּר בְּאָֽהֳלֵי־רֶֽשַׁע주의 궁정에서의 한 날이 다른 곳에서의 천 날보다 나은즉 악인의 장막에 사는 것보다 내 하나님의 성전 문지기로 있는 것이 좋사오니
12כִּ֚י שֶׁ֨מֶשׁ וּמָגֵן֘ יְהֹוָ֪ה אֱלֹ֫הִ֥ים חֵ֣ן וְ֖כָבוֹד יִתֵּ֣ן יְהֹוָ֑ה לֹֽא־יִמְנַ֥ע ט֜֗וֹב לַהֹֽלְכִ֥ים בְּתָמִֽים여호와 하나님은 해요 방패이시라 여호와께서 은혜와 영화를 주시며 정직하게 행하는 자에게 좋은 것을 아끼지 아니하실 것임이니이다
13יְהֹוָ֥ה צְבָא֑וֹת אַשְׁרֵ֥י אָ֜דָ֗ם בֹּטֵ֥חַ בָּֽךְ만군의 여호와여 주께 의지하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


5. 해석

시편 84편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시편 84편 5절, "주의 집에 머무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 그들이 항상 주를 찬송하리이다"는 아쉬레이 (시편 145편) 기도문에 첨부된 두 개의 서두 구절 중 첫 번째 구절이며, 이 기도는 샤하리트 (아침 기도) 동안 두 번, 민하 (오후 기도) 동안 한 번 낭송된다.[8] 13절, "만군의 여호와여 주를 의지하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는 페수케이 데짐라, 우바 레치온, 그리고 마아리브 (저녁 기도)의 시작 부분에서 ''베후 라춤'' 기도에 낭송되는 세 구절의 두 번째 구절이다.[9] 전통에 따르면, 이 그룹의 첫 번째 구절은 아브라함이, 이 구절은 이삭이, 세 번째 구절은 야곱이 낭송했다.[9] 13절은 또한 하브달라 의식의 시작 부분에 낭송되는 구원과 희망의 구절 중 하나이다.[10][11]

이 시편은 가톨릭교회의 교회와 제단 봉헌 의식의 일부이다.[12] 가톨릭교회와 마찬가지로, 시편 84편은 교회 봉헌식에 권장되었다. 이 시편은 또한 재건된 베를린-샤를로텐부르크의 루이젠교회의 50주년 ''Kirchweihfest''와 뮌헨에서 종교 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 등 교회 봉헌 기념일에도 사용되었다. 2006년 5월 7일, 프랑크푸르트 드라이쾨니히교회 125주년을 기념하는 예배에서 위르겐 자이들이 설교했으며, 바흐의 칸타타 ''주 하나님은 해와 방패시라'', BWV 79가 연주되었는데, 이 곡은 시편 84편을 인용하고 있다. 잉글랜드 교회의 ''공동 기도문''(Book of Common Prayer)에는 이 시편이 매월 16일 저녁에 읽도록 지정되어 있다.[13]

토머스 모어는 런던 탑에서 처형을 기다리면서 시편 84편에 주석을 달았는데, 다시 기독교 예배에 참여하고 싶다는 소망을 표현했다.

1944년 10월의 퓌턴 습격 동안, 나치 독일의 네덜란드 점령군은 퓌턴 마을을 공격하여 거의 모든 남성들을 강제 수용소로 끌고 갔으며, 그 중 소수만이 살아 돌아왔다. 추방당할 때 마을 남자들은 시편 84편을 불렀다. 전쟁 이후 매년 10월에 그 장소에서 열리는 기념 행사에서 합창단이 시편의 구절들을 노래한다.

1956년 4월 30일, 1949년부터 1953년까지 미국 부통령을 지냈고 대통령직을 얻는 데 실패한 후 상원으로 돌아온 앨번 W. 바클리 상원 의원은 워싱턴 앤드 리 모의 전당대회에서 기조 연설을 했다. 바클리는 상원으로 복귀했을 때, "나는 뒷자리에 앉게 되어 기쁩니다. 왜냐하면 나는 강한 자들의 자리에 앉는 것보다 주의 집에서 문지기가 되는 것을 더 원하기 때문입니다."라고 시편 84:10을 언급했다.[14] 그는 이어서 무대에서 쓰러져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5]

6. 현대적 의의

시편 84편은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5절은 "주의 집에 머무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라는 구절로, 샤하리트(아침 기도)와 민하(오후 기도) 때 낭송되는 아쉬레이 (시편 145편) 기도문에 포함되어 있다.[8] 13절은 페수케이 데짐라, 우바 레치온, 마아리브(저녁 기도)의 ''베후 라춤'' 기도에 사용되며, 하브달라 의식의 시작 부분에도 낭송된다.[9][10][11]

가톨릭교회에서는 교회와 제단 봉헌 의식에 사용되며,[12] 잉글랜드 교회의 ''공동 기도문''에서는 매월 16일 저녁에 읽도록 지정되어 있다.[13] 토머스 모어는 런던 탑에서 처형을 기다리면서 시편 84편에 주석을 달아 예배 참여에 대한 소망을 표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퓌턴 습격 당시 강제 수용소로 끌려가던 퓌턴 마을 남자들은 시편 84편을 불렀으며, 이후 매년 열리는 기념 행사에서 합창단이 이 시편을 노래한다.

앨번 W. 바클리 미국 부통령은 워싱턴 앤드 리 모의 전당대회 기조 연설에서 시편 84편 10절을 인용하며 "강한 자들의 자리에 앉는 것보다 주의 집에서 문지기가 되는 것을 더 원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14] 그는 연설 직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5]

7. 음악적 해석

시편 84편은 다양한 음악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16] 요한 헤르만 샤인은 마르틴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번역본의 첫 구절을 사용하여 모테트 ''Wie lieblich sind deine Wohnungen''을 1628년에 작곡했다. 하인리히 쉬츠는 독일어로 이 시편을 그의 작품 2번, ''Psalmen Davids sampt etlichen Moteten und Concerten''(다윗의 시편과 몇 개의 모테트와 협주곡)의 일부로 설정했다.[16] 앙리 뒤몽은 1652년에 한 곡을 작곡했으며, 미셸 리샤르 델랄랑드는 S.12로 한 곡을 설정(1683년 이전)했다.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는 독창자, 이중 합창, 플루트, 현악기, 통주 저음을 위한 2곡(1675년)인 ''Quam dilecta: Psalmus David octogésimus tertius,'' H.167과 3성부, 2개의 고음 악기, 통주 저음을 위한 1곡(1680) H.186을 작곡했다. 샤를 위베르 제르베(1723), 앙드레 캉프라(1725), 장-필리프 라모(1722년 ?), 프랑수아 지루스트(1779)도 시편 84편을 작곡했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1725년 종교개혁 기념일을 위해 작곡한 칸타타 ''Gott der Herr ist Sonn und Schild'', BWV 79의 첫 번째 악장으로 11절을 설정했다. 요한 유스투스 칼레는 오스트라우의 교회 봉헌을 위해 소프라노, 오보에 2대, 바이올린 2대, 통주 저음을 위한 4개의 시편 칸타타 중 하나로 이 시편을 설정했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독일어 1, 2, 4절을 "Wie lieblich sind deine Wohnungen"(당신의 거처가 얼마나 사랑스러운지)으로 그의 독일 레퀴엠, ''Ein deutsches Requiem'', 작품 45번의 네 번째이자 중심 악장으로 포함했다. 프리드리히 킬은 그의 6개의 모테트, 작품 82의 3번으로 처음 2절을 설정하여 1883년에 출판했다.

알렉시 드 카스티용은 루이 갈레의 ''Paraphrase du Psaume 84''(시편 84편의 의역)를 독창자,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해 그의 작품 17번으로 설정했다.

빌헬름 켐프의 설정 표지


1913년, 빌헬름 켐프는 베를린 대성당 합창단을 위해 아카펠라 합창을 위한 곡을 그의 작품 1번으로 작곡했다. 캐서린 케니코트 데이비스는 크리스마스 캐럴 "The Little Drummer Boy"의 작곡가로, 1952년에 1-3절(당신의 거처가 얼마나 사랑스러운지)을 목소리와 피아노 또는 오르간을 위해 설정했다.

몇몇 노래와 찬송가는 시편 84편을 기반으로 하거나 그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어 "Wat hou ik van uw huis"는 ''Psalmen voor Nu''에서 나왔다. Matthias Jorissende은 1798년에 ''Genfer Psalter''를 위해 "Wie lieblich schön, Herr Zebaoth, ist deine Wohnung, o mein Gott"으로 번역된 시를 썼고, 이는 개신교 찬송가 ''Evangelisches Gesangbuch''에 EG 282로 수록되어 있다. 1834년, 헨리 프랜시스 라이트는 4개의 연으로 된 시편의 의역 "Pleasant are thy courts above"를 썼다. 존 밀턴은 4개의 짧은 연으로 된 찬송가 "How lovely are Thy dwellings fair!"을 썼다.[17] 아이작 와츠가 1719년에 처음 출판한 또 다른 찬송가는 "Lord of the worlds above"로 시작하여 시편을 의역했다. 이 찬송가는 나중에 Hymns Ancient and Modern과 같은 모음집에 재출판되었다.[18]

현대 설정에는 캐롤라인 쇼의 "and the swallow",[19]와 10절을 기반으로 한 맷 레드먼의 "Better is One Day"가 있다.[20] 필립 무어의 찬가 ''Lo! God is here!''는 시편 84편의 구절과 게르하르트 테르슈테겐의 찬송가를 존 웨슬리가 번역한 내용을 결합했다.[21]

성가에 맞춰 허버트 패리가 부른 곡은 보스턴 트리니티 교회 합창단이 불렀다.

8. 각주

{{각주|refs=

}}

참조

[1] 웹사이트 Parallel Latin/English Psalter / Psalmus 83 (84) http://medievalist.n[...] 2017-05-07
[2] 웹사이트 The Book of Psalms and its Musical Interpretations http://www.milkenarc[...] 2018-04-08
[3] 웹사이트 Who Wrote the Book of Psalms? https://www.chabad.o[...] 2018-04-08
[4] 웹사이트 Tehillim – Psalms – Chapter 84 https://www.chabad.o[...] Chabad.org 2018-03-07
[5] 웹사이트 Psalms – Chapter 84 https://mechon-mamre[...] Mechon Mamre
[6] 웹사이트 Psalms 84 - JPS 1917 https://www.sefaria.[...] Sefaria.org
[7] 문서 Psalm 84, KJV, Wikisource
[8] 웹사이트 Rabbi Kook on Psalm 84: Preparing for Prayer https://www.israelna[...] 2007-03-12
[9] 웹사이트 Introducing Arbit With the Recitation of 'Ve'hu Rahum' https://www.dailyhal[...] 2018-04-08
[10] 서적 My People's Prayer Book: Shabbat at home https://archive.org/[...] Jewish Lights Publishing
[11] 웹사이트 The Havdalah Ceremony http://haruth.com/Je[...] Haruth Communications 2018-04-08
[12] 문서 Ordo dedicationis ecclesiae https://archive.org/[...]
[13] 문서 Book of Common Prayer: The Psalter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14] 문서 Hatfield
[15] 문서 Libbey in The Kentucky Encyclopedia
[16] 문서 Psalmen Davids sampt etlichen Moteten und Concerten, Op.2 (Schütz, Heinrich)
[17] 웹사이트 Pleasant are Thy courts above https://hymnary.org/[...]
[18] 웹사이트 Longing for the House of God https://hymnary.org/[...] 2021-03-26
[19] 웹사이트 White Light Festival: The Psalms Experience http://images.lincol[...] 2020-06-14
[20] 웹사이트 Better Is One Day https://wordtoworshi[...] 2020-06-14
[21] 웹사이트 Lo! God is here! https://www.hyper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