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공공관리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공공관리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국가들의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신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아, 민간의 경영 기법과 경쟁 원리를 공공 부문에 도입하려는 이론이다. 1980년대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성과 중심의 관리, 경쟁 원리 도입, 고객 중심의 행정, 분권화 및 민간 부문 기법 도입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공공성 약화, 단기적 성과 치중, 시민 선택의 제한, 공공 서비스의 정치화 가능성 등의 비판을 받으며, 디지털 시대 거버넌스, 새로운 공공 서비스론 등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정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행정학 - 실적주의
    실적주의는 객관적인 실적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임용하는 제도로, 공정한 기회 제공, 전문성 및 정치적 중립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경직된 조직 문화, 실질적 형평성 문제, 능력 평가의 한계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신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의 개념도
개요
정의공공 부문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 경영 방식을 도입하는 이론 및 실천 체계
등장 배경1970년대 이후 복지 국가 위기 및 정부 실패에 대한 반성
시장주의 및 신자유주의 이념 확산
관료제의 비효율성과 경직성 극복 필요성
주요 목표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고객 중심의 서비스 제공
책임성 및 투명성 강화
공공 부문의 경쟁력 강화
핵심 요소시장 메커니즘 도입
성과 중심 관리
분권화 및 자율성 확대
민간 부문 협력 강화
고객 중심 행정
이론적 기반
공공 선택 이론개인의 합리적 선택을 기반으로 공공 부문 분석
주인-대리인 이론정부와 공무원 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 해결 강조
거래 비용 이론조직 내부 및 외부 거래 비용 최소화 추구
신제도주의제도적 맥락을 고려한 행정 분석
기업 경영 이론기업 경영 기법을 공공 부문에 적용
주요 특징
시장 지향성경쟁, 민영화, 계약 등 시장 메커니즘 적극 활용
성과 지향성결과 중심의 평가 및 보상 시스템 구축
고객 지향성고객 만족도 제고 및 서비스 품질 향상
분권화 및 자율성현장 중심의 의사 결정 및 책임 강화
책임성 및 투명성정보 공개 및 참여 확대
주요 내용
정부 역할 축소직접적인 서비스 제공보다 정책 결정 및 규제 역할 강화
민간 위탁 확대공공 서비스 민간 부문 위탁 및 협력 강화
성과 계약정부 기관과 공무원의 성과 계약 체결
예산 제도 개혁성과 기반 예산 제도 도입
정보 공개국민의 알 권리 보장 및 투명성 확보
비판 및 논쟁
공공성 훼손 우려시장주의적 접근으로 공공 서비스의 공공성 훼손 가능성
효율성 만능주의단기적 효율성 추구로 장기적인 공익 고려 부족
불평등 심화시장 경쟁으로 인해 사회적 약자 소외 우려
성과 측정의 어려움공공 부문 성과 측정의 모호성 및 한계
책임 소재 불분명민간 위탁으로 인한 책임 소재 불분명 및 관리 감독 문제
관료주의 강화성과 평가 및 관리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관료주의 발생 가능성
주요 국가별 사례
영국대처 정부의 신자유주의 개혁
뉴질랜드공공 부문 개혁의 선도 사례
미국'정부 재창조' 운동 추진
대한민국참여 정부의 '작고 효율적인 정부' 추구
발전 및 변형
거버넌스 이론다양한 주체의 협력과 네트워크 강조
뉴 거버넌스민주적 참여와 협력을 통한 공공 서비스 제공
디지털 정부정보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정부 운영
참고 자료
관련 서적The New Public Management: Improving Research and Policy Dialogue
New Public Management: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the Management vs. Administration Debate
참고 문헌
학술 자료Hood, Christopher (1991).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Public Administration. 69 (1): 3–19.
New Public Management Model
Farazmand, Ali (2006). "New Public Management" Handbook of Globalization, Governa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국가들은 수정자본주의의 영향으로 복지 지출이 늘어나 경제적 위기를 겪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70년대 중반부터 정부 역할을 축소해야 한다는 신자유주의가 등장했고,[29] 이는 민간 경영 기법을 도입하는 신공공관리론으로 이어졌다.[30]

1980년대 후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공공 관리 위원회 및 사무국(PUMA)을 설립하여 공공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뉴질랜드,[6] 호주, 스웨덴 등 여러 국가에서 공공 관리가 중요한 정책 영역이 되었다.

신공공관리(NPM)라는 용어는 영국, 뉴질랜드, 호주, 스칸디나비아, 북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에서 나타난 공공 부문 거버넌스 및 관리 변화를 의미한다.[8] 지역 혁신 기관은 NPM 원칙에 따라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8]

신공공관리 개혁은 국가마다 다른 요인과 모델로 진행되었지만, 공통적으로 효율성 증대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했다.[14]

2. 1.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신공공관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정자본주의가 서구 국가들에 확산되었으나, 과도한 복지비 지출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1970년대 중반 이후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축소해야 한다는 신자유주의 사상이 등장하였다.[29] 신자유주의는 민간 부문의 경영 기법과 경쟁 원리를 공공 부문에 도입해야 한다는 신공공관리론의 등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30]

2. 2. 신공공관리의 발전과 확산

1980년대 영국마거릿 대처 정부는 공공 관리 정책의 변화를 추진하며 신공공관리(NPM)의 초기 모델을 제시했다.[6] 대처의 후임인 존 메이저 정부는 시민헌장, 품질 경쟁, 민간 금융 이니셔티브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신공공관리 기조를 유지했다. 미국에서는 빌 클린턴 정부가 '정부 재창출을 위한 국가 파트너십'을 출범시키고, '정부 성과 및 결과 법'을 제정하는 등 신공공관리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7]

이러한 영미권 국가들의 신공공관리 개혁은 전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9] OECD는 공공 관리 위원회 및 사무국(PUMA)을 설립하여 회원국들에게 신공공관리 모델을 권고했고,[12] 세계은행과 IMF도 개발도상국에 공공 관리 개혁을 촉구했다.[15]

각국의 특수한 상황과 과제에 따라 신공공관리 개혁의 추진 요인, 목표, 범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9] 유럽에서는 네덜란드가 재정 긴축에 대응하여 개혁을 시작한 반면, 독일은 관료 시스템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내부 개혁에 초점을 맞추었다.[9] 프랑스분권화를 통해 지방 자치 단체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관리주의와 민영화를 추진했다.[9] 아프리카에서는 부패 방지, 거버넌스 효율성 증대, 재정 위기 극복 등을 목표로 신공공관리 개혁이 추진되었다.[13]

3. 신공공관리의 주요 특징

1990년대 신공공관리(NPM)는 행정 개혁의 "황금 표준"으로 받아들여졌다.[16] 정부 개혁에 이 방법을 사용하려는 아이디어는 정부가 엄격한 계층적 관료주의가 아닌 민간 부문 원칙을 따르면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라는 데 있었다. NPM은 관료적 행정에서 기업적인 전문 경영으로의 전환을 촉진한다. NPM은 교육 및 의료 개혁에서 다양한 조직적 맥락과 정책 결정에서 경영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크리스토퍼 후드(Christopher Hood)는 1991년에 NPM의 기본 원칙을 7가지 측면으로 설명하였으며, NPM이라는 용어 자체도 고안했다.[17]

신공공관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성과 중심의 관리: 투입 중심의 관료적 행정에서 벗어나 산출과 결과를 중시한다.
  • 경쟁 원리 도입: 공공 부문 안팎에 경쟁 원리를 도입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한다.
  • 고객 중심의 행정: 공공 서비스의 수요자인 시민을 고객으로 간주하고, 고객 만족도 향상을 중요 목표로 설정한다.
  • 분권화와 자율성 확대: 일선 기관과 공무원에게 더 많은 자율성과 재량권을 부여한다.
  • 민간 부문 기법 도입: 민간 부문의 경영 기법을 도입하여 공공 부문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러한 특징들은 공공 부문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대응적으로 만들기 위한 신공공관리론의 노력을 반영한다.

3. 1. 성과 중심의 관리

신공공관리(NPM)는 투입 중심의 관료적 행정에서 벗어나 산출과 결과를 중시하는 성과 중심의 관리를 강조한다. 이는 명확한 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측정·평가하며, 그 결과에 따라 보상과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공공 부문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18]

크리스토퍼 후드(Christopher Hood)는 신공공관리의 기본 원칙을 7가지 측면으로 설명했는데, 그 중 성과와 관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7]

  • 명시적 측정 및 실행 측정 유지: 목표, 의도, 성과 지표를 명확히 하여 직원들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한다.
  • 출력 통제: 투입 통제와 관료적 절차 대신 정량적 성과 지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측정하고, 민간 기업/단체에 업무를 위탁할 때 성과 기반 평가를 사용한다.[18]
  •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증대: "적은 것으로 더 많은 것을 한다"는 원칙에 따라[19]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20]

3. 2. 경쟁 원리 도입

신공공관리론(NPM)은 공공 부문 안팎에 경쟁 원리를 도입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이는 공공 부문이 민간 부문의 원칙을 따르면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다.[16]

경쟁 원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다.

  • 민간위탁: 정부가 민간 부문에 계약을 제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 공공기관 간 경쟁: 공공기관들이 서로 경쟁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한다.
  • 성과급 제도: 성과에 따라 보상을 차등 지급하여 경쟁을 촉진한다.


이러한 경쟁 원리 도입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논쟁을 줄이며, 더 나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약을 따내지 못한 민간 부문이 품질과 역량을 향상시키려 노력함으로써 경쟁이 심화되는 효과도 있다.[17]

3. 3. 고객 중심의 행정

신공공관리(NPM)는 공공 서비스의 수요자인 시민을 고객으로 간주하고, 고객 만족도 향상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한다. 고객 헌장, 민원 서비스 개선, 정보 공개 확대 등을 통해 고객 중심의 행정을 구현하고자 한다.[16]

3. 4. 분권화와 자율성 확대

신공공관리(NPM)는 중앙집권적인 의사 결정 구조에서 벗어나, 일선 기관과 공무원에게 더 많은 자율성과 재량권을 부여한다. 이는 현장 중심의 행정을 구현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신공공관리는 관료적 행정에서 기업적인 전문 경영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며, 단기 노동 계약 체결, 사업 계획 수립, 실행 확인 및 미션 선언문 작성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춘다.[16] 또한, 파견직 또는 임시직 근로자들이 사무실이 달성하려는 목표와 의도를 인식하는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17]

3. 5. 민간 부문 기법 도입

신공공관리(NPM)는 정부가 엄격한 계층적 관료주의에서 벗어나 민간 부문 원칙을 따르면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이는 관료적 행정에서 기업적인 전문 경영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며, 교육 및 의료 개혁 등 다양한 조직적 맥락과 정책 결정에서 경영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16]

4. 한국에서의 신공공관리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김대중 정부는 공공 부문 개혁을 위해 신공공관리(NPM) 원칙을 도입하였다. 노무현 정부는 '참여정부'라는 국정 철학 아래 정부 혁신을 추진했고, 이명박 정부는 '작은 정부, 큰 시장' 기조 아래 공공기관 선진화 정책을 추진했다. 박근혜 정부는 '정부 3.0'을 추진했으나, 신공공관리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신공공관리 개혁은 여러 나라에 영향을 받았지만, 추진 요인은 지역 및 국가 간에 차이가 있었다. 유럽에서는 재정 긴축, 지방 정부 불만 등이, 아프리카에서는 관료 부패, 비효율적 거버넌스, 재정 위기 등이 개혁의 주된 동기였다. 개발도상국과 구 공산권 국가는 경제 세계화 동참과 국제 원조 기관의 요구 충족이 중요했다.

신공공관리는 공공 부문 효율성 증대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했지만, 각국의 개혁은 특정 영역에 집중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잠비아는 독립적인 세금 징수 기관을 설립했고, 독일은 내부 개혁, 프랑스분권화민영화를 추진했다.

신공공관리 시스템에서는 정책 결정과 서비스 제공 간 경계가 모호해져 공공 서비스의 정치화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성과급 시스템에 따른 계약직 임원 채용은 공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시민들이 정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지, 공공 관리자가 시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보다 공공에 대한 책임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21]

신공공관리는 신공공행정과 종종 비교되지만, 두 운동의 중심 주제는 다르다. 신공공행정은 반 계층적 평등주의 운동과 관련이 깊은 반면, 신공공관리는 관리적 규범에 기반하여 공공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 변화를 강조한다.

새로운 공공 관리(New Public Management)새로운 공공 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
실무적 접근 방식반 계층적, 반 실증주의[26]
명확한 기준민주적 시민 의식
성과 관리 강조내부 규정
부서 간 분리형평성[26]
민간 부문의 중요성공공 시민의 중요성
시간 단축안정성
자금 사용 증가사회 정서적[26]


4. 1. 도입 배경: IMF 외환 위기와 정부 혁신

1997년 IMF 외환 위기는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특히 공공 부문의 비효율성과 방만 경영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다. 김대중 정부는 IMF의 권고에 따라 공공 부문 개혁을 추진하였고, 신공공관리 원칙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15]

4. 2. 김대중 정부의 공공 부문 개혁

김대중 정부는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목표로 공공기관 통폐합, 인력 감축, 민영화, 규제 완화 등 강도 높은 구조 조정을 포함하는 공공 부문 개혁을 추진했다.[14] 성과 중심 예산 제도, 개방형 임용 제도, 고객 만족도 평가 제도 등을 도입하여 공공 부문의 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14] 이러한 개혁은 신공공관리론에 기반한 것으로, 세계은행과 IMF 등 국제기구가 개발도상국에 요구한 공공 관리 개혁의 일환이기도 했다.[15]

4. 3. 노무현 정부의 정부 혁신

노무현 정부는 김대중 정부의 공공 부문 개혁을 계승하면서, '참여정부'라는 국정 철학에 따라 정부 혁신을 추진하였다. 전자정부 구축, 성과 관리 시스템 강화, 분권화와 자율성 확대 등을 통해 정부 운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고자 하였다.[9]

4. 4.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신공공관리

이명박 정부는 '작은 정부, 큰 시장' 기조 아래 공공기관 선진화 정책을 추진하여 공공기관 통폐합, 인력 감축, 민영화 등을 통해 공공 부문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14] 박근혜 정부는 '정부 3.0'을 통해 공공 정보 개방과 공유,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신공공관리의 핵심 원칙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14]

4. 5. 평가와 비판

신공공관리(NPM) 개혁은 영미권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지만, 각국의 특수한 상황과 과제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했다.[9] 개혁의 공통적인 특징에도 불구하고, 추진 요인, 목표, 범위, 초점 영역은 국가마다 달랐다.[9]

많은 국가에서 NPM 개혁은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았지만,[12] 추진 요인은 지역 및 국가 간에 차이가 있었다.[9] 유럽에서는 네덜란드는 재정 긴축, 독일은 지방 정부의 불만, 스위스는 기존 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주된 동기였다.[9] 아프리카에서는 관료 부패, 비효율적인 거버넌스, 재정 위기, 다른 나라의 성공 사례가 개혁을 이끌었다.[13] 개발도상국과 구 공산권 국가는 경제 세계화 동참과 국제 원조 기관의 요구 충족이 중요했다.[12]

NPM 개혁은 공공 부문 효율성 증대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했지만,[14] 각국의 개혁은 특정 영역에 집중했다.[9]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잠비아는 독립적인 세금 징수 기관을 설립하여 책임성을 높였다.[13] 독일은 내부 개혁, 프랑스는 분권화 법에 따라 지방 자치 단체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관리주의와 민영화를 추진했다.[9] 1980년대 네덜란드 틸뷔르흐 모델은 책임 재편성에, 1990년대에는 시민 역할에 초점을 맞추는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혁 목표가 변화하기도 했다.[9]

NPM 개혁의 시작, 촉진, 시행에는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했다. 네덜란드와 독일은 지방 정부가 주도했지만, 네덜란드는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았고 독일은 그렇지 못했다.[9] 아프리카에서는 대부분 중앙 정부가 개혁을 주도했다.[13] OECD는 도구와 지침을 개발하여 회원국 간 개혁 이전을 촉진했고,[12]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는 비서구 및 개발도상국에 공공 관리 개혁을 촉구했다.[15] 아프리카에서는 개혁이 "경제 자유화 구조 조정 패키지"의 일부였다.[13]

새로운 공공 관리 시스템에서는 정책 결정과 서비스 제공 간 경계가 모호해져 공공 서비스의 정치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성과급 시스템에 따른 계약직 임원 채용은 공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시민들이 정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도 문제였다. "선택의 개념은 고객이라는 경제적 개념에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정부에는 선택의 여지가 거의 또는 전혀 없습니다."[21] 공공 관리자가 시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보다 공공에 대한 책임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21][22] NPM은 공공 관리자의 진실성과 준수, 고객과 소유주의 이익 불일치 문제를 제기한다.[21] "정부는 개별적인 즉각적인 고객 또는 [정부 서비스의] 소비자에게만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공공의 이익에 대해 책임이 있어야 합니다."[21]

신공공관리는 종종 신공공행정과 비교되지만, 두 운동의 중심 주제는 다르다. 신공공행정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25] 반 계층적 평등주의 운동과 관련이 깊다.[26] 반면, 신공공관리는 관리적 규범에 기반하여 공공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 변화를 강조한다. 이는 공공 책임성, '모범 고용주' 공공 서비스 가치, '적법 절차'에 초점을 맞춘 기존 공공 행정과 대조된다.

새로운 공공 관리(New Public Management)새로운 공공 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
실무적 접근 방식반 계층적, 반 실증주의[26]
명확한 기준민주적 시민 의식
성과 관리 강조내부 규정
부서 간 분리형평성[26]
민간 부문의 중요성공공 시민의 중요성
시간 단축안정성
자금 사용 증가사회 정서적[26]


5. 비판과 대안

1990년대 신공공관리론(NPM)은 관리 및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많은 학자들은 NPM이 전성기를 지났다고 평가한다. 패트릭 던리비(Patrick Dunleavy)와 같은 학자들은 "고객" 및 기관과의 단절 때문에 신공공관리가 단계적으로 사라지고 있다고 주장한다.[23] 학자들은 디지털 시대와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NPM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한다. 다만, 덜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NPM 개념이 여전히 성장하고 확산되고 있는데, 이는 국가의 공공 부문이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신공공관리는 공공 부문에서 분산, 경쟁,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변화를 만들었지만, 조직에서 최대의 서비스를 끌어내기 위한 인센티브 활용은 많은 국가에서 정체되고 있으며, 복잡성 증가로 인해 오히려 역효과를 낳고 있다.[23]

이러한 비판 속에서 신자유주의 이후 많은 국가들이 디지털 시대 거버넌스(DEG)를 모색하고 있다. 던리비는 이러한 새로운 거버넌스 방식이 정보와 기술에 크게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3]

새로운 공공 서비스(NPS)는 21세기 시민 중심의 공공 행정을 위한 새롭게 개발된 이론이다.[21] 신공공관리(NPM)와 새로운 공공 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은 종종 혼동되기도 하지만, 아래 표와 같이 차이가 있다.

새로운 공공 관리(New Public Management)새로운 공공 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
실무적 접근 방식반 계층적, 반 실증주의[26]
명확한 기준민주적 시민 의식
성과 관리 강조내부 규정
부서 간 분리형평성[26]
민간 부문의 중요성공공 시민의 중요성
시간 단축안정성
자금 사용 증가사회 정서적[26]


5. 1. 공공성 약화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

신공공관리 체제에서는 정책 결정과 서비스 제공 간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성과급 제도를 통해 계약직으로 임원을 채용하는 경우, 공공 서비스가 정치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21] 시민들이 필요한 정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선택의 개념은 고객이라는 경제적 개념에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정부에는 선택의 여지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21]

공공 관리자가 시민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노력에서 벗어나 공공에 대한 책임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21][22] 신공공관리는 공공 관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다룰 때 진실성과 준수 여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고객과 소유주의 이익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이다.[21] 관리자가 누구에게 더 충실해야 하는지와 같은 질문이 제기된다. 공공의 이익이 위험에 처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가 훼손될 수 있다. "정부는 개별적인 즉각적인 고객 또는 [정부 서비스의] 소비자에게만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공공의 이익에 대해 책임이 있어야 한다."[21]

5. 2. 신공공서비스론 (New Public Service)

신공공서비스론(NPS)은 21세기 시민 중심의 공공 행정을 위한 새로운 이론이다.[21] 이 이론은 신공공관리의 고객 중심주의와 합리주의 패러다임에 직접적으로 도전한다. NPS는 민주적 거버넌스에 초점을 맞추고 시민에 대한 공공 행정가의 책임성을 재구상한다. NPS는 행정가들이 시민과 정부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해야 하며, 정치 및 행정 문제에 대한 시민 참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1]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는 종종 새로운 공공 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과 혼동되기도 한다. 새로운 공공 행정 운동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미국에서 시작된 운동이다.[25] 두 운동은 공통적인 특징이 있을 수 있지만, 중심 주제는 다르다. 새로운 공공 행정 운동의 주요 목표는 학문적인 공공 행정을 미국 대학과 공공 부문 노동자들에게 영향력 있는 반 계층적 평등주의 운동[26]과 일치시키는 것이었다. 반면, 10년 후 새로운 공공 관리 운동은 관리적 규범에 기반을 두고, 관리가 공공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에 가져올 수 있고 가져와야 하는 변화를 강조했다. 이는 기존 공공 행정에서의 공공 책임성, '모범 고용주' 공공 서비스 가치, '적법 절차', 그리고 공공 조직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에 초점을 맞춘 것과 대조적으로 공공 서비스 생산 기능과 운영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두 시스템의 핵심 측면/특성을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새로운 공공 관리(New Public Management)새로운 공공 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
실무적 접근 방식반 계층적, 반 실증주의[26]
명확한 기준민주적 시민 의식
성과 관리 강조내부 규정
부서 간 분리형평성[26]
민간 부문의 중요성공공 시민의 중요성
시간 단축안정성
자금 사용 증가사회 정서적[26]


5. 3. 디지털 시대 거버넌스 (Digital Era Governance)

디지털 시대 거버넌스(DEG)는 정보 기술에 중점을 두고 정부 운영 방식과 서비스 제공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방식이다.[23] 신공공관리(NPM)는 분산, 경쟁,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공공 부문에 변화를 가져왔지만,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그 한계에 직면했다.

디지털 시대 거버넌스는 정보기술(ICT)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하며, 기존의 장벽과 갈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23] 또한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아웃소싱 업체에 대한 지역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M 오마르(Omar)는 소셜 미디어 기술을 거버넌스에 통합하여 디지털 시대 거버넌스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24] 브루나이 정보부의 연구는 거버넌스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디지털 배당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4]

참조

[1] 논문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1991-03-01
[2] 웹사이트 New Public Management Model http://www.managemen[...]
[3] 논문 New Public Management 2006-02-02
[4] 서적 The New Public Management: Improving Research and Policy Dialogue https://archive.org/[...] Russell Sage Foundation 2001
[5] 서적 The New Public Management: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the Management vs. Administration Debat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98
[6] 논문 From Mandarin to Valet Public Service? https://ojs.victoria[...] 2019
[7] 논문 Skills and training requirements of municipal directors: A statistical assessment 2015
[8] 논문 Regional innovation governance and place-based policies: design, implementation and implications https://rsa.tandfonl[...] 2019
[9] 서적 New Public Management: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Routledge
[10] 논문 The Globalized State: Measuring and Monitoring Governance 2010
[11] 논문 Convergence and Transfer: A Review of the Globalization of New Public Management 1998
[1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The New Public Management: Context and Practice in Africa 2001
[14] 서적 Public Management and Governance Routledge
[15] 논문 Strategies for Governing: An Approach to Public Management Research for West and East 2018
[16] 논문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Ideology, and Practice 2006-01-02
[17] 논문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1991
[18] 기타 1995
[19] 기타 1991
[20] 기타 1999
[21] 서적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Not Steering M.E. Sharp
[22] 서적 The New Public Management: Improving Research and Policy Dialogue https://archive.org/[...] Russell Sage Foundation 2001
[23] 서적 New Public Management Is Dead--Long Live Digital-Era Governan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005
[24] 서적 Digital Era Governance and Social Media: The Case of Information Department Brunei IGI Global 2020
[25] 웹사이트 Public Administration versus The New Public Management http://pfiffner.gmu.[...] 2015-11-18
[26] 서적 Toward a New Public Administration Wadsworth Cengage Learning
[27] 간행물 신공공관리론 https://terms.naver.[...] 행정학사전
[28] 간행물 신공공관리론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29] 간행물 신자유주의,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행정개혁 http://www.riss.kr/l[...]
[30] 간행물 신공공관리론과 행정개혁에 관한 이론적 고찰 http://www.riss.kr/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