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역암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라 역암층은 백악기 초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인다. 대구광역시, 고령군, 창녕군, 의령군, 진주시, 사천시 등 경상남도 일대에 분포하며, 각 지역의 지질도폭에 따라 두께, 구성 암석, 주향과 경사 등이 다르다. 이 지층은 칠곡층 상부를 덮으며, 화산 활동의 흔적을 포함하고 있어 한반도 백악기 지질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암 지층 - 청량산층
청량산층은 경상북도 봉화군 청량산에서 유래한 지층으로, 역암, 사암, 이암, 이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청량산층군으로 불릴 때는 역암 위주의 청량산층과 화산암류의 오십봉층으로 나뉘었고, 영양군에서는 청량산층원과 현무암류가 특징인 오십봉층원으로 구분된다. - 역암 지층 - 텐다구루 층
텐다구루 층은 탄자니아 만다와 분지에 위치하며 후기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에 걸쳐 퇴적된 지층으로, 다양한 공룡, 익룡, 초기 포유류, 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하다. - 중생대 아시아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중생대 아시아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신라 역암층 | |
---|---|
개요 | |
![]() | |
시대 | 중생대 |
시기 | 백악기 압트절 (~) |
유형 | 퇴적암 |
주 암질 | 역암 |
나머지 암질 | 역질사암, 사질역암, 사암, 이암, 사질셰일 |
이름 유래 | 신라 |
상위 단위 | 경상 누층군 |
하층 | 칠곡층 |
상층 | 학봉 현무암, 대구층 (함안층) |
두께 | 200~600 m (대구광역시) |
분포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북서부 북구 연경동 남부 서변동 조야동 북부 노곡동 팔달동 달서구 호산동 북부 달성군 다사읍 구지면 북서부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중부 성산면 동부 개진면 중동부 우곡면 중동부 |
2. 지질시대
신라 역암층은 백악기 초기에 형성된 지층이다. 전암 K-Ar 연대측정 결과는 7200만~8500만년이며, 각섬석에 대한 아르곤-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는 백악기 압트절(Aptian; 112.0-125.0 Ma)에 해당하는 113.4±2.4 Ma 및 113.6±4.7 Ma이다.[3] 전암의 K-Ar 연대가 각섬석의 40Ar/39Ar 연대보다 젊은 것은 풍화나 후기의 열적 교란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신라 역암층 기질부의 저어콘들로부터 구한 SHRIMP U-Pb 최소 연령은 알비절(99.6-112.0 Ma)에 해당하는 110.4±2.0 Ma 로 이는 경상분지 퇴적 중에 일어난 규장질 화산활동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4][1]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측정에 의한 신라 역암층 최고 퇴적 시기는 107.2±4.6 Ma로 보고되었다.[5]
3. 지역별 지질
3. 1. [[대구광역시]]
왜관-대구 지질도폭(1928)에 의하면 신라 역암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200~600 m이다. 주향은 북동, 경사는 남동 10~30°이다.[6] 대구광역시 북부의 신라 역암층은 잔자갈역암에 속하며 대부분의 역(礫)은 아원 형태이다. 역은 주로 규암, 사암, 편마암,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셰일, 석영맥, 화강암, 규장암, 처트의 역이 소량 포함된다. 이 역들의 근원지는 퇴적분지의 북서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7]
3. 2. [[고령군]]
현풍 지질도폭(1970)에 의하면 신라 역암층은 일반적으로 자색(赭色) 및 갈회색의 역암, 역질사암, 사암, 이암, 사질셰일, 회색셰일로 구성되며, 두께는 대개 550 m 정도이다.[8] 역(礫)은 편상(片狀) 화강암, 규암, 화강편마암, 응회암질사암, 화산암질암 등으로 구성되고 그 크기는 3~5 cm 정도이다.[8]
신라 역암층은 고령군 다산면 월성리와 송곡리 동부, 성산면 무계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리 주변, 오곡리의 서부와 삼대리의 동부, 개진면 구곡리 서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고령군 우곡면 예곡리 북서부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1]
3. 3. [[창녕군]]
창녕군 지역의 신라 역암층은 자색 및 회갈색의 역암, 역질사암, 사질역암, 사암, 이암, 사질셰일, 회색 셰일로 구성된다.[9] 역(礫)은 편상화강암, 화강편마암, 현무암, 안산암, 산성맥암, 규암, 사암 및 셰일 등으로 구성된다.[9]
주향과 경사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황강 이북지역에서는 북동 10~20°및 남동 10~15°이나, 낙동강 이동지역(창녕군 이방면 남서부)에서는 북서 20~40°및 북동 5~25°이다.[9] 황강 이남 및 낙동강 이서지역에서는 낙동강변에 가까울수록 북동 15~35°및 남동 4~20°이었다가, 서쪽으로 갈수록 북동 35~75°및 남동 2~35°로 변한다.[9]
두께는 고령군 우곡면 예곡리 청룡산 부근에서 100 m 내외이나, 남부(의령군 낙서면-창녕군 유어면 간 단면)에서는 350 m로, 북에서 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인다.[9]
3. 4. [[의령군]]
신라 역암층은 칠곡층 상부를 덮고 있으며, 화산암질역암을 함유한다.[10] 현무암질이나 안산암질 화산암질 역이 우세하다. 암회색, 자회색, 갈회색 등을 띠는 역암으로서 역들은 주로 규암, 흑색 셰일, 암회색 사질셰일, 화강암질암, 안산암질암(드물게) 등으로 구성되며 역의 장경은 5 cm 내외가 보편적이다.[11]
신라 역암층의 주향과 경사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의령군 봉수면 일대에서는 북동 50~70°및 남동 8~12°의 완만한 경사를 보이나 의령군 부림면과 합천군 청덕면 일대에서는 북동 20~30°및 남동 8~12°를 보여주고 있어 주향이 동북동에서 북북동으로 변해간다. 의령군 유곡면 오목리와 신촌리, 마두리 부근에서는 북동 20~30°및 남동 6~12°의 주향과 경사를 보이나 그 남동쪽의 의령군 정곡면 석곡리에서는 주향과 경사가 북서 30°에 남서 5°를 보이고 내곡리(어디인지 알 수 없다) 주향과 경사가 북동 20°에 남동 12°를 보이고 있어 배사 습곡 구조를 보이고 있다.[10]
두께는 의령군 봉수면 일대에서 약 700 m에 달한다.[10] 의령군 대의면 소재 한우산의 서쪽 8부 능선을 따라 발달하며 의령군 궁류면에서는 400 m 이상의 고지대에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두께는 약 200 m이다.[11]
가례면 괴진리에서 기공을 수반한 현무암질 역도 볼 수 있어 신라 역암층 형성 중에 화산 활동이 있었음을 지시한다.[11]
3. 5. [[진주시]]와 [[사천시]]
하위의 칠곡층을 정합으로 덮는다.[12][13][14] 자회(赭灰)색, 갈회색, 암회색 등을 띠는 역암으로, 규암, 흑색 셰일, 흑회색 사질 셰일, 화강암질암, 중성 내지 염기성의 화산암류 등으로 구성된 역(礫)을 포함한다.[12] 역의 크기는 1~2 cm, 최대 30 cm 이상에 달하는 것도 있다.[14] 주향은 남-북 내지 북동 25°이며 경사는 남동 5~10°이다. 두께는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에서 약 200 m 이고 북부로 갈수록 얇아져 약 150 m이다.[12]
사천시에서는 북동 30°의 주향을 갖고, 남동 10~15°의 경사를 보이며 두께는 200 m 내외이다.[13] 사천시에서는 사천읍 동부에서 북으로 진주시 문산읍 삼곡리]], 정촌면 관봉리, 사천시 사남면 화전리 소재 성황당산, 용현면 신복리 소재 봉대산, 용현면 구월리 등을 연결하는 대상분포를 갖는다.[13]
진주시 문산읍 1km 서쪽의 국도 제2호선 도로 절개면에 신라 역암층의 노두가 발달한다. 본 노두의 하부는 판상의 성층 역암(stratified conglometate)으로 구성된다. 역암 단위층은 수평연장성이 불량한 잔자갈,중자갈 및 역질사암이 교호하나 그 경계는 불분명하다. 역은 주로 안산암질 응회암 및 안산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석영맥 및 규암도 일부 포함한다. 노두의 상부는 적색의 니질사암 니질역암으로 구성된다.[15]
4. 신라 역암층의 가치
참조
[1]
논문
경상분지 진주층 및 신라역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령분포 및 그 의미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Jinju Formation and Silla Conglomerate, Gyeongsang Basin)
https://www.dbpia.co[...]
2010-03
[2]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논문
백악기 신라역암 내 화산암력의 40Ar/39Ar 연대 및 하양층군의 퇴적시기에 관한 고찰 (40Ar/39Ar Age of the Volcanic Pebbles within the Silla Conglomerate and the Deposition Timing of the Hayang Group)
https://www.koreasci[...]
2005-03
[4]
논문
경상분지 진주층 하부역암 및 신라역암 기질부의 SHRIMP U-Pb 저콘 연대
https://scienceon.ki[...]
2009-08
[5]
웹인용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Gyeongsang Basin : constraints from zircon geochronology and Hf isotope geochemistry
http://www.riss.kr/s[...]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6-01-01
[6]
웹인용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https://data.kigam.r[...]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929-01-01
[7]
논문
Sedimentary Texture and Provenance of the Cretaceous Silla Conglomerate in Daegu Area, Korea (大邱 地域 白堊紀 新羅礫岩의 組織과 根源地)
https://www.dbpia.co[...]
1990-02
[8]
웹인용
玄風 地質圖幅說明書 (현풍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01-01
[9]
웹인용
昌寧 地質圖幅說明書 (창녕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9-01-01
[10]
웹인용
南旨 地質圖幅說明書 (남지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2-12-30
[11]
웹인용
삼가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01-01
[12]
웹인용
晉州 地質圖幅說明書 (진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9-01-01
[13]
웹인용
泗川 地質圖幅說明書 (사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9-01-01
[14]
웹인용
삼천포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3-01-01
[15]
웹인용
石油資源硏究 [1995] (I) 陸上 含油可能益地 解析硏究 - 普州地域 二次年度 Petroliferous Basin Analysis in Jinju Area (II)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