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저항군 반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의 저항군 반란은 1986년 우간다에서 시작된 무장 반란으로, 아촐리족 출신 티토 오켈로가 축출된 후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국가 저항군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되었다. 이 반란은 조지프 코니가 이끄는 신의 저항군(LRA)의 등장과 함께 격화되었으며, LRA는 민간인 납치, 아동 병사 강제 징집, 성 노예화 등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이 분쟁은 우간다 북부 지역을 넘어 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등으로 확산되었으며, 국제 사회의 개입과 평화 협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2017년까지 지속되었다. 반란으로 인해 수많은 인명 피해와 200만 명 이상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으며, 우간다 경제에도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참전한 전쟁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분쟁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분쟁은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내전으로, 2003년 부시 전쟁을 거쳐 2012년 셀레카 반군의 봉기로 심화되었고, 2020년대까지 엑스-셀레카와 안티발라카 민병대 간의 전투가 지속되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바그너 그룹의 활동이 증가하며 인권 침해 논란을 낳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이 참전한 전쟁 - 제1차 콩고 전쟁
제1차 콩고 전쟁은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부패와 르완다 내전의 여파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르완다와 우간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승리하여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콩고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이 참전한 전쟁 - 제2차 콩고 전쟁
제2차 콩고 전쟁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생한 무력 분쟁으로, 외세 개입, 민족 갈등, 자원 쟁탈이 원인이 되어 국제적인 분쟁으로 확대되었으며, 500만~6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쟁 중 하나이다. - 아프리카의 분란 - 보코 하람 반란
보코 하람 반란은 나이지리아의 종교적, 정치적 갈등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배경으로 2009년부터 나이지리아와 주변국에서 발생한 무장 반란으로,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야기하며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 아프리카의 분란 -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앙골라와 나미비아에서 벌인 선전포고 없는 분쟁으로, 나미비아 인민해방군(PLAN)의 활동, 앙골라 인민해방군(FAPLA) 및 쿠바 동맹군과의 전쟁,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연합(UNITA) 지원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갈등이다.
신의 저항군 반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날짜 | 1987년 – 현재 () |
장소 | 우간다 북부 (2006년까지) 남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상태 | 진행 중 (저강도) |
주요 사건 | LRA 창립자 겸 지도자 조지프 코니 은신 LRA 고위 사령관 도미닉 옹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미군에 투항 후 헤이그에서 재판 남수단과 우간다에 있던 대부분의 LRA 시설 및 야영지 폐쇄 및 해체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소규모 LRA 활동 지속 |
교전 세력 | |
교전 1 | (1997년까지) (1997년부터) }} (2008년부터) MONUC 바그너 그룹 (2024년 4월부터) 지원 세력: (2011–2017) |
교전 2 | 신의 저항군 지원 세력: (1994–2002) 연합민주군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 1 지휘관 | 요웨리 무세베니 로비나 나반자 펠릭스 치세케디 사마 루콘데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펠릭스 몰루아 살바 키르 빈투 케이타 |- 과거 지휘관: 삼손 키세카 조지 코스마스 아디에보 킨투 무소케 아폴로 은시밤비 아마마 음바바지 루하카나 루군다 모부투 세세 세코 마비 물룸바 쥘 퐁텐 삼브와 레옹 켕고 와 돈도 룬다 불룰루 물룸바 루코지 에티엔 치세케디 베르나르댕 문굴 디아카 장 응구자 카를리본드 포스탱 비린드와 리쿨리아 볼롱고 앙투안 기젱가 아돌프 무지토 루이 알퐁스 코야지알로 마타타 포니오 마퐁 사미 바디반가 브뤼노 치발라 실베스트르 일룽가 프랑수아 보지제 미셸 조토디아 알렉상드르페르디낭 은구엔데 카트린 삼바판자 니콜라 티앙가예 앙드레 은자파예케 마마 카문 심플리스 사랑지 피르맹 은그레바다 앙리마리 돈드라 조제프 준데코 레일라 제루기 마마 삼보 시디쿠 마르틴 코블러 로저 A. 미스 앨런 도스 윌리엄 L. 스윙 아모스 나망가 응옹기 카멜 모르잔 |
교전 2 지휘관 | 조지프 코니 빈센트 오티 라스카 루크위야 오코트 오디암보 도미닉 옹웬 알퐁스 라몰라 닥터 아차예 |
병력 규모 | |
교전 1 병력 | 2002년: 65,000−75,000 2010년: 46,800 2014년: 1,500 300명 (자문관) |
교전 2 병력 | 1990년: 200−800 1998년: 6,000 2007년: 840−3,000 2014년: 240 2022년: 200−1,000 |
부대 | |
교전 1 부대 | UPDF FARDC FACA SPLA SOF |
교전 2 부대 | 특정 부대 없음 |
피해 규모 | |
교전 1 피해 | 알 수 없음 |
교전 2 피해 | ~600명 사망 (2009–2010) |
기타 피해 | 100,000명 이상 사망 400,000–430,000명 이상 피난 |
2. 배경
1986년 1월, 아촐리족 출신 티토 오켈로 정권이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국가 저항군(NRA)에 의해 붕괴되었다.[123][124] NRA가 국가를 장악하는 과정에서 아촐리족을 대상으로 한 만행이 자행되었고, 이에 대한 반발로 같은 해 8월 우간다 북부 지역에서 반란이 시작되었다.[123][124]
2. 1. 아촐리족의 역사적 배경
1986년 1월, 아촐리족 출신 대통령 티토 오켈로의 정권이 우간다 남서부 출신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국가 저항군(NRA)에 의해 무너졌다.[123][124][28][29] NRA는 국가 전역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많은 아촐리족에게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이는 루웨로 삼각지대에서 이전 정부군(우간다 민족 해방 전선, UNLF)이 저지른 행위에 대한 보복이라는 명분 아래 이루어졌다.[123][124][28][29]아촐리족은 전통적으로 군대 내에서 누려왔던 지배적인 위치를 상실할 것을 우려했으며, NRA가 자행한 잔인한 행위와 보복 조치에 강하게 반발했다.[123][124][28][29] 결국 1986년 8월, NRA가 점령하고 있던 우간다 북부 지역에서는 아촐리족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반란이 시작되었다.[123][124]
3. 전개
신의 저항군 반란은 1987년 조지프 코니가 이끄는 신의 저항군(LRA)이 우간다 북부에서 시작한 무장 반란이다. 초기 LRA는 게릴라전 방식으로 민간인 마을을 공격하고 주민들을 납치했으며, 우간다 정부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군사 작전을 펼쳤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25][30] 1990년대 초반 베티 오옐라 비곰베 장관 주도로 평화 협상이 시도되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125][30]
1994년부터 수단 정부가 LRA를 지원하면서 분쟁은 국경을 넘어 확산되었다.[30] LRA는 남수단에 기지를 마련하고 아동 납치, 신체 절단 등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강화했다.[127][31] 이에 우간다 정부는 아촐리족 주민들을 강제로 "보호마을"에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했으나, 이는 열악한 환경과 지속적인 LRA의 공격으로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하고 정부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128][32][101][1]
2000년대 들어 수단과 우간다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LRA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자,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은 2002년 남수단 내 LRA 기지를 겨냥한 "아이언 피스트 작전"(Operation Iron Fist영어)을 개시했다.[131][35] 그러나 작전은 LRA 소탕에 실패했고, 오히려 LRA는 우간다 북부로 다시 넘어와 더욱 잔혹한 공격을 감행하며 분쟁 지역을 확대시켰다.[132][36] 이 시기 LRA의 잔혹 행위가 국제 사회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유엔의 관심이 높아졌고, 우간다 정부는 LRA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했다.[133][37]
2006년, 남수단 주바에서 우간다 정부와 LRA 간의 평화 협상이 시작되어 휴전 협정이 체결되기도 했으나,[47]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2008년 결렬되었다. 이후 LRA는 활동 무대를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등 주변국으로 옮겨 민간인 학살과 납치를 지속했다.[54][58]
이에 미국은 신의 저항군 무장 해제 및 북부 우간다 회복법 제정[6]과 군사 고문단 파견[6] 등으로 대응했고, 아프리카 연합 역시 국제 여단을 창설하여[59] LRA 소탕 작전에 나섰다. 이러한 국제적 공조와 군사 작전으로 LRA 고위 간부들이 체포되거나 사살되었으며,[62][71] 부사령관 도미닉 옹웬이 항복하여[78]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는 등 LRA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그러나 지도자 조셉 코니는 여전히 도피 중이며, LRA 잔당은 규모가 줄었음에도 산발적인 공격과 납치를 이어가고 있다.[73][79] 2017년 미국과 우간다는 대규모 추격 작전을 종료했으며,[84][87] 최근에는 러시아 바그너 그룹 용병들이 코니 체포 작전을 벌이는 등[88][89] 새로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3. 1. 반란 초기 (1987년~1994년)
1987년 1월, 조지프 코니는 앨리스 아우마의 우간다 성령운동이 초기에 성공을 거둔 후 등장한 여러 영매 중 한 명으로 처음 반정부 활동을 시작했다. 전 우간다 인민민주군(UPDA) 사령관 오동 라텍의 조언에 따라 신의 저항군(LRA)은 게릴라전 방식으로 민간인 마을을 공격하고 보급품을 탈취했으며, 때로는 주민들을 납치하기도 했다. 일부 정부군(NRA)의 잔혹 행위로 인해 아촐리족 일부는 초기에 LRA에 소극적인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125][30]이에 우간다 정부는 1991년 3월, LRA를 소탕하고 주민 지지 기반을 약화시키기 위한 "북부 작전"을 개시했다.[126][31] 이 작전의 일환으로 베티 오옐라 비곰베 장관은 지역 민병대인 화살소년단을 창설했으나, 현대 무기로 무장한 LRA에 비해 열세였다. 화살소년단 창설에 분노한 코니는 정부 지지자로 의심되는 아촐리족에 대한 잔혹 행위를 강화했다. 정부의 작전은 실패했고, LRA의 잔혹성은 오히려 아촐리족이 반군에 등을 돌리는 결과를 낳았지만, 정부군에 대한 불신도 여전했다.
북부 작전 이후 비곰베는 LRA와의 평화 협상을 시도했다. LRA는 사면을 요구하며 협상에 나섰으나, 정부 내 이견과 LRA 협상단에 대한 불신, 특히 코니가 수단 정부와 접촉하며 시간을 벌고 있다는 의혹으로 인해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125][30] 결국 1994년 2월, LRA가 협상 중단을 선언하고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이 7일간의 항복 시한을 제시하는 최후통첩을 발표하면서 비곰베의 평화 노력은 무산되었다.[125][30]
3. 1. 1. 초기 전략과 전술
1987년 1월, 조지프 코니는 앨리스 아우마의 우간다 성령운동이 초기에 성공을 거둔 후 등장한 여러 영매 중 한 명으로 처음 반정부 활동을 시작했다.전 우간다 인민민주군(UPDA) 사령관이었던 오동 라텍은 코니에게 전통적인 게릴라전 전술을 채택하도록 조언했는데, 이는 주로 마을과 같은 민간인 표적에 대한 기습 공격에 중점을 두는 방식이었다. 또한 신의 저항군(LRA)은 정부가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때때로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1991년까지 LRA는 주민들을 습격하여 보급품을 탈취했으며, 이 과정에서 주민들을 단기간 납치하기도 했다. 당시 일부 정부군(NRA) 병사들의 잔혹한 행위 때문에, 아촐리족 주민 일부는 LRA에 대해 최소한 소극적인 지지를 보이기도 했다.[125][30]
1991년 3월, 우간다 정부는 강력한 군사 작전과 주민들의 지지 기반을 약화시키려는 노력을 결합한 "북부 작전"을 개시했다.[126][31] 이 작전의 일환으로, 반란 종식을 담당했던 아촐리족 출신 장관 베티 오옐라 비곰베는 지역 방어를 위해 주로 활과 화살 등 전통 무기로 무장한 지역 민병대인 화살소년단(Arrow Boys)을 창설했다. 그러나 LRA는 현대식 무기로 무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화살소년단은 심각한 전력 열세에 놓였다.
화살소년단의 창설은 코니를 분노하게 만들었으며, 그는 더 이상 주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LRA는 정부 지지자로 의심되는 수많은 아촐리족을 공격하고 살해했다. 정부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LRA의 이러한 잔혹한 대응은 많은 아촐리족이 반군에 등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점령군으로 인식되던 정부군(NRA)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 때문에 반군에 대한 반감은 제한적이었다.

북부 작전 이후, 비곰베는 LRA와 정부 대표 간의 첫 대면 회담을 주선했다. LRA 측은 전투원들에 대한 전면적인 사면을 요구했으며,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항복하지 않고 "집으로 돌아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 측은 LRA 협상단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내부 정치적 갈등으로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군부는 코니가 비곰베와 협상하는 동시에 수단 정부로부터 지원을 얻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고, 코니가 단지 시간을 벌기 위해 협상에 나선 것이라고 판단했다.[125][30]
1994년 1월 10일에 열린 2차 회담에서 코니는 자신의 군대를 재정비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6개월의 기간을 요구했다. 그러나 2월 초가 되면서 협상 분위기는 급격히 악화되었고, 2월 2일 회의 이후 LRA는 정부군(NRA)이 자신들을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고 주장하며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나흘 뒤,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은 LRA에게 7일 안에 항복하라는 최후통첩을 발표했다.[125][30] 이 최후통첩으로 인해 비곰베가 추진하던 평화 협상 노력은 결국 무산되었다.
3. 1. 2. 북부 작전과 그 영향
1991년 3월, 우간다 정부는 신의 저항군(LRA)을 분쇄하고 주민들의 지지 기반을 제거하기 위해 "북부 작전"을 시작했다.[126][31] 이 작전에서 반란 종식을 목표로 활동한 아촐리족 출신 장관 베티 오옐라 비곰베는 지역 방어 전략의 일환으로 화살소년단(Arrow Boys)을 창설했다. 화살소년단은 주로 활과 화살 등 전통 무기로 무장했으나, 현대식 무기를 갖춘 LRA에게는 역부족이었다.화살소년단의 창설은 조지프 코니를 분노하게 만들었다. 그는 더 이상 주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느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정부 지지자로 의심되는 수많은 아촐리족을 공격하여 살해하거나 불구로 만들었다.[30] 정부의 북부 작전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지만, LRA의 이러한 잔혹 행위는 많은 아촐리족이 반군에 등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점령군으로 인식되던 정부군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 때문에 반군에 대한 반감은 제한적이었다.
북부 작전 이후, 베티 오옐라 비곰베는 LRA와 정부 대표 간의 첫 대면 회담을 주선했다. LRA 측은 전투원에 대한 전면 사면을 요구하며, 사면이 이루어진다면 항복하지 않고 "집으로 돌아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 측은 LRA 협상가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내부 정치적 갈등으로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군부는 조지프 코니가 비곰베와 협상하는 동시에 수단 정부로부터 지원을 얻기 위해 별도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파악했으며, 코니가 단순히 시간을 벌기 위해 협상에 나선 것이라고 의심했다.[125][30]
1994년 1월 10일에 열린 2차 회담에서 코니는 자신의 군대를 재정비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6개월의 유예 기간을 요구했다. 그러나 2월 초가 되면서 협상 분위기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2월 2일 회의 이후 LRA는 국민 저항군(NRA)이 자신들을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고 주장하며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나흘 뒤인 2월 6일,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은 LRA에게 7일 안에 항복하라는 최후통첩을 발표했다.[125][30] 이로 인해 비곰베가 추진했던 평화 협상은 결국 무산되었다.
3. 1. 3. 비곰베의 평화 협상 시도
북부 작전 이후, 반란 종식을 담당했던 아촐리 출신 장관 베티 오옐라 비곰베는 신의 저항군(LRA)과 정부 대표 간의 첫 대면 회담을 주선했다. 이 회담에서 LRA 측은 전투원에 대한 전면적인 사면을 요구하며,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항복하는 대신 "집으로 돌아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 측에서는 LRA 협상단의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과 내부 정치적 갈등으로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군부는 조지프 코니가 비곰베와 대화하는 중에도 수단 정부로부터 지원을 얻으려 비밀리에 협상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고, 코니가 단지 시간을 벌기 위해 협상에 나선 것이라고 판단했다.[125]
1994년 1월 10일에 열린 2차 회담에서 코니는 LRA 병력이 재정비할 시간을 달라며 6개월의 유예 기간을 요구했다. 하지만 2월 초가 되면서 협상 분위기는 급격히 나빠졌고, 2월 2일 회의 이후 LRA는 정부군이 자신들을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고 주장하며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나흘 뒤,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은 LRA에게 7일 안에 항복하라는 최후통첩을 발표했다.[125] 이 강경한 최후통첩으로 인해 비곰베가 어렵게 추진하던 평화 협상은 결국 무산되었다.
3. 2. 이웃 국가로의 분쟁 확산 (1994년~2002년)
1994년, 수단 정부가 우간다의 수단 인민 해방군(SPLA) 지원에 대한 보복으로 신의 저항군(LRA)을 지원하면서 분쟁은 국경을 넘어 확산되었다. LRA는 남부 수단에 기지를 마련하고 조셉 코니의 지휘 아래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강화했으며, 특히 아촐리족을 대상으로 신체 절단과 대규모 아동 납치(예: 1996년 아보케 납치 사건)를 자행했다.[125][30][127][31]이에 우간다 정부는 1996년 초토화 작전의 일환으로 아촐리족을 강제로 "보호마을"에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했으나, 이는 열악한 환경과 지속적인 LRA의 공격으로 인해 오히려 더 큰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하고 정부에 대한 불신을 심화시켰다.[128][32][129][33][101][1]
1990년대 후반부터 수단의 태도 변화와 2001년 9·11 테러 이후 국제 정세 변화로 수단과 우간다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LRA에 대한 지원이 감소하고 국경 긴장이 완화되었다. 이로 인해 일부 국내 실향민들이 귀환하기 시작했으며, 분쟁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생겨났다.[130][34]
3. 2. 1. 수단의 지원과 LRA의 잔혹 행위 증가
1994년 2월 6일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이 최후통첩을 발표한 지 2주 후, 신의 저항군(LRA) 전사들이 수단 정부의 승인 하에 우간다 북부 국경을 넘어 남부 수단에 기지를 구축했다는 보고가 나왔다.[30] 수단 정부의 이러한 지원은 제2차 수단 내전에서 수단 인민 해방군(SPLA) 반군을 지원한 우간다 정부에 대한 보복 조치였다.한편, 조셉 코니는 아촐리족이 무세베니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고, 수단의 지원으로 강화된 군사력을 이용해 민간인들을 더욱 잔혹하게 공격하기 시작했다. 특히 귀, 입술, 코 등을 자르는 신체 절단 행위가 만연했으며, 1994년부터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납치가 본격적으로 자행되었다.
이러한 LRA의 잔혹 행위 중 가장 악명 높은 사건은 1996년 10월에 발생한 아보케 납치 사건으로, 여학생 139명이 집단으로 납치되었다.[31] LRA 전투원의 대부분이 이렇게 납치된 아이들이었기 때문에, LRA에 대한 군사적 공격은 아촐리족에게 '희생자 학살'로 널리 인식되었다. 따라서 반군을 파괴하려는 정부의 시도는 아촐리족에게 또 다른 불만의 원인으로 간주되었다. 납치된 젊은 반군이 잔혹한 행위의 피해자이자 가해자인 이 상황의 도덕적 모호성은 많은 아촐리족이 반군에 대해 가지는 갈등적인 태도의 핵심이다.
3. 2. 2. 정부의 "보호마을" 정책과 그 폐해
신의 저항군(LRA)의 민간인 대상 공격과 납치가 심화되자, 무세베니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96년부터 초토화 전술의 일환인 "보호마을" 정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은 모든 아촐리족 주민들에게 48시간 안에 집을 떠나 정부가 지정한 "보호마을"로 이주하도록 강제하는 것이었다.[128][32]그러나 이 "보호마을"은 이름과 달리 안전한 보호 시설이 아니었으며, 실제로는 국내실향민들을 강제로 수용하는 캠프와 다름없었다. 수용소는 매우 혼잡하고 비위생적이었으며, 기본적인 생활 여건조차 갖춰지지 않아 거주 환경이 극도로 열악했다.[128][32] 일부 주민들은 이 참혹한 환경 때문에 수용소를 "죽음의 수용소"라고 부르기도 했다.[129][33]
더욱 심각한 문제는 정부의 보호 약속에도 불구하고 수용소 내에서도 신의 저항군의 공격이 계속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정부의 보호 능력에 대한 불신을 키웠고,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이미 악화된 아촐리족 주민들의 정부에 대한 적대감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과 지속적인 위협 속에서 많은 주민들이 질병과 기아 등으로 사망했다. 세계 보건 기구(WHO)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호 수용소 내에서의 사망자 수가 신의 저항군의 직접적인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 수보다 10배나 더 많았던 것으로 집계되었다.[101][1] 이는 정부의 보호 정책이 오히려 더 큰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했음을 보여준다.
3. 2. 3. 수단-우간다 관계 변화와 난민 귀환
1997년부터 수단 정부는 민족 이슬람 전선(NIF)에 대한 이전의 강경한 입장에서 점차 물러나기 시작했다.[130][34]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는 수단과 우간다의 관계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130][34] 양국 관계가 개선되면서 각자의 대리 세력(수단은 신의 저항군, 우간다는 남수단 인민방위군)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었고, 국경 지역의 긴장도 완화되었다.[130][34]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전쟁으로 인해 국내 실향민이 되었던 수십만 명의 민간인 중 일부가 고향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130][34] 분쟁으로 인한 국내 실향민 수는 약 50만 명 이하로 감소했으며, 사람들은 정부가 운영했던 "보호 캠프"가 해체될 날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했다.[130][34]3. 3. 아이언 피스트 작전과 계속되는 반란 (2002년~2005년)
2002년 3월,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은 수단 정부의 동의 하에 남수단 내 신의 저항군(LRA) 기지를 겨냥한 대규모 군사 작전인 "아이언 피스트 작전"(Operation Iron Fist영어)을 개시했다. 이는 제2차 콩고 전쟁 종결 후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철수한 병력을 활용하여 LRA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간다 정부의 시도였다.[131][35] 그러나 작전 이후 LRA는 오히려 우간다로 다시 넘어와 1995년-1996년 이후 가장 잔혹한 공격을 감행했으며, 이전에 비교적 평화롭던 소로티 같은 지역까지 막대한 피해와 함께 난민을 발생시켰다.[132][36]이 시기 동안 지역 지도자들이 주도한 평화 협상 노력은 LRA 지도자 조셉 코니의 불분명한 태도로 인해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LRA의 잔혹 행위는 국제 사회의 이목을 끌기 시작했다. 2003년 11월, 유엔의 인도주의 및 긴급구호 조정 사무차장 얀 에겔란은 우간다 북부 상황의 심각성에 비해 국제적 관심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으며,[133][37] 같은 해 12월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LRA의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며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했다.
2004년 중반부터 군사적 압박이 강화되면서 LRA의 활동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동시에 우간다 정부 역시 분쟁 해결 방식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군사적 해결에 치중한다는 점과 LRA에서 탈출한 소년병을 다시 군인으로 징집했다는 사실이 인정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다.[134][38]
2005년 9월에는 빈센트 오티가 이끄는 LRA 부대가 처음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DRC)으로 넘어가면서 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우간다 정부가 콩고 영토 내 LRA 추격을 선언하자 양국 간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135][39]
3. 3. 1. 작전의 배경과 목표
2002년 3월,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은 수단 정부의 동의를 얻어 남수단 내 신의 저항군(LRA) 기지를 대상으로 대규모 군사 작전인 "아이언 피스트 작전"(Operation Iron Fist영어)을 개시했다. 이 작전은 제2차 콩고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결되면서 콩고 민주 공화국에 파병되었던 우간다군이 복귀한 시점과 맞물려 추진되었다. 우간다 정부는 이를 국내의 오랜 골칫거리였던 LRA 반란을 종식시킬 기회로 여겼다.[131][35]그러나 몇 달간의 불확실한 상황 끝에, LRA는 다시 우간다로 넘어와 1995년-1996년 이후 가장 잔혹한 수준의 공격을 재개했다. 이로 인해 이전까지 비교적 안전했던 소로티와 같은 지역에서도 대규모 난민이 발생하고 주민들은 큰 고통을 겪었다.[132][36]
이 시기, 전통적 및 종교 지도자들이 주도한 여러 지역 평화 협상 시도와 외교적 노력은 LRA 지도자 조셉 코니의 불분명한 협상 태도 등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LRA 반란 문제는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03년 11월 우간다를 방문한 유엔 인도주의 및 긴급구호 조정 사무차장 얀 에겔란은 "우간다만큼 심각한 비상사태가 발생했음에도 국제 사회의 관심을 덜 받는 곳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지적했다.[133][37] 결국 2003년 12월,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LRA의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며 국제형사재판소(ICC)에 LRA를 제소했다.
2004년 중반부터 강력한 군사적 압박으로 LRA의 활동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동시에 우간다 정부는 분쟁을 종식시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국제 사회로부터 점점 더 강한 비판에 직면했다. 국제 구호 단체들은 우간다 정부가 평화적 해결 노력 없이 군사적 수단에만 의존한다고 비판했으며, 우간다군이 LRA에서 탈출한 소년병을 다시 군인으로 징집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비판 여론은 높아졌다.[134][38]

2005년 9월 중순, 빈센트 오티가 이끄는 LRA 병력 일부가 처음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DRC)으로 넘어갔다. 이에 무세베니 대통령은 DRC 정부가 LRA를 추격하여 무장 해제시키지 않으면 UPDF가 직접 국경을 넘어 소탕 작전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135][39] 이는 우간다와 DRC 간의 심각한 외교적 갈등을 빚었으며, 양국 군대는 국경에서 무력 시위를 벌였다. 유엔 주재 DRC 대사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간다에 대한 경제 제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3. 3. 2. LRA의 반격과 인도주의적 위기 심화
2002년 3월,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은 수단의 국가 이슬람 전선 정부의 동의를 얻어 남수단에 위치한 신의 저항군(LRA) 기지를 대상으로 대규모 군사 작전인 "철권 작전"(Operation Iron Fist)을 개시했다. 이 작전은 제2차 콩고 전쟁이 공식적으로 끝나고 콩고 민주 공화국에 파견되었던 우간다군이 복귀하면서 추진되었다. 우간다 정부는 이를 오랫동안 지속된 LRA 반란을 종식시킬 이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했다.[131] 하지만 몇 달간의 불확실한 상황 끝에, LRA는 다시 우간다로 넘어와 1995년-1996년 이후 가장 잔혹한 수준의 공격을 재개했다. 이로 인해 이전까지 비교적 안전했던 소로티와 같은 지역에서도 대규모 난민이 발생하고 광범위한 고통을 초래했다.[132]이 시기 동안 전통적 지도자와 종교 지도자들이 중심이 되어 여러 지역 평화 협상 계획과 외교적 노력이 시도되었으나, LRA 지도자 조셉 코니의 협상 입장이 불분명하여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LRA 반란 문제는 전례 없는 국제적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2003년 11월 우간다를 방문한 유엔 인도주의 및 긴급구호조정 사무차장 얀 에겔란은 "우간다만큼 심각한 비상사태가 발생했음에도 국제 사회의 관심을 덜 받는 곳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지적하며 국제 사회의 무관심을 비판했다.[133] 같은 해 12월,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LRA가 저지른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며 국제형사재판소(ICC)에 LRA를 공식 제소했다.
2004년 중반부터 강력한 군사적 압박으로 LRA의 활동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동시에 우간다 정부는 분쟁을 종식시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국제 사회로부터 점점 더 많은 비판에 직면했다. 국제 구호 단체들은 우간다 정부가 군사적 해결에만 의존하며 평화적 해결 의지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간다군이 LRA에서 탈출한 소년병들을 다시 군인으로 징집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134]
2005년 9월 중순, 빈센트 오티가 이끄는 LRA 부대가 처음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넘어갔다. 이에 무세베니 대통령은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가 LRA 대원들을 추격하여 무장 해제시키지 않으면 UPDF가 직접 국경을 넘어 소탕 작전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135] 이 발언은 콩고 민주 공화국과 우간다 간의 외교적 마찰을 빚었다. 양국 군대는 국경 지역에서 무력 시위를 벌였고, 유엔 주재 콩고 민주 공화국 대사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간다에 대한 경제 제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3. 3. 3. 국제 사회의 관심 증대
2002년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의 "아이언 피스트 작전" 이후 신의 저항군(LRA)은 우간다로 다시 넘어와 1995년에서 1996년 이래 볼 수 없었던 잔혹한 규모의 공격을 재개했다. 이로 인해 이전에는 반군의 영향을 받지 않았던 소로티와 같은 지역에서도 광범위한 난민 발생과 고통이 초래되었다.[132][36]이 기간 동안 조셉 코니의 협상 입장이 불확실하여 지역적 평화 협상 노력은 실패했지만, 이 분쟁은 점차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03년 11월 우간다를 방문한 유엔 인도주의 및 긴급구호조정 사무차장 얀 에겔란은 "우간다만큼 국제 사회의 관심을 덜 받고 있는 비상사태가 발생한 곳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말하며 국제적인 관심을 촉구했다.[133][37] 2003년 12월,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LRA가 저지른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며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공식적으로 제소했다.
2004년 중반부터 강력한 군사적 압박으로 LRA의 활동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그러나 동시에 우간다 정부는 분쟁을 종식시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국제 사회로부터 점점 더 많은 비판을 받기 시작했다. 국제 구호 기관들은 우간다 정부가 군사적 해결에만 의존하고 평화적 해결에 대한 의지가 부족하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우간다군이 LRA에서 탈출한 소년병을 다시 군에 징집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134][38]
3. 3. 4. 우간다 정부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판
2004년 중반부터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의 강력한 군사적 압박으로 신의 저항군(LRA)의 활동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우간다 정부는 오랜 기간 지속된 북부 우간다 분쟁을 종식시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국제 사회로부터 점점 더 많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38]국제 구호 기구들은 우간다 정부가 군사적 해결에만 치중하고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에는 소극적이라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38] 특히, 우간다군이 신의 저항군에서 탈출했거나 구출된 소년병들을 다시 군인으로 징집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이러한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38] 이는 아동 인권 문제와 맞물려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았다.
이러한 비판적 분위기는 2003년 11월 유엔 인도주의 및 긴급구호조정 사무차장이었던 얀 에겔란이 우간다 북부의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 대한 국제 사회의 무관심을 지적하며 "우간다만큼 국제 사회의 관심을 덜 받고 있는 비상사태가 발생한 곳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발언한 이후[37] 더욱 확산되었다. 같은 해 12월,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LRA의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조사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공식 요청했으나,[37] 정부 역시 분쟁 해결 방식과 인권 문제로 인해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3. 3. 5. LRA의 콩고 민주 공화국 진출
2005년 9월 중순, 빈센트 오티가 이끄는 LRA 병사들이 처음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DRC)으로 넘어갔다. 이에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가 LRA 병력을 무장 해제시키지 않을 경우, UPDF이 국경을 넘어 직접 추격하겠다고 선언했다.[39] 이 선언은 콩고 민주 공화국과 우간다 사이에 외교적 갈등을 일으켰다. 양국 군대는 국경에서 무력 시위를 벌였고, 유엔 주재 콩고 민주 공화국 대사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간다에 대한 경제 제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3. 4. 평화 협상과 정전 (2006년~2008년)
2006년 7월부터 우간다 정부와 신의 저항군(LRA) 사이에 남수단의 주바에서 일련의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다. 이 회담은 남수단 부통령 리크 차르[40]와 산테지디오 공동체의 중재로 진행되었으며,[41] 1994년 베티 비곰베의 평화 구상 이후 협상을 통한 해결의 가장 중요한 기회로 여겨졌다. 회담은 조셉 코니가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의 안전 보장 제안에 호응하여 적대 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영상을 공개하면서 성사되었다.[42]2006년 8월, 양측은 휴전 협정을 체결하여 LRA 부대가 우간다를 떠나 남수단 내 지정된 집결지로 이동하기로 합의했다.[47] 그러나 회담은 이후에도 양측의 요구와 반대 요구가 이어지며 난항을 겪었다.[47][48] 이 시기 우간다 정부는 주요 국내실향민(IDP) 수용소의 과밀 해소를 위한 조치를 시작했다.[48]
남수단 정부는 이 회담을 자국 내 LRA 문제를 해결하고 수단 하르툼 중앙 정부와의 관계를 관리하는 기회로 활용하고자 했다.[49] 우간다 정부가 LRA 지도부에 대한 ICC의 전쟁 범죄 기소 중단을 요청한 것은 국제 인권 단체의 비판을 받았으나, 분쟁으로 고통받던 북부 우간다 주민들은 평화에 대한 기대로 이를 대체로 지지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IDP들은 반란이 완전히 종식되기 전까지는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주저하며 평화 협상의 전망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50]
회담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2007년 5월, LRA 피해 지역 담당 유엔 사무총장 특별 대표인 조아킴 치사노의 노력과 유엔 및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의 지원 하에 재개되었다.[51] 2007년 말, LRA 대표단이 캄팔라와 북부 우간다를 방문하여 평화적 해결 의지를 보이고 피해자들에게 용서를 구하는 행보를 보였다.[53] 그러나 비슷한 시기 LRA 부사령관 빈센트 오티가 조셉 코니와의 내부 권력 다툼 끝에 처형되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53] LRA 내부의 불안정성이 드러나기도 했다. 우간다 정부는 자체적인 전쟁 범죄 법원 설립을 검토하기도 했다.[52]
3. 4. 1. 주바 회담의 진행 과정
2006년 7월부터 우간다 정부와 신의 저항군(LRA) 사이에 남수단의 주바에서 일련의 회담이 열렸다. 이 회담은 남수단 부통령 리크 차르[40]와 산테지디오 공동체의 중재로 진행되었다.[41] 2006년 9월 휴전으로 이어진 이 회담은 1994년 베티 비곰베의 평화 구상 이후 협상을 통한 해결의 가장 좋은 기회로 평가받았다.회담은 조셉 코니가 2006년 5월, 자신이 잔혹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적대 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영상을 공개한 후 성사되었다. 이는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이 7월까지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 코니의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한 응답이었다.[42] 2006년 6월 말, 남수단 정부는 우간다에 평화 회담 참석을 공식적으로 초청했고,[43] 7월 14일 주바에서 회담이 시작되었다.[44] 8월 4일, LRA의 빈센트 오티는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하고 우간다 정부에도 상응하는 조치를 요구했다.[45] ICC 기소 대상자였던 라스카 루크위야는 8월 12일 전투 중 사망했다.[46]
우간다 정부와 LRA는 2006년 8월 26일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협정 조건에 따라 LRA 부대는 우간다를 떠나, 수단 정부가 보호하는 남수단 내 두 곳의 집결지로 이동하기로 했다. 우간다 정부는 해당 지역을 공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LRA 반군은 9월 중순까지 집결지에 모이기 시작했다.[47] 그러나 회담은 양측의 요구와 반대 요구가 계속되면서 난항을 겪었다. 한편, 우간다 정부는 주요 국내실향민(IDP) 수용소의 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위성 캠프" 건설을 시작했다.[48]
남수단 정부는 이 회담을 수단 하르툼 중앙 정부와의 미묘한 관계를 복잡하게 만드는 외국 군대(LRA)를 자국 영토에서 내보내는 기회로 여겼다. 우간다 정부가 LRA 지도부에 대한 ICC의 전쟁 범죄 기소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한 것은 국제 인권 단체의 비판을 받았지만, 분쟁 지역인 북부 우간다의 지도자들과 주민들은 대체로 이를 지지했다.[49]
2007년 중반까지 수천 명의 IDP가 새로 마련된 캠프로 이동했다. 그러나 많은 주민들은 반란이 확실히 끝나기 전에는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꺼리며 평화 협정의 전망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50]
평화 회담이 잠시 중단된 후, LRA 피해 지역 담당 유엔 사무총장 특별 대표인 조아킴 치사노의 노력과 주바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덕분에 2007년 5월 회담이 재개될 수 있었다. 회담은 다시 남수단 정부가 중재했지만, 이번에는 유엔과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의 지원을 받았다.[51]
2007년 8월 20일, 우간다 정부는 전쟁 범죄 법원 설립에 대한 법률 자문을 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52] 2007년 11월에는 마틴 오줄이 이끄는 LRA 대표단이 평화적 해결 의지를 재확인하기 위해 캄팔라를 방문했다. 오줄은 이후 대표단을 이끌고 북부 우간다를 방문하여 반란 피해자들을 만나 용서를 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LRA 부사령관이었던 오티가 2007년 10월 8일경 코니와의 내부 권력 다툼 끝에 처형되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LRA 내부의 불안정성이 드러났다.[53]
3. 4. 2. 남수단의 입장과 국제 사회의 지지
남수단 정부는 주바 회담을 통해 자국 내 신의 저항군 (LRA) 주둔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수단 정부와의 미묘한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49] 한편, 우간다 정부가 ICC에 LRA 지도부에 대한 전쟁 범죄 기소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한 사안에 대해서는 상반된 반응이 나타났다. 국제 인권 단체들은 이러한 요청을 강하게 비판했지만, 오랜 분쟁에 시달려 온 북부 우간다의 지도자들과 주민들은 평화 정착에 대한 기대로 대체로 이를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49]3. 4. 3. 회담 재개와 LRA 대표단의 우간다 방문
평화 회담이 중단된 후, 주바 이니셔티브 프로젝트는 LRA 피해 지역 담당 유엔 사무총장 특별 대표인 조아킴 치사노의 노력 덕분에 2007년 5월에 회담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회담은 다시 남수단 정부가 중재했지만, 유엔의 지원과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의 물류 지원을 받았다.[51]2007년 8월 20일, 우간다 정부는 전쟁 범죄 법원 설립에 대한 법률 자문을 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52] 2007년 11월, 마틴 오줄이 이끄는 LRA 대표단은 분쟁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기 위해 캄팔라로 향했다. 오줄은 나중에 대표단을 이끌고 북부 우간다를 방문하여 반란의 피해자들을 만나 용서를 구했다. 그러나 LRA 부사령관 빈센트 오티가 2007년 10월 8일경 조셉 코니와의 내부 권력 투쟁으로 처형되었다는 보고가 나왔다.[53]
3. 4. 4. 빈센트 오티의 처형설
2007년 11월, 마틴 오줄이 이끄는 LRA 대표단은 분쟁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기 위해 캄팔라로 향했으며, 이후 대표단을 이끌고 우간다 북부를 방문하여 반란의 피해자들을 만나 용서를 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적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LRA 부사령관 오티가 2007년 10월 8일경 코니와의 내부 권력 투쟁으로 인해 처형되었다는 보고가 나왔다.[53]3. 5. 전투 재개와 현재 (2008년~현재)
2008년 이후 신의 저항군 LRA는 활동 영역을 우간다 북부를 넘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남수단 등 주변국으로 확장하며 잔혹한 민간인 공격과 납치를 지속했다.[54][58] 특히 2008년 크리스마스 학살[57]과 2009년 마코보 학살 등 대규모 민간인 살해가 발생하며 국제 사회의 우려가 커졌다. LRA는 병력을 보충하고[55] 새로운 무기를 확보하며 세력을 유지하려 시도했다.이에 대응하여 미국은 2010년 신의 저항군 무장 해제 및 북부 우간다 회복법을 제정하고[6], 2011년부터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여 LRA 소탕 작전을 지원했다.[6] 아프리카 연합 AU 역시 2012년 우간다,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병력으로 구성된 5,000명 규모의 국제 여단을 창설하여 LRA 지도자 조셉 코니 추적에 나섰다.[59][60] 이러한 국제적 노력과 주변국 군대의 작전으로 LRA 고위 간부인 카이사르 아첼람[62]과 사무엘 캉구[71] 등이 체포되거나 사살되었고, 부사령관 도미닉 옹웬이 2015년 항복하는[78] 등 LRA 세력은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도미닉 옹웬은 이후 전쟁 범죄 및 반인륜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LRA의 활동은 크게 위축되었으나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으며, 조셉 코니는 여전히 도피 중이다. 2017년 미국과 우간다는 대규모 추격 작전인 관찰 나침반 작전을 종료했지만[84][87], LRA 잔당은 산발적인 공격과 납치를 이어갔다.[73][77][79] 유엔은 2009년에서 2012년 사이에만 최소 45명의 어린이가 살해되고 591명 이상이 납치되었다고 보고했으며, 실제 피해는 더 클 것으로 추정했다.[64][65] 최근에는 2024년 러시아 바그너 그룹 용병들이 오트-코토 습격을 통해 조셉 코니 체포를 시도하는 등[88][89] 새로운 행위자들이 개입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3. 5. 1. LRA의 활동 범위 확대
2008년 2월, 신의 저항군(LRA)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바시그비리에서 첫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 달에는 오보에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주요 도시를 처음으로 습격했다.[54]2008년 6월, 외교관들은 LRA가 새로운 무기를 구매하고 기존 600명 병력에 1,000명의 신병을 추가 모집했다고 보고했다. 비슷한 시기에 우간다, 남수단, 콩고-킨샤사는 LRA를 공동으로 제압하기 위한 계획에 합의했다.[55] 남수단 정부는 LRA가 2008년 6월 7일 콩고 민주 공화국 나방가에서 자국 군인 14명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56]
LRA는 2008년 크리스마스와 그 이후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여러 마을을 공격하여 최소 400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57] 2009년 내내 LRA는 남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여러 차례 공격을 가한 혐의를 받았다.[58] 2010년 3월에는 LRA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저지른 2009년 12월 마코보 학살 소식이 전해졌다.
2010년 5월,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신의 저항군 무장 해제 및 북부 우간다 회복법에 서명하여 법으로 제정했다. 2011년 10월, 오바마는 LRA 지도자 조셉 코니를 제압하기 위해 다른 대(對) LRA 부대를 지원할 100명의 미군 투입을 발표하며, 미국 의회 양원 지도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 법을 언급했다.[6]
2012년 3월 23일, 아프리카 연합(AU)은 우간다,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출신 병력으로 구성된 5,000명 규모의 국제 여단을 파견하여 반군 지도자 조셉 코니를 추적하고 "무력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들 국가는 수년간 코니의 공포 통치를 겪어왔다. AU 성명에 따르면, 임무는 2012년 3월 24일에 시작되어 코니가 체포될 때까지 계속될 예정이었다.[59] 이 작전은 우간다가 주도하고 미국이 지원했으며, 미국은 이미 파견된 100명의 고문관을 통해 조언, 정보, 훈련 및 장비를 제공했다.[60] 여단 본부는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과 가까운 남수단 얌비오에 설치되었고, 우간다 장교가 지휘하며 콩고 장교가 정보 작전을 감독했다.[61]
2012년 5월 12일, 아프리카 연합 여단 소속 우간다 군인들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CAR)에서 LRA의 고위 지도자이자 주요 군사 전략가인 카이사르 아첼람(계급: 소장)을 체포했다. 그의 체포는 조셉 코니의 도피 작전에 상당한 타격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62][63]
2012년 6월 6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LRA의 활동을 다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최소 45명의 어린이가 살해되거나 불구자가 되었고, 최소 591명의 어린이(이 중 268명은 소녀)가 납치되었다. 아동과 무력 분쟁에 관한 유엔 특별 대표 라디카 코마라스와미는 실제 납치 건수는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또한 당시 LRA 전투원이 300명에서 500명 사이이며, 그중 절반가량이 어린이인 것으로 추정했다.[64][65]
LRA는 2012년 동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제마 시에 주둔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66] 2013년 4월 셀레카 반군 연합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를 전복시킨 후 LRA를 추격하던 부대는 철수했다.[1] 2013년 11월, 조셉 코니는 동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은조카에서 건강이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었으며,[1][67] 당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미셸 조토디아는 코니와 항복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68] 그러나 미국 관리들은 코니의 항복 의사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69]
2013년 11월 초, LRA로 의심되는 무장 세력이 남수단 서부 에콰토리아 지역의 다섯 마을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했으며, 반군은 약탈과 함께 여러 가옥에 불을 질렀다.[70]
2013년 12월 4일,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매복 공격을 벌여 LRA 사령관 사무엘 캉구를 포함한 13명의 LRA 대원을 사살했다. 이 작전에는 미국이 제공한 정보가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다.[71]
2013년 12월 11일, 19명의 LRA 게릴라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젬비오에서 아프리카 연합군에 항복했다.[72]
유엔 추산에 따르면, 2014년 1분기 동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최소 65건의 LRA 공격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93명이 납치되고 2명이 사망했다.[73]
2014년 5월 7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LRA 고위 사령관들이 수단 및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접한 남수단 국경 지역에 주둔하고 있다고 밝혔다.[73]
2014년 5월 20일, 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대표들이 LRA 반란 문제에 대해 남수단에서 3일간의 회의를 가졌다.[74]
2014년 8월 13일, LRA 반군은 콩고 민주 공화국 빌리 인근 마을을 공격하여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 군대(FARDC) 군대는 후퇴하기 전에 무장 세력과 충돌했다.[75]
2014년 8월 23일, LRA 인질 13명이 감금에서 탈출했으며, 6일 후 12명의 인질이 추가로 탈출했다. 이들은 2004년에서 2014년 8월 사이에 납치되었으며, FARDC의 공세 이후 각각 디그바와 앙고, 콩고 민주 공화국에 도달했다.[76]
2014년 12월 28일부터 31일까지, LRA는 콩고 민주 공화국 둥구 지역에서 세 차례 공격을 감행했다. 파라제 공격으로 2명이 부상했고, 망가사바 마을은 약탈당했으며, 킬리와의 상인도 게릴라들에게 강탈당했다.[77]
2015년 1월 9일, LRA 부사령관 도미닉 옹웬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주둔한 미군에 항복했다. 그는 우간다 반란에서 탈퇴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 제니퍼 사키는 "그의 탈퇴는 LRA 지휘 구조에 역사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78]
2015년 1월 15일, LRA 반군은 콩고 민주 공화국 본도 영토의 불루마시와 판갈리 마을에서 여러 건의 납치를 감행하여 총 10명을 인질로 잡았다.[79]
2015년 1월 21일, LRA 무장 세력은 콩고 민주 공화국 완도 인근 낭구메 마을에서 매복 공격을 감행하여 FARDC 군인 3명을 살해했다. 수십 명의 민간인이 부상당했고, 3명이 납치되었으며, 습격 이후 200가구가 이 지역에서 이주했다.[80]
2015년 2월 5일, LRA로 의심되는 20명의 무리가 콩고 민주 공화국의 디자가와 디그바 마을에서 8명을 납치하고 약탈을 자행했다.[81]
2015년 2월 16일, LRA 게릴라들은 콩고 민주 공화국 둥구 영토에 위치한 로드 IV에서 3명을 살해하고 4명을 부상시켰다.[82]
2015년 4월 12일, 콩고 민주 공화국 망방구 마을 밖에서 LRA의 매복 공격으로 총 8명의 FARDC 군인이 작전 중 실종되었다. 다음 날,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시신이 그 지역에서 발견되었다.[83]
2017년 3월 30일, 미국군은 관찰 나침반 작전(Operation Observant Compass)이라는 LRA에 대한 캠페인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84]
2017년 4월 미상의 날짜에, 미국 특수부대 군인이 아프리카 연합 평화 유지군을 호위하던 중 무기를 꺼낸 LRA 전사를 사살했다.[86]
2017년 4월 19일, 우간다는 9년 동안 조셉 코니를 추적해 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7]
2021년 5월 6일, LRA 사령관 도미닉 옹웬은 우간다에서 전쟁 범죄 및 반인륜 범죄로 25년형을 선고받았다.
2024년 4월 7일, 바그너 그룹 출신의 러시아 용병들이 오트-코토 습격을 감행하여 삼 우안자 마을 근처에서 LRA 지도자 조셉 코니를 체포하려 했다. 일부 전사를 사살했지만, 코니가 다른 기지로 먼저 떠났기 때문에 작전은 실패했다.[88][89]
3. 5. 2. 2008년 크리스마스 학살과 이후 공격
2008년 2월, 신의 저항군(LRA)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바시그비리에서 첫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다음 달에는 오보를 습격하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으로 주요 도시를 공격했다.[54] 같은 해 6월, LRA는 새로운 무기를 구매하고 1,000명의 신병을 모집하여 기존 병력 600명에 더해 세력을 확장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우간다, 남수단, 콩고-킨샤사는 LRA를 공동으로 제압하기 위한 계획에 합의했다.[55] 남수단 정부는 LRA가 6월 7일 콩고 민주 공화국 나방가에서 자국 군인 14명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56]2008년 크리스마스 당일과 그 이후 며칠 동안, LRA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여러 마을을 공격하여 최소 400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이 사건은 '2008년 크리스마스 학살'로 알려졌다.[57] 2009년 한 해 동안 LRA는 남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보고되었다.[58] 2010년 3월에는 LRA가 2009년 12월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저지른 마코보 학살에 대한 소식이 전해졌다.
국제 사회의 대응도 이어졌다. 2010년 5월,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신의 저항군 무장 해제 및 북부 우간다 회복법에 서명하여 법으로 제정했다.[6] 2011년 10월, 오바마는 LRA 지도자 조셉 코니를 제압하기 위해 100명의 미군 고문관을 파견하여 현지 군대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6]
2012년 3월 23일, 아프리카 연합(AU)은 우간다,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출신 병력으로 구성된 5,000명 규모의 국제 여단을 창설하여 코니를 추적하고 "무력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임무는 3월 24일에 시작되어 코니가 체포될 때까지 계속될 예정이었다.[59] 이 작전은 우간다가 주도하고 미국이 정보, 훈련, 장비 등을 지원하며,[60] 여단 본부는 남수단의 얌비오에 설치되었다.[61] 2012년 5월 12일, AU 여단 소속 우간다 군인들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LRA의 고위 지도자이자 주요 군사 전략가인 카이사르 아첼람을 체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62][63]
같은 해 6월 6일,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LRA의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최소 45명의 어린이가 살해되거나 불구화되었고, 최소 591명의 어린이가 납치되었다. 아동과 무력 분쟁에 관한 유엔 특별 대표 라디카 코마라스와미는 실제 납치 건수는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당시 LRA 전투원이 300명에서 500명 사이이며, 그중 절반가량이 아동이라고 밝혔다.[64][65] LRA는 2012년 동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도시 제마에 주둔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66] 2013년 4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셀레카 반군 연합에 의해 전복되면서 LRA 추격 부대가 철수했다.[1]
2013년 11월, 조셉 코니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동부 은조카에서 건강이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었고,[1][67] 당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미셸 조토디아는 코니와 항복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으나[68] 미국 관리들은 코니의 항복 의사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69] 같은 달 초, LRA로 의심되는 무장 세력이 남수단 서부 에콰토리아 지역의 다섯 마을을 공격하여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했으며, 약탈과 방화가 자행되었다.[70] 12월 4일에는 우간다군(UPDF)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미국의 정보 지원을 받아 LRA 사령관 사무엘 캉구를 포함한 13명을 사살했다.[71] 12월 11일에는 LRA 게릴라 19명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젬비오에서 아프리카 연합군에 항복했다.[72]
유엔 추산에 따르면, 2014년 1분기 동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최소 65건의 LRA 공격이 발생하여 93명이 납치되고 2명이 사망했다.[73] 5월 7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LRA 고위 사령관들이 수단 및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접한 남수단 국경 지역에 주둔하고 있다고 밝혔다.[73] 5월 20일에는 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대표들이 남수단에서 LRA 문제에 대해 3일간 회의를 가졌다.[74] LRA의 공격은 계속되어 8월 13일에는 콩고 민주 공화국 빌리 인근 마을을 공격하여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으며,[75] 12월 말에는 콩고 민주 공화국 둥구 지역에서 세 차례 공격을 감행했다.[77] 한편, 8월에는 총 25명의 LRA 인질이 콩고 민주 공화국 군대(FARDC)의 공세 이후 탈출하기도 했다.[76]
2015년 1월 9일, LRA의 부사령관 도미닉 옹웬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주둔한 미군에 항복하면서 LRA 지휘 구조에 큰 타격을 주었다.[78] 그러나 LRA의 활동은 완전히 멈추지 않아, 2015년에도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납치, 살해, 약탈 등의 공격이 이어졌다.[79][80][81][82][83]
2017년 3월 30일, 미국은 LRA 소탕 작전인 관찰 나침반 작전(Operation Observant Compass)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84] 4월에는 미 특수부대원이 아프리카 연합 평화유지군을 호위하던 중 LRA 전사를 사살하는 사건이 있었고,[86] 같은 달 19일 우간다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9년간 진행해 온 코니 추적 작전을 종료하고 병력 철수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87]
2021년 5월 6일, 항복했던 LRA 사령관 도미닉 옹웬은 우간다에서 전쟁 범죄 및 반인륜 범죄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았다.
2024년 4월 7일, 러시아 바그너 그룹 용병들이 오트-코토 습격을 감행하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삼 우안자 마을 근처에서 조셉 코니를 체포하려 했으나, 코니가 이미 다른 기지로 이동한 후여서 작전은 실패했다.[88][89]
3. 5. 3. 국제 사회의 대응 강화
2010년 5월,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신의 저항군 무장 해제 및 북부 우간다 회복법(Lord's Resistance Army Disarmament and Northern Uganda Recovery Act)에 서명하여 법으로 제정했다. 이 법은 신의 저항군(LRA)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정책적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조치였다.[6]이후 2011년 10월, 오바마 대통령은 LRA 지도자 조셉 코니를 체포하고 LRA를 무력화하기 위한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중앙아프리카 지역에 미군 병력 100명을 파견한다고 발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의회 지도부에 보낸 서한에서 앞서 제정된 법을 파병의 근거로 제시하며, 미군이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현지 군대에 정보, 자문, 지원 등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6]
국제 사회의 노력은 더욱 확대되었다. 2012년 3월 23일, 아프리카 연합(AU)은 LRA 소탕을 위한 국제적인 군사 작전을 공식화했다. AU는 우간다,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등 LRA의 활동으로 고통받아 온 국가들의 군인들로 구성된 5,000명 규모의 국제 여단 창설을 발표했다. 이 부대의 주요 임무는 조셉 코니를 추적하여 체포하거나 무력화하는 것이었다.[59] AU는 성명을 통해 "임무는 2012년 3월 24일에 시작될 것이며, 코니가 잡힐 때까지 수색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59] 이 작전은 우간다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미국은 이미 파견된 100명의 군사 고문단을 통해 정보, 훈련, 장비 등을 지원했다.[60] 이 여단은 콩고 민주 공화국과의 국경에 인접한 남수단의 얌비오에 본부를 두었으며, 지휘는 우간다군 장교가 맡았고, 콩고 민주 공화국군 장교는 정보 작전을 감독했다.[61]
3. 5. 4. 주요 LRA 간부 체포 및 사망
2012년 5월 12일, 아프리카 연합 여단 소속 우간다 군인들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신의 저항군(LRA)의 고위 지도자인 카이사르 아첼람을 체포했다. 아첼람은 LRA의 주요 군사 전략가로 알려져 있었으며, 그의 체포는 조셉 코니가 이끄는 LRA 세력에 상당한 타격을 주었다.[62][63]2013년 12월 4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의 매복 공격으로 LRA 사령관 사무엘 캉구를 포함한 LRA 대원 13명이 사망했다. 이 작전은 미국이 제공한 정보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71]
2015년 1월 9일, LRA의 부사령관 도미닉 옹웬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주둔한 미군에 항복했다. 그는 우간다 반란에서 탈퇴했다고 주장했으며, 미국 국무부는 그의 항복이 "LRA의 지휘 구조에 역사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78] 이후 2021년 5월 6일, 도미닉 옹웬은 우간다에서 전쟁 범죄 및 반인륜 범죄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았다.
3. 5. 5. 미국과 우간다의 군사 작전 종료
2017년 3월 30일, 미국군은 신의 저항군에 대한 군사 작전인 관찰 나침반 작전(Operation Observant Compass)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84] 이어서 2017년 4월 19일, 우간다는 9년 동안 조셉 코니를 추적해 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7]3. 5. 6. 도미닉 옹웬의 유죄 판결
2015년 1월 9일, 신의 저항군 부사령관 도미닉 옹웬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주둔 중이던 미군에게 항복했다.[78] 그는 우간다 반란에서 이탈했다고 주장했으며, 미국 국무부 대변인 제니퍼 사키는 "그의 이탈은 신의 저항군 지휘 구조에 역사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78]2021년 5월 6일, 도미닉 옹웬은 우간다에서 전쟁 범죄 및 반인륜 범죄 혐의로 징역 25년형을 선고받았다.
3. 5. 7. 바그너 그룹의 개입 (2024년)
2024년 4월 7일, 바그너 그룹 출신의 러시아 용병들이 오트-코토 습격을 감행하여 삼 우안자 마을 근처에서 신의 저항군 지도자 조셉 코니를 체포하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신의 저항군 전사를 사살했으나, 코니는 이미 다른 기지로 이동한 뒤였기 때문에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88][89]4. 영향
신의 저항군 반란은 우간다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수십 년간 지속되며 심각하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초기에는 아촐리랜드에 국한되었던 분쟁은 점차 다른 지역과 인접 국가로 확산되었다.
이 반란은 막대한 인명 피해와 함께 수백만 명의 국내 실향민을 발생시켰으며, 이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활해야 했다. 특히 신의 저항군(LRA)은 아동 납치를 광범위하게 자행하여 소년병이나 성 노예로 삼는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을 저질렀다. 이러한 비극은 오랫동안 국제 사회의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점차 그 실상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분쟁이 극심했던 시기에는 어린이들이 밤마다 LRA의 납치를 피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 "야간 통근자"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참상은 다큐멘터리 제작, 굴루 워크와 같은 시민 운동, 인비저블 칠드런 단체의 ''코니 2012'' 캠페인 등을 통해 국제 사회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이 분쟁은 우간다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크게 저해하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했다. 반란은 아직 완전히 종식되지 않았으며, 국제 형사 재판소(ICC)의 LRA 지도부 기소와 평화 협상 시도가 병행되는 등 복잡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4. 1. 인명 피해와 인도주의적 위기
이 반란은 초기에 아촐리랜드로 알려진 지역, 즉 키트굼, 굴루, 파데르 구에 국한되었으나, 2002년 이후 폭력이 다른 우간다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신의 저항군(LRA)은 수단과의 국경 지역과 콩고 민주 공화국 북동부 이투리 주에서도 활동했다. 이러한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의 고통은 오랫동안 국제 사회, 특히 선진국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2004년 4월에 이르러서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공식적인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2005년에는 인도주의 전문가, 언론인, 학자 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우간다 북부 분쟁이 콩고 민주 공화국 과도 정부의 분쟁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심각한 '잊혀진' 인도주의적 위기로 지목되기도 했다.[91]미국 정부는 LRA의 폭력으로 인해 최대 12,000명이 사망했으며, 분쟁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질병과 영양 실조로 인해 더 많은 사람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한다. 약 200만 명의 민간인이 집을 잃고 국내 실향민(IDP) 캠프나 더 큰 정착지에서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가야 했다. 이들은 길모퉁이나 공공장소에서 잠을 자는 등 열악한 환경에 놓였다. 우간다 정부가 주민들에게 반란군으로 오인될 위험을 무릅쓰고 캠프 이주를 강요하고, 거부하는 마을을 포격하는 등의 조치는 캠프 내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92]
LRA는 민간인 납치를 광범위하게 자행했으며, 특히 18년간 LRA의 주요 공격 대상이었던 아촐리족에게 피해가 집중되었다. 납치된 이들 중 다수는 약탈품 운반 등 노역에 동원되었고, 상당수는 소년병이나 성 노예로 착취당했다. 유엔은 1987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약 25,000명의 어린이가 LRA에 의해 납치되었다고 추산했다.[93] 그러나 여러 연구에서는 실제 납치 피해 규모가 이보다 훨씬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07년 6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인권 센터 연구팀은 우간다 북부 수용 센터들과 협력하여 센터를 거쳐 간 전 납치 피해자 25,000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93]
이 연구는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2006년 4월 기준으로 LRA가 어린이 24,000명에서 38,000명, 성인 28,000명에서 37,000명을 납치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 결과, 여성은 전체 납치 피해자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남성에 비해 LRA에 더 오랫동안 억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주로 성적 착취와 가사 노동에 시달렸다. 키트굼과 파데르 지역의 13세에서 30세 사이 청소년 7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해당 연령대 청소년 66,000명 이상이 납치를 경험했으며, 이는 소년의 3분의 1, 소녀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이다.[90][94]
납치 기간을 살펴보면, 남성의 66%와 여성의 46%가 2주 이상 끌려갔다. 특히 2주 이상 납치된 경우, 여성은 4명 중 1명, 남성은 5명 중 2명이 돌아오지 못했다. 납치 건수는 우간다 군의 "철권 작전"에 대한 보복으로 추정되는 2002년과 2003년에 최고조에 달했다. 한편, 납치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1994년 약 13세에서 2004년 약 18세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납치 건수 증가 및 납치 기간 감소 추세와 맞물려 나타났다.[90][94]
납치 피해자들이 겪은 전쟁 폭력[90] | |
---|---|
살인을 목격함 | 78% |
묶이거나 감금됨 | 68% |
심한 구타를 당함 | 63% |
강제로 재산을 훔치거나 파괴함 | 58% |
강제로 시체를 훼손함 | 23% |
강제로 낯선 사람을 공격함 | 22% |
강제로 낯선 사람을 죽임 | 20% |
강제로 전투에서 적군을 죽임 | 15% |
강제로 가족이나 친구를 공격함 | 14% |
강제로 가족이나 친구를 죽임 | 8% |
현재 LRA는 우간다 군의 압박으로 전투원 수가 2,000명 미만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우간다 정부는 아직 반란을 완전히 종식시키지 못하고 있다. 진행 중인 평화 협상은 국제 형사 재판소(ICC)의 LRA 지도부 조사 및 재판 준비로 인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군사 작전 또한 병행되고 있다. 이 분쟁은 우간다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국가 경제에 누적 최소 13.3억달러(GDP의 3%, 연간 1억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95]
4. 2. "야간 통근자" 현상

분쟁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매일 밤 8세에서 14세 사이의 어린이 최대 4만 명이 "야간 통근자" 또는 "야간 거주자"로 불리며 안전을 찾아 이동했다. 이들은 LRA에 의한 납치를 피하기 위해 굴루를 비롯한 더 큰 마을이나 IDP 수용소에서 최대 20km까지 걸어갔다. 어린이들은 교회, 병원, 버스 정류장 및 임시 대피소에서 밤을 보낸 뒤 매일 아침 집으로 돌아갔다. 이러한 상황에 여러 교파의 종교 지도자들은 어린이들과 함께 거리에서 잠을 자며 일주일간 연대 시위를 벌였고, 이는 국제 사회가 분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96]
4. 3. 국제 사회의 인식 제고 노력
분쟁이 극심했던 시기, 우간다 북부에서는 매일 밤 8세에서 14세 사이의 어린이 최대 4만 명이 신의 저항군(LRA)의 납치를 피해 안전한 곳을 찾아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들은 "야간 통근자" 또는 "야간 거주자"로 불렸으며, 굴루와 같은 큰 마을이나 국내 실향민(IDP) 수용소에서 최대 20km를 걸어 이동했다. 교회, 병원, 버스 정류장, 임시 대피소 등이 이 어린이들에게 밤 동안 피난처를 제공했고, 아이들은 아침이 되면 다시 집으로 돌아갔다. 이러한 상황에 주목한 여러 교파의 종교 지도자들은 아이들과 함께 거리에서 잠을 자며 일주일간 연대 시위를 벌였고, 이는 국제 사회가 분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96]
이러한 어린이들의 실상을 국제 사회에 알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어졌다. 대표적으로 캐나다에서 시작된 "굴루 워크(GuluWalk)"와 미국의 비영리 단체인 Resolve Uganda의 활동이 있었다. 야간 통근자들의 이야기는 ''훔쳐진 아이들'',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워/댄스(War/Dance)'', 그리고 ''인비저블 칠드런(Invisible Children)''과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를 통해 더욱 널리 알려졌다.
특히 ''인비저블 칠드런''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동명의 단체는 다양한 캠페인을 통해 LRA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06년 4월 29일에는 굴루 워크와 유사한 형태의 행사인 글로벌 나이트 커뮤트(Global Night Commute)를 주최했다. 이 행사에는 전 세계 130개 주요 도시에서 8만 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참여하여 우간다 어린이들과 연대하는 의미로 도심에서 밤을 보냈다. 또한 2007년 4월 28일에는 미국 15개 도시에서 "Displace Me" 행사를 열어 국내 실향민 수용소(IDP)의 열악한 현실을 알렸다. 이 행사에는 6만 8천 명 이상이 참여하여 IDP의 임시 거처와 비슷한 판지 상자 안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경험을 공유했다.
또 다른 인식 개선 프로그램으로는 The Name Campaign이 있었다. 이 캠페인은 사람들에게 LRA에 납치된 수천 명의 아이들 중 한 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찰 목걸이를 착용하도록 권장하여 LRA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했다.
미국의 유명 배우인 대니 글로버와 돈 치들 역시 북부 우간다 어린이들의 상황을 알리는 데 목소리를 높였다.
2012년 3월 5일, 인비저블 칠드런 단체는 LRA의 지도자 조지프 코니의 만행을 고발하고 그의 체포를 촉구하는 ''코니 2012(Kony 2012)''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했다. 이 영상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키며 널리 퍼져나갔다.[97][98][99] 2023년 3월 22일 기준으로 유튜브에서 1억 3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LRA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100]
4. 4. 경제적 피해
신의 저항군 반란으로 인한 분쟁은 우간다의 개발 노력을 지속적으로 둔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 인해 우간다 경제는 누적적으로 최소 13.3억달러의 손실을 입었으며, 이는 GDP의 3% 또는 연간 1억달러에 해당하는 규모이다.[95]참조
[1]
뉴스
US forces hold LRA commander
https://www.bbc.com/[...]
2015-01-07
[2]
뉴스
Lord's Resistance Army commanded tried at the Hague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15-01-26
[3]
웹사이트
New Vision Online : LRA rebels clashes with CAR forces
http://www.newvision[...]
Newvision.co.ug
2010-10-08
[4]
웹사이트
Guatemalan blue helmet deaths stir Congo debate –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www.reliefweb[...]
2006-01-31
[5]
웹사이트
Russian Mercenaries Hunt the African Warlord America Couldn't Catch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24-04-27
[6]
뉴스
Obama orders U.S. troops to help chase down African 'army' leader
http://www.cnn.com/2[...]
2011-10-18
[7]
웹사이트
The Lord's Resistance Army: The U.S. Response
http://www.fas.org/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4-05-15
[8]
웹사이트
U.S. Ends hunt for Ugandan warlord Joseph Kony
http://www.washingto[...]
[9]
웹사이트
The LRA and Sudan
http://www.aljazeera[...]
[10]
웹사이트
Uganda LRA rebels extend reach with new attacks
https://www.reuters.[...]
Reuters
[11]
웹사이트
Armed forces – Uganda
https://www.nationse[...]
[12]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10
Routledge
2010-02-03
[13]
웹사이트
Hunting the LRA in Central Africa
http://www.voanews.c[...]
2012-11-09
[14]
뉴스
On the Hunt for Joseph Kony
https://www.washingt[...]
[15]
문서
Uppsala conflict data expansion. Non-state actor information. Codebook
http://privatewww.es[...]
[16]
뉴스
IRIN • humanitarian news and analysis from Africa, Asia and the Middle East – updated daily
http://www.irinnews.[...]
2007-05-30
[17]
뉴스
Joseph Kony's LRA rebels on the run, focusing on survival
http://www.cbc.ca/ne[...]
Cbc.ca
2014-07-19
[18]
뉴스
The last throes of Uganda's Lord's Resistance Army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2-01-24
[19]
웹사이트
CONFLICT BAROMETER 2010
http://www.hiik.de/e[...]
Hiik.de
[20]
웹사이트
Uganda (1987– 2010)
http://ploughshares.[...]
[21]
웹사이트
Uganda Civil War
https://www.globalse[...]
[22]
간행물
LRA Regional Update: Central African Republic, DR Dongo and South Sudan: January–December 2011
OCHA
2012-01-25
[23]
간행물
Warrant of Arrest unsealed against five LRA Commanders
http://www.icc-cpi.i[...]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2005-10-14
[24]
뉴스
Forgiveness for Uganda's former rebels
http://news.bbc.co.u[...]
News.bbc.co.uk
[25]
뉴스
Uganda's Christian Rebels Revive War in North
https://query.nytime[...]
1996-04-01
[26]
논문
Kony's message: A new Koine? The Lord's Resistance Army in northern Uganda
[27]
뉴스
Interview with Vincent Otti, LRA second in command
http://www.irinnews.[...]
[28]
문서
Kony's message: a new koine? The Lord's Resistance Army in Northern Uganda
African Affairs
[29]
뉴스
Profile: Uganda's LRA rebels
http://news.bbc.co.u[...]
2004-02-06
[30]
문서
LRA / Government negotiations 1993–94
http://www.c-r.org/a[...]
[31]
간행물
The Anguish of Northern Uganda: Results of a Field-based Assessment of the Civil Conflicts in Northern Uganda
http://www.usaid.gov[...]
US Embassy Kampala
1997-03-01
[32]
문서
What do you remember? A rough guide to the war in Northern Uganda 1986–2000
http://www.acord.org[...]
2000-01-01
[33]
문서
Sign Warfare
http://www.asymptote[...]
2014-04-15
[34]
문서
Weeks, p. 36.
[35]
뉴스
No rapid solutions in anti-LRA campaign
http://www.irinnews.[...]
2002-05-27
[36]
간행물
Behind the Violence: Causes, Consequences and the Search for Solutions to the War in Northern Uganda
http://www.refugeela[...]
Refugee Law Project
2004-02-01
[37]
뉴스
Uganda conflict 'worse than Iraq'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1-10
[38]
뉴스
Ugandan army recruiting children
http://news.bbc.co.u[...]
BBC
2005-02-15
[39]
뉴스
DR Congo militia deadline expires
http://news.bbc.co.u[...]
BBC
2005-09-30
[40]
뉴스
LRA rebels arrive for Sudan talk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6-08
[41]
뉴스
Guerra in Nord Uganda: la fine è a portata di mano
http://santegidio.de[...]
Avvenire
2006-08-20
[42]
뉴스
Uganda LRA rebels reject amnesty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7-07
[43]
뉴스
UGANDA: Gov't to send team to Sudan over proposed LRA talks
http://www.irinnews.[...]
IRIN
2006-06-28
[44]
뉴스
Ceasefire First On Kony Agenda
http://allafrica.com[...]
AllAfrica (The Monitor)
2006-07-15
[45]
뉴스
LRA leaders declare ceasefire
http://news.bbc.co.u[...]
BBC
2006-08-04
[46]
뉴스
Uganda hopeful about rebel talk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8-14
[47]
뉴스
Uganda drops peace talks deadline
http://news.bbc.co.u[...]
BBC
2006-09-12
[48]
뉴스
UGANDA: Most rebels have left northern Uganda for Sudan – army
http://www.irinnews.[...]
IRIN
2006-09-26
[49]
뉴스
UGANDA: Locals want rebel leader forgiven
http://www.irinnews.[...]
IRIN
2006-08-01
[50]
뉴스
UGANDA: IDPs begin slow journey home amid concerns over peace process
http://www.irinnews.[...]
IRIN
2007-05-18
[51]
뉴스
Sudan–Uganda: LRA talks, pencils and helicopters
http://www.irinnews.[...]
IRIN
2007-05-31
[52]
뉴스
Uganda considers war crimes court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8-20
[53]
뉴스
Ugandan rebel deputy feared dead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1-07
[54]
서적
Making Sense of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Zed Books
2015
[55]
뉴스
Ugandan rebels 'prepare for war'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07
[56]
뉴스
Sudan says Uganda rebels kill troops, start "war"
http://www.alertnet.[...]
Reuters
2008-06-07
[57]
뉴스
Christmas massacres 'killed 400'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2-30
[58]
웹사이트
SOUTHERNERS STILL BESIEGED BY SUSPECTED LRA FIGHTERS
http://www.irinnews.[...]
IRIN
2009-11-24
[59]
뉴스
Kony 2012: African Union ramps up hunt for Uganda rebel leader in wake of viral video
https://www.thestar.[...]
2012-03-23
[60]
뉴스
African Union launches U.S.-backed force to hunt Kony
https://www.reuters.[...]
2012-03-24
[61]
웹사이트
Kony 2012: African Union joins the hunt for Joseph Kony
http://www.globalpos[...]
GlobalPost
2012-03-23
[62]
뉴스
Uganda captures LRA senior commander
https://www.bbc.co.u[...]
2012-05-13
[63]
뉴스
Uganda captures Lord's Resistance Army commander
http://in.reuters.co[...]
2012-05-13
[64]
뉴스
Kony 2012: Joseph Kony's Lords Resistance Army Still Abducting Hundreds of Children
http://www.ibtimes.c[...]
2012-06-07
[65]
뉴스
Joseph Kony kidnapped 591 children in past three years, UN report reveals
https://www.theguard[...]
2012-06-07
[66]
뉴스
Khartoum aiding Kony rebels again
http://www.monitor.c[...]
Daily Monitor
2012-04-30
[67]
뉴스
1200 LRA Fighters Set To Defect – UN
http://ugandaradione[...]
Uganda Radio Network
2013-09-24
[68]
뉴스
Ugandan warlord Joseph Kony 'in talks' with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11-21
[69]
뉴스
Joseph Kony: US doubts LRA rebel leader's surrender
https://www.bbc.co.u[...]
BBC News Africa
2013-11-21
[70]
웹사이트
3 killed in LRA attack on South Sudan
http://www.sudantrib[...]
2015-01-27
[71]
웹사이트
Late LRA commander was close to Kony, says Ugandan army
http://www.sudantrib[...]
2013-12-05
[72]
웹사이트
19 LRA rebels surrender in Central Africa
http://www.sudantrib[...]
2013-12-12
[73]
웹사이트
LRA leader within S. Sudan's disputed region, says UN
http://www.sudantrib[...]
2014-05-07
[74]
웹사이트
Lutte contre la LRA : la RDC participe à un atelier régional au Soudan du sud
http://radiookapi.ne[...]
2014-05-20
[75]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 4 morts dans une attaque de la LRA à Bili
http://radiookapi.ne[...]
2014-08-13
[76]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 12 anciens otages des rebelles ougandais de la LRA arrivés à Ango
http://radiookapi.ne[...]
2014-08-29
[77]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trois attaques armées attribuées à la LRA à Dungu
http://radiookapi.ne[...]
2015-01-02
[78]
웹사이트
JournalDeBangui.com: Reddition de Dominic Ongwen, l'un des chefs rebelles de la LRA
http://www.journalde[...]
2015-02-01
[79]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des présumés rebelles LRA enlèvent une dizaine de personnes à Bili
http://radiookapi.ne[...]
2015-01-16
[80]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 3 militaires tués dans des attaques de la LRA à Dungu
http://radiookapi.ne[...]
2015-01-22
[81]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 8 personnes enlevées par de présumés rebelles ougandais de la LRA
http://radiookapi.ne[...]
2015-02-05
[82]
웹사이트
Province Orientale: des présumés LRA ont tué 3 personnes à Dungu
http://radiookapi.ne[...]
2015-02-17
[83]
웹사이트
RDC: 8 militaires disparaissent lors d'une attaque attribuée à la LRA
http://radiookapi.ne[...]
2015-04-14
[84]
웹사이트
U.S. ends hunt for Ugandan warlord Joseph Kony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7-03-30
[85]
웹사이트
Situation sécuritaire en RDC : le Nord-Kivu toujours volatile
https://www.mediacon[...]
2017-09
[86]
웹사이트
US military ending role in hunt for elusive African warlord Joseph Kony
https://www.cnn.com/[...]
2017-05-02
[87]
뉴스
East Africa: UPDF Ends 9-Year Hunt for Kony
http://allafrica.com[...]
allAfrica
2017-04-20
[88]
웹사이트
Russian Mercenaries Hunt the African Warlord America Couldn’t Catch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24-04-27
[89]
웹사이트
RCA : les instructeurs russes et les Faca libèrent 14 enfants du groupe terroriste LRA
https://actucameroun[...]
2024-04-22
[90]
문서
Research Brief 1: The Abduction and Return Experiences of Youth (PDF)
https://web.archive.[...]
Survey of War Affected Youth (SWAY): Research & Programs for Youth in Armed Conflict in Uganda
2006-04
[91]
간행물
WHO SAID WHAT: AlertNet ‘forgotten’ emergencies poll
http://www.alertnet.[...]
Reuters AlertNet
2005-03-09
[92]
서적
The Wizard of the Nile: The Hunt for Africa's Most Wanted
Portobello Books
[93]
웹사이트
N Uganda Report 2007
http://hrc.berkeley.[...]
[94]
문서
The State of Youth and Youth Protection in Northern Uganda: Findings from the Survey for War Affected Youth (Phase 1 Final Report: Draft for Comments)
https://web.archive.[...]
SWAY
2006-08
[95]
문서
The Net Economic Cost of the Conflict in the Acholiland Sub-Region of Uganda (PDF)
http://www.up.ligi.u[...]
Civil Society Organisations for Peace in Northern Uganda (CSOPNU)
2002-09
[96]
웹사이트
Girl aged 14, walks a kilometre, along with her four siblings, to the safety of a shelter in Lacor, five kilometres out of...
https://www.amnestyu[...]
[97]
웹사이트
Kony fever hits York!
http://www.theyorker[...]
2012-03-07
[98]
웹사이트
Kony 2012: Campaign Shedding light on Uganda Conflict a Huge Online Success
http://www.metro.co.[...]
2012-03-07
[99]
웹사이트
Kony 2012: Invisible Children Documentary Sheds Light On Uganda Conflict
http://www.huffingto[...]
2012-03-07
[100]
Youtube
Kony 2012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3-05
[101]
웹인용
LRA rebel Dominic Ongwen surrenders to US forces in CAR
http://m.bbc.com/new[...]
2015-01-31
[102]
웹인용
Lord's Resistance Army commanded tried at the Hague
http://www.theguardi[...]
TheGuardian.com
2015-01-27
[103]
웹인용
New Vision Online : LRA rebels clashes with CAR forces
http://www.newvision[...]
Newvision.co.ug
2010-10-08
[104]
간행물
ReliefWeb » Document » Guatemalan blue helmet deaths stir Congo debate
http://www.reliefweb[...]
2008-06-16
[105]
웹인용
South Sudan joins the hunt for LRA leader
http://www.aljazeera[...]
Aljazeera.com
2014-10-18
[106]
웹인용
Russian Mercenaries Hunt the African Warlord America Couldn’t Catch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24-04-28
[107]
뉴스
Obama orders U.S. troops to help chase down African 'army' leader
http://www.cnn.com/2[...]
2011-10-18
[108]
웹인용
The Lord’s Resistance Army: The U.S. Response
http://www.fas.org/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4-12-12
[109]
웹인용
The LRA and Sudan
http://www.aljazeera[...]
2014-10-18
[110]
웹인용
Hunting the LRA in Central Africa
http://www.voanews.c[...]
2014-10-18
[111]
웹인용
- The Washington Post
http://www.washingto[...]
2014-10-18
[112]
웹인용
Joseph Kony's LRA rebels on the run, focusing on survival
http://www.cbc.ca/ne[...]
Cbc.ca
2014-10-18
[113]
웹인용
CONFLICT BAROMETER 2010
http://www.hiik.de/e[...]
Hiik.de
2014-10-18
[114]
웹인용
Uganda (1987- 2010)
http://www.ploughsha[...]
2014-10-18
[115]
웹인용
Uganda (1987– 2010)
http://ploughshares.[...]
2015-02-26
[116]
웹인용
Uganda Civil War
https://www.globalse[...]
2019-01-15
[117]
간행물
"LRA Regional Update: Central African Republic, DR Dongo and South Sudan: January–December 2011."
OCHA
2012-01-25
[118]
뉴스
Uganda's Christian Rebels Revive War in North
http://query.nytimes[...]
1996-04-01
[119]
저널
Kony's message: A new Koine? The Lord's Resistance Army in northern Uganda
Oxford Journals / Royal African Society
[120]
IRIN
Interview with Vincent Otti, LRA second in command
http://www.irinnews.[...]
[121]
간행물
Warrant of Arrest unsealed against five LRA Commanders
http://www.icc-cpi.i[...]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2005-10-14
[122]
웹인용
BBC NEWS - Programmes - From Our Own Correspondent - Forgiveness for Uganda's former rebels
http://news.bbc.co.u[...]
News.bbc.co.uk
2014-10-18
[123]
문서
Kony's message: a new koine? The Lord's Resistance Army in Northern Uganda
[124]
뉴스
BBC NEWS - World - Africa - Profile: Uganda's LRA rebels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2-17
[125]
문서
LRA / Government negotiations 1993–94
[126]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usaid.gov[...]
2016-02-08
[127]
웹인용
Slain Aboke girls remembered
https://www.newvisio[...]
2023-09-25
[128]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acord.org[...]
2016-02-08
[129]
Asymptote
Sign Warfare
2014-04-15
[130]
문서
Weeks, p. 36.
[131]
IRIN
No rapid solutions in anti-LRA campaign
http://www.irinnews.[...]
[132]
문서
Behind the Violence: Causes, Consequences and the Search for Solutions to the War in Northern Uganda
[133]
BBC News
Uganda conflict 'worse than Iraq'
http://news.bbc.co.u[...]
[134]
BBC
Ugandan army recruiting children
http://news.bbc.co.u[...]
[135]
BBC
DR Congo militia deadline expires
http://news.bbc.c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