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한여객은 1951년 5월 21일에 설립되어 1962년 8월 7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부산 시내버스 회사 중 두 번째로 오래되었으며, 1988년 태종여객을 인수 합병했다. 본사 차고지는 영도구 동삼동에 위치하며, 8번, 17번, 30번, 88번, 101번, 186번, 1006번 노선의 시종착 및 관리를 담당한다. 중리영업소는 동삼동에 위치하며 113번 노선을 관리한다. 일반 버스 8개 노선과 급행 버스 1개 노선을 운행하며, 현대자동차,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친선고속
친선고속은 1951년 친선버스로 설립되어 충주를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2001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지역을 기점으로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다. - 195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경전여객
경전여객은 1951년 설립되어 경상남도를 기반으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며, 함안군 농어촌버스 노선은 동일익스프레스라는 별도 법인으로 운영하고, 2019년 4월 기준 고속버스 노선은 모두 시외버스에서 전환되었고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다양한 차종을 운행한다. - 부산 영도구의 교통 - 부산대교
부산대교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육지를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다리로서, 영도에서 서울까지 연결되며, 타이드아치 공법이 적용되어 대형 트럭도 통행할 수 있다. - 부산 영도구의 교통 - 태종로 (부산)
태종로는 2009년 7월 8일 부산광역시의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중구와 영도구를 지나며, 옛시청사거리에서 여러 국도 및 부산광역시도와 교차하고 영도대교 등을 거쳐 태종대앞 교차로에서 종점이 된다.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오성여객
오성여객은 1954년 설립되어 197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2016년 부산 최초로 전기버스 운행을 시작하여 화이버드, 천연가스 버스,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등을 운용하며 62번과 108번 등의 주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화신여객
화신여객은 1977년 설립되어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본사를 두고 51번, 131번, 300번 시내버스 노선을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회사이다.
신한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한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Sinhan Passenger Corp. |
![]()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10(동삼동) |
사업 지역 | 중리영업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6 (동삼동) 상리영업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539 (동삼3동) |
창립일 | 1951년 5월 21일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6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29,155,658,408원 (2020) |
영업이익 | -813,821,044원 (2020) |
순이익 | -674,473,770원 (2020) |
자산 총액 | 16,912,651,359원 (2020.12) |
주주 | 성민호 외 특수관계인: 100% |
종업원 | 336명 (2020.12) |
계열사 | 유한여객 |
인물 | |
대표이사 | 성민호 |
2. 역사 및 현황
1951년 5월 21일에 설립되었으며, 1962년 8월 7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부산시내버스회사 중 2번째로 오래된 업체이며, 1988년 '''태종여객'''(太宗旅客)을 인수 합병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51년 5월 21일에 설립되었고, 1962년 8월 7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부산시내버스회사 중 2번째로 오래된 업체이다. 1988년에는 '''태종여객'''(太宗旅客)을 인수 합병하였다.2. 2. 태종여객 합병
1988년 태종여객을 인수 합병하였다.3. 차고지
신한여객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두 곳의 차고지를 두고 있다.
차고지명 | 위치 | 담당 노선 |
---|---|---|
본사 차고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10 (동삼동) | 8번, 17번, 30번, 88번, 101번, 186번, 1006번 시종착 및 관리, 190번 야간 주박 |
중리영업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6 (동삼동) | 113번 시종착 및 관리 |
3. 1. 본사 차고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10 (동삼동)에 있다. 8번, 17번, 30번, 88번, 101번, 186번, 1006번 노선이 이곳을 기점 및 종점으로 하여 운행 및 관리하며, 190번 노선은 야간 주박 및 관리를 담당한다.3. 2. 중리영업소
중리영업소는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6 (동삼동)에 있으며, 113번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4. 운행 노선
신한여객은 일반 버스와 급행 버스를 운행한다. 일반 버스는 8번, 17번, 30번, 88번, 101번, 113번, 186번, 190번이 있고, 급행 버스는 1006번이 있다.
4. 1. 일반 버스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
8번 | 태종대 ↔ 해양대입구 ↔ 영도구청 ↔ HJ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남포동 ↔ 서구청 ↔ 보수초등학교 ↔ 구덕운동장 ↔ 구덕터널 ↔ 새벽시장 ↔ 서부터미널 |
17번 | 태종대 ↔ 해양대입구 ↔ 동삼초등학교 ↔ 국립해양박물관 ↔ 대선조선 ↔ HJ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중앙동 ↔ 부산역 ↔ 범곡교차로 ↔ 서면 ↔ 롯데호텔 부산 ↔ 당감초등학교 ↔ 당감4동 ↔ 백양터널 ↔ 국제백양아파트 ↔ 동원화인아파트 (2023년 7월 29일 66번에서 번호 및 노선 변경) |
30번 | 태종대 ↔ 해양대입구 ↔ 영도구청 ↔ HJ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남포동 ↔ 부산공동어시장 ↔ 암남동주민센터 ↔ 송도해수욕장 ➡️ 송도혜성아파트(종점)(심야겸용 동일) |
88번 | 태종대 ↔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 영도구청 ↔ HJ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부산역 ↔ 부산진역 ↔ 범곡교차로 ↔ 서면 ↔ 부산진구청 ↔ 당감주공 ↔ 은하수공원 |
101번 | 태종대 ↔ 해양대입구 ↔ 영도구청 ↔ HJ중공업 ↔ 부산대교 ↔ 부산항만공사 ↔ 부산역 ↔ 부산진시장 ↔ 문현교차로 ↔ 문현초등학교 ↔ 부산세무고등학교 ↔ 대연사거리(대연역) |
113번 | 영도중리 ↔ 부산전신전화국 ↔ 동삼주택 ↔ 영도구청 ↔ 한진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남포동 ↔ 서구청 ↔ 부평시장 ↔ 서대시장 ↔ 대티고개 ↔ 대티역 ↔ 괴정시장 ↔ 사하구청 ↔ 하단역 ↔ 신평역 ↔ 신평 ↔ 무지개아파트 ↔ 신평배고개 ↔ 동매역 |
186번 | 태종대 ↔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 국립해양박물관 ↔ 영도구청 ↔ 한진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국제시장 ↔ 중구청 ↔ 수정산복도로 ↔ 수정2동 ↔ 서광교회•부산범천교회 ↔ 가야시장 ↔ 동의대학교입구 ↔ 개금삼거리 ↔ 경남정보대학 ↔ 럭키아파트(주례역) ↔ 북부산세무서 ↔ 사상우체국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190번 | 한국해양대학교 ↔ 영도구청 ↔ HJ중공업 ↔ 영도대교(남포역) ↔ 부산역 ↔ 부산고 ↔ 중앙공원.민주공원입구 ↔ 부산디지털고등학교 ↔ 혜광고등학교 ↔ 대신여자중학교 ↔ 동아대학교병원 ↔ 부경고등학교 ↔ 부산대학교병원(토성역) ↔ 초장중학교 ↔ 남부민동(유한여객과 공동배차) |
4. 2. 급행 버스
1006번: 태종대 ↔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 조양아파트 ↔ 남고교 ↔ 75광장 ↔ 흰여울문화마을 ↔ 영선2동주민센터 ↔ 한진중공업 ↔ 부산항대교 ↔ 동명대학교후문 ↔ 시립박물관.부산문화회관 ↔ 유엔기념공원 ↔ LG메트로시티 ↔ 광안대교 ↔ 신해운대역5. 보유 차량
신한여객은 현대자동차와 우진산전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5. 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 현대 일렉시티
5. 2. 우진산전
우진산전 아폴로 11005. 3. 과거 보유 차종
자일대우 NEW BS106을 과거에 보유했었다.5. 3. 1.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 NEW BS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