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도구는 부산 앞바다에 위치한 섬으로, 삼한시대 변한에 속했다가 신라 지증왕 때 거칠산국의 속령이 되었다. 과거 절영도로 불렸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목도라고도 불렸다. 신석기 시대 동삼동 패총에서 조몬토기와 흑요석이 발굴되었고, 태종대가 위치해 있다. 1914년 부산부에 편입되었으며, 1957년 영도구로 설치되었다. 이후 부산시, 부산직할시, 부산광역시로 행정 구역이 변경되었고,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11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해양박물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영도대교, 부산대교, 남항대교, 부산항대교 등 다수의 교량이 있으며, 한국해양대학교, 고신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자매 도시로는 거창군, 장흥군, 쓰시마시, 뤄완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영도구의 행정 구역 - 동삼동
동삼동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속하며, 1903년 상구룡동과 하구룡동에서 시작하여 1947년 동삼동이 되었고, 부산국제크루즈터미널, 한국해양대학교, 태종대, 국립해양박물관 등이 위치해 있으며, 1995년 인구 최고점을 기록한 후 감소 추세에 있다. - 부산 영도구의 행정 구역 - 봉래동 (부산)
봉래동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속하며 봉래산에서 유래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부산항을 마주하여 항정으로 불리다가 광복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인구 감소와 도심 공동화 등의 문제를 겪고, 두 곳의 초등학교와 라발스호텔 부산이 위치해 있다. - 부산 영도구 - 영도어린이영어도서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영도어린이영어도서관은 5층 건물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하며 월요일과 공휴일은 휴관하는 어린이 영어 도서관이다. - 부산 영도구 - 영도도서관
영도도서관은 1996년 개관한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공공 도서관으로, 디지털자료실 운영, 평생학습관 지정, 어린이 영어도서관 개관 등의 활동을 해왔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영도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도구 |
한자 표기 | 影島區 |
로마자 표기 | Yeongdo-g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ŏngdo-gu |
행정 구역 | 대한민국 광역자치시 부산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11개 행정동 |
면적 | 14.2 km² |
인구 | 104,661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밀도 | auto |
방언 | 경상 방언 |
웹사이트 | 영도구청 |
구청장 | 김기재 |
국회의원 | 조승환(국민의힘, 중구·영도구) |
구청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423 |
상징 | |
구목 | 해송 |
구화 | 동백꽃 |
구조 | 갈매기 |
상징 동물 | 영가비 |
이미지 | |
![]() | |
![]() | |
![]() | |
기타 정보 | |
통계 기준년도 | 2023년 |
총 인구 | 106,548명 |
남자 인구 | 52,317명 |
여자 인구 | 54,231명 |
세대수 | 54,325 |
법정동 | 21 |
2. 역사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소속되었다가, 이후 가락국의 속령이 되었다. 신라 지증왕 6년에는 거칠산국의 속령이 되었다. 영도의 옛 이름은 절영도(絶影島)였는데, 전설에 따르면 이 섬에는 천리마라고 불리는, 천 리를 달리는 말이 살았다고 한다. 이 섬에 사는 말들이 너무 빨리 달려 그림자가 따라잡을 수 없었기 때문에 절영도라 불렀다고 한다. 대한민국 정부가 행정 구역 명칭을 정비한 후, 이 섬의 이름은 영도구로 바뀌었다.[2]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추측되며, 동삼동 패총에서는 조몬 토기와 규슈산 흑요석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선사시대 대한해협 양안의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2] 고려시대부터 말의 명산지로 이름이 나 있었으며 특히 이 곳에서 자란 말은 그림자가 안 보일 정도로 빠르다고 알려져왔으며 영도의 옛 이름인 절영도(絶影島)의 어원이 되었다.[2] 일제 강점기에는 목도(牧島)라고도 불렸는데, 고대부터 말의 방목지로 이용되었기 때문이다.[2] 섬 남단의 태종대는 신라 태종이 경관을 즐겼던 곳으로 전해진다.[2]2. 2. 근대 (조선, 대한제국)
- 1879년에 일본 상인들이 절영도에 창고를 지어 조선 정부와 갈등을 일으켰다.[2]
- 1881년 - 절영도진(絶影島鎭)이 설치되었다.
- 1886년 - 한일 간에 절영도 토지 임대 계약서(租借絶影島地基約單)가 체결되었다.
- 1889년에 러시아가 연료 보급을 위한 저탄소를 설치하기 위해 절영도 조차를 요구했으나 조선 정부가 거절했다.[2]
- 1897년 8월에 러시아가 다시 절영도 조차를 요구했다.[2]
- 1898년 - 독립협회가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여론의 힘으로 저지시켰다. 이를 절영도 문제라고 한다.[2]
2. 3. 일제강점기
영도는 과거 절영도(絶影島)라 불렸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목도(牧島)라고도 불렸다. "절영도"라는 이름은 준마(駿馬)를 의미한다는 설과, 공도정책(空島政策) 때문에 인적이 드물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6]섬 북부는 일제 강점기에 시가지로 발전하였고, 영도대교가 건설된 이후에는 부산시전도 운행하게 되었다.
- 1879년에 일본 상인들이 절영도에 창고를 지어 조선 정부와 갈등을 일으켰다.
- 1889년에 러시아가 연료 보급을 위한 저탄소를 설치하기 위해 절영도 조차를 요구했으나 조선 정부가 거절했다.
- 1897년 8월에 러시아가 다시 절영도 조차를 요구했다.
- 1898년 2월에 독립협회가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여론의 힘으로 저지시켰다.
- 1914년 4월 1일 - 부산부(釜山府)에 편입됨.
- 1934년 11월 23일 - 영도대교(影島大橋) 개통.
2. 4. 현대 (대한민국)
날짜 | 사건 |
---|---|
1957년 1월 1일 |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상남도 부산시 영도구가 설치되었다.[6] (12행정동) |
1963년 1월 1일 | 부산시가 부산직할시(釜山直轄市)가 됨 (부산직할시 영도구). |
1966년 1월 1일 | 신선2동을 신선2동과 신선3동으로 분동하였다. (13행정동) |
1970년 7월 1일 | 청학동을 청학1동과 청학2동으로 분동하였다. (14행정동) |
1979년 8월 8일 | 봉래3동을 봉래3동과 봉래4동으로 분동하였다. (15행정동) |
1980년 1월 30일 | 부산대교 개통. |
1982년 5월 1일 | 대교로4·5가를 대교동1·2가로 개칭하였다. |
1985년 12월 1일 | 동삼동을 동삼1동과 동삼2동으로 분동하였다. (16행정동) |
1988년 5월 1일 |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94년 7월 11일 | 동삼1동을 동삼1동과 동삼3동으로 분동하였다. (17행정동) |
1995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가 됨 (부산광역시 영도구).[7] |
1998년 10월 1일 | 대교동·대평동·남항동을 남항동으로, 봉래1동·봉래2동을 봉래1동으로 합동하였다. (14행정동) |
2007년 1월 1일 | 신선1동과 신선2동, 신선3동을 신선동으로, 봉래3동과 봉래4동을 봉래2동으로 합동하였다. (11행정동) |
2014년 5월 22일 | 부산항대교 개통. |
영도(절영도)는 부산 앞바다에 위치한 섬이다. 구의 중심으로 봉래산(해발 394.7m)이 있으며, 대개 봉래산을 둘러싸면서 주거지역이 있다. 구의 동쪽으로는 부산광역시 남구가 부산항대교로 연결되었으며, 서쪽으로는 부산광역시 서구가 남항대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북쪽으로는 부산광역시 중구가 영도대교와 부산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남쪽에는 태종대가 있다.
영도구의 행정 구역은 11개 행정동, 219통, 1,171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4.13 km2이며, 2023년 11월 30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54,325세대, 106,701명이다.[4]
3. 지리
영도는 좁은 수도로 본토와 분리된 섬이며, 부산항을 형성하고 있다. 섬의 중앙에는 봉래산(395m)이 우뚝 솟아 있다. 남쪽 끝은 태종대(태종대)라고 불리며, 날씨가 좋으면 일본 대마도(対馬)를 볼 수 있다.
섬의 북쪽 해안은 부산항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북쪽의 중구와는 영도대교(215m)와 부산대교(260m), 서쪽의 서구와는 남항대교(1925m)로 연결되어 있다.
4. 행정 구역
행정동 한자 면적 (km2) 인구 (명) 세대 남항동 南港洞 0.74 10,329 5,623 영선1동 瀛仙1洞 0.17 3,718 1,845 영선2동 瀛仙2洞 0.63 7,561 3,600 신선동 新仙洞 1.11 7,409 4,266 봉래1동 蓬萊1洞 0.29 6,290 3,223 봉래2동 蓬萊2洞 0.64 7,385 3,535 청학1동 靑鶴1洞 0.90 5,533 2,809 청학2동 靑鶴2洞 1.67 16,807 7,834 동삼1동 東三1洞 3.86 27,782 13,555 동삼2동 東三2洞 3.31 4,933 2,509 동삼3동 東三3洞 0.81 8,954 5,526 영도구 影島區 14.13 106,701 54,325
영도구는 11개의 행정동 아래 22개의 법정동을 두고 있다.법정동 행정동 남항동1가, 남항동2가, 남항동3가, 대교동1가, 대교동2가, 대평동1가, 대평동2가, 대평동3가 남항동 영선동1가, 영선동2가 영선1동 영선동3가, 영선동4가 영선2동 신선동1가, 신선동2가, 신선동3가 신선동 봉래동1가, 봉래동2가, 봉래동3가 봉래1동 봉래동4가, 봉래동5가 봉래2동 청학동 청학1동, 청학2동 동삼동 동삼1동, 동삼2동, 동삼3동
5. 인구
6. 교통
영도구에는 영도대교, 부산대교, 남항대교, 부산항대교가 있다.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노선도 운행 중이다.
6. 1. 교량
영도구에는 영도대교, 부산대교, 남항대교, 부산항대교가 있다. 영도대교는 1934년 11월 23일에 개통되었고,[1] 부산대교는 1980년 1월 30일에 개통되었으며,[2] 부산항대교는 2014년 5월 22일에 개통되었다.[3]
6. 2. 버스
7. 주요 기관 및 시설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2동에 영도구청이 있다.
- 국립해양박물관
-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남부분소 (1992년 ~ 2011년)
- 부산영도경찰서
- 항만소방서
- * 동삼119안전센터
- * 영선119안전센터
- * 청학119안전센터
- 태종대
- * 영도등대
- 동삼동패총전시관
8. 교육
영도구에는 한국해양대학교, 고신대학교와 같은 대학교와 광명고등학교, 부산체육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해사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남고등학교, 영도여자고등학교와 같은 고등학교가 있다.
8. 1. 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고신대학교
8. 2. 고등학교
9. 기업
10. 자매 도시
영도구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0. 1. 국내
10. 2. 국외
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 September 2024를 2024-09-01로 변환. 날짜가 불확실하여 임의로 1일로 설정
[2]
웹사이트
영도구 : 홈 > 영도구소개 > 구연혁 > 지명유래
http://www.yeongdo.g[...]
[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4]
웹인용
2023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텍스트
[6]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12-17
[7]
법률
지방자치법
1994-12-22
[8]
웹사이트
https://www.yna.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