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이지 (173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이지(沈頤之)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조판서, 판중추부사, 우의정을 역임했다. 심연원의 10대손으로, 1763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다. 영조와 정조 시대에 걸쳐 사간원 헌납, 홍문관 부수찬, 암행어사, 도승지, 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1796년 판중추부사로 청나라에 사행을 가던 중 사망했으며, 사후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평안도관찰사 - 심상규
심상규는 정조의 총애를 받아 초계문신으로 발탁되어 순조 시대에 영의정을 역임했으며, 규장각 직각, 승지 등 요직을 거쳐 순조 사후 헌종을 보필하고 남한산성 광주유수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조선의 평안도관찰사 - 기건
기건은 조선 세종 때 포의로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선정과 백성 교화에 힘썼고, 대사헌으로 강맹경 등을 탄핵했으나 계유정난 이후 은둔하며 절개를 지킨 인물이다. - 조선의 도총관 - 심의면
심의면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인순왕후의 방계 후손이자 심의겸의 종9대손이며, 문과 급제 후 관료 생활을 했으나 흥선대원군과의 악연으로 몰락하여 유배지에서 사망했고, 감고당 불법 개축 사건으로 탄핵을 받았다. - 조선의 도총관 - 어유소
어유소는 1434년에 태어나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공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며, 건주위 정벌 중 유배되기도 했지만 이조판서 등을 지내고 성종을 호종하다 사망하여 정장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전라도관찰사 - 심상규
심상규는 정조의 총애를 받아 초계문신으로 발탁되어 순조 시대에 영의정을 역임했으며, 규장각 직각, 승지 등 요직을 거쳐 순조 사후 헌종을 보필하고 남한산성 광주유수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조선의 전라도관찰사 - 신개
신개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태종과 세종 시대에 걸쳐 공조판서, 예문관대제학, 의정부 우의정 및 좌의정 등 요직을 역임하며 간쟁과 직언을 통해 국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고, 사후 세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인재문집》이 있다.
심이지 (173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심이지 |
원래 이름 | 沈頤之 |
출생일 | 1735년 |
국가 | 조선 |
사망일 | 1796년 (62세) |
학력 | 1763년(영조 39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1767년 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 |
경력 | 호조판서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좌참찬 형조판서 공조판서 수어사 |
직책 | 홍문관 예하 부응교 |
임기 | 1770년 3월 1일 ~ 1770년 5월 31일 |
군주 | 조선 영조 이금 |
정당 | 무소속 |
종교 | 유교(성리학) |
부모 | 아버지: 보국숭록대부 이조판서 심수 어머니: 정경부인 은진 송씨 |
배우자 | 정경부인 청주 한씨 |
자녀 | 슬하 3남 1녀(그 중 장남 심능정, 차남 심능용, 삼남 심능인(김이소의 사위)) |
형제 | 심양지(동생) 심회지(동생) 심눌지(동생) 심은지(동생) 심밀지(동생) |
친인척 | 심속(증조부) 심계현(조부) 송상유(외조부) 한익모(장인) 이천보(사돈) 이석보(사돈) 이일회(사돈) 김한철(사돈) 김원주(매부) 유경중(매부) 이문원(매부) 이덕현(매부) 심택현(종조부) 심최현(종조부) 심몽현(종조부) 심득현(종조부) 심태현(종조부) 심탁(숙부) 심규(당숙) 심구(당숙) 심둔(당숙) 심진(당숙) 유언현(당고모부) 이명식(당고모부) 심이지(沈履之, 사촌, 어유구의 사위) 심능필(당질, 홍인한의 사위) 심능철(당질, 신만의 사위) 심관지(6촌) 심정지(6촌) 심항지(6촌) 심건지(6촌) 심풍지(6촌) 심뇌지(6촌) 심환지(6촌) 홍낙성(6촌 재종매부) 어석정(6촌 재종매부) |
2. 가계
심이지는 청송 심씨 가문 출신으로, 이조판서를 지낸 심수의 아들이다. 영의정 심연원의 10대손, 명종의 국구 심강의 9대손, 서인의 초대 영수 심의겸의 8대손이다. 아버지는 심수이다.
2. 1. 주요 가계
관계 | 이름 및 설명 |
---|---|
10대조 | 심연원 (영의정 · 청천부원군) |
9대조 | 심강 (명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 청릉부원군 · 증 영의정) |
8대조 | 심의겸 (서인의 초대 영수, 병조판서) |
7대조 | 심엄 (옥과현감 · 증 영의정 · 청송부원군) |
6대조 | 심광세 (홍문관 응교 · 증 이조참판) |
5대조 | 심은 (증 이조참판) |
고조부 | 심약명 (함창현감 · 증 이조판서) |
증조부 | 심속 (증 영의정) |
조부 | 심계현 (담양부사 · 증 좌찬성) |
조모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
숙부 | 심탁 (광주목사 · 증 이조참판) |
사촌 | 심이지 (이조참판) |
사촌부인 | 정부인 함종 어씨 (경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 함원부원군 · 증 영의정 어유구의 딸) |
당질 | 심능필 (정주목사) |
당질며느리 | 풍산 홍씨 (좌의정 홍인한의 딸) |
당질 | 심능철 |
당질며느리 | 평산 신씨 (영의정 신만의 딸) |
아버지 | 심수 (정1품 하계 보국숭록대부 이조판서) |
어머니 | 정경부인 은진 송씨 (부사 송상유의 딸, 판서 송규렴의 손녀) |
본인 | 심이지 (호조판서 · 판중추부사 · 증 우의정) |
부인 | 정경부인 청주 한씨 (영의정 한익모의 딸) |
장남 | 심능정 (함양군수) |
차남 | 심능용 |
삼남 | 심능인 |
며느리 | 신 안동 김씨 (좌의정 김이소의 딸) |
동생 | 심양지 |
제수 | 진주 강씨 |
동생 | 심회지 |
제수 | 연일 정씨 |
동생 | 심눌지 |
제수 | 경주 김씨 |
동생 | 심은지 |
제수 | 연안 이씨 (대사간 이석보의 딸) |
동생 | 심밀지 |
제수 | 고성 이씨 (승지 이일회의 딸) |
여동생 | 청송 심씨 |
매부 | 경주 김씨 김원주 (판서 김한철의 아들) |
여동생 | 청송 심씨 |
매부 | 기계 유씨 유경중 |
여동생 | 정부인 청송 심씨 |
매부 | 연안 이씨 이문원(李文源, 이조판서) (영의정 이천보의 아들) |
여동생 | 청송 심씨 |
매부 | 전주 이씨 이덕현 |
2. 2. 혼인 관계
3. 생애
심이지는 영조와 정조 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763년(영조 39년) 증광 문과와 1767년 문과 중시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판중추부사가 된 후에는 동지 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가던 중 설유참(薛劉站)에서 사망했고, 사후 우의정에 추증되었다.[3]
3. 1. 영조 시대 (1763년 ~ 1776년)
1763년(영조 39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767년 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8년 사간원 헌납, 세자시강원 문학, 1769년 홍문관 부수찬, 수찬, 부교리, 교리, 수원 시재 어사(水原 試才 御史)를 거쳤다. 1770년 홍문관 부응교, 세자시강원 보덕, 1771년 사헌부 장령, 충청도 암행어사, 승지, 1772년 대사간, 도승지, 대사헌, 1774년 도승지, 수원부사를 역임했다.3. 2. 정조 시대 (1776년 ~ 1796년)
1778년(정조 2년) 심이지는 예조참판을 지냈고, 1779년에는 도승지를 역임하였다. 1780년 충청도 관찰사와 경주부윤, 1782년 해서 안문사(海西 按問使)와 대사헌, 1783년 의주부윤, 대사헌, 경기도 관찰사, 1784년 비변사 제조, 공조참판, 대사헌, 1786년 나주목사, 전라도 관찰사를 거쳤다. 1789년 도승지, 오위도총부 도총관, 형조판서, 1790년 평안도 관찰사, 1792년 형조판서, 호조판서, 1794년 호조판서 겸 정리사(整理使), 1795년 판의금부사, 광주부 유수 겸 수어사[1][2], 1796년 좌참찬, 공조판서, 판의금부사를 역임하였다.3. 3. 주요 활동
1763년(영조 39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767년 문과 중시에도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8년 사간원 헌납, 세자시강원 문학, 1769년 홍문관 부수찬, 수찬, 부교리, 교리, 수원 시재 어사(水原 試才 御史), 1770년 홍문관 부응교, 세자시강원 보덕, 1771년 사헌부 장령, 충청도 암행어사, 승지, 1772년 대사간, 도승지, 대사헌, 1774년 도승지, 수원부사를 역임했다.1778년(정조 2년) 예조참판, 1779년 도승지, 1780년 충청도 관찰사, 경주부윤, 1782년 해서 안문사(海西 按問使), 대사헌, 1783년 의주부윤, 대사헌, 경기도 관찰사, 1784년 비변사 제조, 공조참판, 대사헌, 1786년 나주목사, 전라도 관찰사, 1789년 도승지, 오위도총부 도총관, 형조판서, 1790년 평안도 관찰사, 1792년 형조판서, 호조판서, 1794년 호조판서 겸 정리사(整理使), 1795년 판의금부사, 광주부 유수 겸 수어사,[1][2] 1796년 좌참찬, 공조판서, 판의금부사를 역임했다. 이후 판중추부사가 되어 동지 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 수도 연경(燕京, 북경)으로 가다가 설유참(薛劉站)에서 사망했다. 사후,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 우의정에 추증되었다.[3]
참조
[1]
역사기록
정조실록 43권, 정조 19년 8월 18일 병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역사기록
정조실록 43권, 정조 19년 8월 19일 정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역사기록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2월 9일 경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