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장형은 데카르트 좌표계와 극좌표계에서 다양한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곡선으로, 두 원의 교점을 활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심장형은 에피사이클로이드의 일종이자 파스칼의 달팽이형의 일종이며, 원의 족선으로도 간주된다. x축에 대해 선대칭이며, 첨점을 지나는 현의 길이는 일정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심장형은 포물선의 반전 곡선이며, 원의 묶음 또는 직선의 묶음을 활용하여 그릴 수도 있다. 심장형은 페달 곡선, 전개선, 직교 궤적 등 다양한 기하학적 성질을 가지며, 복소해석학과 카우스틱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심장형 | |
---|---|
개요 | |
종류 | 평면 곡선 |
정의 | 정점(fixed point)과 원(circle)에 접하면서 원 위를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는 다른 원 위의 한 점의 궤적 |
관련 분야 | 수학, 기하학 |
정의 및 방정식 | |
매개변수 방정식 | x = 2a(1 - cos θ)cos θ, y = 2a(1 - cos θ)sin θ |
극좌표 방정식 | r = 2a(1 + cos θ) 또는 r = 2a(1 - cos θ) |
성질 | |
특이점 | 첨점 (cusp) |
면적 | 6πa² (원 넓이의 6배) |
호 길이 | 16a |
활용 | |
응용 분야 | 카디오이드 마이크로폰 디자인 에펠 탑 아치 형태 심장 모양 묘사 |
관련 곡선 | |
관련 곡선 | 에피사이클로이드 (epicycloid), 리마송 (limacon) |
2. 정의 및 방정식
: 및 를 대입하여 제곱근을 제거하면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표현을 얻는다.
:
2. 1. 매개변수 방정식
심장형은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두 원의 교점이 (''r'',0)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여기에서 ''r''은 심장형을 그리기 위해 사용한 원의 반지름을 뜻한다.
를 중심이 이고 공통 반지름이 인 두 생성 원의 공통 반지름, 를 구르는 각, 원점을 시작점으로 둔다고 하면(그림 참조), 다음을 얻는다.
- 매개변수 방정식:
이는 복소 평면에서 복소수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파란색 원 위에서 검은색 원이 굴러가는 움직임은 두 번의 회전으로 나눌 수 있다. 복소 평면에서 점 (원점)을 중심으로 각도 만큼 회전하는 것은 점 (복소수)에 를 곱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 점 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는 이고,
- 점 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는 이다.
심장형의 점 는 원점을 점 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다음, 같은 각도 만큼 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생성된다.
여기에서 위와 같은 매개 변수 표현을 얻는다.
(삼각 함수 항등식) 그리고 가 사용되었다.
2. 2. 극좌표 방정식
심장형은 극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를 중심이 이고 공통 반지름이 인 두 생성 원의 공통 반지름, 를 구르는 각, 원점을 시작점으로 둔다고 하면(그림 참조),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에서 다음을 얻는다.
- 극좌표:
2. 3. 복소평면 표현
복소 평면을 이용하면 심장형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파란색 원 위에서 검은색 원이 굴러가는 움직임은 두 번의 회전으로 나눌 수 있다. 복소 평면에서 점 (원점)을 중심으로 각도 만큼 회전하는 것은 점 (복소수)에 를 곱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 점 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는 이고,
: 점 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는 이다.
심장형의 점 는 원점을 점 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다음, 같은 각도 만큼 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생성된다.
여기에서 매개 변수 표현을 얻는다.
(삼각 함수 항등식) 그리고 가 사용되었다.
3. 성질
- '''면적'''
- '''호의 길이'''
- '''곡률 반경'''
이러한 명제들은 심장형의 극좌표 표현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관련 공식은 극좌표계 (호의 길이) 및 극좌표계 (면적)을 참조하라.[2]
심장형은 반전 중심에 초점을 둔 포물선의 반전 곡선이다(그래프 참조). 예를 들어, 그래프에 표시된 것처럼 생성 원의 반지름이 a|a영어 = 일 때, 심장형은 극좌표 표현으로 ''r''(''φ'') = 1 - cos''φ''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곡선의 반전 곡선은 ''r''(''φ'') = 1 / (1 - cos''φ'')이며, 이는 데카르트 좌표에서 x|x영어 = (''y''2 - 1)의 방정식을 갖는 포물선이다(극좌표에서의 포물선).
''참고:'' 포물선의 모든 반전 곡선이 심장형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포물선의 꼭짓점에 중심이 있는 원에 대해 포물선을 반전시키면 디오클레스의 시소이드가 된다.
포물선의 접선을 반전시키면 반전 중심(원점)을 지나는 원의 묶음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원의 중심은 고정된 생성 원의 둘레에 놓인다. (생성 원은 포물선 준선의 역 곡선이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심장형을 그릴 수 있다.
# 원 와 그 둘레 위의 점 를 선택한다.
# 에 중심을 두고 를 포함하는 원을 그린다.
# 이 원들의 외피를 그린다.
L. 크레모나는 ''직선'' 다발을 이용하여 심장형을 그리는 방법을 제시했다.
# 원을 그리고, 그 둘레를 개의 점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긴다.
# 현을 그린다: . (즉, 두 번째 점은 두 배의 속도로 이동한다.)
# 이 현들의 ''외피''가 심장형이다.
3. 1. 기하학적 성질

- 심장형의 첨점을 통과하는 현은 길이가 로 같다.[1]
- 첨점을 통과하는 현의 중점은 고정된 생성 원의 둘레에 놓인다.[1]
- 에피사이클로이드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파스칼의 달팽이형(리마송)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2]
- 반지름 인 원의, 해당 원주상의 점을 족선으로 하는 족선에 해당한다.[2]
- x축에 대해 선대칭이며, 첨점은 원점 O이다. x축과는 원점 O와 에서, y축과는 에서 교차한다. x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의 좌표는 이다.[2]
-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 와 곡선의 호의 길이 은 다음과 같다.
:[2]
3. 2. 첨점을 지나는 현
심장형의 첨점을 통과하는 현은 길이가 4a영어로 같다.[1] 현의 중점은 고정된 생성 원의 둘레에 놓인다.[1]점 는 첨점(=원점)을 지나는 현 위에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다.
복소평면에서의 표현을 증명에 사용하면(위 참조), 점 및 에 대해, 현 의 중점은 이며, 이는 중점이 이고 반지름이 인 원의 둘레에 놓인다.[1]
3. 3. 면적과 호의 길이
위에서 정의된 심장형에 대해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면적''
- ''호의 길이''
이러한 명제의 증명은 두 경우 모두 심장형의 극좌표 표현을 사용한다. 적절한 공식은 극좌표계 (호의 길이) 및 극좌표계 (면적)를 참조하라.
심장형으로 둘러싸인 면적 ()와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
3. 4. 포물선과의 관계
심장형은 반전 중심에 초점을 둔 포물선의 반전 곡선이다(그래프 참조).
그래프에 표시된 예에서 생성 원의 반지름은 a|a영어 = 이다. 따라서 심장형은 극좌표 표현을 갖는다.
: ''r''(''φ'') = 1 - cos''φ''
그리고 그 반전 곡선은 다음과 같다.
: ''r''(''φ'') = 1 / (1 - cos''φ'')
이는 데카르트 좌표에서 x|x영어 = (''y''2 - 1)의 방정식을 갖는 포물선이다(극좌표에서의 포물선).
''참고:'' 포물선의 모든 반전 곡선이 심장형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포물선의 꼭짓점에 중심이 있는 원에 대해 포물선을 반전시키면 결과는 디오클레스의 시소이드가 된다.
3. 5. 원의 묶음 및 직선의 묶음
이전 섹션에서 포물선의 접선을 추가로 반전시키면 반전 중심(원점)을 지나는 원의 묶음을 얻을 수 있다. 자세한 고려를 통해 원의 중심은 고정된 생성 원의 둘레에 놓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생성 원은 포물선의 준선의 역 곡선이다.)
이러한 성질은 심장형을 ''그리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1. 원 와 그 둘레 위의 점 를 선택한다.
2. 에 중심을 두고 를 포함하는 원을 그린다.
3. 이 원들의 외피를 그린다.
심장형을 그리는 유사하고 간단한 방법은 ''직선'' 다발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L. 크레모나에 의한 것이다.
1. 원을 그리고, 그 둘레를 개의 점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고(그림 참조)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긴다.
2. 현을 그린다: . (즉, 두 번째 점은 두 배의 속도로 이동한다.)
3. 이 현들의 ''외피''는 심장형이다.
3. 6. 페달 곡선
크레모나 방식의 심장형은 다음 방식의 심장형 생성과는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원 와 이 원의 둘레에 있는 점 가 있다고 할 때, 점 에서 원 의 접선에 수직으로 내린 발은 심장형의 점이다.
따라서 심장형은 원의 특별한 페달 곡선이다.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원 는 중심 과 반지름 를 가질 수 있다. 원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은 다음 방정식을 갖는다.
점 에서 접선에 내린 수선의 발은 원점 까지의 아직 알려지지 않은 거리 을 가진 점 이다. 이 점을 접선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이것은 심장형의 극좌표 방정식이다.
''참고:'' 점 가 원 의 둘레에 있지 않으면, 파스칼의 달팽이선을 얻는다.
3. 7. 전개선
곡선의 전개선은 곡률 중심의 자취이다. 심장형의 경우, 그 "전개선"은 원래 심장형의 1/3 크기이고 반대 방향을 향하는 또 다른 심장형이다(그림 참조).매개변수 표현이 다음과 같은 심장형에 대해
:
:
단위 법선 벡터는 다음과 같다.
:
그리고 곡률 반경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전개선의 매개변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이 방정식은 원래 심장형의 1/3 크기로, 180도 회전하고 x축을 따라 만큼 이동된 심장형을 나타낸다.
4. 직교 궤적
곡선 다발의 직교 궤적은 다발의 모든 곡선과 직교하여 교차하는 곡선이다. 심장형 곡선의 경우 다음이 참이다.
방정식이 인 심장형 곡선 다발의 직교 궤적은 방정식이 인 심장형 곡선이다. (두 번째 다발은 첫 번째 다발의 y축 대칭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림 참조.)
극좌표계에서 함수 로 주어진 곡선에 대해, 다음 관계가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성립한다.
:
그리고 미분에 대하여,
:
두 번째 식을 첫 번째 식으로 나누면 점 에서의 곡선 접선의 데카르트 기울기를 얻는다.
:
방정식 와 를 갖는 심장형에 대해 각각 다음과 같이 얻는다.
: 그리고
(어떤 곡선의 기울기는 에만 의존하며, 매개변수 또는 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
이는 첫 번째 연필의 어떤 곡선도 두 번째 연필의 어떤 곡선과 직교하여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5. 다른 위치에서의 심장형
계산을 간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증명은 극좌표로 표현된 심장형 :에 대해 제공된다. 좌표계 내에서 심장형의 다른 위치를 선택하면 다른 방정식이 생성된다. 심장형의 4가지 가장 일반적인 위치와 극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6. 복소해석학에서의 심장형
복소해석학에서 사상에서 원점을 지나는 임의의 원의 상은 심장형이다. 만델브로 집합의 중심 주기 1 성분의 경계는 다음 방정식으로 주어진 심장형이다.
만델브로 집합은 무한히 많은, 약간 왜곡된 자기 복사본을 포함하며, 이러한 작은 복사본의 중심 벌브는 근사적인 심장형이다.
7. 카우스틱
이전 절에서는 원의 둘레에 광원이 있을 때 원의 고유 곡선이 심장형이라는 것을 보였다. 평면에서 원의 둘레에 있는 점 에 광원이 있고, 이 광원에서 나온 광선이 반사될 때, 원 내부의 반사 광선은 심장형의 접선이 된다.
''참고:'' 이러한 고찰에서는 일반적으로 원에서의 다중 반사는 무시된다.
특정 카우스틱은 심장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원의 카타카우스틱은 원 둘레의 한 점을 기준으로 할 때 심장형이 된다. 또한, 생성선과 평행한 광선에 대한 원뿔의 카타카우스틱은 단면이 심장형인 표면이다. 이는 원뿔 모양 컵에 액체를 부분적으로 채우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 원뿔의 각도와 같은 각도로 빛을 비출 때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나타난다.[6] 원통형 컵 바닥의 곡선 모양은 신장형의 절반으로, 매우 유사하게 보인다.
참조
[1]
MathWorld
Parabola Inverse Curve
[2]
서적
Differential Calculus
[3]
문서
Lockwood
[4]
문서
Yates
[5]
서적
Lines and Curves
Birkhäuser
[6]
웹사이트
Surface Caustique
http://www.mathcur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