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43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6년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저작을 시작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이기의 처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강직한 면모를 보였으나, 이후 탐욕을 부려 재산을 축적하고 부정을 저질러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다. 경기도 관찰사로 재직 시 사치스러운 장례로 비판을 받았으며, 말년에는 삭탈관직되고 문외 출송되었다. 선조 즉위 후 사면 여론이 있었으나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아들 심우승이 호성공신에 책록되어 추봉되었으나, 서자 심우영이 계축옥사를 일으키면서 가문은 몰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0년 출생 - 휴정
    휴정은 임진왜란 때 승군을 이끌고 활약했으며, 조선 불교 중흥에 기여하고 종교 간 화합을 강조한 승려이다.
  • 1520년 출생 - 교황 식스토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프란치스코회 출신으로 1585년부터 1590년까지 재임하며 교황령 치안 확보, 재정 개혁, 로마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고대 유물 훼손, 강압적 재정 정책 등의 논란도 있는 제227대 교황이다.
  • 1589년 사망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1589년 사망 - 허난설헌
    허난설헌은 조선 중기의 여류 시인으로, 진보적인 아버지와 문인 집안의 영향으로 뛰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과 자녀의 죽음, 시대적 제약 속에서 요절하였고, 사후 동생 허균에 의해 간행된 《난설헌집》으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국과 일본에서 먼저 이름을 알렸다.
  • 허균 -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 사회 문제 속에서 서얼 출신 홍길동이 활빈당을 이끌고 의적 활동을 펼치다 율도국을 건설하는 이야기를 그린 한글 소설로, 사회 비판과 민중 영웅 제시를 통해 문학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한국 문화의 주요 상징이 되었다.
  • 허균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심전 - [인물]에 관한 문서
귀족 정보
이름심전
작위청파부원군
출생일1520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589년
사망지조선
국적조선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증 정경부인 전의 이씨
인물 정보
이름심전
출생일1520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589년
사망지조선
국적조선
학력1543년(중종 38년) 생원·진사 사마양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감
1546년(명종 1년) 문과 식년시에 급제
1556년(명종 11년) 문과 중시(重試)에 급제
직업외척
경기도 관찰사
작위청파부원군(靑坡府院君)
부모아버지 : 심달원(沈達源) - 승문원 판교, 기묘명현(己卯名賢), 증이조판서
어머니 : 증 정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 - 이조참판 윤희인(尹希仁)의 딸
배우자증 정경부인 전의 이씨(全義 李氏)
자녀4남 6녀『심달원 신도비명』
상훈순충적덕보조공신(純忠積德補祚功臣)

2. 생애

1543년(중종 38)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해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1546년(명종 1) 문과에 급제하였고, 1548년(명종 3) 홍문관 저작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홍문관 정자로 있으면서 권신 이기의 처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548년 홍문관 저작, 1549년 홍문관 박사, 부수찬, 이조좌랑 등을 거쳤다. 1550년 권신 진복창을 탄핵하였고, 1552년 후임 이조좌랑으로 이감(李戡)을 천거하였다.

1553년 부응교, 1555년 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지냈다. 이 무렵 타인의 재산을 강탈하여 치부하였다.[5] 장악원정(掌樂院正) 재직 중에는 황윤형(黃允亨)의 노비를 가로채려다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1558년 동부승지, 참찬관을 거쳐 함부로 상소를 올리는 폐해를 지적하였다. 같은 해 승정원 우부승지, 좌부승지를 거쳐 1559년 좌부승지가 되었으나, 왕명 출납 지연으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체직되었다. 곧 병조 참지가 되었으나 사간원의 탄핵으로 다시 체차되었다. 이후 예조참의, 병조 참지, 비변사 당상 등을 역임했다.[6]

1564년 경기도 관찰사로 부임했으나, 1565년 모친상으로 사직하고 김포로 물러났다. 이때 장례를 사치하게 치러 문제가 되었다. 1566년 사욕을 채우다 탄핵당했으나 왕이 무마시켰다. 같은 해 다른 사람 명의로 사헌부에 문서를 보내 물의를 빚었다.

이후 복관되어 동지(同知)가 되었으나, 1567년(선조 즉위년) 대간의 탄핵으로 삭탈관직, 문외출송되었다.

선조 즉위 후 1569년 서용 여론이 있었으나 사헌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582년 사헌부로부터 다시 탄핵을 받았고, 1588년 아들의 상언으로 작첩을 돌려받았으나 사헌부의 탄핵으로 취소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1543년(중종 38)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해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했다. 1546년(명종 1) 문과에 급제, 1548년 홍문관 저작에 제수되었다.[5] 권신 이기의 처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초기에는 강직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 2. 관직 생활과 비리 행위

1549년(명종 4) 홍문관 박사, 부수찬,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며 비교적 순탄하게 관직 생활을 이어갔다. 1552년 이조좌랑 재직 시, 후임으로 이감(李戡)을 천거했다.[5] 1553년 부응교, 1555년 8월 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지냈다. 그러나 이 시기부터 탐욕을 부려 타인의 재산(장획(臧獲)과 전택(田宅))을 강탈하고, 노비와 소작농을 늘리는 등 부정한 행위를 일삼았다.[5]

1555년 장악원정(掌樂院正) 재직 중에는 황윤형(黃允亨)이 안희증(安希曾)에게 판 노비를 가로채려다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기도 했다.[5] 1558년 5월 동부승지, 그해 참찬관을 거쳐 5월 함부로 상소를 올리는 폐해를 지적하기도 했다.

1558년 7월 승정원 우부승지, 10월 좌부승지, 1559년 좌부승지를 거쳐 그해 2월 병조 참지가 되었으나, 승지 시절의 직무 유기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체직되었다. 이후 예조참의, 병조 참지, 비변사 당상 등을 역임했다.[6]

2. 3. 경기도 관찰사 시절과 몰락

1564년 경기도 관찰사로 부임했으나, 1565년 모친상으로 경기감사에서 사직하고 김포로 물러났다.[5] 그런데 장례를 사치스럽게 치러 문제가 되었다.[5] 1566년 사사로운 욕심을 채우다가 탄핵을 당했으나, 왕이 파직은 지나치다며 무마시켰다.[5]

그해 11월 다른 사람 명의로 사헌부에 정장(呈狀)하고 또 소지(小紙)를 써서 대년의 집에 보내 물의를 빚기도 했다.[5]

그 뒤 복관되어 동지(同知)가 되었으나 1567년 (선조 즉위년) 10월 대간으로부터 음험하고 탐욕이 많아 남의 물건을 탈취한 죄가 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고 삭탈관직되고, 문외 출송(門外黜送)당하였다.[5]

2. 4. 복권 시도와 최후

선조 즉위 후 사면 여론이 나타나 1569년 윤6월 선조가 그를 서용하려 하였으나 사헌부에서 서용의 명을 거두어줄 것을 청하였다.[5]

1582년 8월 대경(代耕)을 받는 의를 모른다 하여 사헌부로부터 탄핵당하였다.[5] 1588년 6월 아들인 진사 심우준(沈友俊)이 아버지의 폐고가 억울하다고 상언하였다. 같은 달 선조의 배려로 작첩을 되돌려받았으나 사헌부의 계속된 탄핵으로 결국 취소되었다.[5]

3. 사후

아들 심우승호성공신에 책록됨에 따라 순충적덕보조공신 청파부원군으로 추봉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광해군 때, 그의 서자 심우영이 칠서의 난과 계축화옥을 일으켰다.[2] 심우영은 허균의 처외삼촌으로 허균과 매우 가까이 지냈다고 한다.[2] 허균이 쓴 홍길동전의 주인공 홍길동도 서자로서 심우영을 모티브로 했을 가능성이 높다.[2]

4. 가족 관계

심전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증조부는 1467년에 사망한 내자시판관 심원이며, 이시애의 난 때 사망하였다.[7] 조부는 사인 심순문이며, 아버지는 좌통례 심달원이다. 어머니는 전주부윤 윤희인의 딸이다.

부인은 이한(李翰)의 딸이다.[1] 형제로는 사복시첨정 심진, 선공감첨정 심자가 있으며, 동생은 곡산도호부사 심수이다.[7] 아들로는 심우선, 심액의 아버지인 심우준, 경기도관찰사를 지낸 심우승, 심우순이 있으며, 서자로는 심우영이 있다.[1] 사위로는 김광두, 정문기, 조지서별좌 김대섭이 있다.[1]

심온의 5대손으로, 친증조부는 심원, 양증조부는 심치이다. 양증조모는 김종서의 손녀 순천 김씨이다. 양조부는 심형, 양조모는 정창손의 손녀 동래 정씨이다. 숙부는 심연원이다. 아버지는 심달원으로, 심형에게 양자로 갔다. 어머니는 윤희인의 딸 파평 윤씨이다. 서자로는 심우삼, 심우덕, 심우민이 있었고, 서녀는 한진(韓璡)에게 출가했다.

4. 1. 신도비명 기준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심원(沈湲)내자시판관, 증 좌찬성, 이시애의 난으로 사망[7]
조부심순문사인, 증 영의정
아버지심달원좌통례, 증 이조판서
어머니전주부윤 윤희인의 딸
심진(沈鎭)사복시첨정[7]
심자(沈鎡)선공감첨정, 증 좌찬성, 심우정의 아버지[7]
동생심수(沈鐩)곡산도호부사, 증 이조판서[7]
부인이한(李翰)의 딸[1]
장남심우선(沈友善)[1]
차남심우준(沈友俊)진사, 심액의 아버지[1]
3남심우승경기도관찰사, 증 영의정, 청계부원군
4남심우순(沈友醇)[1]
서자심우영(沈友英)
첫째 사위김광두(金光斗)[1]
둘째 사위정문기(鄭文起)[1]
셋째 사위김대섭(金大涉)조지서별좌[1]


4. 2. 청송 심씨 대종회 족보 기준

沈溫|심온중국어의 5대손이다.[7] 친증조부는 심원(沈湲)이고, 양증조부는 심치(沈淄)이다. 양증조모는 순천 김씨김종서의 손녀이자 김승규(金承珪)의 딸이다.[7] 양조부는 심형(沈泂)이고, 양조모는 동래 정씨정창손의 손녀이자 정괄의 딸이다.[7] 숙부는 심연원이다. 아버지는 심달원인데, 심형(沈泂)에게 양자로 갔다. 어머니는 증 정부인 파평 윤씨로 윤희인(尹希仁)의 딸이다. 서자로는 심우삼, 심우덕, 심우민이 있었고, 서녀는 한진(韓璡)에게 출가했다.[1]

5. 평가와 비판

심전은 관서 지방 봉사로 있을 때 여러 고을에서 토색질하여 재물을 수레에 가득 싣고 돌아와, 사람들이 그를 더럽게 여겼다.[8]

그는 탐욕을 부려 타인의 노비와 토지를 강탈하고, 자신의 노비와 소작농을 늘려 재산을 불리는 데 혈안이 되었다.[5] 1566년에는 사사로운 욕심을 채우려다 탄핵을 받았으나, 왕이 파직은 지나치다며 무마시키기도 했다.

1567년(선조 즉위년) 10월, 대간은 심전이 음험하고 탐욕이 많아 남의 물건을 탈취했다는 이유로 탄핵했고, 결국 그는 관직에서 쫓겨나 문외출송 당했다.

6. 기타

조사수와 친했으나, 훗날 사이가 틀어졌다. 조사수는 '심연원이 심전 때문에 나를 미워한다'고 비난하였다.[9]

참조

[1] 서적 심달원 신도비명
[2] 서적 국조방목 1520
[3] 서적 국조문과방목
[4] 서적 석담일기
[5] 간행물 명종실록 19권, 10년(1555 을묘 / 명 가정(嘉靖) 34년) 8월 10일(임신) 2번째기사 유잠·박인수·김세명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1555-08-10
[6] 간행물 명종실록 25권, 14년(1559 기미 / 명 가정(嘉靖) 38년) 9월 11일(기묘) 1번째기사 "왕비모의 죽음에 철조하는 일과 왜선의 포획에 관해 의논하다" 1559-09-11
[7] 서적 심순문 묘갈명
[8] 간행물 명종실록 24권, 13년(1558 무오 / 명 가정(嘉靖) 37년) 5월 19일(병인) 2번째기사 심연원·박충원·심수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1558-05-19
[9] 간행물 명종실록 22권, 12년(1557 정사 / 명 가정(嘉靖) 36년) 5월 21일(계유) 1번째기사 "지평 정득과 헌납 민시중이 김규의 오만한 행동에 대해 아뢰다" 1557-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