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박삿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박삿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노아의 아들 셈의 아들이자 아브라함의 조상이다. 그는 창세기의 족보에서 열두 번째 이름으로 언급되며, 그의 형제는 엘람, 앗수르, 룻, 아람이다. 아르박삿의 아들은 셀라로 알려져 있지만, 70인역과 일부 외경에서는 가이난이 그의 아들이며 셀라는 가이난의 아들로 묘사된다. 고대 유대교 문헌에서는 아르박삿을 갈대아 우르를 세운 우라와 케세드의 조상으로 묘사하기도 하며, 북부 메소포타미아, 우르파-카시드, 바빌론과 연관 짓기도 한다. 또한, 외경인 유딧기에는 메디아의 왕으로 아르박삿이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셈 (성경 인물) - 셈족
셈족은 본래 셈어 어족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점차 셈어 사용자 및 셈인 기원 또는 셈화된 민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확장되어 언어, 민족, 문화, 종교적 연관성을 포함하게 되었지만, 19세기 이후 인종적 의미로 사용되며 논란을 야기했고, 특히 반셈주의라는 용어가 반유대주의를 지칭하며 비판받고 있다. - 셈 (성경 인물) - 멜기세덱
멜기세덱은 창세기에 아브라함을 축복하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으로, 시편에 영원한 제사장으로 등장하며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 다양한 해석을 지니고, 특히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제사장직과 연결되는 인물이다. - 창세기의 인물 - 레위
레위는 야곱의 세 번째 아들이자 레위 지파의 시조이며, 디나 강간 사건 복수와 관련된 야곱의 저주에도 불구하고 그의 후손들은 이스라엘 제사장 직무를 맡았고, 모세와 아론이 그의 대표적인 후손이며, 이름은 '연합함' 또는 '사제'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해석이 있다. - 창세기의 인물 - 므두셀라
므두셀라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과 노아 사이의 족장으로, 성경에서 가장 장수한 인물(969세)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종교 문헌과 현대 문화에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아르박삿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출생일 | 기원전 2094년 |
출생지 | 우르, 수메르 (현재의 이라크 남부) |
사망일 | 기원전 1656년 (438세) |
부모 | 셈 |
자녀 | 셀라, 그리고 다른 아들들과 딸들 |
일반 정보 | |
히브리어 | אַרְפַּכְשַׁד |
그리스어 | Ἀρφαξάδ |
2. 성경 기록
창세기에 따르면, 아르박삿은 노아의 아들인 셈의 다섯 아들 중 한 명이다.[1] 그는 아담부터 아브라함의 조상인 데라까지 이어지는 창세기의 족보에서 열두 번째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족보는 아담부터 시작하여 홍수 이전의 아홉 대홍수 이전 인물과, 노아의 장남 셈부터 시작하여 데라로 끝나는 아홉 명의 홍수 이후 인물로 구성된다.[2]
2. 1. 형제와 자손
창세기에 따르면 아르박삿에게는 엘람, 앗수르, 룻, 아람이라는 형제들이 있었다.[1]아르박삿의 아들은 셀라이다. 그러나 70인역에서는 그의 아들이 가이난이며, 셀라는 아르박삿의 손자로 기록되어 있다. 가이난은 누가복음 3장 36절과 외경인 희년서 8장 1절에서도 아르박삿의 아들로 언급된다. 희년서는 또한 아르박삿의 아내를 '라수아야'라고 기록하는데, 그녀는 셈의 맏아들 엘람의 아들(또는 일부 판본에서는 딸)인 '수산'의 딸이다. (참고로, 희년서에서는 아르박삿의 어머니 이름이 '세데케텔레밥'으로 나오며, 셈의 아내 이름에 대한 다른 전승은 방주에 탄 아내들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정체성에 대한 해석
아르박삿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고대 유대교 자료인 《유빌리서》는 아르박삿을 유프라테스강 서안에 '갈대아 우르'를 세운 우라와 케세드의 직계 조상으로 묘사한다.[3] 이 해석은 20세기 초 고고학자 레너드 울리의 우르 발굴과 연결되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관점도 있다. 울리의 발굴 이전에는 많은 유대교 및 이슬람 학자들이 이름의 유사성(ארפ־כשד|아르파크샤드heb와 כשדים|카스딤heb)을 근거로 아르박삿을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우르파-카시드와 동일시했다. 요세푸스는 이 지역을 칼데아인과 혼동하여 칼디스와 연관 짓기도 했다. 한편, 학자 도널드 B. 레포드(Donald B. Redford)는 아르박삿이 바빌론을 가리킨다고 주장했다.[4] 이처럼 아르박삿의 정확한 정체는 여전히 다양한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3. 1. 우르 카스딤과의 연관성
고대 유대교 자료 중 하나인 《유빌리서》는 아르박삿을 우라와 케세드의 직계 조상으로 설명한다. 이들은 유프라테스강 서쪽 강변에 '갈대아 우르'를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유빌리서》 9:4; 11:1–7). 이 위치는 1927년 고고학자 레너드 울리가 갈대아 우르로 확인한 우르 유적의 위치와 일치한다.[3]그러나 울리의 발굴 이전에는 많은 유대교 및 이슬람 학자들이 아르박삿을 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연관 지었다. 특히 히브리어 이름 ארפ־כשד|아르파크샤드heb와 כשדים|카스딤heb의 유사성 때문에, 아르박삿을 우르파-카시드와 동일시하는 견해가 있었다. 이 지역은 요세푸스가 칼데아인과 혼동하여 언급한 칼디스와 관련이 있다. 한편, 도널드 B. 레포드(Donald B. Redford)는 아르박삿이 바빌론과 동일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
3. 2. 북부 메소포타미아와의 연관성
일부 고대 유대교 자료, 특히 《유빌리서》에서는 아르박삿을 우라와 케세드의 직계 조상으로 묘사한다. 이 자료에 따르면 아르박삿의 후손인 우라와 케세드가 유프라테스강 서쪽 강변에 '갈대아 우르'를 세웠다고 한다(《유빌리서》 9:4; 11:1–7). 이곳은 1927년 레너드 울리가 발굴하여 갈대아 우르로 확인한 우르 유적의 위치와 일치한다.[3]레너드 울리가 우르 유적을 확인하기 전까지, 많은 유대교 및 이슬람 학자들은 아르박삿을 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연관 지어 생각했다. 이 때문에 아르박삿은 종종 우르파 지역의 '우르파-카시드'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이는 이름의 유사성(ארפ־כשד|아르파크샤드he와 כשדים|카스딤he) 때문이었다. 이 우르파-카시드는 요세푸스가 칼데아인과 혼동하여 언급한 칼디스와 관련된 지역으로 여겨진다. 한편, 학자 도널드 B. 레포드는 아르박삿이 실제로는 바빌론을 가리킨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
3. 3. 바빌론과의 연관성
일부 고대 유대교 자료, 특히 《유빌리서》에서는 아르박삿을 우라와 케세드의 직계 조상으로 설명한다. 이들은 유프라테스강 서쪽 강변에 '갈대아 우르'를 세웠다고 전해진다(《유빌리서》 9:4; 11:1–7). 고고학자 레너드 울리가 1927년 우르 유적을 발굴하며 이곳을 갈대아 우르로 확인했는데, 이는 《유빌리서》에서 언급된 위치와 일치한다.[3]울리의 발굴 이전에는 많은 유대교 및 이슬람 학자들이 아르박삿을 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연관 지어 이해했다. 특히 ארפ־כשדheb(아르박삿)과 כשדיםheb(카스딤, 즉 갈대아인)이라는 이름의 유사성 때문에, 아르박삿을 우르파-카시드와 동일시하는 견해가 있었다. 요세푸스는 우르파-카시드를 칼데아인과 혼동하여 칼디스와 연관된 지역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학자 도널드 B. 레포드는 아르박삿이 실제로는 바빌론과 동일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
4. 다른 동명이인
또 다른 아르박삿은 외경의 유딧기에서 메디아의 왕으로 언급된다. 이 메디아 왕이 아시리아의 정복과 동시대 인물이라면, 그는 프라오르테스(기원전 665년경 - 기원전 633년)와 동일 인물일 수 있다.[5] 만약 그가 (유딧기에서 아시리아의 왕으로 언급된) 네부카드네자르 2세와 동시대 인물이라면, 그는 키악사레스(재위 기원전 625년–585년)와 동일 인물일 수 있다.[6]
참조
[1]
성경
Genesis 10:22
[2]
서적
Creation, Un-creation, Re-creation: A discursive commentary on Genesis 1-11
Bloomsbury Publishing
2011-02-17
[3]
간행물
Where Was Abraham's Ur?
http://fontes.lstc.e[...]
2001-05
[4]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P
[5]
서적
Jerusalem Bible
1966
[6]
서적
The Bible in History
2014-06-19
[7]
문서
新共同訳ではアルパクシャド、口語訳ではアルパクサデ。
[8]
성경
創世記 11章10-13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