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딧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딧기는 이스라엘을 침략하려는 앗시리아 진영에 들어가 술 취한 장수를 처형하는 유딧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 속에서 이스라엘의 정통성과 유일신 사상을 지키고 헬라 문화에 대항하려는 의도를 보여주는 지혜 문학으로, 기원전 2세기 시리아 치하의 이스라엘 상황과 연관된다. 70인역을 통해 코이네 그리스어로 전해졌으나 히브리어 원본 논쟁이 있으며, 지혜 문학의 한 형태이다. 역사적 사실과의 불일치로 인해 역사성은 일반적으로 부정되지만,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정경으로 받아들여지는 등 종교적,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유딧은 중세 시대부터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재현되었다.

2. 성립 배경 및 저자

유딧의 저자는 알 수 없으나 작품의 의도는 이해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유딧이 그의 하인과 함께 이스라엘을 침략하려는 앗시리아의 진영에 들어가 술취한 장수를 처형한다는 내용이다. 다른 코이네 그리스어 외경들과의 연관 관계와 완성된 시기로 미뤄보면, 작품 완성 당시에 앗시리아로 유비되는 헬레니즘 문화 영향을 크게 받던 상황하에서 유딧으로 유비되는 이스라엘 정통성과 구약 정신, 유일신 사상을 지키고, 헬라문화에 대항해야 한다는 의도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유딧의 이야기는 기원전 2세기 즉 시리아 치하의 이스라엘의 상황과도 깊은 연관을 발견할 수 있다. 기원전 2세기는 이스라엘이 시리아의 치하 시기로 예루살렘 성전제우스 신전으로 변용되었고, 이스라엘 종교 의식인 안식일과 절기 준행을 금지당했었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 독립 활동이 촉발했고, 확고한 유대교 신앙과 전통을 바탕으로 한 독립전쟁이 시리아와 평화 협정을 통해 결실을 맺던 시기였다. 이런 상황에서 적극적인 애국심과 유대 전통에 대한 확고한 자세를 강조하는 지혜 문학이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1. 성문서와 지혜문학

유딧은 본래 성문서인 지혜문헌의 영향을 받아 작성된 지혜문학이다. 주요한 구약의 지혜문헌의 구조는 두 가지로 잠언, 전도서 같이 지혜를 직접 서술하는 형태와 욥기와 같이 이야기 형식 즉 극 형태가 있었다. "유딧"은 두 번째 형태인 욥기의 극형태를 따라 기술된 지혜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지혜 문헌을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하거나 번역했던 시기인 기원전 2세기 경으로 작품의 완성 시기를 추정한다.

2. 2. 사본 문제

유딧은 70인역을 통해 전해져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된 원본으로 추정했으나, 근대의 문헌 분석 결과 히브리어아람어적 표현의 번역이 발견되어 원본이 히브리어로 작성된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번역문투 문장이 일부분인 점을 들어 히브리어로 전승된 유딧의 이야기가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어 전해지는 것으로 보는 학자가 있다.

2. 3. 저자와 배경

유딧기의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작품의 의도는 파악할 수 있다. 유딧은 하인과 함께 이스라엘을 침략하려는 앗시리아 진영에 들어가 술 취한 장수를 처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른 코이네 그리스어 외경들과의 연관 관계와 완성된 시기를 고려하면, 작품 완성 당시 앗시리아로 비유되는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던 상황에서 유딧으로 비유되는 이스라엘 정통성과 구약 정신, 유일신 사상을 지키고, 헬라 문화에 대항해야 한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유딧 이야기는 기원전 2세기, 즉 시리아 지배하의 이스라엘 상황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기원전 2세기는 이스라엘이 시리아의 지배를 받던 시기로, 예루살렘 성전제우스 신전으로 바뀌었고, 이스라엘 종교 의식인 안식일과 절기 준수가 금지되었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 독립 활동이 촉발되었고, 확고한 유대교 신앙과 전통을 바탕으로 한 독립 전쟁이 시리아와의 평화 협정을 통해 결실을 맺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극적인 애국심과 유대 전통에 대한 확고한 자세를 강조하는 지혜 문학이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역사적 맥락

3. 1. 원어 논쟁

유딧은 70인역을 통해 전해져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된 원본으로 추정했으나, 근대의 문헌 분석 결과 히브리어아람어적 표현의 번역이 발견되어 원본이 히브리어로 작성된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5] 하지만, 번역문투 문장이 일부분인 점을 들어 히브리어로 전승된 유딧의 이야기가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어 전해지는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9][10]

유딧기가 원래 히브리어, 아람어, 또는 그리스어로 기록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버전은 히브리어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인 칠십인역이다.[5] 하지만 텍스트에 히브리어식 표현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코이네 그리스어보다는 아마도 히브리어나 성경 아람어와 같은 셈어파 언어로 쓰였을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5] 제롬은 라틴어 불가타 번역을 하면서 이 책이 "칼데아어(아람어)로" 쓰여졌다고 주장했다.[5]

캐리 A. 무어는 유딧기의 그리스어 텍스트가 히브리어 원본에서 번역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추정되는 번역 오류, 히브리어식 관용구, 히브리어식 구문의 많은 예를 들었다.[6] 현존하는 히브리어 필사본은 매우 늦게 만들어졌으며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뿐이다. 유딧기의 두 개의 현존하는 히브리어 필사본은 그리스어 칠십인역과 라틴어 불가타에서 번역되었다.[7]

히브리어 버전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와 같은 중요한 인물들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고, 사건의 배경을 헬레니즘 시대, 즉 마카베오가 셀레우코스 군주와 싸웠던 시기로 설정한다. 하지만 히브리어 필사본에는 셀레우코스 시대가 되기 수백 년 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왕국들이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이 텍스트의 원래 이름이었을 가능성은 낮다.[8]

3. 2. 정경성 논쟁

=== 유대교 ===

저자는 유대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칠십인역에 포함되었다는 사실 외에는 유딧기가 어떤 유대교 단체에 의해 권위 있는 책으로 여겨지거나 정경 후보로 거론되었다는 증거는 없다.[11][12] 마소라 본문에는 이 책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사해 문서나 초기 랍비 문헌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12][13] 배제된 이유로는 이 책의 비교적 늦은 저작 시기, 그리스 기원 가능성, 하스몬 왕조에 대한 지지 (초기 랍비들은 이에 반대), 그리고 유딧 자신의 대담하고 유혹적인 성격 등이 추정된다.[14]

그러나 유대인들 사이에서 천 년 이상 유통되지 않다가, 유딧기와 유딧이라는 인물에 대한 언급은 암호 유대교 신자들이 코르도바 칼리파국의 항복 이후 기독교 박해를 피해 도망치면서 그들의 종교 문헌에서 다시 나타났다.[12] 이 renewed interest는 "여주인공의 이야기, 전례 시, 탈무드 주석, 유대교 법전의 구절"의 형태로 나타났다.[12] 이 텍스트는 하누카를 언급하지 않지만, 하누카 이야기가 하스몬 왕조 시대에 일어났기 때문에 유딧 이야기의 히브리어 미드라쉬 변형을 하누카의 안식일에 읽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15]

그 미드라쉬는, 여주인공이 적대자에게 치즈와 와인을 먹인 후 그의 머리를 자르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것이 하누카 기간 동안 유제품을 먹는 소규모 유대교 전통의 기반이 되었을 수 있다.[12][16] 그런 점에서, 중세 시대 동안 유럽 유대인들은 유딧을 마카베오-하스몬 시대의 에스더 여왕에 해당하는 인물로 여겼다.[17][18] 유딧기의 텍스트적 신뢰성 또한 당연하게 여겨졌는데, 성경 주석가 나흐마니데스(람반)는 신명기 21:14의 번역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딧의 페쉬타 (시리아어 버전)에서 여러 구절을 인용하기도 했다.[12][19]

=== 기독교 ===

초기 기독교인들인 로마의 클레멘스, 테르툴리아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유딧기를 읽고 사용했지만,[20][21][22] 브리엔니오스 목록(1/2세기), 사르디스의 멜리토의 목록(2세기), 그리고 오리게네스를 포함한 가장 오래된 기독교 정경 중 일부는 이를 포함하지 않는다.[23] 히에로니무스는 히브리 성경의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타 성경을 만들 때 이를 위경으로 간주했으며,[24] (그는 나중에 생각을 바꾸어 이 책을 성경으로 인용하며, 단지 유대인들의 견해를 표명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아타나시우스,[25] 예루살렘의 키릴로스,[26] 그리고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도 마찬가지였다.[27]

교부들과 교회 박사들, 즉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스, 테르툴리아누스, 크리소스토무스, 암브로시우스, 베다 그리고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를 포함한 많은 영향력 있는 교부들과 교회 박사들은 이 책을 성경 정경으로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회의 전후에 모두 성경으로 간주했다.[28][29] 405년의 편지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이 책을 성경 정경의 일부로 선언했다.[30] 히에로니무스의 ''유딧기 서문''에서,[31][32] 그는 유딧기가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경의 수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주장한다. 니케아 공의회의 정경에서는 그러한 선언이 발견되지 않으며, 히에로니무스가 공의회 토론 중에 이 책의 사용을 언급한 것인지, 아니면 그 공의회에 귀속된 가짜 정경을 언급한 것인지 불분명하다.[32] 가톨릭 변증론자 지미 에이킨은 히에로니무스가 니케아 공의회가 정경을 확립한 것에 대해 옳았으며 이에 대한 문서가 시간 속에 사라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다.[33]

유딧기의 니케아에서의 지위와 관계없이, 이 책은 또한 로마 공의회 (382), 히포 시노드 (393), 카르타고 공의회 (397) (397), 피렌체 공의회 (1442)의 공의회에서 성경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결국 1546년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정경으로 교리적으로 정의되었다.[34] 동방 정교회도 유딧을 영감받은 성경으로 받아들인다. 이는 예루살렘 시노드 (1672)에서 확인되었다.[35] 유딧의 정경성은 유대교 정경에서 발견되는 책들만을 구약성경으로 받아들이는 개신교에서 일반적으로 거부된다.[13] 마르틴 루터는 이 책을 우화로 보았지만, 그의 위경 8편 중 첫 번째로 등재했다.[36] 성공회에서는 구약성경의 위경의 중간 권위를 가지며 유용하거나 교훈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교리를 세우는 근거로 삼아서는 안 된다.

유딧은 또한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정경으로 간주되는 책인 1 메카비 28장에서 언급된다.[37]

3. 2. 1. 유대교

저자는 유대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칠십인역에 포함되었다는 사실 외에는 유딧기가 어떤 유대교 단체에 의해 권위 있는 책으로 여겨지거나 정경 후보로 거론되었다는 증거는 없다.[11][12] 마소라 본문에는 이 책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사해 문서나 초기 랍비 문헌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12][13] 배제된 이유로는 이 책의 비교적 늦은 저작 시기, 그리스 기원 가능성, 하스몬 왕조에 대한 지지 (초기 랍비들은 이에 반대), 그리고 유딧 자신의 대담하고 유혹적인 성격 등이 추정된다.[14]

그러나 유대인들 사이에서 천 년 이상 유통되지 않다가, 유딧기와 유딧이라는 인물에 대한 언급은 암호 유대교 신자들이 코르도바 칼리파국의 항복 이후 기독교 박해를 피해 도망치면서 그들의 종교 문헌에서 다시 나타났다.[12] 이 renewed interest는 "여주인공의 이야기, 전례 시, 탈무드 주석, 유대교 법전의 구절"의 형태로 나타났다.[12] 이 텍스트는 하누카를 언급하지 않지만, 하누카 이야기가 하스몬 왕조 시대에 일어났기 때문에 유딧 이야기의 히브리어 미드라쉬 변형을 하누카의 안식일에 읽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15]

그 미드라쉬는, 여주인공이 적대자에게 치즈와 와인을 먹인 후 그의 머리를 자르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것이 하누카 기간 동안 유제품을 먹는 소규모 유대교 전통의 기반이 되었을 수 있다.[12][16] 그런 점에서, 중세 시대 동안 유럽 유대인들은 유딧을 마카베오-하스몬 시대의 에스더 여왕에 해당하는 인물로 여겼다.[17][18] 유딧기의 텍스트적 신뢰성 또한 당연하게 여겨졌는데, 성경 주석가 나흐마니데스(람반)는 신명기 21:14의 번역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딧의 페쉬타 (시리아어 버전)에서 여러 구절을 인용하기도 했다.[12][19]

3. 2. 2. 기독교

초기 기독교인들인 로마의 클레멘스, 테르툴리아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유딧기를 읽고 사용했지만,[20][21][22] 브리엔니오스 목록(1/2세기), 사르디스의 멜리토의 목록(2세기), 그리고 오리게네스를 포함한 가장 오래된 기독교 정경 중 일부는 이를 포함하지 않는다.[23] 히에로니무스는 히브리 성경의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타 성경을 만들 때 이를 위경으로 간주했으며,[24] (그는 나중에 생각을 바꾸어 이 책을 성경으로 인용하며, 단지 유대인들의 견해를 표명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아타나시우스,[25] 예루살렘의 키릴로스,[26] 그리고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도 마찬가지였다.[27]

교부들과 교회 박사들, 즉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스, 테르툴리아누스, 크리소스토무스, 암브로시우스, 베다 그리고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를 포함한 많은 영향력 있는 교부들과 교회 박사들은 이 책을 성경 정경으로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회의 전후에 모두 성경으로 간주했다.[28][29] 405년의 편지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이 책을 성경 정경의 일부로 선언했다.[30] 히에로니무스의 ''유딧기 서문''에서,[31][32] 그는 유딧기가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경의 수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주장한다. 니케아 공의회의 정경에서는 그러한 선언이 발견되지 않으며, 히에로니무스가 공의회 토론 중에 이 책의 사용을 언급한 것인지, 아니면 그 공의회에 귀속된 가짜 정경을 언급한 것인지 불분명하다.[32] 가톨릭 변증론자 지미 에이킨은 히에로니무스가 니케아 공의회가 정경을 확립한 것에 대해 옳았으며 이에 대한 문서가 시간 속에 사라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다.[33]

유딧기의 니케아에서의 지위와 관계없이, 이 책은 또한 로마 공의회 (382), 히포 시노드 (393), 카르타고 공의회 (397) (397), 피렌체 공의회 (1442)의 공의회에서 성경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결국 1546년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정경으로 교리적으로 정의되었다.[34] 동방 정교회도 유딧을 영감받은 성경으로 받아들인다. 이는 예루살렘 시노드 (1672)에서 확인되었다.[35] 유딧의 정경성은 유대교 정경에서 발견되는 책들만을 구약성경으로 받아들이는 개신교에서 일반적으로 거부된다.[13] 마르틴 루터는 이 책을 우화로 보았지만, 그의 위경 8편 중 첫 번째로 등재했다.[36] 성공회에서는 구약성경의 위경의 중간 권위를 가지며 유용하거나 교훈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교리를 세우는 근거로 삼아서는 안 된다.

유딧은 또한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정경으로 간주되는 책인 1 메카비 28장에서 언급된다.[37]

4. 내용 요약 및 문학적 구조

현대의 성서 비평가들은 잔프랑코 라바시와 같은 성서학자를 포함하여, 유딧기를 역사 소설 형태의 확대된 우화 또는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의 선전 문학 작품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41] 또한 "그리스-로마 시대의 고대 유대 소설의 예"라고도 불린다.[42] 다른 학자들은 유딧기가 구약성서의 "구원 전통" 장르에 속하며, 특히 드보라야엘의 이야기 (판관기 4–5장)를 통합하고 있음을 지적하는데, 야엘은 가나안 사령관 시스라를 유혹하여 술에 취하게 한 후 그의 이마에 말뚝을 박았다.[43] 또한 야곱의 아들 시므온과 레위가 창세기 34장에서 디나가 강간당한 후 세겜에게 복수한 것과도 주제적으로 연결된다.[39]

교부 시대 이후의 기독교 서방에서는 유딧기가 다면적인 우화적 인물로 다양한 텍스트에서 언급되었다. "''거룩한 여성''"으로서, 그녀는 교회와 많은 추기경 덕목 – 겸손, 정의, 용기, 정결 (홀로페르네스의 7대 죄악오만, 폭정, 퇴폐, 색욕의 반대) –을 의인화했으며, 히브리 성경 전통의 다른 영웅적인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동정녀 마리아의 유형론적 예표가 되었다. 그녀의 성별은 "약함 속의 강함"이라는 성서적 역설의 자연스러운 예시가 되었고; 따라서 그녀는 다윗과 짝을 이루며, 홀로페르네스의 참수는 골리앗의 참수와 유사하며 – 두 행위 모두 계약 백성을 군사적으로 우세한 적으로부터 구원했다.

이야기는 대담하고 아름다운 과부 유딧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그녀는 외국 정복자로부터 그들을 구원해 주시리라는 하느님을 믿지 못하는 유다 동족들에게 실망한다. 그녀는 충실한 하녀와 함께 홀로페르네스라는 아시리아 장군의 진영으로 가서 그와 서서히 친해지며 그에게 이스라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한다.[38] 그의 신뢰를 얻은 그녀는 그가 술에 취해 정신을 잃고 누워 있을 때 어느 날 밤 그의 막사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38] 그녀는 그의 목을 베어 그 머리를 두려움에 떨고 있는 동족들에게 가져간다.[38] 지도자를 잃은 아시리아인들은 흩어지고, 이스라엘은 구원받는다.[38] 그녀는 많은 사람들에게 구애를 받지만, 유딧은 남은 평생 결혼하지 않고 지낸다.[38]

유딧기는 대략 같은 길이의 두 부분, 즉 "막"으로 나눌 수 있다. 1~7장은 느부갓네살 왕과 그의 아첨꾼 장군 홀로페르네스가 이끄는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이 고조되는 과정을 묘사하며, 이 과정은 홀로페르네스의 전 세계적인 원정이 유딧의 마을 베툴리아가 위치한 산길로 집중되며 끝을 맺는다.[39] 8~16장은 유딧을 소개하고 그녀가 백성을 구하기 위해 수행하는 영웅적인 행적을 묘사한다. 전반부는 군사적 전개에 대한 묘사가 때로는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전투와 성찰을 교차시키고 긴장감 넘치는 행동과 휴식을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중요한 주제를 발전시킨다. 반면 후반부는 주로 유딧의 강인한 인격과 참수 장면에 집중한다.[39]

《새 옥스퍼드 주석 외경》은 두 "막" 모두에서 명확한 교차대칭 구조 패턴을 확인하며, 서사의 중심적인 순간에 사건의 순서가 뒤바뀌는(abcc'b'a') 구조를 보인다.[39]

유딧과 하녀,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이탈리아, 1619


'''제1부 (1:1–7:23)'''

A. 순종하지 않는 나라들에 대한 원정; 백성은 항복한다(1:1–2:13).

:B. 이스라엘은 "매우 두려워한다"(2:14–3:10).

::C. 요아킴은 전쟁을 준비한다(4:1–15).

:::D. 홀로페르네스는 아키오르와 대화한다(5:1–6.9).

::::E. 아키오르는 아시리아인들에게 추방당한다(6:10–13).

::::E'. 아키오르는 베툴리아 마을에서 환영받는다(6:14–15).

:::D'. 아키오르는 백성과 대화한다(6:16–21).

::C'. 홀로페르네스는 전쟁을 준비한다(7:1–3).

:B'. 이스라엘은 "매우 두려워한다"(7:4–5).

A'. 베툴리아에 대한 원정; 백성은 항복하려 한다(7:6–32).

'''제2부 (8:1–16:25)'''

A. 유딧의 소개(8:1–8).

:B. 유딧은 이스라엘을 구원할 계획을 세운다(8:9–10:8). 그녀의 긴 기도를 포함한다(9:1–14).

::C. 유딧과 그녀의 하녀는 베툴리아를 떠난다(10:9–10).

:::D. 유딧은 홀로페르네스를 참수한다(10:11–13:10a).

|thumb|right|''유딧이 베툴리아로 돌아오다'', 1860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

::C'. 유딧과 그녀의 하녀는 베툴리아로 돌아온다(13.10b–11).

:B'. 유딧은 이스라엘의 적의 파멸을 계획한다(13:12–16:20).

A'. 유딧에 대한 결론(16.1–25).[39]

제2부 내의 유사성은 새 미국 성경 개정판의 주석에서 언급된다. 유딧은 원정을 앞두고 유딧 8:10에서 마을 회의를 소집하고 유딧 13:12–13에서 그러한 회의에서 찬사를 받는다. 웃시야는 유딧 8:5에서 미리 유딧을 축복하고 유딧 13:18–20에서 나중에 축복한다.[40]

4. 1. 줄거리 요약

이야기는 대담하고 아름다운 과부 유딧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그녀는 외국 정복자로부터 그들을 구원해 주시리라는 하느님을 믿지 못하는 유다 동족들에게 실망한다. 그녀는 충실한 하녀와 함께 홀로페르네스라는 아시리아 장군의 진영으로 가서 그와 서서히 친해지며 그에게 이스라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한다.[38] 그의 신뢰를 얻은 그녀는 그가 술에 취해 정신을 잃고 누워 있을 때 어느 날 밤 그의 막사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38] 그녀는 그의 목을 베어 그 머리를 두려움에 떨고 있는 동족들에게 가져간다.[38] 지도자를 잃은 아시리아인들은 흩어지고, 이스라엘은 구원받는다.[38] 그녀는 많은 사람들에게 구애를 받지만, 유딧은 남은 평생 결혼하지 않고 지낸다.[38]

4. 2. 문학적 구조

유딧기는 대략 같은 길이의 두 부분, 즉 "막"으로 나눌 수 있다. 1~7장은 느부갓네살 왕과 그의 아첨꾼 장군 홀로페르네스가 이끄는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이 고조되는 과정을 묘사하며, 이 과정은 홀로페르네스의 전 세계적인 원정이 유딧의 마을 베툴리아가 위치한 산길로 집중되며 끝을 맺는다.[39] 8~16장은 유딧을 소개하고 그녀가 백성을 구하기 위해 수행하는 영웅적인 행적을 묘사한다. 전반부는 군사적 전개에 대한 묘사가 때로는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전투와 성찰을 교차시키고 긴장감 넘치는 행동과 휴식을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중요한 주제를 발전시킨다. 반면 후반부는 주로 유딧의 강인한 인격과 참수 장면에 집중한다.[39]

《새 옥스퍼드 주석 외경》은 두 "막" 모두에서 명확한 교차대칭 구조 패턴을 확인하며, 서사의 중심적인 순간에 사건의 순서가 뒤바뀌는(abcc'b'a') 구조를 보인다.[39]

'''제1부 (1:1–7:23)'''

A. 순종하지 않는 나라들에 대한 원정; 백성은 항복한다(1:1–2:13).

:B. 이스라엘은 "매우 두려워한다"(2:14–3:10).

::C. 요아킴은 전쟁을 준비한다(4:1–15).

:::D. 홀로페르네스는 아키오르와 대화한다(5:1–6.9).

::::E. 아키오르는 아시리아인들에게 추방당한다(6:10–13).

::::E'. 아키오르는 베툴리아 마을에서 환영받는다(6:14–15).

:::D'. 아키오르는 백성과 대화한다(6:16–21).

::C'. 홀로페르네스는 전쟁을 준비한다(7:1–3).

:B'. 이스라엘은 "매우 두려워한다"(7:4–5).

A'. 베툴리아에 대한 원정; 백성은 항복하려 한다(7:6–32).

'''제2부 (8:1–16:25)'''

A. 유딧의 소개(8:1–8).

:B. 유딧은 이스라엘을 구원할 계획을 세운다(8:9–10:8). 그녀의 긴 기도를 포함한다(9:1–14).

::C. 유딧과 그녀의 하녀는 베툴리아를 떠난다(10:9–10).

:::D. 유딧은 홀로페르네스를 참수한다(10:11–13:10a).

|thumb|right|''유딧이 베툴리아로 돌아오다'', 1860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

::C'. 유딧과 그녀의 하녀는 베툴리아로 돌아온다(13.10b–11).

:B'. 유딧은 이스라엘의 적의 파멸을 계획한다(13:12–16:20).

A'. 유딧에 대한 결론(16.1–25).[39]

제2부 내의 유사성은 새 미국 성경 개정판의 주석에서 언급된다. 유딧은 원정을 앞두고 유딧 8:10에서 마을 회의를 소집하고 유딧 13:12–13에서 그러한 회의에서 찬사를 받는다. 웃시야는 유딧 8:5에서 미리 유딧을 축복하고 유딧 13:18–20에서 나중에 축복한다.[40]

5. 주요 등장인물

유딧은 이 책의 주인공으로, 므라리의 딸이자 시므온 지파 출신의 경건한 여인으로 소개된다.[44] 그녀는 부유한 농부인 므나세의 미망인으로, 자신의 매력을 이용하여 홀로페르네스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그의 목을 베어 이스라엘이 아시리아에 반격할 수 있게 한다.[46] 유딧의 하녀는 이야기 내내 그녀와 함께하며, 이야기가 끝날 때 자유를 얻는다.[46]


홀로페르네스는 이 책의 적대자이다. 그는 왕에게 헌신적인 군인이자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모든 땅에서 숭배받기를 원한다. 니네베 왕을 지지하지 않은 반역자들을 파괴하는 임무를 부여받았고, 이스라엘도 그의 군사 작전 대상이었다. 유딧의 용기와 매력은 그의 죽음을 초래한다.
네부카드네자르는 니네베와 아시리아의 왕이다. 그는 자신의 힘을 신성한 권력으로 확증하고 싶어할 정도로 오만하며, 그의 지휘관인 홀로페르네스는 서방 국가들에게 "오직 네부카드네자르만을 숭배하고... 그를 신으로 불러라"[48]라는 왕의 명령을 넘어선다. 홀로페르네스는 네부카드네자르와 동맹을 맺기를 거부한 자들에게 복수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아키오르는 네부카드네자르 궁정의 암몬 사람 지도자이다. 그는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를 요약하고 아시리아 왕에게 그들의 하느님의 능력을 경고하지만 조롱을 받는다.[49] 그는 벳줄리아 사람들의 보호를 받고 개종자가 되어, 유딧이 이룬 일을 듣고 할례를 받는다.[50]
바고아스는 홀로페르네스의 개인적인 일을 맡은 환관이다. 그의 이름은 페르시아어로 환관을 뜻한다.[54] 그는 유딧을 데려와 홀로페르네스와 함께 눕게 하였고, 그의 참수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었다.
우찌아는 벳줄리아의 통치자이다. 그는 카브리카르미와 함께 유딧의 도시를 다스린다. 아시리아인에게 도시가 포위되고 물 공급이 끊어지자, 그는 닷새 안에 하느님이 그들을 구원하지 못하면 백성의 항복 요구에 동의한다. 이 결정은 유딧에 의해 "경솔하다"고 비판받는다.[55]

6. 유딧의 기도

wikitext

제9장은 유딧의 "확장된 기도"를 구성하며, 이후 장에서의 그녀의 행동에 앞서 "크게 외쳐졌다". 이는 영어 번역본에서는 14절, 불가타 성경에서는 19절에 달한다.

7. 역사성 논쟁

오늘날, 유딧기의 역사성은 부정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허구적인 성격은 "역사와 허구를 혼합하는 것에서 명백하게 드러나며, 첫 번째 구절부터 시작하여 단순한 역사적 실수의 결과로 간주하기에는 너무 만연해 있다."[39] 인물들의 이름은 역사적으로 알려지지 않았거나 시대착오적으로 보이며, 지명 중 많은 부분도 알려지지 않았다. 가톨릭교회는 항상 이 책을 역사적 문서로 간주해 왔으며, 가톨릭 성경의 구약성경에 있는 다른 역사서들과 함께 포함되어 있다.[58]

이러한 이유로, 학자들과 성직자들 모두 유딧기 내의 등장인물과 사건들을 실제 사건의 우화적 표현이나, 잘못 수정되거나 번역된 역사적 문서로 이해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이름 변경의 관행은 제2성전 시대의 문서, 예를 들어 "다마스쿠스"라는 가명으로 언급된 불확실한 위치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는 다마스쿠스 문서에서 관찰되었다. 유대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기록 또한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의 이름과 관련하여 성경 기록과 자주 다르다. 성경의 다른 곳에서도 다니엘서의 메대 사람 다리우스, 에스더기의 아하수에로와 같이 역사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들의 이름이 등장한다.

앗시리아 군대의 규모와 책에 묘사된 메디아 성벽의 큰 규모 또한 비판을 받아왔지만, 이 두 가지 모두 성경의 다른 곳과 세속적인 역사 기록에서 증명되었다. 열왕기하 19장에서 예루살렘을 포위한 앗시리아 군대는 18만 5천 명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유딧기에 묘사된 앗시리아 군대보다 수만 명이나 더 많은 숫자이다. 또한,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바빌론의 성벽이 유딧기에 나오는 엑바타나의 성벽과 규모와 사치스러움이 비슷하다고 묘사했다.[59] 헤로도토스의 기록은 역사가 스트라보,[60] 크테시아스[61] 및 클레이타르쿠스[62]의 바빌론 성벽 규모에 대한 유사한 기록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책에 등장하는 "느부갓네살"의 정체성은 수천 년 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아슈르바니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티그라네스 대왕,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캄비세스 2세, 크세르크세스다리우스 대왕을 포함한 다양한 통치자들이 학자들에 의해 제안되었다.[63]

판화가 지롤라모 모체토, 1500년

7. 1. 역사적 사실과의 불일치

7. 2. 네부카드네자르의 정체

7. 2. 1. 아슈르바니팔과의 동일시

아슈르바니팔은 기원전 668년부터 627년까지 신아시리아 제국을 통치한 왕으로, 잔혹하고 잔인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그의 통치는 다양한 군사 원정과 침략으로 특징지어진다.[64]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백 년 동안 유딧기가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기간에 일어났다는 견해가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챌로너 두에-레임스 성경은 책의 사건이 A.M. 3347년 또는 Ante C. 657년에 시작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기간과 일치한다.[64] 이는 아슈르바니팔 통치 12년째가 되며, 유딧기가 "네부카드네자르"의 12년에 시작된다는 것과 일치한다.

유딧기의 시대를 므낫세의 통치 시대로 보는 전통적인 가톨릭의 견해는 아슈르바니팔의 통치와 일치하며, 아슈르바니팔의 기록에는 므낫세가 이집트를 상대로 한 그의 원정을 지원한 여러 봉신 중 한 명으로 언급되어 있다.[65] 유딧기 4:3에 묘사된 성전 모독은 기원전 715년에서 686년 사이에 통치했던 히스기야 왕 시대의 사건일 수 있다(참조: 역대기하 33:18–19). 그리고 같은 구절에서 분산에서 돌아오는 사건(종종 바빌론 포로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은 므낫세가 아시리아인에게 포로로 잡힌 후 예루살렘을 탈출한 사람들에게 발생한 혼란을 가리킬 수 있다. 유딧기 4:5에 묘사된 도시의 보강은 므낫세 시대의 아시리아인에 대응하여 일어난 보강과 일치한다.[66] 유딧기 4:6은 당시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이 그 나라를 통치했다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므낫세가 그의 형제 샤마스-슈마-우킨이 이끈 아슈르바니팔에 대한 광범위한 반란에 가담한 것으로 생각한다.[68] 동시대 자료는 칼데아 (샤마스-슈마-우킨이 통치)의 많은 동맹국에 대해 언급하며, 여기에는 아시리아의 신하국이었던 유다 왕국이 포함되며, 유딧기에서 아슈르바니팔의 서부 원정의 희생자로 언급된다.[69]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유다"를 샤마스-슈마-우킨의 아슈르바니팔에 대한 반란 연합에 참여한 봉신 왕국 중 하나로 확인했다.[70] 케임브리지 고대사 역시 "여러 팔레스타인 군주"가 아슈르바니팔에 대한 반란에서 샤마스-슈마-우킨을 지지했다는 것을 확인하며, 이는 므낫세의 반란 참여를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71]

샤마스-슈마-우킨의 내전은 기원전 652년에 발발했는데, 이는 아슈르바니팔 통치 18년째였다. 유딧기는 "네부카드네자르"가 그의 통치 18년에 제국의 서부를 유린했다고 말한다. 아슈르바니팔이 샤마스-슈마-우킨의 내전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것은 아시리아가 기원전 655년경 아시리아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이집트를 재정복하는 것을 막았다.

앙투안 오귀스탱 칼메를 포함한 수많은 신학자들은 서부 원정의 궁극적인 목표가 아시리아인들이 이집트를 약탈하는 것이라고 의심한다. 칼메와 다른 사람들이 홀로페르네스가 이집트를 약탈하려 했다고 의심하는 것이 맞다면, 이는 책이 기원전 663년에 이미 이집트 테베를 약탈한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기간에 설정되었다는 이론에 대한 더 많은 증거를 제공할 것이다. 유딧기가 므낫세와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기간에 쓰여졌다는 견해는 많은 가톨릭 학자들이 지지했다.[72] 풀크란 비구루는 더 나아가 "아시리아 왕 네부카드네자르"와 "메데 왕 아르팍사드" 사이의 전투를 아슈르바니팔과 프라오르테스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로 확인했다.[73] 이 전투는 아슈르바니팔 통치 17년에 일어났으며, 유딧기는 이 전투가 "네부카드네자르" 통치 17년에 일어났다고 말한다. 자크-베니뉴 보쉬에는 이에 대한 비슷한 견해를 표명했다.[74]

"네부카드네자르"를 아슈르바니팔로 동일시하는 것은 매우 널리 퍼져서 수백 년 동안 영어 가톨릭 성경에서 유일한 동일시였다. 1738년 두에-레임스 성경의 챌로너 개정판과 헤이독 성경 해설은 "나부코도노소르"가 "세속 역사가들에게 '사오스두킨'으로 알려졌으며, 아시리아 왕국에서 '아사르하돈'을 계승했다"고 명시한다. 이는 아슈르바니팔일 수밖에 없는데, 그는 그의 아버지 에사르하돈의 후계자였기 때문이다.[76][77] 왕조 연대기에서 천문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쓴 그리스어로 "사오스두키노스"가 아시리아 왕으로 "아사라디노스"를 계승했다고 썼을 가능성이 있다.[78] 그러나 네부카드네자르와 아슈르바니팔의 원정은 명확하고 직접적인 유사성을 보여주지만, 유딧의 개입에 대한 주요 사건은 이 책 외에는 어떤 기록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가톨릭 변증가 지미 에이킨은 유딧기가 열쇠 소설일 가능성을 주장하며, 사람과 장소에 다른 이름이 사용된 역사적 기록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79] 아슈르바니팔은 성경에서 이름으로 언급된 적이 없다.

7. 2. 2.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오쿠스와의 동일시

느부갓네살의 정체는 교부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들 중 일부는 두 통치자의 성격이 아니라 오쿠스 군대에 "홀로페르네스"와 "바고아스"가 있다는 이유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오쿠스(기원전 359–338년)와의 동일시를 시도했다.[80] 이 견해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학계에서도 통용되었다.[80] 그러나 아르타크세르크세스의 통치와 유딧기의 사건들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이 이론은 대부분 폐기되었다.

7. 2. 3. 티그라네스 대왕과의 동일시

현대 학자들은 유딧기를 기원전 2세기에서 1세기 사이의 맥락으로 보며, 일종의 로망 아 클레프, 즉 등장인물이 작가와 동시대의 실제 역사적 인물을 상징하는 문학적 허구로 이해한다. 유딧기의 경우, 성경 학자 가브리엘레 보카치니는 느부갓네살을 강력한 아르메니아 왕인 티그라네스 대왕(기원전 140–56년)과 동일시했는데, 그는 요세푸스와 스트라보에 따르면 유딧기의 성경 저자가 언급한 모든 땅을 정복했다.[82] 이 이론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허구이지만, 유대아를 기원전 76년부터 67년까지 통치한 유일한 유대인 여왕인 살로메 알렉산드라 여왕 시대에 설정된 것이다.[83]

유딧과 마찬가지로, 여왕은 다른 종교의 사원을 파괴하는 경향이 있는 외국 왕의 위협에 직면해야 했다. 두 여성 모두 과부였으며, 그들의 전략적이고 외교적인 기술은 침략자 격퇴에 도움이 되었다.[84] 두 이야기는 모두 성전이 최근에 재헌납된 시기에 설정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유다 마카베오가 니카노르를 죽이고 셀레우코스 왕조를 격파한 후의 경우와 같다. 유대 점령 지역은 사마리아 지역을 포함하는데, 이는 요한 히르카누스가 그 지역을 재정복한 후 마카베오 시대에만 가능했다. 따라서 유딧기의 추정되는 사두개파 저자는 사두개파와 바리새파를 공통의 위협에 대항하여 통합하려 했던 위대한 (바리새파) 여왕을 기리고자 했을 것이다.

7. 3. 베툴리아의 위치

역사적으로 기록된 "베툴리아"는 없지만, 유딧기는 도시의 위치에 대해 매우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현재 폐허가 된 그 지역의 고대 도시 후보가 몇 군데 있다. 책에 나오는 위치 묘사를 바탕으로 베툴리아의 가장 그럴듯한 역사적 장소는 세겜으로 널리 추측된다. 세겜은 사마리아의 산악 지대에 있는 큰 도시로, 예즈렐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직접적인 길에 있으며, 적의 길목에 위치해 있고, 중요한 고개의 머리에 있으며, 게바에서 남쪽으로 몇 시간 거리에 있다.[4] 유대 백과사전은 이 이론에 동의하며,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역사적 적대감 때문에 가명을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유대 백과사전은 세겜이 베툴리아의 위치에 대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유일한 위치라고 주장하며, 더 나아가 "베툴리아와 세겜의 동일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4]

가톨릭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그 도시는 예즈렐 또는 에스드렐론 평원이 내려다보이는 산에 위치해 있었고, 남쪽으로 좁은 고개들을 통제했으며, 산기슭에는 중요한 샘이 있었고, 인근에도 다른 샘들이 있었다. 게다가 그곳은 도단 또는 도단, 현재는 텔 도탄을 거쳐 벨템 또는 벨마로 이어지는 포위선 안에 있었는데,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벨라몬과 동일하며, 거기서 키몬 또는 헬몬으로 이어지며, "에스드렐론 건너편에 위치해 있다".[85] 이 데이터는 에스드렐론 평원과 도단 사이의 제닌 (엔가님) 서쪽 고지에 있는 하라이크 엘-말라, 키르벳 셰이크 시벨 및 엘-바리드가 가까이 있는 지점을 가리킨다. 이러한 지점이 베툴리아의 위치에 대한 모든 요구 사항을 가장 잘 충족한다.[86]

6세기 AD의 마다바 지도 모자이크는 "베틸리온" ( )이라는 정착지를 보여준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이 베툴리아라고 믿지만, 훨씬 더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가능성은 낮다. 대신 현대의 셰이크 주에이드에 있는 가자 지구와 이집트 국경에 위치해 있다.[87]

8. 유딧기에만 등장하는 지명

유딧기에 언급된 장소 중 일부는 익숙한 성경 지명이거나 현대 지명이지만, 다른 장소는 허구이거나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곳도 있다. 신학자 앙투안 오귀스탱 칼메, 빌헬름 게세니우스, 프란츠 카를 무버스는 모두 필사자나 번역의 실수로 이 책에 나오는 기이한 지리적 위치를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어, 무버스는 χαλλαίων("challaion")을 χαλδαίων, 즉 "칼데아"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했다.[88][89]

논쟁의 여지가 있는 몇몇 장소는 다음과 같다.


  • 1:5 - 라가에 영토는 라게스 또는 라게스일 가능성이 있으며, 토비트기 1:16을 참조.[90]
  • 1:6 -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이 언급되었으며, 히다스페스(불가타 성경의 자다손)도 언급되었다. 히다스페스는 현대 인도파키스탄의 젤룸 강의 그리스어 이름이기도 하다. 그러나 칼메는 이 강을 그리스인들이 "초아스페스"라고 부르는 카르헤 강으로 식별했다. 칼메는 필사자들이 초아스페스를 히다스페스와 혼동했으며, 역사가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가 정확히 같은 실수를 했다고 주장한다.
  • 2:21 - 벡틸레트 평원은[91] 니네베에서 3일간 행군 거리이다. 칼메는 이를 스트라본이 "타우루스 산맥 기슭에" 있다고 묘사한 카파도키아의 "바가다니아 평원"으로 식별했다.[92]
  • 4:4 - 코나는 칼메와 콤플루텐세 성경은 단순히 "마을"을 의미한다고 믿는다. 마가복음 8:27은 그들이 "가이사랴 빌립보의 마을(κώμας, kômas)"에 이르렀다고 말한다. 이 마을들 중에는 구약의 바알-가드와 바알-헤르몬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 4:4 - 벨메인은 시리아어 페쉬타는 이 장소의 이름을 아벨-메홀라로 표기하며(7:3에서도), 칼메는 이를 더욱 뒷받침했다. 일부에서는 두 구절에서 이름의 철자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위치, 아마도 벨라메일 것이라고 추측했다.[93][94]
  • 4:4 - 코바는 아마도 창세기 14:15에 언급된 호바일 것이다.
  • 4:4 - 에소라는 칠십인역은 사본에 따라 ''아이소라'', ''아라수시아'', ''아이소라아'' 또는 ''아사론''이라고 부른다.[95] 텔 하솔 또는 엔-하솔일 수 있으며, 둘 다 여호수아기에 언급되어 있다.
  • 4:4 - 살렘 골짜기는 창세기 33:18에 언급된 "세겜의 도시 살렘"과 동일할 수 있다. 이곳은 세겜에서 동쪽으로 약 4.8km 떨어진 현대 도시 살림이며, 요르단 계곡 기슭에 위치해 있다.[96]
  • 4:6 및 이후 여러 언급 - 베툴리아는 성문이 있는 도시(유딧 10:6)이다. 도시의 문에서 아래 계곡을 볼 수 있다(유딧 10:10). 묘사된 지형 때문에 유대 백과사전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세겜의 가명으로 추측한다.
  • 4:6 - 베토메스테임 또는 베토마스셈은 일부 번역본은 "베툴리아와 베토메스테임의 사람들"을 하나의 단위로 언급하며, "도단 근처 평원 맞은편 에스드라엘론을 마주보고 있습니다(''단수'')[9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에스드라엘론 평원"을 갈릴리 언덕과 사마리아 사이의 평원으로 언급한다.[98] 따라서 역사가이자 고고학자인 찰스 커틀러 토리는 베토메스테임을 사마리아시의 가명으로 식별했다.
  • 4:6 - 도단 근처 평원(불가타 성경의 도티안)
  • 7:3 - 벨바임은 시리아어 페쉬타는 이 장소의 이름을 아벨-메홀라로 표기하며(4:4에서도), 칼메는 이를 더욱 뒷받침했다.
  • 7:3 - 시알론 또는 키나몬은[99] 역시 에스드라엘론을 마주보고 있다. ''성경 백과사전''은 "일부 학자들은 이 이름이 욕느암의 변형이라고 느꼈다"고 언급한다.[100][101]
  • 7:18 - 에그레베는 추비 근처에 있으며, 와디 모흐무르 옆에 있다. 칼메와 찰스 윌리엄 메러디스 반 데 벨데는 에그레베를 세겜에서 남동쪽으로 17.7km 떨어진 팔레스타인 중부 산악 지대의 폐허가 된 아크라베와 동일하게 식별했다.
  • 8:4 - 발라몬은 칠십인역은 유딧의 남편 므낫세가 도단과 발라몬 사이의 들판에 묻혔다고 말한다. 칼메는 "발라몬"이 "그들이 이미 여러 번 언급한 것과 같은 도시, 때로는 벨마임, 때로는 벨마, 또는 베렘, 또는 바알메온"이라고 추측했다.
  • 15:4 - 베토메스테임과 함께 베툴리아 근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코바와 콜라가 언급되어 있다. 코바는 호바와 동일하게 식별될 수 있고 콜라는 기일라 또는 가불과 동일하게 식별될 수 있다.

9. 후대의 예술적 재현

라바누스 마우루스 (9세기)가 유딧기에 대한 최초의 현존하는 주석을 작성했다. 이후 유딧은 중세 문학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는데, 설교, 성경적 의역, 역사 및 시 등에서 다뤄졌다. 고대 영어 시 버전은 베오울프와 함께 노웰 코덱스에 나타난다. 이 시는 성경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앵글로-색슨 청중에게 맞게 설정했다.[105]

앵글로색슨 수도원장 에일프릭은 설교에서 유딧을 주제로 다루었다. 서사시에서 유딧은 용감하고, 강인하며, 적극적인 전사로 묘사되지만, 설교에서는 수도원 수녀들을 위한 경건한 정절의 모범으로 묘사된다. 두 경우 모두 유딧 이야기는 당시 노르드인 바이킹 침략으로 인해 중요성이 더해졌다. 이후 3세기 동안 유딧은 하인리히 프라우엔로브, 단테, 제프리 초서와 같은 주요 인물들에 의해 다뤄졌다.

중세 기독교 미술에서 유딧은 "거룩한 여인"이자 성모 마리아의 원형으로서 교부적 가치를 지녔으며, 로마의 산타 마리아 안티과에 있는 8세기 프레스코에서 수많은 후기 성경 세밀화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을 유지했다. 고딕 양식의 대성당은 종종 유딧을 특징으로 했으며, 특히 파리의 생트 샤펠에 있는 40개의 스테인드 글라스 패널 시리즈(1240년대)가 인상적이다.

르네상스 문학과 시각 예술에서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발전했다. 폭정에 맞선 지역 주민들의 용기를 보여주는 ''모범''으로서 유딧의 이미지는 홀로페르네스가 아시리아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위협적인 오스만 투르크의 상징으로 여겨져 새로운 긴급성을 얻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인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는 유딧을 성경 속 인물에 대한 시 중 다섯 가지 주제 중 하나로 선택했다.[106]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의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16세기에도 비슷한 역학 관계가 형성되었다. 개신교가톨릭 모두 유딧의 보호막을 두르고 그들의 "이단적인" 적들을 홀로페르네스로 묘사했다.[107]

16세기 프랑스에서 기욤 뒤 바르타, 가브리엘 드 코이니에르, 안 드 마르케와 같은 작가들은 홀로페르네스를 이긴 유딧의 승리에 관한 시를 썼다. 크로아티아 시인이자 인문주의자인 마르코 마룰리치 또한 1501년에 유딧의 이야기를 다룬 서사시, ''유디타''를 썼다. 이탈리아 시인이자 학자인 바르톨로메오 토르톨레티는 유딧이라는 성경 속 인물을 소재로 한 라틴어 서사시(''Bartholomaei Tortoletti Iuditha uindex e uindicata'', 1628)를 썼다. 1578년 잉글랜드 로마 가톨릭 학자 그레고리 마틴은 가톨릭 논문 ''분열에 관한 논문''에서 "가톨릭의 희망이 승리하고 경건한 유딧이 홀로페르네스를 죽일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것은 당시 잉글랜드 개신교 당국에 의해 엘리자베스 여왕을 살해하려는 선동으로 해석되었다. 이 논문이 인쇄된 후, 마틴의 논문을 인쇄한 인쇄업자 윌리엄 카터는 1584년에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의 유디트가 홀로페르네스를 죽이는 장면


여성의 힘 ''토포스''에서 가장 흔하게 다루어지는 것 중 하나는 유디트가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도나텔로, 카라바조, 산드로 보티첼리, 안드레아 만테냐, 조르조네, 루카스 크라나흐, 티치아노, 오라스 베르네, 구스타프 클림트,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얀 산데르스 반 헤메센, 트로핌 비고, 프란시스코 고야, 프란체스코 카이로, 헤르만-폴 등 여러 화가와 조각가들에 의해 다루어졌다.[108]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의 펜덴티브 중 하나에서 이 장면을 여러 측면으로 묘사했다. 주디 시카고는 ''디너 파티''에 유디트를 포함시켜 자리를 마련했다.[108]

448x448px


토마스 탈리스의 40성부 모테트 ''Spem in alium''은 유딧기 본문을 가사로 한다.[110] 이 이야기는 안토니오 비발디, W. A. 모차르트, 휴버트 패리오라토리오와 야코프 파블로비치 아들러의 오페레타에도 영감을 주었다.[110] 마르크 앙투안 샤르팡티에는 솔리스트, 합창단, 플루트 2개, 현악기, 통주 저음을 위한 오라토리오 ''Judith sive Bethulia liberata'' H.391을 작곡했다(? 1670년대 중반).[110] 엘리자베트 자케 드 라 게르(EJG.30)와 세바스티앙 드 브로사르는 칸타타 유딧을 작곡했다.[110]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는 1693년 오라토리오 ''라 지우디타''를 작곡했고,[110] 포르투갈 작곡가 프란시스쿠 안토니우 드 알메이다도 1726년에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다.[110] 안토니오 비발디는 1716년 ''유디타 트리움판스''를 작곡했고,[110] 모차르트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의 대본에 맞춰 1771년 ''라 베툴리아 리베라타(KV 118)''를 작곡했다.[110] 아르투르 오네게는 르네 모락스의 대본에 맞춰 1925년 오라토리오 ''유딧''을 작곡했다.[110] 러시아 작곡가 알렉산더 세로프의 ''유딧'',[110] 오스트리아 작곡가 에밀 폰 레즈니첵의 ''홀로페르네스'',[110] 독일 작곡가 지크프리트 마투스의 ''유딧'' 등 오페라 작품도 존재한다.[110] 프랑스 작곡가 장 기유는 1970년 메조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유딧-심포니를 작곡했으며, 1972년 파리에서 초연되었고 쇼트-뮤직에서 출판했다.[110]

1840년, 프리드리히 헤벨의 연극 ''유딧''이 베를린에서 공연되었다.[110] 아브라함 골드파덴은 1892년 유딧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110] 미국의 극작가 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의 ''베툴리아의 유딧''은 1905년 뉴욕에서 처음 공연되었으며,[110] D. W. 그리피스 감독이 1914년에 제작한 ''베툴리아의 유딧''의 기초가 되었다.[110] 영국 작가 아놀드 베넷은 1919년 3막으로 구성된 ''유딧''을 발표했다.[111] 1981년, 이스라엘(히브리어) 극작가 모셰 샤미르의 연극 "나병 환자들 사이의 유딧"이 이스라엘에서 공연되었다.[110] 영국 극작가 하워드 바커는 유딧의 이야기와 그 여파를 그의 비네트 모음집인 ''가능성''의 일부인 장면 "애국적 행위의 예상치 못한 결과"에서 고찰했고,[110] 나중에 이 장면을 단편 연극 ''유딧''으로 확장했다.[110]

9. 1. 문학

라바누스 마우루스 (9세기)가 유딧기에 대한 최초의 현존하는 주석을 작성했다. 이후 유딧은 중세 문학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는데, 설교, 성경적 의역, 역사 및 시 등에서 다뤄졌다. 고대 영어 시 버전은 베오울프와 함께 노웰 코덱스에 나타난다. 이 시는 성경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앵글로-색슨 청중에게 맞게 설정했다.[105]

앵글로색슨 수도원장 에일프릭은 설교에서 유딧을 주제로 다루었다. 서사시에서 유딧은 용감하고, 강인하며, 적극적인 전사로 묘사되지만, 설교에서는 수도원 수녀들을 위한 경건한 정절의 모범으로 묘사된다. 두 경우 모두 유딧 이야기는 당시 노르드인 바이킹 침략으로 인해 중요성이 더해졌다. 이후 3세기 동안 유딧은 하인리히 프라우엔로브, 단테, 제프리 초서와 같은 주요 인물들에 의해 다뤄졌다.

중세 기독교 미술에서 유딧은 "거룩한 여인"이자 성모 마리아의 원형으로서 교부적 가치를 지녔으며, 로마의 산타 마리아 안티과에 있는 8세기 프레스코에서 수많은 후기 성경 세밀화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을 유지했다. 고딕 양식의 대성당은 종종 유딧을 특징으로 했으며, 특히 파리의 생트 샤펠에 있는 40개의 스테인드 글라스 패널 시리즈(1240년대)가 인상적이다.

르네상스 문학과 시각 예술에서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발전했다. 폭정에 맞선 지역 주민들의 용기를 보여주는 ''모범''으로서 유딧의 이미지는 홀로페르네스가 아시리아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위협적인 오스만 투르크의 상징으로 여겨져 새로운 긴급성을 얻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인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는 유딧을 성경 속 인물에 대한 시 중 다섯 가지 주제 중 하나로 선택했다.[106]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의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16세기에도 비슷한 역학 관계가 형성되었다. 개신교가톨릭 모두 유딧의 보호막을 두르고 그들의 "이단적인" 적들을 홀로페르네스로 묘사했다.[107]

16세기 프랑스에서 기욤 뒤 바르타, 가브리엘 드 코이니에르, 안 드 마르케와 같은 작가들은 홀로페르네스를 이긴 유딧의 승리에 관한 시를 썼다. 크로아티아 시인이자 인문주의자인 마르코 마룰리치 또한 1501년에 유딧의 이야기를 다룬 서사시, ''유디타''를 썼다. 이탈리아 시인이자 학자인 바르톨로메오 토르톨레티는 유딧이라는 성경 속 인물을 소재로 한 라틴어 서사시(''Bartholomaei Tortoletti Iuditha uindex e uindicata'', 1628)를 썼다. 1578년 잉글랜드 로마 가톨릭 학자 그레고리 마틴은 가톨릭 논문 ''분열에 관한 논문''에서 "가톨릭의 희망이 승리하고 경건한 유딧이 홀로페르네스를 죽일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것은 당시 잉글랜드 개신교 당국에 의해 엘리자베스 여왕을 살해하려는 선동으로 해석되었다. 이 논문이 인쇄된 후, 마틴의 논문을 인쇄한 인쇄업자 윌리엄 카터는 1584년에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9. 2. 회화 및 조각



여성의 힘 ''토포스''에서 가장 흔하게 다루어지는 것 중 하나는 유디트가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도나텔로, 카라바조, 산드로 보티첼리, 안드레아 만테냐, 조르조네, 루카스 크라나흐, 티치아노, 오라스 베르네, 구스타프 클림트,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얀 산데르스 반 헤메센, 트로핌 비고, 프란시스코 고야, 프란체스코 카이로, 헤르만-폴 등 여러 화가와 조각가들에 의해 다루어졌다.[108]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의 펜덴티브 중 하나에서 이 장면을 여러 측면으로 묘사했다. 주디 시카고는 ''디너 파티''에 유디트를 포함시켜 자리를 마련했다.[108]

9. 3. 음악 및 연극

토마스 탈리스의 40성부 모테트 ''Spem in alium''은 유딧기 본문을 가사로 한다.[110] 이 이야기는 안토니오 비발디, W. A. 모차르트, 휴버트 패리오라토리오와 야코프 파블로비치 아들러의 오페레타에도 영감을 주었다.[110] 마르크 앙투안 샤르팡티에는 솔리스트, 합창단, 플루트 2개, 현악기, 통주 저음을 위한 오라토리오 ''Judith sive Bethulia liberata'' H.391을 작곡했다(? 1670년대 중반).[110] 엘리자베트 자케 드 라 게르(EJG.30)와 세바스티앙 드 브로사르는 칸타타 유딧을 작곡했다.[110]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는 1693년 오라토리오 ''라 지우디타''를 작곡했고,[110] 포르투갈 작곡가 프란시스쿠 안토니우 드 알메이다도 1726년에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다.[110] 안토니오 비발디는 1716년 ''유디타 트리움판스''를 작곡했고,[110] 모차르트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의 대본에 맞춰 1771년 ''라 베툴리아 리베라타(KV 118)''를 작곡했다.[110] 아르투르 오네게는 르네 모락스의 대본에 맞춰 1925년 오라토리오 ''유딧''을 작곡했다.[110] 러시아 작곡가 알렉산더 세로프의 ''유딧'',[110] 오스트리아 작곡가 에밀 폰 레즈니첵의 ''홀로페르네스'',[110] 독일 작곡가 지크프리트 마투스의 ''유딧'' 등 오페라 작품도 존재한다.[110] 프랑스 작곡가 장 기유는 1970년 메조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유딧-심포니를 작곡했으며, 1972년 파리에서 초연되었고 쇼트-뮤직에서 출판했다.[110]

1840년, 프리드리히 헤벨의 연극 ''유딧''이 베를린에서 공연되었다.[110] 아브라함 골드파덴은 1892년 유딧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110] 미국의 극작가 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의 ''베툴리아의 유딧''은 1905년 뉴욕에서 처음 공연되었으며,[110] D. W. 그리피스 감독이 1914년에 제작한 ''베툴리아의 유딧''의 기초가 되었다.[110] 영국 작가 아놀드 베넷은 1919년 3막으로 구성된 ''유딧''을 발표했다.[111] 1981년, 이스라엘(히브리어) 극작가 모셰 샤미르의 연극 "나병 환자들 사이의 유딧"이 이스라엘에서 공연되었다.[110] 영국 극작가 하워드 바커는 유딧의 이야기와 그 여파를 그의 비네트 모음집인 ''가능성''의 일부인 장면 "애국적 행위의 예상치 못한 결과"에서 고찰했고,[110] 나중에 이 장면을 단편 연극 ''유딧''으로 확장했다.[110]

10. 한국의 관점에서의 유딧기

10. 1. 유딧과 한국 여성의 영웅성

10. 2. 이스라엘과 주변국 관계의 재조명

참조

[1]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2] 문서 See, for example, the [[s:Catholic Encyclopedia (1913)/Book of Judith|1913 ''Catholic Encyclopedia'' article]], which though committed to the historicity of the book, admits and lists "very serious difficulties."
[3] 웹사이트 THE ARGVMENT OF THE BOOKE OF IVDITH - 1610 Douay Rheims Bible http://philologic.no[...]
[4]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 Book of Judith https://www.jewishen[...]
[5] 웹사이트 Prologue to Judith by Jerome https://www.tertulli[...]
[6] 서적 The Anchor Bible - Judith: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by Carey A. Moo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ook of Judith https://www.newadven[...]
[8] 서적 Septuagint: Judith https://books.google[...]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2021-04-19
[9] 서적 The Sword of Judith. Judith Studies across the Disciplines http://www.openbookp[...] Open Book Publishers
[10] 간행물 Studies in the Greek Bible: Essays in Honor of Francis T. Gignac (Review) https://muse.jhu.edu[...]
[11] 문서 Senior, Donald & Collins, John J., ''The Catholic Study Bible: The New American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p. 222, [https://books.google.com/books?id=sBl0U5RgAFQC]
[12] 서적 The Sword of Judith: Judith Studies Across the Disciplines https://archive.org/[...] Open Book Publishers
[13] 문서 Flint, Peter & VanderKam, James,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Thei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Bible, Judaism, Jesus, and Christianity'', Continuum International, 2010, p. 160 (Protestant Canon) and p. 209 (Judith not among Dead Sea Scrolls), [https://books.google.com/books?id=SBMXnB4CRpUC]
[14] 문서 Sidnie White Crawford, ''The Book of Esther in Modern Research'', pp. 73–74 (T&T Clark Int'l 2003);
[15] 문서 Joel Lurie Grishaver (2001). ''Hanukkah: The Family Guide to Spiritual Celebration''. Jewish Lights Publishing.
[16] 문서 Noam Zion & Barbara Spectre (eds.). ''A Different Light: The Hanukkah Book of Celebration''. Devora Publishing. p. 241.
[17] 문서 Kevin R. Brine, et al., The Sword of Judith: Judith Studies Across the Disciplines, p. 30 (Open Book Publishers 2010).
[18] 문서 Zion & Spectre, at p. 241.
[19] 문서 R. Nosson Scherman, ''The Torah: With Ramban's Commentary Translated, Annotated, and Elucidated'', Vol. VII, p. 524 (Mesorah Pubs. 2008) #REDIRECT #REDIRECT
[20] 웹사이트 Letter to the Corinthians, chapter 55: Examples of Such Love - Pope St. Clement of Rome https://www.newadven[...]
[21] 웹사이트 On Monogamy - Tertullian https://www.newadven[...]
[22] 웹사이트 The Stromata Book II, chapter 7: The Utility of Fear. Objections Answered - Clement of Alexandria https://www.newadven[...]
[23] 문서 "[[Edmon L. Gallagher|Gallagher, Edmon Louis]], ''Hebrew Scripture in Patristic Biblical Theory: Canon, Language, Text'', Brill, 2012, pp. 25–26, [https://books.google.com/books?id=1_kn-zz6LzAC]"
[24] 문서 Eusebius Sophronius Hieronymus (Jerome), ''[http://www.ccel.org/ccel/schaff/npnf206.vii.iii.iv.html Preface to the Books of Samuel and Kings]'', translated by Philip Schaff
[25] 문서 Hartmann, Wilfried, ''The History of Byzantine and Eastern Canon Law to 1500'',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2, p. 95 [https://books.google.com/books?id=BwnCVYHf5VAC]
[26] 문서 Cyril of Jerusalem, ''[http://www.bible-researcher.com/cyril.html Catechetical Lectures, iv. 33–37]'', c. 350 AD, translated by Edward H. Gifford
[27] 문서 Epiphanius of Salamis, ''[http://www.bible-researcher.com/epiphanius.html Panarion viii. 6]'', c. 385 AD, Translated by Frank Williams
[28] 웹사이트 The Argvment of the Booke of Ivdith - 1610 Douay Rheims Bible http://philologic.no[...]
[29] 웹사이트 The Book of Saint Basil on the Spirit - Chapter VIII. https://www.ccel.org[...]
[30] 문서 Pope Innocent I, ''[http://www.bible-researcher.com/innocent.html Letter to Exsuperius, bishop of Toulouse]'', 405 AD
[31] 웹사이트 Philip Schaff: NPNF2-06. Jerome: The Principal Works of St. Jerome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32] 문서 "{{CathEncy|wstitle=Book of Judith}}: Canonicity: \"...the Synod of Nicaea is said to have accounted it as Sacred Scripture\" (Praef. in Lib.). It is true that no documents about the canon survive in the Canons of Nicaea, and it is uncertain whether St. Jerome is referring to the use made of the book in the discussions of the council, or whether he was misled by some spurious canons attributed to that council"
[33] 웹사이트 The First Ecumenical Council on the Book of Judith? https://www.catholic[...]
[34] 문서 Vanhoozer, Kevin J., ''Dictionary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aker Academic, 2005, p. 98 [https://books.google.com/books?id=I8UWJohMGUIC]
[35] 문서 Nigosian, S.A., ''From Ancient Writings to Sacred Texts: The Old Testament and Apocryph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4, p. 29, [https://books.google.com/books?id=8jQfScEtRWIC]
[36] 서적 The Book of Judith: Greek Text with an English Translation (Volume 7 of Jewish Apocryphal Literature) Brill Archive
[37] 웹사이트 Torah of Yeshuah: Book of Meqabyan I–III http://torahofyeshua[...]
[38] 서적 "Judith: Defender of Israel Preserver of the Temple" In A Pious Seductress: Studies in the Book of Judith Walter de Gruyter 2009
[39]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Apocrypha: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Oxford Univ. Press
[40] 간행물 Confraternity of Christian Doctrine, Inc. https://www.biblegat[...] 2022-11-02
[41] 웹사이트 Giuditta http://www.santiebea[...] 2009-02-05
[42] 문서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43] 간행물 Time and Times and Half a Tim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Jewish Literature of the Persian and Hellenistic Eras Sheffield Academic Press
[44] bibleverse Judith
[45] 웹사이트 Brenton's Septuagint Translation https://apocrypha.or[...]
[46] bibleverse Judith
[47] 웹사이트 Judith Cutting Off the Head of Holofernes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48] bibleverse Judith
[49] bibleverse Judith
[50] bibleverse Judith
[51] bibleverse Judith
[52] 웹사이트 Summa Theologiae by St. Thomas Aquinas http://summa-theolog[...] 2022-11-03
[53] bibleverse Judith
[54] 웹사이트 Judith 12: Notes & Commentary https://haydockcomme[...] 2022-10-31
[55] 웹사이트 Judith 8: Notes & Commentary https://haydockcomme[...] 2022-10-16
[56] 간행물 41. Judith https://b-ok.org/dl/[...] 2017-11-22
[57] bibleverse Judith
[58] 웹사이트 Judith and Esther - Catholic Answers https://www.catholic[...]
[59] 웹사이트 Babylon, Ishtar Gate - Livius.org https://www.livius.o[...]
[60]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 H.C. Hamilton, Esq., W. Falconer, M.A., Ed. https://www.perseus.[...]
[61] 웹사이트 Babylon -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https://www.biblical[...]
[62] 웹사이트 Babylon -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https://www.gtp.gr/L[...]
[63] 웹사이트 Book of Judith -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https://www.biblical[...]
[64] 서적 The Holy Bible: Translated from the Latin Vulgate ... : the Old Testament, First Published by the English College, at Douay, A.D. 1609, and the New Testament, First Published by the English College, at Rheims, A.D. 1582. With Annotations, References, Historical and Chronological Index, &c., the Whole Revised and Diligently Compared with the Latin Vulgate ... https://books.google[...] J. Duffy 1865
[65] 서적 A History of Israel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7-08-10
[66] 웹사이트 THE BOOKE OF IVDITH Chap. IIII - 1610 Douay Rheims Bible https://philologic.n[...]
[67] 간행물 The Role of Assyria in the Ancient Near East During the Reign of Manasseh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68] 문서 Study note on 2 Chronicles 33:11 Crossway
[69] 백과사전 Ashurbanipal https://www.britanni[...] 2014
[70] 웹사이트 Ashurbanipal,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2-13
[71] 웹사이트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3 (assyrian Empire)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1925-01-01
[72] 서적 Commentaire littéral sur tous les livres de l'ancien et du nouveau testament by Antoine Augustin Calmet, page 338 https://play.google.[...] Pierre Emery 1712-01-01
[73] 문서 Les Livres Saints et La Critique Rationaliste, iv, 4th ed.
[74] 웹사이트 Discours sur l'histoire universelle: Dessein général de l'ouvrage by Jacques Bénigne Bossuet, 1627 - 1704 https://books.google[...] 1840-01-01
[75] 웹사이트 ashurbanipal-king-of-memory/ https://www.ekathime[...] 2024-08-01
[76] 웹사이트 Douay-Rheims Bible, Book of Judith - Chapter 1 https://www.drbo.org[...]
[77] 웹사이트 Haydock Biblical Commentary, Book of Judith - Chapter 1 https://haydockcomme[...]
[78] 웹사이트 Ptolemy's Canon - Livius https://www.livius.o[...]
[79] 웹사이트 Saving Judith and Tobit by Jimmy Akin - Catholic Answers https://www.catholic[...]
[80] 서적 Artaxerxes III Ochus and His Reign Univ. of Chicago Press 1909-01-01
[81] 문서 'A Pious Seductress: Studies in the Book of Judith'
[82] 서적 The New Complete Works of Josephus Kregel Pubs. 1999-01-01
[83] 서적 The Good, the Bold, and the Beautiful: The Story of Susanna and Its Renaissance Interpretations T&T Clark Int'l 2006-01-01
[84] 문서 See Clanton, p. 41.
[85] 간행물 Bethulia
[8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Book of Judith https://www.newadven[...]
[87] 웹사이트 Theodosius de situ Terrae sanctae im ächten Text und der Breviarius de Hierosolyma vervollständigt https://archive.org/[...] Adolph Marcus 1882-01-01
[88] 웹사이트 Judith, Book of from the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https://www.biblical[...]
[89] 서적 Commentaire litteral sur tous les livres de l'ancien et du nouveau testament: Les deux livres d'Esdras, Tobie, Judith, et Esther. 7 https://play.google.[...] Pierre Emery 1712-01-01
[90] 웹사이트 Haydock Commentary Online: Judith 1 https://haydockcomme[...] 2022-10-08
[91] 문서 Judith 2:21
[92]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XII https://www.perseus.[...]
[93] 웹사이트 Belmaim - Meaning & Verses | Bible Encyclopedia https://www.biblestu[...]
[94] 웹사이트 Bible Map: Ibleam https://bibleatlas.o[...]
[95] 웹사이트 Esora https://archive.org/[...] 1901-01-01
[96] 웹사이트 Shalem from the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https://www.biblical[...]
[97] 문서 Judith 4:6
[98] 웹사이트 Plain of Esdraelon https://www.britanni[...] 2004-06-24
[99] 웹사이트 Judith 7:3 https://apocrypha.or[...]
[100] 웹사이트 Cyamon - BiblePortal Wikipedia https://wiki.biblepo[...]
[101]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THE BIBLE – CYAMON (JOKNEAM) https://www.biblegat[...] 2022-10-13
[102] 웹사이트 Mochmur, the Brook | 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https://bibleportal.[...]
[103] 웹사이트 Topical Bible: Chusi https://biblehub.com[...]
[104] 문서 Judith 15:4
[105]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 The Middle Ages W.W. Norton and Company 2012-01-01
[106]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in the Renaissance: Italy, France, and England https://archive.org/[...] Bloomsbury Publishing USA
[107] 서적 Judith : sexual warrior, women and power in Western culture Yale University Press 1998
[108] 웹사이트 Place Settings https://www.brooklyn[...] 2015-08-06
[109] 서적 The Age of Insight
[110] 문서
[111] 웹사이트 Judith http://www.gutenbe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