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메리카대왕오징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리카대왕오징어(Dosidicus gigas)는 동부 태평양에 서식하는 대형 두족류로, 훔볼트오징어, 점보 오징어 등으로도 불린다. 몸길이 최대 1.5m, 몸무게 50kg까지 성장하며, 칠레, 페루 연안에서 주로 발견된다. 분류학적으로는 1782년 처음 보고되었으며, 1857년 덴마크 동물학자 야페투스 스테엔스트루프에 의해 Dosidicus 속으로 분류되었다.

아메리카대왕오징어는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최대 24km/h의 속도로 헤엄칠 수 있다. 일주기 수직 이동을 하며, 체색을 빠르게 변화시켜 의사소통을 하거나 위장한다. 주로 작은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 등을 먹으며, 동족 포식도 한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 멕시코, 페루, 칠레 등에서 어획되며, 유럽과 아시아로 수출된다. 지깅 방식으로 어획되며,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나 오징어를 공격하기도 하여 어부들 사이에서는 붉은 악마(diablos rojos)로 불리기도 한다. 식용으로도 사용되며, 해양 산성화로 인해 신진대사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5년 기재된 동물 - 박쥐불가사리
    박쥐불가사리는 불가사리강에 속하는 해양 생물로, 시각 센서를 이용하여 먹이를 찾고 산란을 통해 번식하며, 해양 생태계에서 유기물 분해 역할을 수행하고 에키노베이스를 통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1835년 기재된 동물 - 흰발농게
    흰발농게는 갑각의 무늬와 수컷의 큰 집게발 색깔에 개체 차이가 있으며, 한반도 남부 연안 등지에 분포하고 서식지 감소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아메리카대왕오징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훔볼트 오징어
ROV 티뷰론 주변을 헤엄치는 훔볼트 오징어 (아마도 불빛에 이끌린 듯)
학명Dosidicus gigas
명명자d'Orbigny, 1835년
이명Ommastrephes gigas (d'Orbigny, 1835)
Ommastrephes giganteus (Gray, 1849)
Dosidicus eschrichti (Steenstrup, 1857)
Dosidicus steenstrupi (Pfeffer, 1884)
영명훔볼트 오징어 (Humboldt squid)
일본어명아메리카오오아카이카 (アメリカオオアカイカ)
보존 상태자료 부족 (DD)
분포플라이오세 - 현재
생태
크기약 1.5m
서식 깊이200 ~ 700m
기타
특징몸 색깔을 빠르게 변화시킴

2. 분류

1782년 칠레의 사제이자 박식가인 후안 이그나시오 몰리나가 아메리카대왕오징어의 존재를 과학계에 처음 보고했으며, 처음에는 갑오징어 속인 ''Sepia tunicata''로 명명했다. 1835년 프랑스 박물학자 알시드 도르비니는 ''Loligo gigas''로 변경했다. 이후 칠레에서 또 다른 프랑스 박물학자인 클로드 게이가 몇몇 표본을 파리 국립 자연사 박물관에 보냈고, 그곳에서 이 종이 ''Loligo'' 속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857년 덴마크 동물학자 야페투스 스테엔스트루프는 이 종을 위한 새로운 속인 ''Dosidicus''를 제안했다.[7]

1912년 독일 동물학자 게오르그 페퍼는 ''D. eschrichtii''를 ''D. gigas''와 동의어로 만들었다.[7][8]

화석 종 ''Dosidicus lomita''는 캘리포니아의 플라이오세 로미타 마르에서 발견된 평형석을 통해 대표되며, 이 속의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9]

3. 명칭

영어로는 점보 오징어(jumbo squid), 점보 플라잉 오징어(jumbo flying squid), 훔볼트 오징어(Humboldt squid) 등으로 불리며, 특히 훔볼트 오징어라는 이름이 자연사 관련 자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10] 훔볼트라는 이름은 이 종이 처음 수집된 훔볼트 해류에서 유래되었다.[11]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이 종을 일반적으로 '''칼라마르 히간테(calamar gigante)'''라고 부른다.[12][13] 칠레에서는 '''히비아(jibia)'''[14], 페루에서는 '''포타(pota)'''[15]라는 지역 이름으로 불린다.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의 지역 어부들은 이들이 잡힐 때 붉은색과 흰색으로 빠르게 변하는 특징 때문에 '''디아블로 로호(diablo rojo)'''('붉은 악마'라는 뜻)라는 별명을 붙였다.[16]

4. 특징

아메리카대왕오징어는 몸길이 1.5m, 몸무게 최대 50kg까지 자라는 대형 종이다.[8][17][18] 성적 이형성을 보여,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큰 크기로 성숙한다.[19] 외투막(몸통)은 질량의 약 56–62%를 차지하며, 팔과 촉수는 11–15%, 머리는 10–13% 정도를 차지한다.[20]

사이펀을 통해 물을 분출하고 두 개의 삼각형 지느러미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다.[21] 두 개의 긴 촉수는 탄성이 있어 먹이를 잡기 위해 매우 빠른 속도로 뻗을 수 있다. 촉수에는 날카로운 갈고리 모양의 흡반이 달려 있어 먹이를 단단히 잡을 수 있다.[21] 크고 날카로운 부리를 가지고 있어 먹이를 찢고 자르는 데 사용한다.[21] 팔에는 100-200개의 작은 흡반이 있으며, 촉수에는 4열로 큰 흡반이 늘어서 있고, 그 각질환에는 8-25개의 이빨이 있다.[66]

산타바바라에 좌초된 개체

5. 행동

캘리포니아 해안 깊이에서 촬영된 훔볼트오징어


아메리카대왕오징어는 최대 1,200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육식성 무척추동물이다. 최대 24km/h의 속도로 헤엄칠 수 있다.[22]

전자 태깅 연구에 따르면 일주기 수직 이동을 하며, 해 질 녘부터 동이 틀 때까지 수면 가까이 이동한다.[23] 수명은 보통 1년 정도이지만, 큰 개체는 최대 2년까지 생존할 수 있다.[8]

크리터캠을 통해 아메리카대왕오징어가 두 가지 색상 생성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 다른 오징어가 있을 때, 몸 전체가 빨간색과 흰색 사이에서 2~4 Hz로 깜빡이며 종내 신호 전달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몸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는 빨간색과 흰색 파동의 느린 "깜박임"은 위장의 동적 유형으로, 오징어가 제어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색상 생성 모드는 다른 오징어 종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기능적으로 유사한 행동을 보인다.[24][25]

6. 분포

훔볼트오징어는 동부 태평양의 200m에서 700m 깊이(특히 칠레페루)에서 서식하며, 티에라델푸에고에서 북쪽으로 캘리포니아까지 분포한다. 최근에는 더 북쪽인 브리티시컬럼비아까지 나타나고 있으며,[11] 퓨젯 사운드에도 진출했다.[26]

보통 깊은 물을 선호하지만, 2004년 말에는 1,000~1,500마리의 오징어가 워싱턴주 남서부의 롱비치 반도에 밀려왔고,[27] 2012년 말에는 몬터레이만에서 2개월에 걸쳐 평균 길이 약 0.46m의 어린 오징어들이 해변으로 밀려왔는데, 유해 조류가 원인으로 추정되었다.[28]

훔볼트 오징어는 일반적으로 멕시코 해안의 따뜻한 태평양 해역에서 발견되지만, 2000년대 초반 연구에 따르면 북쪽으로 이동이 증가했다. 1997-1998 엘니뇨 현상 때 몬터레이 만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2002년 소규모 엘니뇨 현상 때도 몬터레이 만으로 더 많은 개체가 돌아왔으며, 그 이후로 일 년 내내 그곳에서 관찰되고 있다. 워싱턴, 오리건, 심지어 알래스카 해안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지만, 이 지역에는 훔볼트 오징어의 연중 서식 개체군은 없다. 이러한 이동 변화는 엘니뇨 현상 동안의 수온 상승 때문으로 추정되지만, 오징어와 먹이를 놓고 경쟁하는 상위 영양 단계 포식자의 감소와 같은 다른 요인들도 이동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59]

2017년 중국 연구에 따르면 ''D. gigas''는 페루 해안의 엘니뇨 현상에 영향을 받는다. 엘니뇨 현상 동안 오징어 개체군은 덜 뭉쳐 더 분산되며, 따뜻한 엘니뇨 현상과 높은 수온에서는 페루 해안이 ''D. gigas''에게 덜 유리한 환경이었다.

7. 생태

훔볼트오징어는 주로 작은 물고기(초롱멸과 등), 갑각류, 두족류, 요각류를 먹는다.[31] 갈고리가 달린 촉수 흡반으로 먹이를 잡고, 부리와 치설로 먹이의 살점을 베고 찢는다. 원뿔 모양으로 10개의 부속지를 모두 앞으로 뻗은 채로 먹이에 빠르게 접근하여 공격한다. 오징어의 각 흡반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둘러싸여 있으며, 부리는 살점을 찢을 수 있다.[21]

동족포식을 하는 경향이 있어, 무리 안에서 부상당하거나 취약한 오징어를 공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32] 칠레 해안에서 잡힌 오징어의 위 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동족포식이 가장 중요한 식량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19] 2007년과 2011년 사이에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협력적인 사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암컷은 젤라틴 덩어리 형태의 알 덩어리를 낳는데, 알 덩어리의 크기는 암컷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알 덩어리에는 5,000개에서 410만 개의 알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37]

전자 태그를 통해 일주기 수직 이동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낮에는 수심 200-700m에 있지만 밤에는 100m 이내로 올라온다. 달의 영향을 받아 보름달 시기에는 깊은 곳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낮은 산소 농도에 견딜 수 있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고 추정된다.[71]

색소포를 사용하여 몸 색깔을 짙은 적자색에서 흰색까지 빠르게 바꿀 수 있으며, 몸 전체의 색을 바꾸는 데 0.1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는 개체 간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73]

8. 인간과의 관계

아메리카대왕오징어는 섬광 등에 자극을 받으면 사람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5][76] 낚시에 걸린 물고기나 다른 오징어(동종 개체 포함)를 공격하기도 하며, 낚시로 잡혔을 때 격렬하게 색깔을 바꾸며 날뛰는 모습 때문에 멕시코 어부들은 이들을 ''diablos rojos'' (diablos rojos|붉은 악마es)라고 부른다.[78] 대왕오징어 등 다른 대형 오징어와는 달리 암모니아를 축적하지 않아 식용으로 이용된다.

8. 1. 어업

아메리카대왕오징어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아일랜드 등 유럽과 러시아,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소비되며, 최근에는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시장으로도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39] 2019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오징어로, 전체 오징어 어획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아메리카대왕오징어를 잡는 주요 방법은 지깅으로,[13][19] 이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비교적 새로운 어업 방식이다.[40] 어부들은 낚시질이나 기계식 지거를 사용하여 낚싯줄을 위아래로 흔들어 먹이를 흉내 내는 방식으로 오징어를 잡는다.[13][41][42] 밤에 밝은 조명을 사용하여 플랑크톤과 함께 오징어를 유인하며, 오징어는 배의 선체 아래 그림자에서 지그를 치는 것을 선호한다.[40][41] 낚싯줄은 램프의 강도에 따라 수심 10~100m 사이에서 매달린다.[41][42]

지그는 스페인어로 ''포테라스''(poteras)라고 불리며, 베이클라이트 및/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13] 지그의 몸체는 보통 인광체이며,[13] 야광 미끼가 부착될 수 있다.[42]

1990년대 이후 주요 어획 지역은 칠레, 멕시코, 페루이다.[19] 2009년 멕시코에서는 이 종이 전체 오징어 어획량의 95%를 차지했으며, 그 중 88%가 소노라와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 해안에서 잡혔다.[12]

집어등을 사용하여 밤에 상업적으로 어획되며, 멕시코, 페루, 칠레가 주요 어장이다. 유럽과 아시아로 수출되지만, 북미와 남미에서의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다. 멕시코 어부들은 낚시로 잡힌 아메리카대왕오징어가 격렬하게 색깔을 바꾸며 날뛰는 모습 때문에 ''diablos rojos''(붉은 악마)라고 부른다.[78]

8. 2. 식용

아메리카대왕오징어의 살은 염화 암모늄으로 가득 차 있어 바닷물 속에서 중성 부력을 유지하는데, 이 때문에 신선한 오징어는 불쾌하게 짠맛, 신맛, 쓴맛이 난다. 냉동 오징어 시장에서 오징어의 맛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갓 잡은 훔볼트 오징어는 기계적으로 부드럽게 만든 다음, 1%의 젖산과 구연산 혼합물을 넣은 얼음물에 3시간 동안 담가 상업적으로 가공한다. 그런 다음 세척한 후, 6% 소금물 용액에 3시간 동안 다시 담근다. 가정 요리사가 불쾌한 맛을 중화하는 방법도 있다.[14]

다른 종류의 해산물과 비교했을 때, 훔볼트 오징어는 태평양 남미에서 저렴하며, 2010년대 초 페루에서는 킬로그램당 약 0.3달러, 칠레에서는 약 2USD에 판매되었다.[14][15]

미국에서 판매되는 굽기 전의 오징어 스테이크


칠레에서는 오징어를 ''추페''와 ''파이라 마리나''로 요리해 먹는다.[14] 페루에서는 1990년대에 이 고기가 유통되면서 리마의 빈곤층에서 저렴한 오징어로 ''세비체''를 만들어 먹는 관행이 시작되었고, 이후 쿠스코로 확산되었다. 이는 길거리 음식 카트뿐만 아니라 이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레스토랑인 ''세비체리아''에서도 판매된다.[15] 미국에서는 '오징어 스테이크'로 만들어진다.

8. 3. 인간에 대한 공격성

아메리카대왕오징어는 어부와 잠수부를 공격했다는 일화가 있지만,[43] 이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멕시코 해안의 어부들은 이 오징어가 낚싯줄에 걸려 몸부림칠 때 빨간색과 흰색으로 변하는 모습 때문에 "디아블로스 로호스"(diablos rojos|붉은 악마es)라는 별명을 붙였다.[16]

일부 연구에서는 아메리카대왕오징어가 먹이를 먹을 때만 공격적이며, 그 외에는 수동적이라고 주장한다.[32] 베테랑 스쿠버 다이버이자 아마추어 수중 비디오 촬영가인 로저 우준은 20분 동안 훔볼트 오징어 떼와 함께 수영했는데, 이들이 공격적이기보다는 호기심이 더 많아 보였다고 말했다.[44] 과학자들은 인간에 대한 공격은 반사되는 잠수 장비나 섬광이 자극으로 작용했을 때만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먹이를 먹거나 사냥당하는 상황이 아닐 때, 이들은 호기심 많고 지능적인 행동을 보인다.[45]

최근 영상에서는 아메리카대왕오징어 떼가 낯선 물체에 공격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들은 먹이를 먹기 위해 표면 아래 130m에서 200m 깊이까지 상승하는데(평소 잠수 깊이인 700m보다 얕아져 인간의 잠수 범위를 벗어남), 심해 카메라를 공격하여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들기도 했다. 또한 잠수정의 불빛에 마주쳤을 때 떼를 지어 행동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빛을 따라가거나 빛에 이끌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메리카대왕오징어에 의한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다이버 공격 사례도 확인되었다.[46][47]

미국 어류 위원회 보고서의 ''D. gigas'' 이미지


섬광 등으로 자극하면 사람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무해하다.[75][76]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나 오징어(동종 개체 포함)를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7] 낚시로 잡히면 격렬하게 색깔을 바꾸며 날뛰기 때문에, 멕시코 어부들은 ''diablos rojos''(diablos rojos|붉은 악마es)라고 부른다.[78]

8. 4. 보존

2008년 연구에 따르면 해양 산성화로 인해 21세기 말까지 아메리카대왕오징어의 신진대사율이 31%, 활동 수준이 4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더 많은 부분이 산소 최소 구역에 속하게 되면서 오징어가 더 깊고 차가운 물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53]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오징어 신진대사가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경험적, 이론적 증거를 제시했다.[54]

8. 5. 대중 매체

스티븐 프라이와 마크 카워딘이 함께 출연한 2009년 BBC의 ''마지막 기회 보기'' 마지막 에피소드에 훔볼트오징어가 등장했다. 이 에피소드는 흰긴수염고래에 관한 것이었지만, 진행자들은 코르테스 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디아블로 로호'' 개체군과 인간에 대한 공격에 대해 이야기하는 어부들을 인터뷰하고, 방어적으로 옷을 입은 팔뚝을 물려고 시도하는 오징어를 보여주었다.

2016년에는 다양한 텔레비전 쇼에 이 오징어가 등장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와일드 채널의 ''인간을 잡아먹는 슈퍼 오징어: 괴물 침공''은 멕시코에서 훔볼트오징어의 다양한 공격을 탐구했다. 이 쇼에서 오징어는 실제 크라켄으로, 그리고 "글로벌 위협"으로 언급된다.[55] ''리버 몬스터: 심해의 악마''에서는 쇼 진행자 제레미 웨이드가 코르테스 해에서 오징어에게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어부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페루 해안에서 이 동물을 잡았다.[56] 영국 ''피싱 임파서블''에서 갑옷을 입은 다이버들이 태평양에서 손으로 훔볼트오징어를 잡을 계획을 세웠지만, 악천후로 인해 그렇게 하지 못했다.[57] BBC Earth의 ''블루 플래닛 II''에서는 오징어의 식인적인 무리 사냥이 처음으로 촬영되었다.[58]

참조

[1] 웹사이트 Statoliths of Cenozoic teuthoid cephalopods from North America {{!}} The Palaeontological Association https://www.palass.o[...] 2023-10-09
[2] 간행물 "''Dosidicus gigas''" 2014
[3] 웹사이트 "''Dosidicus gigas'' (d'Orbigny [in 1834–1847], 1835)" http://www.marinespe[...] Flanders Marine Institute 2016
[4] 웹사이트 Humboldt squid in California http://gilly.stanfor[...] 2007
[5] 논문 Impacts of a shift to a warm-water regime in the Gulf of California on jumbo squid (Dosidicus gigas) 2019-07-18
[6] 뉴스 Jumbo squid mystery solved https://www.eurekale[...] 2019-07-18
[7] 논문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e jumbo squid ''Dosidicus gigas'' (Cephalopoda) in Chilean waters: a review https://scielo.conic[...] 2015-07-01
[8] 논문 A review of the biology of the jumbo squid ''Dosidicus gigas'' (Cephalopoda: Ommastrephidae)
[9] 웹사이트 Statoliths of Cenozoic teuthoid cephalopods from North America {{!}} The Palaeontological Association https://www.palass.o[...] 2023-10-09
[10] 문서 see totality of [[Humboldt squid#References|references]]
[11] 논문 Invasive range expansion by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12] 보고서 Anuario estadístico de pesca (2009) http://www.conapesca[...] SAGARPA, México 2009
[13] 보고서 Características Técnicas de las Poteras Utilizadas para el Calamar Gigante 'Dosidicus gigas' en el Mar Peruano https://www.academia[...] Instituto del Mar de Perú (IMARPE)
[14] 웹사이트 Eating Jibia: Chilean Humbolt Squid https://eatingchile.[...] Jim Stuart 2010-04-22
[15] 웹사이트 Food Cart Squid Ceviche; Good, Tasty, and Cheap http://cuzcoeats.com[...] 2014-02-16
[16] 웹사이트 Scientists See Squid Attack Squid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08-06-13
[17] 논문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Orbigny, 1835) history of the Berlin specimen, with a reappraisal of other (bathy-)pelagic gigantic cephalopods (Mollusca, Ommastrephidae, Architeuthidae)
[18] 서적 Cephalopods: A World Guide ConchBooks
[19] 논문 Fishery biology of the jumbo flying squid ''Dosidicus gigas'' of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f Chilean waters http://scientiamarin[...]
[20] 논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гигантского кальмара дозидикуса (''Dosidicus gigas'') и его рационально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http://cyberleninka.[...] 2012-07-17
[21] 간행물 The Curious Case of the Cannibal Squid http://www.nwf.org/N[...]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2004-12-01
[22] 웹사이트 Jumbo/Humboldt Squid ~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https://www.marinebi[...] 2023-11-18
[23] 논문 Vertical and horizontal migrations by the jumbo squid ''Dosidicus gigas'' revealed by electronic tagging http://ic.ucsc.edu/~[...]
[24] 간행물 Watch Jumbo squid speak by 'flashing' each other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5-01-21
[25] 논문 Chromogenic behaviour of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studied ''in situ'' with an animal-borne video package https://jeb.biologis[...] 2015
[26] 뉴스 Giant squid caught in West Seattle http://www.king5.com[...] 2009-08-15
[27] 뉴스 Aggressive eating machines spotted on our coast (2008) http://www.thenewstr[...] The News Tribune 2008-04-27
[28] 웹사이트 Jumbo Flying Squid Pile Up On Calif. Beach https://abcnews.go.c[...] 2012-12-11
[29] 웹사이트 Humboldt squid Found in Pebble Beach (2003) http://www.sanctuary[...] Sanctuary Integrated Monitoring Network
[30]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spatially clustered distribution of jumbo flying squid (''Dosidicus gigas'') offshore Peru 2017-05-10
[31] 웹사이트 Dosidicus gigas https://animaldivers[...]
[32] 서적 Life. Extraordinary Animals, Extreme Behaviour
[33] 간행물 Squid Sensitivity http://discovermagaz[...] 2003
[34] 서적 Cephalopod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Coordinated Hunting in Red Devils http://deepseanews.c[...] Deep Sea News 2012-06-05
[36] 논문 Natural egg mass deposition by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in the Gulf of California and characteristics of hatchlings and paralarvae 2008
[37] 논문 Observations of multiple pelagic egg masses from small-sized jumbo squid (''Dosidicus gigas'') in the Gulf of California https://zenodo.org/r[...] 2017
[38]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39] 논문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 Low-Molecular-Mass Fraction with Cryoprotectant Activity from Jumbo Squid (''Dosidicus gigas'') Mantle Muscle 2019-03
[40] 서적 Squid as experimental animal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0
[41] 서적 Handlining and squid jigging. FAO training series, No. 23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92
[42] 웹사이트 Squid "jigging" brings elusive cephalopods up from Sea of Cortez https://blogs.scient[...] Springer Nature 2010-05-12
[43] 뉴스 Warning lights of the sea http://articles.lati[...] 2007-03-26
[44] 뉴스 Jumbo squid invade San Diego shores, spook divers http://www.csmonitor[...] Associated Press 2009-07-17
[45] 웹사이트 It's Hard Out Here for a Shrimp http://outside.away.[...] Outside Online 2010-12-02
[46] 뉴스 Video: Giant squid attacks diver http://www2.nbc13.co[...] 2.nbc13.com 2009-07-17
[47] 웹사이트 Humboldt or Jumbo Squid Fact Sheet http://nationalzoo.s[...] Smithsonian National Zoological Park
[48] 웹사이트 Montemar y los Laberintos de la Memoria https://smach.cl/mon[...] 2021-11-02
[49] 논문 Incorporation of Amino-Acids labelled with Carbon-14 in Nerve Proteins during Activity and Recovery https://www.nature.c[...] 1960
[50] 논문 Micro-injection of Trypsin into Axons of Squid https://www.nature.c[...] 1963
[51] 논문 Intracellular Perfusion of Chilean Giant Squid Axons https://www.science.[...] 1964
[52] 논문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Chilean Squid Axons under Internal Perfusion with Sodium-Rich Media https://www.science.[...] 1965
[53] 논문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related variables suggest future physiological impairment in a top oceanic predator
[54] 논문 Ocean acidification does not limit squid metabolism via blood oxygen supply 2018
[55] 웹사이트 Man Eating Super Squid: A Monster Invasion https://www.pinkink.[...] 2016-03-29
[56] 웹사이트 River Monsters: Monster Sized Special https://www.pinkink.[...] 2016-05-27
[57] 웹사이트 Fishing Impossible, Series 1 Episode 3 http://www.itv.com/h[...]
[58] 뉴스 Blue Planet II: giant cannibalistic squid filmed hunting in packs for first time https://www.telegrap[...] 2017-11-03
[59] 웹사이트 The new squids in town | Kate Wing's Blog | Switchboard http://switchboard.n[...] National Resources Defense Council 2007-07-31
[60] 웹사이트 Humboldt squid Found in Pebble Beach (2003) http://www.sanctuary[...] Sanctuary Integrated Monitoring Network 2011-10-25
[61] 간행물 Invasive range expansion by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http://www.pnas.org/[...] 2007
[62] 뉴스 Aggressive eating machines spotted on our coast (2008) http://www.thenewstr[...] The News Tribune 2008-04-27
[63] 뉴스 Giant squid caught in West Seattle http://www.king5.com[...] 2009-08-15
[64] 논문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related variables suggest future physiological impairment in a top oceanic predator. http://www.pnas.org/[...] 2008
[65] 간행물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Orbigny, 1835): History of the Berlin specimen, with a reappraisal of other (bathy-)pelagic gigantic cephalopods (Mollusca, Ommastrephidae, Architeuthidae). 2004
[66] 웹사이트 http://www.zen-ika.c[...]
[67] 서적 Cephalopod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68] 간행물 The Curious Case of the Cannibal squid http://www.nwf.org/n[...] 2005-12/01
[69] 간행물 Squid Sensitivity http://discovermagaz[...] 2003-04
[70] 웹사이트 It's Hard Out Here for a Shrimp http://outside.away.[...] Outside Online 2010-12-02
[71] 간행물 Vertical and horizontal migrations by the jumbo squid Dosidicus gigas revealed by electronic tagging. http://ic.ucsc.edu/~[...]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006
[72] 논문 A review of the biology of the jumbo squid Dosidicus gigas (Cephalopoda: Ommastrephidae). Fisheries Research 2001
[73] 웹사이트 Humboldt Squid http://www.squid-wor[...] Squid-world.com 2011-10-25
[74] 간행물 Behavior ecology of the Humboldt squid, Dosidicus gigas: insights from an animal-borne video and data logging system http://aquaticcommon[...] 2011
[75] 웹사이트 Warning lights of the sea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2011-10-25
[76] 뉴스 Jumbo squid invade San Diego shores, spook divers http://www.csmonitor[...] Associated Press 2009-07-17
[77] 웹사이트 The Curious Case of the Cannibal Squid http://www.nwf.org/N[...]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2011-10-25
[78] 웹사이트 Scientists See Squid Attack Squid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