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는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를 케톤기와 교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아스파르트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등이 있으며, 피리독살 인산을 조효소로 사용한다. 이러한 효소는 아미노산 대사, 특히 동물의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액 내 농도 측정을 통해 간 및 심장 손상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 데 활용된다. 식물에서도 아미노산 합성에 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2.6.1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전이효소(AST)는 L-아스파르트산과 α-케토글루타르산의 상호 전환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피리독살 인산을 보조 인자로 사용하며, 사람에게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동질효소가 존재하고, 임상적으로 간 기능 및 심근 경색 진단에 활용된다. - EC 2.6.1 - 가지사슬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가지사슬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BCAT)는 L-아미노산의 α-아미노기를 α-케토산으로 전달하는 반응을 촉매하며, BCAA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
---|
2. 기능 및 메커니즘
아스파르트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aspartate aminotransferase)는 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과 알파-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ate)을 글루탐산과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이다. 옥살아세트산은 포도당신생합성, 시트르산 회로, 지방산 합성에서의 지방산 대사, 요소 회로, 글리옥실산 회로, 아미노산 합성 등에 관여한다.
라이신과 피리독살 인산이 결합하는 반응에서 피리독살 인산의 시프 염기는 전자 이동을 조절하여 아미노기를 가져올 수 있다.
아미노산은 아미노기(NH2)를 포함하고 있다. 케토산은 케톤(=O)기를 포함하고 있다. 전이 아민화 반응에서 한 분자의 NH2기는 다른 분자의 =O기와 교환된다. 아미노산은 케토산이 되고, 케토산은 아미노산이 된다.
전이 아미나제는 조효소 피리독살 인산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아미노산이 케토산으로 전환될 때 첫 번째 반쪽 반응에서 피리독사민으로 전환된다. 효소 결합된 피리독사민은 차례로 피루브산, 옥살로아세트산, 또는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반응하여 각각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을 생성한다. 많은 전이 아민화 반응은 조직에서 발생하며, 특정 아미노산/케토산 쌍에 특이적인 전이 아미나제에 의해 촉매된다. 반응은 쉽게 가역적이며, 반응물의 과잉에 따라 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가역성은 귀중한 키랄 아민의 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합성 화학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특정 효소는 반응물 쌍 중 하나에서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예를 들어, 글루탐산과 피루브산 사이의 반응으로 알파 케토글루타르산과 알라닌을 만드는 반응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라고 불리며, 원래는 글루탐산-피루브산 전이효소 또는 GPT라고 불렸다.[1]
조직 전이 아미나제 활성은 다양한 아미노산/케토산 쌍을 사용하여 호모제네이트를 배양하여 조사할 수 있다. 전이 아민화 반응은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된 바와 같이, 해당 새로운 아미노산과 케토산이 형성되는 경우 입증된다. 가역성은 시작 반응물로 상보적인 케토/아미노산 쌍을 사용하여 입증된다. 크로마토그램이 용매에서 꺼내진 후, 크로마토그램은 반점을 찾기 위해 닌히드린으로 처리된다.[2]
2. 1. 반응 메커니즘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는 아미노산의 아미노기(-NH2)를 케토산의 케톤기(=O)와 교환하는 전이 아민화 반응을 촉매한다. 이 반응은 가역적이며, 반응물의 농도에 따라 방향이 결정된다.[1]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는 조효소인 피리독살 인산을 필요로 한다. 첫 번째 반쪽 반응에서 아미노산이 케토산으로 전환될 때 피리독살 인산은 피리독사민으로 전환된다. 이후 효소에 결합된 피리독사민은 피루브산, 옥살로아세트산, 또는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반응하여 각각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을 생성한다.[1] 아스파르트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aspartate aminotransferase)는 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과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을 글루탐산과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이다. 옥살아세트산은 포도당신생합성, 시트르산 회로, 지방산 합성에서의 지방산 대사, 요소 회로, 글리옥실산 회로, 아미노산 합성 등에 관여한다.
이러한 전이 아민화 반응은 특정 아미노산/케토산 쌍에 특이적인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촉매되며, 조직에서 다양한 형태로 일어난다. 예를 들어, 글루탐산과 피루브산 사이의 반응으로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알라닌을 생성하는 반응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GPT)라고 불린다.[1]
조직의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활성은 다양한 아미노산/케토산 쌍을 사용하여 호모제네이트를 배양하여 조사할 수 있다. 전이 아민화 반응은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새로운 아미노산과 케토산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여 입증할 수 있으며, 닌히드린으로 처리하여 반점을 확인한다.[2]
2. 2. 주요 아미노기전이효소
아스파르트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는 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과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을 글루탐산과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이다. 옥살아세트산은 포도당신생합성, 시트르산 회로, 지방산 합성에서의 지방산 대사, 요소 회로, 글리옥실산 회로, 아미노산 합성 등에 관여한다.[1]아미노산은 아미노기를, 케토산은 케톤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이 아민화 반응에서 한 분자의 아미노기는 다른 분자의 케톤기와 교환된다. 이 과정을 통해 아미노산은 케토산이 되고, 케토산은 아미노산이 된다.
전이 아미나제는 조효소 피리독살 인산을 필요로 하며, 이는 아미노산이 케토산으로 전환될 때 첫 번째 반쪽 반응에서 피리독사민으로 전환된다. 효소 결합된 피리독사민은 피루브산, 옥살아세트산,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반응하여 각각 알라닌, 아스파트산, 글루탐산을 생성한다.[1] 많은 전이 아민화 반응은 조직에서 발생하며, 특정 아미노산/케토산 쌍에 특이적인 전이 아미나제에 의해 촉매된다. 반응은 쉽게 가역적이며, 반응물의 과잉에 따라 방향이 결정된다.[1] 이러한 가역성은 귀중한 키랄 아민의 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합성 화학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글루탐산과 피루브산 사이의 반응으로 알파 케토글루타르산과 알라닌을 만드는 반응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라고 불리며, 원래는 글루탐산-피루브산 전이효소(GPT)라고 불렸다.[1]
조직 전이 아미나제 활성은 다양한 아미노산/케토산 쌍을 사용하여 호모제네이트를 배양하여 조사할 수 있다. 전이 아민화 반응은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된 바와 같이, 해당 새로운 아미노산과 케토산이 형성되는 경우 입증된다. 가역성은 시작 반응물로 상보적인 케토/아미노산 쌍을 사용하여 입증된다. 크로마토그램은 용매에서 꺼내진 후, 닌히드린으로 처리하여 반점을 찾는다.[2]
3. 동물의 아미노산 대사
동물은 혈당이 낮을 때 근육 조직을 희생하여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대사해야 한다. 간 트랜스아미나제의 옥살아세트산 또는 알파-케토글루타르산 선호도는 아미노산 대사에서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으로 질소를 유입하여 질소 배설을 위한 요소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유사하게 근육에서는 피루브산을 트랜스아미네이션에 사용하여 알라닌을 생성하며, 알라닌은 혈류를 통해 간으로 운반된다(전체 반응을 ''포도당-알라닌 회로''라고 한다). 여기서 다른 트랜스아미나제는 피루브산을 재생성하며, 피루브산은 포도당신생합성의 귀중한 전구체를 제공한다. 이 알라닌 회로는 코리 회로와 유사하며, 근육의 무산소성 대사를 가능하게 한다.
3. 1. 포도당-알라닌 회로
동물은 혈당이 낮을 때 근육 조직을 희생하여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대사해야 한다. 간 트랜스아미나제의 옥살아세트산 또는 알파-케토글루타르산 선호도는 아미노산 대사에서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으로 질소를 유입하여 질소 배설을 위한 요소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유사하게 근육에서는 피루브산을 트랜스아미네이션에 사용하여 알라닌을 생성하며, 알라닌은 혈류를 통해 간으로 운반된다(전체 반응을 ''포도당-알라닌 회로''라고 한다). 여기서 다른 트랜스아미나제는 피루브산을 재생성하며, 피루브산은 포도당신생합성의 귀중한 전구체를 제공한다. 이 알라닌 회로는 코리 회로와 유사하며, 근육의 무산소성 대사를 가능하게 한다.4. 진단적 의의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효소는 다양한 아미노산 생산에 중요하며, 혈액 내 다양한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농도 측정은 많은 질병의 진단 및 추적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승된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의 존재는 간 및 심장 손상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두 가지 중요한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효소는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이다. 이 효소들은 1954년에 발견되었으며[1][3][4], 1955년에 임상적 중요성이 기술되었다.[5][6][7][8]
간은 아미노산 합성 및 분해, 에너지 저장 분자 상호 변환을 위해 다양한 트랜스아미나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효소들의 혈청 농도는 정상 시에는 낮다. 그러나 간 손상 시 간세포 막 투과성이 항진되어 혈류로 새어 나온다.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두 종류의 트랜스아미나제는 ALT와 AST이며, 과거에는 각각 혈청 글루탐산-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SGPT) 및 혈청 글루탐산-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SGOT)라고 불렸다. 이들의 농도 증가는 간 손상에 매우 민감하다. ALT는 간 이외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AST도 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검출되지만, 심근 및 골격근에서도 상당량이 검출된다.
간에 대한 미세한 손상에도 트랜스아미나제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상승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신체 소견 청취, 영상 진단 및 기타 검사 결과를 조합할 필요가 있다. 매우 높은 트랜스아미나제 농도는 바이러스성 간염, 허혈성 간부전, 약물이나 독소에 의한 간 손상과 같은 중대한 간 손상을 시사한다. 많은 병적 과정에서 ALT는 AST보다 높게 상승하고, 알코올성 간 질환의 경우에는 AST가 ALT의 2–3배로 상승한다.
4. 1. 간 기능 검사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효소는 다양한 아미노산 생산에 중요하며, 혈액 내 다양한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농도 측정은 많은 질병의 진단 및 추적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승된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의 존재는 간 및 심장 손상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두 가지 중요한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효소는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이다. 이 효소들은 1954년에 발견되었으며[1][3][4], 1955년에 임상적 중요성이 기술되었다.[5][6][7][8]간은 아미노산 합성 및 분해, 에너지 저장 분자 상호 변환을 위해 다양한 트랜스아미나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효소들의 혈청 농도는 정상 시에는 낮다. 그러나 간 손상 시 간세포 막 투과성이 항진되어 혈류로 새어 나온다.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두 종류의 트랜스아미나제는 ALT와 AST이며, 과거에는 각각 혈청 글루탐산-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SGPT) 및 혈청 글루탐산-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SGOT)라고 불렸다. 이들의 농도 증가는 간 손상에 매우 민감하다. ALT는 간 이외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AST도 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검출되지만, 심근 및 골격근에서도 상당량이 검출된다.
간에 대한 미세한 손상에도 트랜스아미나제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상승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신체 소견 청취, 영상 진단 및 기타 검사 결과를 조합할 필요가 있다. 매우 높은 트랜스아미나제 농도는 바이러스성 간염, 허혈성 간부전, 약물이나 독소에 의한 간 손상과 같은 중대한 간 손상을 시사한다. 많은 병적 과정에서 ALT는 AST보다 높게 상승하고, 알코올성 간 질환의 경우에는 AST가 ALT의 2–3배로 상승한다.
5. 식물에서의 역할
식물은 동물과 달리 음식으로부터 섭취한 단백질을 분해하여 단백질 생합성에 필요한 20가지 L-아미노산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식물 세포에는 L-아미노산을 합성하기 위한 질소 동화라는 반응 과정이 존재한다. 질소 동화 과정에서 식물은 뿌리에서 흡수한 암모늄 이온과 구연산 회로에서 유래하는 각종 카르복실산을 아미노기 전이 효소의 촉매 작용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L-아미노산을 생성한다.
참조
[1]
간행물
Transaminase activity in human blood
1955-01
[2]
간행물
Application of Paper Chromatography to the Study of the Transaminase System
https://www.nature.c[...]
1952-04
[3]
간행물
A note on the spectrometric assay of glutamic-oxalacetic transaminase in human blood serum
1955-01
[4]
간행물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activity in human acute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1954-09
[5]
웹사이트
Biblioteca Nazionale di Napoli. News: Serata in onore di Mario Coltorti e Giuseppe Giusti
http://vecchiosito.b[...]
2017-09-10
[6]
웹사이트
E' morto il prof. Coltorti: scoprì le transaminasi
http://notizie-segre[...]
2017-09-10
[7]
웹사이트
Campania su Coltorti
http://www.istitutob[...]
2017-09-10
[8]
웹사이트
Il Resto Del Carlino - Macerata - E' morto Mario Coltorti: scoprì la transaminasi
http://www.ilrestode[...]
2017-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