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부 누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부 누와스는 8세기 압바스 왕조 시대의 아랍 시인으로, 이란 후제스탄 주 출신으로 추정된다. 그는 술과 소년애를 주제로 한 파격적인 시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술 시(함리야트)와 남색 시(무주니야트)로 유명하다. 아부 누와스는 전통적인 아랍 시의 틀에서 벗어나 도시 생활과 개인적인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아랍 문학사에서 새로운 시풍을 개척한 '무흐다순'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동시대인과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814년에서 816년 사이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의 시인 - 칼릴 지브란
    레바논 출신의 칼릴 지브란은 아랍어와 영어를 사용하여 시, 소설, 수필, 그림, 철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작가이자 화가로, 《예언자》와 같은 작품으로 종교, 사랑, 인생의 의미를 탐구하며 세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 아랍의 시인 - 아부 알파라즈 알이스파하니
    아부 알파라즈 알이스파하니는 9세기 페르시아 출신의 아랍 학자이자 작가로, 《노래의 책》을 저술하여 아랍 시, 음악, 시인, 음악가에 대한 일화와 풍속을 기록했으며, 아랍 문학과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 외설 문학 - SEX (사진집)
    1992년 발매된 마돈나의 사진집 《Sex》는 스티븐 마이젤이 촬영한 475장의 사진으로 마돈나의 성적 판타지를 담아 외설 논란과 판매 금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현재는 절판되어 높은 수요를 보인다.
  • 외설 문학 - 알페스
    알페스는 아이돌 등 특정 인물을 성적으로 묘사하는 팬픽션의 일종으로,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적 논쟁을 야기했다.
  • 810년 사망 - 구드프레드
    구드프레드는 8세기 말에서 9세기 초에 덴마크를 통치하며 샤를마뉴와 대립하고, 오보트리테족을 공격했으며, 다네비르케 방벽 강화와 헤데비 확장 등 왕국 방어에 힘썼으나 암살당한 왕이다.
  • 810년 사망 - 피피누스 카를로마누스
    샤를마뉴의 아들 피피누스 카를로마누스는 롬바르디아 분국왕으로 책봉되어 교황으로부터 정통성을 부여받고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으나 베네치아 원정 실패 후 사망, 그의 사후 아들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처형되었다.
아부 누와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세기 초 [[상징주의]] 시인 [[할릴 지브란]]이 그린 아부 누와스 (1916년 6월, 뉴욕)
아부 누와스 (할릴 지브란 그림, 1916년)
본명아부 누와스 알-하산 이븐 하니 알-하카미 (أبو نواس al-Ḥasan ibn Hānī al-Ḥakamī)
다른 이름아부 누와스 알-하산 이븐 하니 알-하카미 알-미즈하지 (أَبُو عَلِي اَلْحَسَنْ بْنْ هَانِئْ بْنْ عَبْدِ اَلْأَوَّلْ بْنْ اَلصَّبَاحِ اَلْحُكْمِيِّ اَلْمِذْحَجِي)
별칭아부 누와스 알-술라미 (أبو نواس السلمي)
출생지아흐바즈, 아바스 왕조
사망지바그다드, 아바스 왕조
국적아바스 왕조
직업시인
언어아랍어

2. 생애

아부 누와스는 756년에서 758년 사이 이란 후제스탄 주의 아흐바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다마스쿠스 출신의 아랍인으로 우마이야 왕조의 마지막 칼리프 마르완 2세의 군인이었고, 어머니는 페르시아인 직공이었다.[2]

어린 시절 이라크 바스라로 이주하여 꾸란 학교를 다녔고, 어린 나이에 하피즈가 되었다. 쿠파의 시인 아부 우사마 왈리바 이븐 알-후밥 알-아사디의 제자가 되어 시를 배웠으며, 왈리바와는 동성애적 관계를 맺었을 가능성이 있다.[3] 왈리바 사후 칼라프 알 아흐마르에게 시를 배웠고, 아부 우바이다, 아부 자이드 등에게서 아랍어 문법을, 사막의 베두인에게서 어휘에 관한 지식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바그다드로 이주하여 칼리프 하룬 알 라시드에게 찬시를 바쳐 환심을 샀다. 바르마크 가문 출신의 궁정 시인 아반 알 라히키와 친분을 맺고 바르마크 가문과도 교류했으나, 이는 아반 알 라히키가 자신의 메세나인 하룬 알 라시드로부터 잠재적인 라이벌인 누와스를 떼어놓으려는 계산이었다. 그는 기지와 유머가 넘치는 시로 바그다드에서 명성을 얻었으며, 포도주의 즐거움(''khamriyyat'')과 소년애(''mujuniyyat'')를 평범한 유머를 섞어 노래했다. 훗날 칼리프가 되는 젊은 아민과 친분을 맺은 것도 이 시기이다.

바르마크 가문 몰락 이후 이집트로 피신하여 세입청 장관을 위해 찬시를 지었다. 아민이 칼리프가 된 후 바그다드로 돌아와 그의 술친구가 되었으나, 음주를 이유로 투옥되기도 하였다.

아부 누와스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전해진다. 나브바흐트 가문을 풍자하는 시를 써서 독살당했다는 설,[3] 술집에서 과음하다 죽었다는 설,[3] 나브바흐트 가문에게 맞아 죽었다는 설,[3] 감옥에서 죽었다는 설[3] 등이 있다. 아마도 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나브바흐트 가문의 집에서 죽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여기서 독살설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3] 그는 대 아바스 칼리파 내전 중, 알마문이 호라산에서 진군하기 전인 814년에서 816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3] 바그다드의 슈니지 묘지에 묻혔다.[25]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아부 누와스는 756년에서 758년 사이 이란 후제스탄 주의 아흐바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하니는 다마스쿠스 출신의 아랍인으로 우마이야 왕조의 마지막 칼리프 마르완 2세의 군인이었고, 어머니 굴반은 페르시아인 직공이었다.[2]

어린 시절 아부 누와스는 어머니를 따라 이라크 바스라로 이주하여 꾸란 학교를 다녔고, 어린 나이에 하피즈가 되었다. 쿠파의 시인 아부 우사마 왈리바 이븐 알-후밥 알-아사디의 제자가 되어 시를 배웠으며, 왈리바와는 동성애적 관계를 맺었을 가능성이 있다.[3] 왈리바 사후에는 칼라프 알 아흐마르에게 시를 배웠고, 아부 우바이다, 아부 자이드 등에게서 아랍어 문법을 배웠다. 또한 사막의 베두인에게서 어휘에 관한 지식을 얻었다고도 전해진다.

2. 2. 바그다드에서의 활동

아부 누와스는 시인이 되자마자 바그다드로 이주하여 칼리프 하룬 알 라시드에게 찬시를 바쳐 환심을 샀다. 바르마크 가문 출신의 궁정 시인 아반 알 라히키와 친분을 맺고 바르마크 가문과도 교류했다. 그러나 이 관계는 아반 알 라히키가 자신의 메세나인 하룬 알 라시드로부터 잠재적인 라이벌인 누와스를 떼어놓으려는 계산이었다.

그는 기지와 유머가 넘치는 시로 바그다드에서 명성을 얻었으며, 포도주의 즐거움(''khamriyyat'')과 소년애(''mujuniyyat'')를 평범한 유머를 섞어 노래했다. 나중에 칼리프가 되는 젊은 아민과 친분을 맺은 것도 이 시기이다.

바르마크 가문의 몰락 이후 이집트로 피신하여 세입청 장관을 위해 찬시를 지었다. 아민이 칼리프가 된 후 바그다드로 돌아와 그의 술친구가 되었으나, 음주를 이유로 투옥되기도 하였다.

2. 3. 죽음

아부 누와스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전해진다. 나브바흐트 가문을 풍자하는 시를 썼다는 이유로 독살당했다는 설,[3] 술집에서 과음하다 죽었다는 설,[3] 나브바흐트 가문에게 맞아 죽었다는 설,[3] 감옥에서 죽었다는 설[3] 등이 있다. 아마도 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나브바흐트 가문의 집에서 죽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여기서 독살설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3]

그는 대 아바스 칼리파 내전 중, 알마문이 호라산에서 진군하기 전인 814년에서 816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3] 바그다드의 슈니지 묘지에 묻혔다.[25]

3. 작품 세계

아부 누와스는 스스로 시집을 편집하지 않아 많은 작품이 유실되었고, 위작도 많이 존재한다.[4] 그의 『디완(시집)』은 찬사시, 애가, 풍자시, 연애시, 참회시, 사냥시, 술시 등 다양한 장르로 구성되어 있다.[5] 특히 술 시(함리야트)와 남색 시(무주니야트)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아부 누와스는 8세기 초 바샤르 빈 부르드가 시작한 '무흐다순'이라는 새로운 시적 경향의 대표적인 인물이다.[44] 무흐다순은 베두인 시대의 카시다보다 단순한 어휘와 자유로운 형식을 사용했다.

아부 누와스는 카시다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해학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는 시를 썼다. "카시다의 화자는 버려진 야영지에서 시작하여 끝없이 애처로운 이야기를 시작하지만, 나는 그 야영지 근처에 있는 술집이 어디 있는지 묻는 것부터 시작할 것이다"라는 그의 언급에서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그의 동시대인인 이스마일 빈 누바흐트는 아부 누와스에 대해 "광범위한 학식과 풍부한 기억력을 가졌지만, 책은 거의 소유하지 않았다"라고 평했다. 덧붙여, 그가 죽은 후 그의 집을 수색했지만, 희귀한 표현과 문법적 관찰이 담긴 종이 묶음만 발견되었다고 한다.

아부 누와스의 시는 연애시, 특히 남색을 다룬 무주니야(مُجونيّةar)와 권력자를 찬양하거나 풍자하는 시(카시다(قصيدةar), 히자(هجاءar))도 포함한다. 그는 사냥시(탈디야, tardiyyaar)를 발명하여 시의 한 장르로 만들었으며, 음주시(험리야, khamriyyaar) 또한 완성했다고 평가받는다.

3. 1. 술 시 (함리야트)

아부 누와스는 술 시, 즉 함리야트(خمريّات|함리야트ar)의 대가로 꼽힌다. 그의 시는 술의 맛, 향기, 외양뿐만 아니라 술이 신체와 정신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생생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9] 아부 누와스는 페르시아 문화를 찬양하고 아랍 고전주의를 조롱하는 등, 당시 사회의 통념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8] 예를 들어 그의 『카므리야트(Khamriyyat)』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 “은으로 만든 주전자에 와인이 우리 사이를 돌고 있네, 페르시아 장인이 다양한 디자인으로 장식했지, 바닥에는 코스로에스(Chosroes)가 새겨져 있고, 옆면에는 기수들이 활로 사냥하는 오릭스(oryxes)가 새겨져 있네. 와인의 자리는 튜닉의 단추가 채워지는 곳이고, 물의 자리는 페르시아 모자(qalansuwah)를 쓰는 곳이네.”[8]

이 시구에는 페르시아어와 관련된 페르시아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8]

아부 누와스는 술을 통해 이슬람의 금기를 풍자하고, 종교와 자신의 죄에 대한 복잡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9] 그는 와인을 변명과 해방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이슬람을 풍자적으로 비판했다.[9] 와인에 대한 종교적 금지와 신의 용서를 비교하는 그의 시구는 종교와의 장난스러운 관계를 보여준다.[10]

그의 술 시에서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와인 가게에서 일하는 소년들에 대한 동성애적 묘사이다.[8] 이러한 시들은 종종 음탕하고 반항적이었다.[11] 그의 『디완(Diwan)』의 에로틱한 부분에는 젊은 소년으로 차려입은 어린 여종들이 와인을 마시는 것을 묘사하기도 한다.[11]

> > “유리잔에 퍼질 때 수많은 색깔을 자랑하며, 모든 혀를 잠재우고,

> > 황금빛 몸매를 드러내는 그녀는, 재봉사의 강인한 손에 있는 방울처럼, 연인의 요청에 아름답게 대답하는 날씬한 젊은이의 손에 있네,

> > 각 사원에 곱슬머리가 있고, 그의 눈에는 재앙을 의미하는 시선이 있네.

> > 그는 기독교인이며, 호라산(Khurasan)의 옷을 입고 있으며, 그의 튜닉은 그의 가슴과 목을 드러내고 있네.

> > 이 우아한 미인에게 말을 걸면 높은 산 꼭대기에서 이슬람을 던져 버릴 것이네.

> > 내가 모든 죄인을 죄악으로 이끄는 자의 약탈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 > 나는 그의 종교로 개종하여 사랑으로 그것에 알고 들어갈 것이네,

> > 나는 주님이 이 젊은이를 그렇게 구별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네, 그의 종교가 진정한 종교가 아니라면 말이네.”[5]

이 시는 기독교인 소년을 시중들게 하고, 그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며, 기독교에서 증거를 찾는 아부 누와스의 여러 죄를 묘사한다. 그의 글은 이성애적 예의범절, 동성애에 대한 비난, 금주령, 그리고 이슬람 자체를 조롱한다.[5]

3. 2. 남색 시 (무주니야트)

아부 누와스는 500편이 넘는 에로틱 서정시와 단편들을 남겼으며, 이 작품들에는 동성애적인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6] 그는 젊은 소년에 대한 애정을 솔직하게 표현했고, 동성애를 압바스 왕조에 유입된 문화로 묘사하기도 했다.[11] 이러한 표현은 당시 이슬람 사회의 금기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압바스 시대 와인 시가에서는 와인 가게에서 일하는 종업원 소년들 때문에 남색이 자주 연관되는 주제였다.[8] 아부 누와스의 『디완(Diwan)』에 실린 에로틱한 시들 중에는 젊은 소년으로 차려입은 어린 여종들이 와인을 마시는 모습을 묘사한 작품도 있다.[11]

그의 시 중에는 연애, 특히 남색을 다룬 무주니야(مُجونيّة)라는 작품들도 있다.

3. 3. 기타 장르

아부 누와스는 여러 장르의 시를 썼으며, 특히 술 시와 사냥 시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4] 그의 시집인 『디완』은 찬사시, 애가, 풍자시, 남성과 여성을 소재로 한 궁정 연애시, 참회시, 사냥시, 술 시 등 장르별로 나뉘어져 있다.[5] 500편이 넘는 에로틱 서정시는 동성애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6] 그는 또한 시인들 간의 격렬한 풍자와 모욕이 오가는 시적 공격을 포함하는, 잘 확립된 아랍 풍자시 전통에도 참여했다.[7]

아랍어 시에서 아부 누와스의 탁월함은 참신한 시 형식에 있었다. 그는 옛 시대의 시에서 많은 것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그 흐름을 끊었다. 그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시를 재인식하고, 산문과 운문을 구분한 문법학파의 연구를 통해 배웠다.

그의 시에는 연애, 특히 남색을 다룬 작품(무주니야, مُجونيّةar)뿐만 아니라 권력자를 찬양하거나 풍자하는 작품도 있다. 찬양하는 시는 카시다(قصيدةar), 풍자하는 시는 히자(هجاءar)라고 하며, 그는 자신에게 풍자의 재능이 있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탈디야(tardiyyaar)라 불리는 사냥 시를 발명하여, 시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사냥 시의 세계를 끌어올린 시인으로 여겨진다. 사냥이라는 주제 자체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시인 임루 알 카이스의 카시다나 무알라카에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험리야(khamriyyaar), 험리야트라 불리는 음주시의 세계에서도 이 장르를 완성했다고 여겨진다. 음주시 또한 역사가 오래되어, 암르 빈 쿨툼의 무알라카가 있다. 사냥과 음주라는 두 가지 장르는 자유분방한 수사법을 사용하여 인물을 묘사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수사법의 사용은 무후다순이나 초기 바디우와 같은 새로운 양식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45]

4. 평가 및 영향

아부 누와스는 '무암마'(문자 그대로 "눈이 가려진" 또는 "가려진")라는 문학 형식을 발명한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작가 중 한 명이다.[26][27] '무암마'는 수수께끼를 풀 때 "찾아야 할 단어나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들을 결합하여" 푸는 방식이다. 그는 또한 아랍어 장르인 험리야(술 시)와 타르디야(사냥 시)를 완성했다. 12세기 알-안달루스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이븐 쿠즈만은 그를 매우 존경했고, 그와 비교되기도 했다.[28][29]

아부 누와스(أبو نواس)의 시 원고. 미르자 쿠치크 비살(میرزا کوچک ویسال)이 1824년 5월 10일 카자르 이란(قاجار ایران)에서 필사함

5. 대중문화 속의 아부 누와스

천일야화』에서 하룬 알 라시드의 측근으로 등장하는 익살스러운 인물이다. 실제 역사에서는 하룬 알 라시드의 총애를 받았다는 기록은 없지만, 민중의 상상 속에서는 궁정 광대나 유쾌한 동료로 묘사된다.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문화권에서는 '아부누와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동·아나톨리아 지역의 나스레딘 호자 이야기처럼 수많은 민담에 등장한다. 아부 누와스는 '''키부 누와시'''(Kibunuwasi)로 스와힐리어화되기도 하며, 등장인물이 의인화된 토끼가 되기도 한다. 탄자니아 예술가 가도는 1996년에 스와힐리어 만화책 『아부누와시』를 제작했는데,[39] 이 만화는 동아프리카 민담과 『천일야화』의 아부 누와스에게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아부나와스"라는 이름으로 나스레딘 호자와 비슷한 민담의 등장인물로 등장한다.[41] 이러한 이야기는 종종 일반 사람들과 상류층 사이의 관계를 부각한다.[42]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는 1940년대에 에리트레아에서 수집된 민담에 '''아부 나와스'''(Abunawas)라는 이름이 보인다. 이 민담에서 아부 나와스는 "매우 영리한 남자"이며, 왕이나 상인과 같은 권위자들을 기지와 궤변으로 당황하게 만든다.[46][47]

6. 검열

20세기 초까지 그의 작품들은 자유롭게 유통되었지만, 1932년 카이로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최초의 현대 검열판이 출판되었다. 2001년 1월, 이집트 문화부는 아부 누와스의 동성애적 시가 담긴 책 6,000여 권의 소각을 명령했다.[34][35] 사우디아라비아의 ''글로벌 아랍 백과사전''의 아부 누와스 항목에서는 남색에 대한 모든 언급이 생략되었다.[36]

참조

[1] 문서 Garzanti
[2] 논문 His mother was a Persian seamstress from Ahwāz, called Gulbān or Gulnāz (Abū Hiffān, 108; Ibn al-Muʿtazz, 194; Ibn Qutayba, al-Shiʿr, 2/692; Ibn ʿAsākir, 4/279). His father Hānī was either Persian (according to al-Aṣmaʿī) or from al-Shām, and had served in the army of the last Umayyad caliph, Marwān II
[3] 서적 Abu Nuwas : a genius of poetry https://www.worldcat[...] 2009
[4] 서적 Abu Nuwas : a genius of poetry 2012
[5] 웹사이트 The Diwan of Abu Nuwas https://www.encyclop[...] 2024-11-05
[6] 서적 Abu Nuwas : a genius of poetry 2012
[7] 서적 Abu Nuwas : a genius of poetry 2012
[8] 서적 ʻAbbasid belles lettres http://worldcat.org/[...]
[9] 서적 Vintage Humour : the Islamic Wine Poetry of Abu Nuwas. http://worldcat.org/[...] Hurst 2018
[10] 서적 The Wine Song in Classical Arabic Poetry: Abu Nuwas and the Literary Tradition Clarendon Press
[11] 서적 Abu Nuwas a genius of poetry http://worldcat.org/[...]
[12] 논문 The World of Ḥamza al-Iṣfahānī: His Life and Writings in Context https://libres.unc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2024
[13] 서적 Bughyat al-Wuʻāh fī Ṭabaqāt al-Lughawīyīn wa-al-Nuḥāh https://archive.org/[...] Ṭubiʻa bi-mạṭbaʻat ʻĪsa al-Bābī al-Halabī
[14] 서적 Irshād al-Arīb alā Ma'rifat al-Adīb https://archive.org/[...] Dār Gharib al-Islām i
[15] 서적 Irshād al-Arīb alā Ma'rifat al-Adīb https://archive.org/[...] Brill
[16] 서적 Kitab al-Aghānī https://archive.org/[...] Brill
[17] 서적 Kitab al-Aghānī https://archive.org/[...] Brill
[18] 서적 Ibn Khallikan's Biographical Dictionary (tr. Wafayāt al-A'yān wa-al-Anbā Abnā' al-Zamān) https://archive.org/[...] W.H. Allen
[19] 서적 Wafayāt al-A'yān wa-Anbā' Abnā' al-Zamān (The Obituaries of Eminent Men) https://archive.org/[...] Dār Ṣādar
[20] 서적 Nāqidan fī Yatīmat al-dahr fī Shu'arā' Ahl al-Aṣr Baptist Mission Press
[21] 서적 Nāqidan fī Yatīmat al-dahr fī Shu'arā' Ahl al-Aṣr Baptist Mission Press
[22] 서적 Index: Farīdatu'l-'Aṣr Al-Maṭba’ah al-Ḥanifīyah
[23] 웹사이트 Abu Nuwas https://rainbowsudan[...] 2020-05-27
[24] 웹사이트 Abu Nuwas Biography https://www.poemhunt[...] Poemhunter 2020-05-27
[25] 서적 Ibn Khallikan's biographical dictionary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010-09-12
[26] 백과사전 mu'ammā
[27] 백과사전 Lughz
[28] 서적 La Corónica https://books.google[...]
[29] 학술지 Why was Ibn Quzmān Not Awarded the Title of "Abū Nuwās of the West?" ('Zajal 96', the Poet, and His Critics) https://brill.com/vi[...]
[30] 백과사전 Abū Nuwās Street
[31] 웹사이트 A Walk in the Park http://www.dvidshub.[...] Dvidshub.net 2010-09-12
[32] 뉴스 Gay people are reclaiming an Islamic heritage https://www.economis[...] 2021-05-27
[33] 웹사이트 LGBTQIA+ activism in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MENA) countries: between repression and determination https://igg-geo.org/[...] 2020-11-28
[34] 뉴스 Al-Hayat 2001-01-13
[35] 뉴스 Middle East Report 2001-06-01
[36] 백과사전 Global Arabic Encyclopedia
[37] 서적 The father of locks https://www.worldcat[...] Dedalus 2009
[38] 서적 The Khalifah's mirror https://www.worldcat[...] Dedalus 2012
[39] 서적 Abu nuwasi : kimefasiriwa na kimechorwa https://www.worldcat[...] Sasa Sema Publications 1996
[40] 서적 Arabian Nights: A Queer Film Classic https://books.google[...] Arsenal pulp press 2017-01-15
[41] 웹사이트 Bedanya Nasrudin Khoja dan Abu Nawas https://republika.co[...] 2024-04-22
[42] 학술지 The discourse of common people represented in Javanese version of Abu Nawas stories https://www.atlantis[...] 2024-05-01
[43] 웹사이트 Translation and Meaning of مُحدث in Almaany English Arabic Dictionary https://www.almaany.[...] 2018-02-14
[44] 서적 Al-Shi'r wa l-shu'arâ' Dâr al-kutub al-'ilmiyya 2009
[45] 서적 Al-Bayān wa-l-tabyīn 1948
[46] 웹사이트 Eritrean Print and Oral Culture: The Fire on the Mountain and Other Ethiopian Stories http://www.crcstudio[...] 2015-11-09
[47] 서적 山の上の火 岩波書店 1963-07-18
[48] 서적 コモロ諸島 白水社 2001-08-10
[49] 백과사전 Abū Nuwās Street
[50] 웹사이트 A Walk in the Park http://www.dvidshub.[...] Dvidshub.net 2010-09-12
[51] 논문 Ebû Nuvâs’ın Şarap (Hamriyyât) Şiirleri https://dergipark.or[...]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