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트아닐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세트아닐리드는 진통 및 해열 속성을 가진 최초의 아닐린 파생물로, 1886년 '안티페브린'이라는 이름으로 의학계에 도입되었으나, 청색증 및 간, 신장 손상 등의 독성 문제로 인해 사용이 줄었다. 아세트아닐리드는 아세트산 무수물과 아닐린의 반응으로 생성되며, 과산화 수소 분해 억제제, 셀룰로오스 에스터 바니시 안정제, 고무 촉진제 합성, 염료 및 염료 중간체 합성 등에 사용된다. 1948년 아세트아닐리드가 인체 내에서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로 대사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현재는 아세트아미노펜 등 독성이 덜한 의약품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세트아닐라이드 - 부피바카인
부피바카인은 국소 마취제로, 국소 침윤, 말초 신경 차단, 경막외 마취 등에 사용되며, 에피네프린과 함께 작용 시간을 연장하고, 과민 반응, 심장 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아세트아닐라이드 -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아미노펜은 진통 및 해열 효과가 있어 두통, 생리통, 발열 등의 완화에 사용되지만, 과다 복용 시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파라세타몰이라고도 불린다. - 시장에서 철퇴된 약 -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개발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반응을 유도하며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혈전 부작용 논란 등으로 사용이 중단되거나 제한되기도 했다. - 시장에서 철퇴된 약 - 탈리도마이드
탈리도마이드는 1950년대 후반 독일에서 개발된 수면제 및 입덧 완화제였으나, 심각한 기형 유발 부작용으로 판매가 중단되었고 이후 항암 및 면역 조절 효과가 발견되어 특정 질환 치료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엄격하게 관리되는 약물이다.
아세트아닐리드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 | |
IUPAC 명칭 | N-페닐아세트아미드 |
다른 이름 | 아세트아닐리드 N-페닐에탄아미드 |
식별 정보 | |
UNII | SP86R356CC |
KEGG | C07565 |
베일슈타인 등록 번호 | 606468 |
겔린 등록 번호 | 82833 |
InChI | 1/C8H9NO/c1-7(10)9-8-5-3-2-4-6-8/h2-6H,1H3,(H,9,10) |
InChIKey | FZERHIULMFGESH-UHFFFAOYAA |
ChEMBL | 269644 |
표준 InChI | 1S/C8H9NO/c1-7(10)9-8-5-3-2-4-6-8/h2-6H,1H3,(H,9,10) |
표준 InChIKey | FZERHIULMFGESH-UHFFFAOYSA-N |
CAS 등록 번호 | 103-84-4 |
EC 번호 | 203-150-7 |
ChemSpider ID | 880 |
ChEBI | 28884 |
PubChem | 904 |
RTECS | AD7350000 |
SMILES | O=C(Nc1ccccc1)C |
속성 | |
분자식 | C8H9NO |
구조식 | C6H5NHC(O)CH3 |
몰 질량 | 135.16 g/mol |
밀도 | 1.219 g/cm3 |
냄새 | 무취 |
녹는점 | 113-115 °C |
끓는점 | 304 °C |
쌍극자 모멘트 | 2.71 |
용해도 | 0.56 g/100 mL 미만 (25 °C) |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 | 에탄올, 다이에틸 에테르, 아세톤, 벤젠에 용해됨 |
LogP | 1.16 (23 °C) |
증기압 | 2 Pa (20 °C) |
pKa | 0.5 (25 °C, H2O) (공액산) |
위험성 | |
GHS 신호어 | 경고 |
인화점 | 174 °C |
자연 발화점 | 545 °C |
외부 MSDS | 외부 MSDS |
2. 역사
2. 1. 의약품
아세트아닐라이드는 진통제 및 해열제 속성을 지닌 최초의 아닐린 파생물로, 1886년 A. 칸과 P. 헤프에 의해 '안티페브린'이라는 이름으로 의학계에 도입되었다.[21] 그러나 청색증을 유발하거나 간과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독성 효과[12] 때문에, 독성이 덜한 페나세틴 등 다른 아닐린 파생물을 찾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3][11] 1948년에는 아세트아닐리드가 인체 내에서 대사되어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이 되고, 진통 및 해열 효과는 이 대사산물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2][14]2. 2. 기타 용도
3. 제법
아세트아닐리드는 아세트산 무수물을 아닐린과 반응시켜 만들 수 있다.[7]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6H5NH2 + (CH3CO)2O → C6H5NHCOCH3 + CH3COOH
이 합성 과정은 과거 유기화학 입문 실험 수업에서 전통적인 실험으로 사용되었으나,[8] 현재는 파라세타몰 또는 아스피린 합성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대체는 동일한 실험 기법(특히 생성물의 재결정)을 가르치면서도, 발암 의심 물질인 아닐린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세트아닐리드는 물에 약간 용해되며, 대부분의 조건에서 안정하다.[5] 순수한 결정은 판 모양이며 무색, 백색 또는 그 중간 색을 띤다.
4. 성질
아세트아닐리드는 무수 아세트산과 아닐린을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7]
C6H5NH2 + (CH3CO)2O → C6H5NHCOCH3 + CH3COOH
이 합성 과정은 예전에는 유기화학 입문 실험 수업의 전통적인 실험이었지만,[8] 현재는 파라세타몰 또는 아스피린 합성으로 대체되었다. 두 합성 과정 모두 동일한 실험 기법(특히 생성물의 재결정)을 가르치지만, 발암 의심 물질인 아닐린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아세트아닐리드는 물에 약간 용해되며, 대부분의 조건에서 안정하다.[5] 순수한 결정은 판 모양이며 무색, 백색 또는 그 중간 색을 띤다. 열수에 녹는다. 545 ℃까지 가열하면 발화하지만,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안정적이다. 순수한 결정은 무색이다.
5. 용도
아세트아닐리드는 과산화 수소 분해의 억제제로 사용되며, 셀룰로오스 에스터 바니시의 안정제로도 사용된다.[7] 또한 고무 촉진제 합성, 염료 및 염료 중간체 합성, 그리고 장뇌 합성의 중간체로도 사용된다.[9] 아세트아닐리드는 설파제(sulfa drugs) 제조의 핵심 중간체인 4-아세트아미도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생산에 사용된다.[10]
19세기에는 아세트아닐리드가 많은 화합물 중 하나로 실험적인 사진 현상액으로 사용되었다.
아세트아닐리드에는 진통 작용, 해열 작용이 알려져 있다.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 4'-히드록시아세트아닐리드)과 동족의 의약품이다. 과거에는 대중약으로 "acetanilid"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그러나 1948년 줄리어스 악셀로드(Julius Axelrod)와 버나드 브로디(Bernard Brodie)는 아세트아닐리드가 다른 동일 용도의 의약품에 비해 높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켜 간과 신장에 손상을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아세트아닐리드는 아세트아미노펜 등 독성이 더 낮은 의약품에 그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아세트아미노펜이 아세트아닐리드의 대사산물이라는 것도 또한 악셀로드와 브로디에 의해 시사된 바였다.
5. 1. 산업용
아세트아닐리드는 과산화 수소 분해 억제제로 사용되며 셀룰로스 에스터 바니시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5. 2. 과거 용도
아세트아닐라이드는 진통제 및 해열제 속성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아닐린 파생물이며 1886년 A. 칸과 P. 헤프에 의해 '안티페브린'이라는 이름으로 의료용으로 빠르게 도입되었다.[21] 그러나 청색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독성 효과와 궁극적으로 간과 신장을 손상시킬 수 있어서, 페나세틴 등 독성이 덜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닐린 파생물을 조속히 찾게 되었다.[11][12][13]1948년에 아세트아닐리드가 인체 내에서 대부분 대사되어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이 되며, 진통 및 해열 효과는 이 대사산물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2][14] 아세트아닐리드 투여 후 관찰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은 인체 내에서 아닐린으로 가수분해되는 소량의 아세트아닐리드 때문으로 여겨졌다.
아세트아닐리드는 셀룰로오스계 니스의 산화방지제, 고무의 가황촉진제, 염료 및 의약품의 합성 중간체로 사용된다. 19세기에는 사진 현상액의 성분 중 하나였다.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문서
RubberBible62nd
[3]
웹사이트
Acetanilide
2003-09-01
[4]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5]
웹사이트
Safety data for acetanilide
http://ptcl.chem.ox.[...]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University of Oxford
2002-06-23
[6]
웹사이트
HSNO Chem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https://www.epa.govt[...]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Authority
2009-08-26
[7]
백과사전
Amines, Aromatic
Wiley-VCH
[8]
웹사이트
The preparation of acetanilide from aniline
http://wwwchem.uwimo[...]
Department of Chemistry,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at Mona, Jamaica
2009-08-26
[8]
논문
Preparation of Acetanilide from Nitrobenzene
[9]
웹사이트
Acetanilide
https://pubchem.ncbi[...]
2022-12-10
[10]
서적
Ashford's Dictionary of Industrial Chemicals
[11]
논문
Das Antifebrin, ein neues Fiebermittel
[12]
논문
The estimation of acetanilide and its metabolic products, aniline, ''N''-acetyl ''p''-aminophenol and ''p''-aminophenol (free and total conjugated) in biological fluids and tissues
[13]
논문
Paracetamol: new vistas of an old drug
[14]
논문
Metabolic fate of acetanilide and other aniline derivatives. II. Major metabolites of acetanilide in the blood
[14]
논문
The fate of acetanilide in man
http://profiles.nlm.[...]
[14]
논문
The effect on the pain threshold of ''N''-acetyl ''p''-aminophenol, a product derived in the body from acetanilide
[15]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16]
문서
RubberBible62nd
[17]
웹사이트
Acetanilide
2003-09-01
[18]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
웹사이트
HSNO Chem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http://www.ermanz.go[...]
New Zealand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Authority
2009-08-26
[19]
웹사이트
2017-06-01
[20]
웹사이트
Safety data for acetanilide
http://ptcl.chem.ox.[...]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University of Oxford
[21]
논문
Das Antifebrin, ein neues Fiebermitt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