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스트라이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트라이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티탄 신으로, "별"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크리오스와 에우리비아의 아들이며,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결혼하여 바람의 신들(제피로스, 보레아스, 노토스 등)과 아스트라이아를 낳았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를 거인과 혼동하기도 하며,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에서는 데메테르에게 페르세포네의 미래를 예언하는 신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신 - 아스트라이아
    아스트라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정의의 여신으로, 인류의 타락에 실망하여 지상을 떠나 처녀자리가 되었으며, 처녀자리, 천칭자리의 기원과 관련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그리스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그리스의 남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아스트라이오스
기본 정보
유형그리스 신화
역할바람과 관련된 신
관련 문화그리스
가족 관계
부모크리오스와 에우리비아
배우자에오스
자녀보레아스, 노토스, 제피로스, 에오스포로스, 아스트라이아

2. 어원

아스트라이오스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Ἀστραῖος|아스트라이오스grc에서 유래했다. 이는 '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ἀστήρ|아스테르grc에서 파생된 것이다. 'ἀστήρ|아스테르grc'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근인 ''*h₂ster-''("별")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타다'라는 의미를 가진 ''*h₂eh₁s-''에서 비롯되었다.[2] '아스트라이아' 역시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

3. 신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와 ''도서관''에 따르면 아스트라이오스는 크리오스와 에우리비아의 아들로, 2세대 티탄이다.[3] 그러나 히기누스는 그가 타르타로스와 가이아의 직계 자손이며, 기간테스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세르비우스 역시 히기누스와 비슷하게 그를 거인으로 간주하며, 신들에게 무기를 들고 맞서 싸웠다고 기록했다.[4]

3. 1. 에오스와의 결합

아스트라이오스는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결혼했다. 그들은 밤과 새벽으로서 황혼 동안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과 관련된 많은 자녀를 낳았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아스트라이오스와 에오스는 제피로스, 보레아스, 노토스와 같은 바람들과 헤스페로스 및 별들을 낳았다.[5] 일부 자료에서는 순수함과 때로는 정의의 여신인 또 다른 딸 아스트라이아를 언급한다.[6]

그는 또한 바람이 종종 해 질 녘에 증가하기 때문에 아이올로스, 즉 바람의 수호신과 연관되기도 한다.

3. 2. 바람의 신과의 연관성

그는 또한 바람이 종종 해질 무렵에 증가하기 때문에 아이올로스, 즉 바람의 수호신과 연관되기도 한다.

3. 3.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

논노스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에서 아스트라이오스는 신탁을 내리는 신으로 등장한다. 여신 데메테르는 딸 페르세포네가 올림포스에서 많은 숭배자를 끌어모으기 시작하자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하게 될 것을 염려하여 아스트라이오스를 찾아간다. 아스트라이오스는 데메테르에게 페르세포네가 곧 의 모습으로 나타난 제우스에게 강간당하고, 그 결합으로 자그레우스를 낳게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 예언은 데메테르를 매우 분노하게 만들었다.[7]

4. 가족 관계

아스트라이오스의 아버지는 티탄 신족인 크리오스이며 어머니는 에우뤼비아이다. 크리오스는 우라노스가이아의 아들이며, 에우뤼비아는 폰토스와 가이아의 딸이다. 아스트라이오스는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결혼하였다. 그의 형제와 자녀 등 다른 가족 구성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4. 1. 에우리비아와 크리오스의 가족

티탄 신족인 크리오스와 에우뤼비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페르세스팔라스가 있다. 아스트라이오스는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대표적인 자녀로는 네 명의 바람의 신(아네모이)인 보레아스(북풍), 노토스(남풍), 에우로스(동풍), 제퓌로스(서풍)와 밤하늘의 여러 별들(아스트라 플라네타), 그리고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이아가 있다.

참조

[1] 서적 p. 48 https://books.google[...] Hard
[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3] 서적 The Theogony of Hesiod https://books.google[...] Forgotten Books
[4] 간행물 On Virgil's Aeneid https://topostext.or[...]
[5] 웹사이트 Astraeus https://www.perseus.[...]
[6]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7] 간행물 Dionysiaca https://archive.org/[...]
[8] 문서 ヘーシオドス、375行-377行。
[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2・2-2・3。
[10] 문서 ヘーシオドス、378行-382行。
[1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2・4。
[12] 문서 ヒュギーヌス、序文。
[13] 문서 헤이시오드스, 375~377. 아포로드로스, 1권 2・2~2・3.
[14] 문서 헤이시오드스, 378~382.
[15] 문서 아포로드로스, 1권 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