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테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는 테니스 경기를 의미한다. 1958년 도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2022년 항저우 대회까지 매 대회마다 개최되었다. 역대 아시안 게임 테니스에서 일본이 최다 우승 국가이며, 대한민국은 총 메달 수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테니스 종목은 남녀 단식, 복식, 단체전, 혼합 복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테니스 - 201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201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2018년 8월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아시안 게임 테니스 - 2002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19개국 10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7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아시안 게임 테니스
테니스 정보
종목테니스
영어 종목명Tennis
픽토그램image_file: Tennis pictogram.svg
경기 단체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단체 약자OCA
세부 종목7
남자 종목3
여자 종목3
혼합 종목1

2. 역대 아시안 게임 테니스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1958년 도쿄 대회부터 시작되어 1970년 대회를 제외하고 매 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역대 아시안 게임 테니스 대회, 세부 종목,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역대 대회'''

1958년 제3회 도쿄 대회를 시작으로, 1970년 대회를 제외하고 매 대회마다 개최되었다.

'''세부 종목'''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5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된다. 1962년 대회부터는 남자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이 추가되어 총 7개 세부 종목이 되었다.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일본27183479
2대한민국16201551
3인도네시아1562142
4중국11161946
5중화 타이베이76720
6인도651324
7태국54817
8필리핀391325
9이스라엘1113
10우즈베키스탄1034
11카자흐스탄1012
12이란0224
13스리랑카[1]0145
14파키스탄0123
15홍콩[2]0101
베트남0101
17말레이시아0022
합계9696162354



일본은 아시안 게임 테니스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테니스 종목 최다 우승을 차지하며,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 1. 역대 대회


2. 2. 세부 종목

종목195819621966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남자 단식XXXXXXXXXXXXXXXX16
남자 복식XXXXXXXXXXXXXXXX16
남자 단체XXXXXXXXXXXXX13
여자 단식XXXXXXXXXXXXXXXX16
여자 복식XXXXXXXXXXXXXXXX16
여자 단체XXXXXXXXXXXXX13
혼합 복식XXXXXXXXXXXXXXXX16
합계5777777777777755


2. 3.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일본27183479
2대한민국16201551
3인도네시아1562142
4중국11161946
5중화 타이베이76720
6인도651324
7태국54817
8필리핀391325
9이스라엘1113
10우즈베키스탄1034
11카자흐스탄1012
12이란0224
13스리랑카¹0145
14파키스탄0123
15홍콩¹0101
남베트남0101
17말레이시아0022
합계9696162354



¹ 혼합 팀으로 참가.

3. 역대 메달리스트

아시안 게임 테니스의 세부 종목별 역대 메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남자 단식
  • 남자 복식
  • 남자 단체전
  • 여자 단식
  • 여자 복식
  • 여자 단체전
  • 혼합 복식

3. 1. 남자 단식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58도쿄 레이문도 데이로 펠리시모 암폰
1962자카르타 조니 호세 미야기 아쓰시
1966방콕 이시구로 오사무 코니시 이치조
1974테헤란 사카이 토시로 타기 아크바리
1978방콕 아텟 위조노 니시오 시게유키
1982뉴델리 유스테드조 타릭 김춘호
1986서울 유진선 김봉수
1990베이징 판 빙 장 지우화
1994히로시마 판 빙 윤용일
1998방콕 윤용일 이와부치 사토시
2002부산 파라돈 시차판 이형택
2006도하 다나이 우돔초크 이형택
2010광저우 솜데브 데브바르만 데니스 이스토민
2014인천 니시오카 요시히토 루옌쉰
2018팔렘방·자카르타 데니스 이스토민 우이빙
2022항저우 장즈젠 와타누키 요스케


3. 2. 남자 복식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58도쿄 펠리시모 앙폰
레이문도 데이로
미겔 둥고
후안 마리아 호세
-- 루퍼트 페르디난도
버나드 핀토
1962자카르타 후지이 미치오
미야기 아츠시
레이문도 데이로
후안 마리아 호세
-- 버나드 핀토
라자 프라에소디
미겔 둥고
기예르모 에르난데스
1966방콕 이시구로 오사무
와타나베 코지
루 황 덕
보 반 베이
네트라 그라마티카
수테라푼 코라락
벤카 다완
미스라
1974테헤란 히라이 겐이치
사카이 토시로
캄비즈 데라프시 자반
알리 마다니
모리 료이치
우에하라 나츠타
1978방콕 하디만 하디만
유스데조 타릭
쉬 메이린
쿠 밍화
샴 미노트라
치라딥 무케르제아
피체트 보라티사
차루에크 헹라스미
1982뉴델리 김춘호
이우룡
전영대
송동욱
류 슈화
마 커친
1986서울 김봉수
유진선
류 슈화
마 커친
술리스티오노
도날드 와일란-왈랄랑기
1990베이징 멍 창화
샤 지아핑
류 슈화
潘兵|판빙중국어
다니엘 헤리안토
보니트 위리야완
이진호
지승호
1994히로시마 가라브 네이타르
리안더 파에스
장의종
김치완
도니 수세티요
테디 탄중
판빙
샤 지아핑
1998방콕 파라돈 스리차판
나라손 스리차판
이형택
윤용일
천즈정
린빙차오
오노다 미치히사
테라지 타카히로
2002부산 마헤쉬 부파티
리안더 파에스
정희석
이형택
무스타파 가우스
비샬 우팔
김동현
권오희
2006도하 마헤쉬 부파티
리안더 파에스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전웅선
김선용
세실 마미트
에릭 타이노
2010광저우 사남 싱
솜데브 데브바르만
궁마오신
리저
조재성
김현준
이추환
리신한
2014인천 정현
임용규
사케스 마이네니
사남 싱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유키 뱁리
디비즈 샤란


3. 3. 남자 단체전

년도개최지
1962자카르타
1966방콕
1974테헤란
1978방콕
1982뉴델리
1986서울
1990베이징
1994히로시마
1998방콕
2002부산
2006도하
2010광저우
2014인천


3. 4. 여자 단식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58도쿄 가모 사치코 데시데리아 암폰 류샹쿠
1962자카르타 후쿠이 아키코 미야기 레이코 데시데리아 암폰
패트리샤 잉가요
1966방콕 라니 칼리기스 구로마츠 가즈코 리타 리엠 수기아르토
파노 수드사와스디
1974테헤란 리타 리엠 수기아르토 폴리나 페사호브 라니 칼리기스
1978방콕 이덕희 천촨 노무라 다카요
요네자와 소노에
1982뉴델리 이노우에 에쓰코 김수옥 위리차오
1986서울 리신이 이정순 김수옥
1990베이징 기지무타 아키코 천리 박말심
김일순
1994히로시마 다테 기미코 사와마쓰 나오코 야유크 바스키
천리
1998방콕 야유크 바스키 타마린 타나수간 리팡
이징첸
2002부산 이로다 툴랴가노바 타마린 타나수간 아사고에 시노부
조윤정
2006도하 정제 사니아 미르자 리나
나카무라 아이코
2010광저우 펑솨이 아크굴 아만무라도바 쿠루미 다테 기미코
사니아 미르자
2014인천 왕창 룩시카 쿰쿰 호즈미 에리
에구치 미사


3. 5. 여자 복식

정제 잔융란
장자룽 후다 료코
요네무라 도모코 리팅
쑨톈톈2010광저우 잔융란
장자룽 장카이전
셰수웨이 김소정
이진아 펑솨이
옌쯔2014인천 룩시카 쿰쿰
타마린 타나수간 잔징웨이
셰수웨이 잔융란
잔하오칭 사니아 미르자
프라르타나 톰바레


3. 6. 여자 단체전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62자카르타일본|일본일본어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필리핀|필리핀영어
1966방콕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일본|일본일본어필리핀|필리핀영어
실론|실론si
1974테헤란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국|중국중국어일본|일본일본어
1978방콕일본|일본일본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
1982뉴델리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국|중국중국어일본|일본일본어
1986서울중국|중국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
1990베이징일본|일본일본어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중국|중국중국어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1994히로시마일본|일본일본어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중국|중국중국어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1998방콕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중국|중국중국어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
일본|일본일본어
2002부산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일본|일본일본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2006도하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인도|인도영어일본|일본일본어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uz
2010광저우중국|중국중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일본|일본일본어
태국|태국th
2014인천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중국|중국중국어일본|일본일본어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kk


3. 7. 혼합 복식

시바타 요시히사 Patricia Yngayo
미겔 둔고 데지데리아 안폰
펠리시모 안폰1962자카르타 후쿠이 아키코
와타나베 고지 미야기 레이코
후지이 미치오 데시데리아 안폰
미겔 둔고 Jooce Suwarimbo
Sofyan Mudjirat1966방콕 미야기 레이코
와타나베 고지 Patricia Yngayo
Federico Deyro 라니 칼리기스
Soen Houw Goto Lita Liem Sugiarto
Sutarjo Sugiarto1974테헤란 Paulina Pesahov
Yair Wertheimer Chang J.H.
Hsu Meilin 타니가와하라 기미요
모리 료이치1978방콕 Suthasini Sirikaya
Charuek Hengrasmee 마츠시마 무츠코
우치야마 에츠오 Ayi Sutarno
하디만 하디만 하타나카 기미요
니시오 시게요시1982뉴델리 신순호
김춘호 이노우에 에츠코
나카니시 이치로 야나기 마사코
오니시 기호1986서울 이정순
유진선 Zhong Ni
You Wei 수잔나 위보워
틴타스 위보워1990베이징 야유크 바스키
하리 수하르야디 김일순
유진선 수잔나 위보워
Bonit Wiryawan Orawan Thampensri
위타야 삼라지1994히로시마 리팡
샤지아핑 미야기 나나
쓰지노 류조 나가쓰카 교코
모토무라 고이치 최주연
장의종1998방콕 미야기 나나
이와부치 사토시 최주연
김동현 리팡
Li Si 닐파마 바이디나탄
마헤시 부파티2002부산 자넷 리
루옌쉰 마니샤 말호트라
마헤시 부파티 사니아 미르자
리안더 파에스 이로다 투르야가노바
올레그 오고로도프2006도하 사니아 미르자
리안더 파에스 모리카미 아키코
이와부치 사토시 쑨톈톈
위신위안 셰수웨이
루옌쉰2010광저우 잔융란
양종화 사니아 미르자
비슈누 바르단 타마린 타나수간
산차이 라티와타나 세마 유리카
곤도 다이키2014인천 사니아 미르자
사케스 마이네니 잔하오칭
펑셴인 아오야마 슈코
스기타 유이치 정제
장쩌


참조

[1] 문서 香港と同率
[2] 문서 スリランカと同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