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베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인베크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온 유서 깊은 곳이다. 1158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도시 특허장을 받고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번성했다. 1540년 화재와 종교 개혁, 30년 전쟁과 7년 전쟁 등 여러 사건을 겪으며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맥주 양조와 직물 인쇄 등 전통 산업을 통해 명성을 이어갔다. 현재는 KWS Saat AG, Kayser Automotive Systems 등 다양한 기업이 자리 잡고 있으며, 'Einbecker Bier'라는 맥주 브랜드로도 유명하다. 2013년 크라이엔젠을 합병하여 행정 구역을 확장했고, 역사적인 건축물과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노버주 - 괴팅겐
괴팅겐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737년 괴팅겐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문의 도시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과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하노버주 - 뤼네부르크
독일 니더작센주에 있는 뤼네부르크는 제염업으로 한자 동맹 도시로 번성했던 역사를 지닌 도시로, 구시가지 보존과 뤼네부르크 석남지 인접으로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지반 침하 현상과 뤼네부르크 대학교가 특징이다. - 니더작센주의 도시 - 슈타우펜베르크 (니더작센주)
슈타우펜베르크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하며, 10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고, 지히얼른슈타인 성, 성 페트루스 교회, 히유넨펠트 등의 유적과 아우토반 A7호선, 할레-카셀 철도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헝가리의 푸스타사볼치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니더작센주의 도시 - 고슬라어
독일 니더작센주 하르츠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한 고슬라는 람멜스베르크 광산 개발로 중세 시대부터 번성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로 기능했으며,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관광 및 컨퍼런스 중심지로 발전했다.
아인베크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도시 |
이름 | 아인베크 |
위치 | 독일 니더작센주 |
군 | 노르트하임 군 |
면적 | 231.31km² |
고도 | 112m |
우편 번호 | 37574 |
지역 번호 | 05561, 05562, 05563, 05565 |
차량 번호판 | EIN, GAN, NOM |
지방 자치체 코드 | 03 1 55 013 |
웹사이트 | 아인베크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시장 | 자비네 미할레크 |
임기 | 2020–25 |
소속 정당 | 무소속 |
2. 역사
2. 1. 선사 시대
현재 아인베크 시의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왔다. 아인베크 시와 주변의 작은 마을 및 사라진 마을에서 다양한 유물이 수년에 걸쳐 발굴되었다. 이 유물들은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2]2. 2. 중세 시대
1158년 1월 1일,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증서에 "… Einbike vocatur …"라는 구절과 함께 11세기의 영지 이전이 언급되면서 아인베크가 처음 등장한다.[3] 카틀렌부르크의 우도 백작은 크루메스 바써(굽은 물)라는 개울가에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고, 그의 손자는 상트 알렉산드리 수도원을 세웠다. 이 수도원은 이후 중요한 성소가 되었다. 이 개울 반대편에는 12세기 말 교통이 편리하여 시장 도시가 발달했고, 성 야곱 교회도 세워졌다. 시장과 수도원 사이의 범람원은 건물이 들어서면서 채워졌고, 성벽과 해자가 건설되었다.[4]1252년 아인베크는 도시 특허장을 받았고, 시의회가 설립되었다. 1279년, 하인리히 미라빌리스를 통해 도시 특허장을 확장받았다.[4] 아인베크는 지형적으로 확장되었고, 성 야곱 교회와 상트 알렉산드리 수도원을 둘러싼 성벽이 언급되었다. '신 시장'은 1389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신 도시'도 마찬가지였다. 신 도시는 1318년에 처음 언급된 성 마리아 교회를 받았다.[4]
그루벤하겐 공작 시대에 이 도시는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 올덴도르프나 티덱센과 같은 작은 마을은 버려졌고 주민들은 도시 성벽 안으로 이주했다. 1351년 아인베커 맥주 수출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맥주는 양조할 권리를 가진 큰 집에서 양조되었다. 이 집들은 맥주 솥을 옮기는 데 필요한 아치형의 넓은 문으로 식별 가능하다. 맥주의 제조 과정과 마케팅은 시의회에서 주도했다. 1368년 아인베크는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유통 지역을 넓혔고, 안트베르펜에서 리가, 스톡홀름에서 뮌헨에 이르렀다. 뮌헨에서 아인베크라는 이름은 "오안 복"(수염소)으로 잘못 발음되었고, 공작 양조장에서 그 맛을 모방하면서 복 스타일 맥주가 탄생했다.
14세기와 15세기에 여러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마리아와 막달레나 자매회, 아우구스티노 은수 수도원, 그리고 가난한 부녀회 수도원이 그것이다. 적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도시 성벽 외곽에 참호와 탑 시스템이 구축되었다.[5] 이 시기는 아인베크의 황금기였으며, 북부 독일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
2. 3. 근세
1540년 7월, 아인베크시는 방화범 하인리히 디크가 낸 화재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하인리히 디크는 고문을 받았고, 쇠창살에 갇힌 채 공개 처형당했다. 이 쇠창살은 현재 시청에 전시되어 있다. 화재 전 마을은 꽤 부유했기에, 매우 빠르게 재건되었다. 아인베크는 슈말칼덴 동맹에 가입했는데, 이는 루터교 군주와 도시들의 군사적 방어 체제로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었다.[6] 1549년, 화재가 다시 도시를 휩쓸어 남부 지역 580채의 가옥이 불탔다. 1580년 시의회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에 서명하여 종교 개혁을 완료했다.[6] 1597년, 페스트로 엄청난 사망자가 발생했다. 30년 전쟁 동안, 1632년과 1641년 사이에 적군이 도시를 점령했고 수백 채의 가옥이 파괴되었다. 7년 전쟁 동안, 도시 성문이 철거되었고 대부분의 성벽이 파괴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경제적, 정치적 취약 시대를 초래했다. 인근 마을 로텐키르헨이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 발전하면서, 그 주권자는 아인베크의 자율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후 아인베크는 보병 부대의 주둔지가 되었고, 이는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시켰다. 나폴레옹 전쟁 동안 1807년부터 1813년까지 아인베크는 아인베크 지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826년 성 마리아 주변 지역이 불탔고, 새로운 카운티 법원 "암츠게리히트"로 대체되었다. 프로이센이 1866년 하노버 왕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프로이센 군대를 위한 병영이 건설되었고, 현재는 '새로운 시청'과 시의회 행정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아인베크는 처음에 하노버 - 카셀 간 철도 노선 연결 계획에 저항했지만, 1879년 잘츠데르헬덴과 아인베크 사이의 노선이 건설되었다. 1885년 아인베크는 새로 형성된 아인베크 카운티의 소재지가 되었다. 1890년부터 아우구스트 슈투켄브로크의 자전거 제조 및 무역 회사는 독일 최대의 통신 판매 사업으로 발전했지만, 1931년 대공황 동안 파산했다. 1896년 주둔지가 폐쇄되었고, 건물은 1907년까지 기술 전문 학교로 사용되었다.
2. 4. 근대
1540년 7월, 아인베크시는 방화범 하인리히 디크가 낸 화재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디크는 고문을 받고 쇠창살에 갇힌 채 공개 처형되었으며, 이 쇠창살은 현재 시청에 전시되어 있다. 화재 전 마을은 부유했기에 빠르게 재건되었다. 아인베크는 슈말칼덴 동맹에 가입했으나, 이는 많은 비용이 드는 일이었다.[6] 1549년, 또 다른 화재로 도시 남부 지역의 580채 가옥이 불탔다. 1580년 시의회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에 서명하여 종교 개혁을 완료했다.[6] 1597년에는 역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30년 전쟁 동안인 1632년과 1641년 사이, 적군이 도시를 점령하고 수백 채의 가옥을 파괴했다. 7년 전쟁 동안에는 도시 성문이 철거되고 성벽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마테우스 메리안이 콘라트 부노를 따라 1654년에 그린 아인베크 시의 동판화는 당시 도시 모습을 보여준다.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경제적, 정치적 취약 시기가 도래했다. 인근 마을 로텐키르헨이 지역 행정 중심지로 발전하면서 아인베크의 자율성이 억제되었다. 이후 아인베크는 보병 부대 주둔지가 되어 경제적 어려움을 다소 완화했다. 나폴레옹 전쟁 기간인 1807년부터 1813년까지는 아인베크 지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826년 성 마리아 주변 지역이 화재로 소실된 후, 새로운 카운티 법원 "암츠게리히트"가 건설되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승리한 후, 프로이센 군대를 위한 병영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새로운 시청'과 시의회 행정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1879년에는 잘츠데르헬덴과 아인베크 사이에 철도 노선이 건설되었다. 1885년 아인베크는 새로 형성된 아인베크 카운티의 소재지가 되었다. 1890년부터 아우구스트 슈투켄브로크의 자전거 제조 및 무역 회사는 독일 최대의 통신 판매 사업으로 발전했지만, 1931년 대공황으로 파산했다. 1896년 주둔지가 폐쇄된 후, 건물은 1907년까지 기술 전문 학교로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아인베크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 1930년부터 시민들은 비민주적 정당에 기울었다. 히틀러 집권 전 마지막 자유 투표에서, 국가 사회주의자(NSDAP)는 아인베크 유권자의 40.9%를 차지했다.[7] 1938년 11월의 유대인 박해 동안[8] NSDAP 추종자들은 시나고그에 불을 질렀다.[9] 아인베크의 유대인 시민 58명 중 21명은 독일 밖으로 이주했고, 32명은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했으며, 3명은 자살했고, 5명은 행방불명되었다.[9] 1945년 4월 9일, 아인베크 시장은 미국군에게 도시를 넘겨주어, 아인베크는 전쟁 피해를 입지 않고 살아남았다.
1946년, 슐레지엔 출신 피난민 유입으로 아인베크 인구는 두 배가 되었다. 이는 주택 건설과 산업 건물 건설 붐으로 이어졌다. 주거용 주택은 도시를 동쪽으로, 산업 건물은 남쪽으로 확장시켰다. KWS를 비롯한 여러 주요 기업들이 아인베크에 자리를 잡았다.
1971년, 홀텐젠, 훌러르젠, 임멘젠, 오다그젠 마을이 아인베크시에 통합되었고, 1974년 아인베크 카운티는 해산되었다. 동시에 아인베크는 옛 아인베크, 간더스하임, 노르트하임 카운티에서 27개의 마을을 더 통합했다. 아인베크는 행정적으로 '중간 중심지'로서 고등학교, 병원, 공증인, 지방 법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5년 화재로 역사적인 건물 1채가 파괴되고 5채가 손상되었다. 7년 후, 유산 목록에 등재된 건물 2채가 또다시 화재로 파괴되었다.
2011년 10월 19일, 시의회는 2013년 1월 1일부터 이웃한 크라이엔젠 커뮤니티를 통합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0] 이에 따라 아인베크는 크라이엔젠의 법적 후계자가 되어 영토와 인구 면에서 크게 성장했다.[11] 1974년 3월 1일에는 아르스하우젠-지버스하우젠, 벤티로데, 보일스하우젠, 빌라베크, 브루흐호프, 엘츠하우젠, 갈레프젠, 그뢰네, 하이에스하우젠, 이펜젠, 올크스하임, 오퍼하우젠, 올크스하우젠, 리티로데가 합병하여 자치체 클라이엔젠이 성립되었고 이들은 현재 아인벡 시에 포함된다.[35]
2. 5. 현대
1540년 7월, 아인베크시는 방화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빠르게 재건되었다.[6] 슈말칼덴 동맹 가입, 1549년의 화재, 1597년 역병, 30년 전쟁 기간 동안의 점령(1632년, 1641년)과 파괴, 7년 전쟁 중 성문 철거 및 성벽 파괴 등 여러 사건을 겪으며 경제적, 정치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6]나폴레옹 전쟁 기간(1807~1813년)에는 아인베크 지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6] 1826년에는 성 마리아 주변 지역이 화재로 소실되어 새로운 카운티 법원 "암츠게리히트"가 건설되었다.[6]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프로이센 군대를 위한 병영이 건설되었고, 현재는 '새로운 시청'과 시의회 행정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6] 1879년에는 철도 노선이 건설되었고, 1885년에는 아인베크 카운티의 소재지가 되었다.[6] 1890년 아우구스트 슈투켄브로크의 회사는 독일 최대 통신 판매 사업으로 발전했으나, 1931년 파산했다.[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 1930년대에는 비민주적 정당, 특히 국가 사회주의자(NSDAP)의 지지율이 높았다.[7] 1938년 11월의 유대인 박해 동안 NSDAP 추종자들은 시나고그에 불을 질렀으며,[8] 많은 유대인들이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하거나 국외로 이주했다.[9] 1945년 4월 9일, 아인베크 시장은 미국군에게 도시를 넘겨주어, 전쟁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다.[6]
1946년, 슐레지엔 출신 피난민 유입으로 인구가 두 배로 증가하면서 주택 건설 붐이 일어났다.[6] 1971년과 1974년에는 여러 마을들이 아인베크시에 통합되었고, 아인베크 카운티는 해산되었다.[6] 2005년과 2012년에는 화재로 역사적인 건물들이 피해를 입었다.[6]
2011년 10월 19일, 시의회는 크라이엔젠 커뮤니티를 2013년 1월 1일부로 통합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0] 이로 인해 아인베크는 크라이엔젠의 법적 후계자가 되었고, 영토와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1]
3. 지리
아인베크는 이전에는 독립된 마을이었던 46개의 지방 자치 단체를 가지고 있다. 이 도시는 후베 (언덕)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며, 이곳에서 일메강이 라인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2013년 1월, 이전 자치단체인 크라이엔젠이 아인베크에 합병되었다.
== 위치 ==
아인베크는 후베 산(Fuchsberg 346.2 m) 바로 남쪽에 위치한 아인베크-마르크올덴도르퍼 분지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대도시는 남쪽의 괴팅겐(약 30 km), 북쪽의 힐데스하임(약 35 km)이다. 시 경계의 동쪽 약 20 km부터 하르츠 산맥이 시작되며, 서쪽 약 15 km에는 졸링/Sollingde이, 남서쪽 약 5 km에는 아르스부르크 산맥이 있다.
아인베크의 이름은 시내를 흐르는 일메강 북쪽 기슭의 지류인 크룸메스 바써라는 작은 시내에서 유래되었다. 일메/Ilmede는 핵심 시가지의 남쪽을 흐르며, 알텐도르퍼 베르크를 지나 몇 km 더 동쪽에서 남쪽에서 흘러온 라이네 강과 합류한다.
== 기후 ==
아인베크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서안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57][12]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월별 평균 기온과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24]
style="height:15px"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평균 |
---|---|---|---|---|---|---|---|---|---|---|---|---|---|
기온 (°C) | -0.1 | 0.6 | 3.8 | 8.1 | 12.7 | 16.0 | 17.4 | 17.0 | 13.9 | 9.5 | 4.8 | 1.5 | 8.8 |
강수량 (mm) | 52.6 | 36.4 | 45.2 | 51.3 | 64.6 | 76.7 | 64.5 | 60.9 | 44.6 | 40.6 | 49.4 | 57.3 | 644.1 |
== 행정 구역 ==
아인베크의 인구 32,000명 중 약 15,000명이 아인베크 시에 거주하며, 다음으로 큰 교외 지역은 약 2,500명이 거주하는 크라이엔젠이다. 아인베크시는 1971년에 처음으로 인근 마을을 통합하기 시작했으며, 1974년에 더 많은 마을이 통합되었다. 2013년 아인베크는 이전에 15개의 마을을 통합했던 크라이엔젠을 합병했다. 따라서 아인베크의 지리적 크기는 이례적으로 크다.
2013년 이후 아인베크는 총 46개의 교외 지역을 가지고 있다:
아흘스하우젠-지버스하우젠 | 안더스하우젠 | 아벤스하우젠 | 바르트하우젠 |
벤티에로데 | 보일스하우젠 | 빌러베크 | 브루흐호프 |
브룬젠 | 분젠 | 다센센 | 되리그젠 |
드뤼버 | 에데미센 | 에르츠하우젠 | 가를레브센 |
그리네 | 하이즈하우젠 | 할렌센 | 홀텐센 |
홀터스하우젠 | 훌러르센 | 이베르 | 임멘센 |
입펜센 | 콘센 | 크라이엔젠 | 쿠펜탈 |
나엔센 | 네겐보른 | 오다그센 | 올스하임 |
오퍼하우젠 | 오르크스하우젠 | 렌거스하우젠 | 리티에로데 |
로텐키르헨 | 잘츠데르헬덴 | 슈트로트하겐 | 슈트로이트 |
쉴베크 | 파르데일젠 | 포겔베크 | 폴다그센 |
폴크센 | 벤젠 |
3. 1. 위치
아인베크는 후베 산(Fuchsberg 346.2 m) 바로 남쪽에 위치한 아인베크-마르크올덴도르퍼 분지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대도시는 남쪽의 괴팅겐(약 30 km), 북쪽의 힐데스하임(약 35 km)이다. 시 경계의 동쪽 약 20 km부터 하르츠 산맥이 시작되며, 서쪽 약 15 km에는 졸링/Sollingde이, 남서쪽 약 5 km에는 아르스부르크 산맥이 있다.아인베크의 이름은 시내를 흐르는 일메강 북쪽 기슭의 지류인 크룸메스 바써라는 작은 시내에서 유래되었다. 일메/Ilmede는 핵심 시가지의 남쪽을 흐르며, 알텐도르퍼 베르크를 지나 몇 km 더 동쪽에서 남쪽에서 흘러온 라이네 강과 합류한다.
3. 2. 기후
아인베크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서안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57][12]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월별 평균 기온과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24]style="height:15px"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평균 |
---|---|---|---|---|---|---|---|---|---|---|---|---|---|
기온 (°C) | -0.1 | 0.6 | 3.8 | 8.1 | 12.7 | 16.0 | 17.4 | 17.0 | 13.9 | 9.5 | 4.8 | 1.5 | 8.8 |
강수량 (mm) | 52.6 | 36.4 | 45.2 | 51.3 | 64.6 | 76.7 | 64.5 | 60.9 | 44.6 | 40.6 | 49.4 | 57.3 | 644.1 |
3. 3. 행정 구역
아인베크의 인구 32,000명 중 약 15,000명이 아인베크 시에 거주하며, 다음으로 큰 교외 지역은 약 2,500명이 거주하는 크라이엔젠이다. 아인베크시는 1971년에 처음으로 인근 마을을 통합하기 시작했으며, 1974년에 더 많은 마을이 통합되었다. 2013년 아인베크는 이전에 15개의 마을을 통합했던 크라이엔젠을 합병했다. 따라서 아인베크의 지리적 크기는 이례적으로 크다.2013년 이후 아인베크는 총 46개의 교외 지역을 가지고 있다:
아흘스하우젠-지버스하우젠 | 안더스하우젠 | 아벤스하우젠 | 바르트하우젠 |
벤티에로데 | 보일스하우젠 | 빌러베크 | 브루흐호프 |
브룬젠 | 분젠 | 다센센 | 되리그젠 |
드뤼버 | 에데미센 | 에르츠하우젠 | 가를레브센 |
그리네 | 하이즈하우젠 | 할렌센 | 홀텐센 |
홀터스하우젠 | 훌러르센 | 이베르 | 임멘센 |
입펜센 | 콘센 | 크라이엔젠 | 쿠펜탈 |
나엔센 | 네겐보른 | 오다그센 | 올스하임 |
오퍼하우젠 | 오르크스하우젠 | 렌거스하우젠 | 리티에로데 |
로텐키르헨 | 잘츠데르헬덴 | 슈트로트하겐 | 슈트로이트 |
쉴베크 | 파르데일젠 | 포겔베크 | 폴다그센 |
폴크센 | 벤젠 |
4. 경제
아인베크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산업이 생겨나고 사라졌다. 그러나 아주 오래전부터 맥주는 아인베크가 여러 세기에 걸쳐 유명해진 제품이었으며, 현재도 ''Einbecker Bier''라는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 아인베크는 알코올 도수가 높은 복 맥주의 발상지이다. 중세 시대에는 아인베크 출신의 양조장이 뮌헨에서 "Einpöckisch Bier"를 양조하기 위해 고용되었으며, 이 이름은 변질되어 "Oanpock"으로, 이후 "Bock"으로 발전했다. 맥주 수출은 매우 중요한 사업이어서, 함부르크 항구 도시에는 아인베크가 자체 유통 센터(및 펍)를 운영했는데, 이를 Eimbeck'sches Haus라고 불렀다. 현재도 ''아인베커 양조장''이라는 이름으로 양조장이 아인베크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이 회사는 하노버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아인베크에는 또 다른 매우 오랜 전통을 가진 사업이 있는데, 바로 직물에 인쇄하는 전통적인 방식인 ''Einbecker Blaudruck''이다. 이 개인 소유 기업은 1638년에 설립되었으며, 유럽에서 현존하는 동종 기업 중 가장 오래된 기업이다.[13]
아인베크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기업은 독일 SDAX에 상장된 ''KWS SAAT AG''(KWS 종자)이다. 이 회사는 사탕무 씨앗을 육종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전 세계 농업 산업에 풀 라인 씨앗 공급업체로 성장했다. KWS는 전 세계에 60개 이상의 자회사를 운영하며, 매출은 10억 유로에 육박하고 총 3,8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14] 주요 연구 개발 활동은 아인베크에 기반을 두고 있다.
''Kayser Automotive Systems''(카이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는 자동차 산업 부품의 국제 공급업체이다. 카이저는 아인베크에 본사를 둔 가족 기업이다.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듀라 오토모티브 시스템즈''의 지사가 아인베크에서 활동하고 있다. ''E. Oppermann''(E. 오퍼만)은 가족 소유의 국제 벨트 웨빙 제조업체이다. 체인 제조업체 ''Renold''(레놀드)는 독일 자회사를 아인베크에 두고 있다. ''Kurt König''(쿠르트 쾨니히)은 건설 기계 서비스 및 판매 회사이다.
5. 정치
==== 시의회 ====
2013년 1월 20일, 이전 크라이엔젠(Kreiensen) 자치구의 아인베크 시 편입으로 인해 시의회와 모든 마을 의회에서 보궐 선거가 치러졌다.[40]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의석 수 2013 | 의석 수 2011 | 의석 수 2006 |
---|---|---|---|
SPD | 19 | 14 | 16 |
CDU | 14 | 9 | 14 |
UWG-Gemeinsam für Einbeck | 4 | 8 | — |
BL-Unabhängige Wählergemeinschaft Kreiensen | 3 | — | — |
GRÜNE | 2 | 2 | 1 |
FDP | 2 | 2 | 4 |
LINKE | — | 1 | 1 |
아인베크 시와 클라인젠의 합병을 승인하여 2013년 1월 20일에 시의회, 지구 의회, 시장 선거가 치러졌다.[40] 아인베크 시의회는 2015년 현재 44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 시장 ====
아인베크의 시장은 다음과 같다.
- 1948년 – 1981년: 하인리히 카임
- 1981년 – 1992년: 게오르크 람페
- 1992년 – 1997년: 베른트 뢸
- 1998년 1월 1일 – 2006년 10월 31일: 마르틴 베너 (SPD)
- 2006년 11월 1일 – 2013년 1월 24일: 울리히 밍크너 (SPD)
- 2013년 1월 25일 – 현재: 자비네 미할레크 (CDU)
5. 1. 시의회
2013년 1월 20일, 이전 크라이엔젠(Kreiensen) 자치구의 아인베크 시 편입으로 인해 시의회와 모든 마을 의회에서 보궐 선거가 치러졌다.[40]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정당 | 의석 수 2013 | 의석 수 2011 | 의석 수 2006 |
---|---|---|---|
SPD | 19 | 14 | 16 |
CDU | 14 | 9 | 14 |
UWG-Gemeinsam für Einbeck | 4 | 8 | — |
BL-Unabhängige Wählergemeinschaft Kreiensen | 3 | — | — |
GRÜNE | 2 | 2 | 1 |
FDP | 2 | 2 | 4 |
LINKE | — | 1 | 1 |
아인베크 시와 클라인젠의 합병을 승인하여 2013년 1월 20일에 시의회, 지구 의회, 시장 선거가 치러졌다.[40] 아인베크 시의회는 2015년 현재 44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5. 2. 시장
아인베크의 시장은 다음과 같다.- 1948년 – 1981년: 하인리히 카임
- 1981년 – 1992년: 게오르크 람페
- 1992년 – 1997년: 베른트 뢸
- 1998년 1월 1일 – 2006년 10월 31일: 마르틴 베너 (SPD)
- 2006년 11월 1일 – 2013년 1월 24일: 울리히 밍크너 (SPD)
- 2013년 1월 25일 – 현재: 자비네 미할레크 (CDU)
6. 문화
아인베크의 역사적인 중심지는 목골조 건축 방식으로 지어진 후기 중세 도시의 거의 완전한 사례를 제공한다. 이것이 아인베크가 독일 목골조 가도의 일부가 된 이유이다.
1540년 7월, 거의 모든 주거 건물을 파괴한 화재 이후, 도시는 다음 15년 동안 매우 빠르게 재건되었다. 건축 연도는 프레임에 새겨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도시 중심부에서 매우 유사한 스타일의 건물을 찾을 수 있다. 화재의 영향을 받지 않은 건물 아래의 오래된 지하실이나 지하층은 동일한 장소에 새 집을 짓는 데 재사용되었다. 매우 아름다운 예는 티덱서 거리의 북쪽 면이며, 마차를 타고 드나들 때 필요한 넓은 아치형 문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이 건물 중 절반 이상이 양조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아인베크는 피아노 무대로 유명하다. 매년 겨울에는 국제 피아노 아카데미 "Feuerwerk"를 개최하고, 매년 봄에는 독일 전역의 젊은 피아니스트들이 아인베커 클라비어프륄링 콩쿠르에서 경쟁한다. 두 행사 모두 리투아니아 출신 콘서트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긴타라스 야누셰비치우스가 설립하고 이끌고 있다. 연중 내내 전문 연주자와 아마추어 연주자가 무대에 올라 피아노 연주회가 많이 열린다. 2019년부터 이 도시는 스스로를 "Klavierstadt"(“피아노 도시”)로 브랜드화하고 있다.[15]
아인베크의 역사적 핵심 지구에는 중세 후기 목골 건축의 거리 풍경이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1990년 아인베크를 지나는 독일 목골 가옥 가도가 설립되었다.
1540년의 파괴적인 대화재 이후, 이 도시는 당시의 건축 양식으로 새롭게 재건되었다. 건물의 위치는 축조된 지 수백 년이 지난 오래된 지하 창고 위에서 움직이지 않았다. 가장 훌륭한 건축 앙상블은 티데크서 거리 북쪽에서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특히 맥주 제조업자의 수레가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들어진 높은 출입구가 유지되고 있다. 모든 건물의 절반 이상이 맥주 양조권을 가지고 있었다.
6. 1. 건축물
아인베크의 중심지인 마르크트 광장에는 16세기에 지어진 구 시청사(Old Town Hall)가 있으며, 세 개의 탑은 아인베크의 역사적인 랜드마크이다.[49] 1552년에 지어진 브로드하우스(Brodhaus, 빵집)는 1333년부터 제빵사 길드의 본부로 사용되었다.[49] 1590년에 건립된 라츠아포테케(Ratsapotheke, 약국)도 마르크트 광장에 위치해 있다.[49]아이케의 집(Eicke's House)은 르네상스 양식의 풍부한 조각 외관 장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별한 국가적 및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역사적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49] 티덱서 거리(Tiedexer Straße)는 16세기 중반, 대략 같은 시기에 같은 양식으로 지어진 일련의 가옥들이다.[49]
신 시청사(New Town Hall)는 1868년 프로이센 군 막사로 지어졌으며, 현재는 1996년부터 시의회 행정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시계탑의 카리용은 빅 벤(Big Ben)과 동일한 종소리를 낸다.[49] 탕고브뤼케(TangoBrücke) 콘서트 및 문화 회관은 2008년에 콘서트 시리즈를 시작했다.
마르크트 교회(Market church) '''성 야코비'''(Sankt Jacobi)는 루터교회로, 65m 높이의 교회 탑을 통해 시내 중심가에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사암 세례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아인베크에서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49]
대성당 '''성 알렉산드리'''(Sankt Alexandri)는 루터교회로, 독일 북부에서 가장 큰 고딕 양식의 홀 교회 중 하나이다.[49] '''성 마리엔'''(St. Marien)은 루터교회로, 1968년 봉헌되었다.[49] '''유겐트키르헤 마리'''(Jugendkirche Marie)(청소년 교회 마리)와 본당 교회 '''성 요셉'''(St. Josef), 로마 가톨릭, 중세 시대 예배당인 예배당 “성 스피리투스”(St. Spiritus)는 현재 그리스 정교회이다.[49][50]

6. 2. 행사
아인베크에서는 매년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5월 1일에는 아인베커 블루스 페스티벌과 복 맥주 개장 행사가 열린다. 5월에는 아인베크 맥주 거리 레이스, 6월에는 음식 축제인 아인베크 가우멘프로이데(미식의 환희)가 열린다. 9월에는 통 굴리기 대회와 크나이펜 뮤직 나이트(선술집 음악의 밤)가 개최된다. 10월에는 도시 축제인 오일렌페스트(올빼미 축제)가 열리며, 11월부터 12월까지는 크리스마스 마켓이 마르크트 광장에서 열린다. 12월에는 후베 지구에서 새해 전야 크로스컨트리 경주가 개최된다.6. 3. 박물관
아인베크 시립 박물관(Stadtmuseum Einbeck)은 슈타인베크 11/13에 위치하며, 새롭게 디자인된 "RadHaus"(자전거 박물관)를 포함한다.[54] 아인베크 시의 역사적인 기록 보관소는 박물관 건물에 보관되어 있다.잘츠데어헬덴 염전
쿤스트하우스(Kunsthaus)는 미술관이다.[53]
PS 슈파이허(PS Speicher, "마력 저장소")는 과거 곡물 창고를 재건 및 복원하여 만든 독일 최대의 오토바이 컬렉션을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2014년 7월 23일에 개관하였다.[51][52]
오래된 시나고그 건물은 지역 단체에 의해 복원되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있다.
7. 교통
==== 도로 ====
아인베크는 북-남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방 고속도로 B 3로 바로 연결되며, 하노버와 카셀까지 각각 약 70km 떨어져 있다. 1994년까지 B 3는 시내를 통과했지만, 현재는 우회로가 개통되었다.
국가 고속도로 A 7까지는 약 10km 떨어져 있다. A 7은 독일/덴마크 국경의 플렌스부르크와 오스트리아의 로이테를 연결하며, 대략 북-남 방향으로 뻗어 있다. 아인베크는 연방 도로 B3호선을 통해 주도 하노버와 아우토반 A7호선을 연결한다. A7호선의 가장 가까운 인터체인지는 13km 떨어져 있다.
==== 철도 ====
아인베크-잘츠데르헬덴역은 하노버와 카셀 사이의 주요 남북 철도의 일부인 하노버 남부 철도에 위치해 있으며, 열차는 대략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 아인베크의 더 큰 기차역은 크라이엔젠으로, 서쪽(홀츠민덴, 알텐베켄)과 북동쪽(제제, 고슬라, 브라운슈바이크)으로 가는 기차 연결편을 제공한다.
가장 가까운 고속철도역은 약 38km 떨어진 괴팅겐이며, 잘츠데르헬덴에서 괴팅겐까지 1시간 간격으로 갈 수 있다. 아인베크에는 철도 화물 서비스를 운영하는 작은 철도 회사인 일메반이 있다.
시 중심에서 약 5km 떨어진 잘츠더헬덴에는 하노버 – 괴팅겐 본선의 아인베크-잘츠데르헬덴역이 있다. 시내 중심가에 가까운 아인베크-미테역은 1984년 이후 정기적인 열차 운행에 사용되지 않고, 때때로 특별 열차가 정차하거나 화물 수송에만 이용된다. 2002년까지 다셀까지의 구간의 궤도가 남아 있었지만, 이후 차례로 율리우스뮐레까지 철거되었다. 같은 해 아인베크-잘츠더헬덴 – 아인베크-미테 간 노선은 도이치반에서 일메 철도 GmbH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아인베크와 아인베크-잘츠더헬덴역 간의 교통은 현재 버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시와 주변 마을 간, 또는 아인베크 시내 각 지구 간 교통도 버스가 담당하고 있다. 중요한 운행 사업자로는 일메 철도 GmbH와 브라운슈바이크 지방 버스 GmbH(RBB)가 있다. 아인베크 지구의 버스 노선은 남니더작센 교통 연맹(VSN)에 가입되어 있다.
==== 항공 ====
하노버 공항은 아인베크에서 주요 유럽 도시로 연결되는 국제공항이다. 이 공항은 기차로 갈 수 있다. 주로 휴가 여행객을 위한 소규모 공항인 카셀-칼덴 공항은 약 90km 떨어져 있다.
7. 1. 도로
아인베크는 북-남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방 고속도로 B 3로 바로 연결되며, 하노버와 카셀까지 각각 약 70km 떨어져 있다. 1994년까지 B 3는 시내를 통과했지만, 현재는 우회로가 개통되었다.국가 고속도로 A 7까지는 약 10km 떨어져 있다. A 7은 독일/덴마크 국경의 플렌스부르크와 오스트리아의 로이테를 연결하며, 대략 북-남 방향으로 뻗어 있다. 아인베크는 연방 도로 B3호선을 통해 주도 하노버와 아우토반 A7호선을 연결한다. A7호선의 가장 가까운 인터체인지는 13km 떨어져 있다.
7. 2. 철도
아인베크-잘츠데르헬덴역은 하노버와 카셀 사이의 주요 남북 철도의 일부인 하노버 남부 철도에 위치해 있으며, 열차는 대략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 아인베크의 더 큰 기차역은 크라이엔젠으로, 서쪽(홀츠민덴, 알텐베켄)과 북동쪽(제제, 고슬라, 브라운슈바이크)으로 가는 기차 연결편을 제공한다.가장 가까운 고속철도역은 약 38km 떨어진 괴팅겐이며, 잘츠데르헬덴에서 괴팅겐까지 1시간 간격으로 갈 수 있다. 아인베크에는 철도 화물 서비스를 운영하는 작은 철도 회사인 일메반이 있다.
시 중심에서 약 5km 떨어진 잘츠더헬덴에는 하노버 – 괴팅겐 본선의 아인베크-잘츠데르헬덴역이 있다. 시내 중심가에 가까운 아인베크-미테역은 1984년 이후 정기적인 열차 운행에 사용되지 않고, 때때로 특별 열차가 정차하거나 화물 수송에만 이용된다. 2002년까지 다셀까지의 구간의 궤도가 남아 있었지만, 이후 차례로 율리우스뮐레까지 철거되었다. 같은 해 아인베크-잘츠더헬덴 – 아인베크-미테 간 노선은 도이치반에서 일메 철도 GmbH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아인베크와 아인베크-잘츠더헬덴역 간의 교통은 현재 버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시와 주변 마을 간, 또는 아인베크 시내 각 지구 간 교통도 버스가 담당하고 있다. 중요한 운행 사업자로는 일메 철도 GmbH와 브라운슈바이크 지방 버스 GmbH(RBB)가 있다. 아인베크 지구의 버스 노선은 남니더작센 교통 연맹(VSN)에 가입되어 있다.
7. 3. 항공
하노버 공항은 아인베크에서 주요 유럽 도시로 연결되는 국제공항이다. 이 공항은 기차로 갈 수 있다. 주로 휴가 여행객을 위한 소규모 공항인 카셀-칼덴 공항은 약 90km 떨어져 있다.8. 자매 도시
아인베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1][41]
- 티에, 프랑스 (1962)
- 아르테른, 독일 (1990)
- 파츠쿠프, 폴란드 (1992)
- 킨, 미국 (2002)
- 비젤부르크, 오스트리아 (1987)
참조
[1]
웹사이트
Verzeichnis der direkt gewählten Bürgermeister/-innen und Landräte/Landrätinnen
https://www.statisti[...]
Landesamt für Statistik Niedersachsen
2021-04
[2]
간행물
Zur ur- und frühgeschichtlichen Besiedelung des Einbeck Raumes, in: Geschichte der Stadt Einbeck, Band 1
1991
[3]
간행물
Einbeck im Mittelalter. Eine archäologisch-historische Spurensuche
Isensee
2002
[4]
간행물
Die Städte im oberen Leinetal Göttingen, Northeim und Einbeck
Vandenhoeck & Ruprecht
1925
[5]
문서
Lageplan 1575
http://kulturerbe.ni[...]
[6]
문서
Vgl. [[BSLK]], S. 766; vgl. S. 17
[7]
문서
Zur Geschichte Einbecks in der Zeit der Weimarer Republik (1918-1933) in: Geschichte der Stadt Einbeck, Vol. 2, pp. 170, ed. Einbecker Geschichtsverein e.V, Einbeck 1992
[8]
문서
Schicksale der Einbecker Juden von 1933 bis 1945, as well as Kurt Heinrichs: Der 9. November 1938 in Einbeck
[9]
문서
Einbeck zur Zeit des Nationalsozialismus (1933-1945) in: Geschichte der Stadt Einbeck, Vol. 2, pp. 192, ed. Einbecker Geschichtsverein e.V, Einbeck 1992
[10]
뉴스
Rat stimmt mit deutlicher Mehrheit für die Fusion
http://www.einbecker[...]
Einbecker Morgenpost
2011-10-20
[11]
문서
Gesetz über die Vereinigung der Gemeinde Kreiensen und der Stadt Einbeck, Landkreis Northeim
2012-07-26
[12]
문서
Deutschen Wetterdienst
http://www.dwd.de/bv[...]
[13]
문서
Älteste Blaudruckerei Europas
http://www.einbecker[...]
[14]
웹사이트
KWS SAAT AG- About KWS
http://www.kws.de/aw[...]
2013-03-13
[15]
웹사이트
Home
http://www.klavierst[...]
[16]
문서
Die Neustädter Kirche St. Marien
https://web.archive.[...]
2016-03-04
[17]
문서
A convenient online catalogue is available at
http://einbeck-opac.[...]
[18]
웹사이트
Förderverein Alte Synagoge in Einbeck e.V.
http://www.altesynag[...]
2013-04-12
[19]
문서
http://www.hna.de/lo[...]
[20]
EB1911
Muhlenberg, Henry Melchior
[21]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einbeck.[...]
Einbeck
2021-02-02
[22]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23]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24]
문서
http://www.dwd.de/bv[...]
[25]
문서
Die Städte im oberen Leinetal Göttingen, Northeim und Einbeck
[26]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27]
문서
1575年の都市計画図
http://kulturerbe.ni[...]
[28]
문서
ティル・オイレンシュピーゲルの愉快ないたずら
[29]
문서
ティル・オイレンシュピーゲルの愉快ないたずら
[30]
문서
Mittelalterliche Leprosorien in Niedersachsen und Bremen
http://www.muenster.[...]
[31]
문서
Schicksale der Einbecker Juden von 1933 bis 1945, sowie Kurt Heinrichs: Der 9. November 1938 in Einbeck.
[32]
문서
Am 9. November 1938 wurde die Synagoge zerstört
http://www.einbecker[...]
[33]
문서
Countdown für Poser-Park-Eröffnung: Walter-Poser-Straße freigegeben
http://www.einbeck-c[...]
[34]
문서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35]
문서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36]
뉴스
Rat stimmt mit deutlicher Mehrheit für die Fusion
http://www.einbecker[...]
Eindecker Morgenpost
2011-10-20
[37]
간행물
Gesetz über die Vereinigung der Gemeinde Kreiensen und der Stadt Einbeck, Landkreis Northeim.
Nds. GVBl. Nr. 16/2012
2012-07-26
[38]
서적
Die Ortsnamen des Landkreises Northeim.
Verlag für Regionalgeschichte, Bielefeld
2005
[39]
웹사이트
Ortsnamen - Übersicht für den Buchstaben E
http://www.ndr.de/nd[...]
[40]
웹사이트
Stadt Einbeck - Kommunalwahl 2013 - Ergebnisse der Kommunalwahlen
http://www.einbeck.d[...]
[41]
웹사이트
Stadt Einbeck - Partnerstädte
http://einbeck.de/st[...]
[42]
서적
Deutsche Wappen Bundesrepublik Deutschland.
Angelsachsen-Verlag, Bremen
1970
[43]
웹사이트
Heraldry of the World - Einbeck
http://www.ngw.nl/he[...]
[44]
웹사이트
Einbecker Morgenpost
http://www.einbecker[...]
[45]
웹사이트
Einbecker Brauhaus AG
http://www.einbecker[...]
[46]
뉴스
Älteste Blaudruckerei Europas: »Das ist ein Pfund«
http://www.einbecker[...]
Eindecker Morgenpost
2012-08-29
[47]
웹사이트
KWS
http://www.kws.de/ca[...]
[48]
서적
Polizei im kooperativen Staat von Hans-Jürgen Lange, Jean-Claude Schenck, p. 211 (2004)
https://books.google[...]
[49]
서적
Andreae, (1) August Heinrich.
Stadtlexikon Hannover
[50]
웹사이트
Neuapostolische Kirche Mitteldeutschland - Profanierung in Einbeck
http://www.nak-mitte[...]
[51]
뉴스
Geschichte der Mobilität: PS-Speicher rund um Bewegung auf Rädern in Einbeck öffnet im Juli
http://www.hna.de/lo[...]
Hessische/Niedersächsische Allgemeine (HNA)
2014-03-30
[52]
뉴스
Weil eröffnet "PS-Speicher" in Einbeck
http://www.ndr.de/na[...]
Norddeutscher Rundfunk (NDR)
2014-07-18
[53]
웹사이트
Kunsthaus Einbeck
http://www.kunsthaus[...]
[54]
웹사이트
Stadtmuseum Einbeck
http://www.stadtmuse[...]
[55]
서적
ティル・オイレンシュピーゲルの愉快ないたずら
法政大学出版局, 岩波文庫, 平凡社
1979
[56]
서적
中世を旅する人びと: ヨーロッパ庶民生活点描
平凡社
1978
[57]
웹사이트
Deutschen Wetterdienst
http://www.dwd.de/b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