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창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창족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2000년 전 쓰촨성, 간쑤성 지역에 거주했던 강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12세기 란창강 유역에서 이동하기 시작하여 13세기에는 룽촨, 량허 지역에 정착했다. 명나라 시기에는 명나라에 귀순하였으나, 이후 더훙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아창족은 춤과 노래를 중요하게 여기며, 불교식 장례를 치른다. 그들은 아창어를 사용하며, 호사도라는 도검 제작으로도 유명하다. 현재는 윈난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의 룽촨, 량허, 루시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자치권을 통해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아창족
기본 정보
아창족 여성의 드레스
아창족 여성의 드레스
인구약 29,000명
거주 지역중국, 주로 윈난성에 집중
미얀마의 소규모 지역
언어아창어
시안다오어 (http://www.sil.org/iso639-3/documentation.asp?id=xia, khan31tao31)
버마어
서남 관화
종교테라바다 불교
도교
애니미즘과 조상 숭배의 혼합
관련 민족바마족
라카인족
마르마족
기타 중국-티베트족
기타 명칭
인구 통계 (2000년)
중국33,963명
미얀마 (1983년)1,700명

2. 역사

아창족은 윈난성에 가장 먼저 정착한 민족 중 하나로, 그 기원은 2000년 전 쓰촨성, 간쑤성 경계 지역에 거주했던 강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 역사적으로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13세기에 현재의 거주 지역으로 이동해 왔다. 중국어 사서에서는 "峨昌", "莪昌", "俄昌" 등으로 불렸고, 거주 지역에 따라 "𣏟撒", "峩撒", "漢撒"로 불리기도 했다. 후사도(아창도라고도 불림)라는 도검 제작으로도 유명하다.[5] 현재 33,936명의 아창족 중 90% 이상이 윈난성 남서부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룽촨, 량허, 루시 현에 거주하고 있으며,[2] 나머지는 인근 바오산 주의 룽링 현에 거주한다.[2]

2. 1. 초기 역사

아창족은 윈난성에 가장 먼저 거주하기 시작한 민족 집단 중 하나이다. 그들의 선조는 란창강 유역에서 살다가 12세기 무렵 강의 서쪽 경계로 이주하기 시작했다.[1] 13세기에 그들 중 일부는 지금의 룽촨군에, 다른 그룹은 량허에 살게 되었다.[1] 명청 시대에 그들은 향촌의 촌장 역을 많이 맡았었다.

아창족은 2000년 전 쓰촨성, 간쑤성과 쓰촨성의 경계 지역에 거주했던 강족의 후손이다.[1] 원나라(1271~1368년) 시대에 윈룽 지역에 살았다.[2] 아창족은 윈난 성의 가장 오래된 주민 중 하나로 여겨진다.[3] 그들의 지도자 자오가이(Zaogai)는 부족 지도자의 계승은 전임 지도자의 장남만 가능하도록 규칙을 만들었다.[4] 아창 공동체는 강해졌고 진치(Jinchi)와 보(Bo)와 같은 다른 왕국들과 무역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4] 아창족은 당나라 시대 슝촨(Xunchuan) 사람들의 후손이었다.[4]

명나라(1368년) 홍무제(洪武帝) 16년(1383년), 주오나(Zuona)의 지휘 아래 아창족은 명나라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했다.[3] 홍무 시대에 한족 출신의 단보(Duanbo)가 운룡 지역의 지사로 임명되었고, 그때부터 아창족은 몰락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남서쪽의 더훙(Dehong) 지역으로 이주하여 고향 땅을 잃었다.[3]

아창족 선주민들은 일찍부터 윈난 성 북서부의 진사강(金沙江), 란창강(瀾滄江), 누강(怒江) 유역 일대에서 생활해 왔다. 서기 13세기에 여러 차례의 이동을 거쳐 현재 거주하는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아창족 사람들은 방어를 위해 변방에 주둔하던 군인들로부터 논농사와 철기 제작 기술을 배우고, 농업과 수공업의 분업을 추진하여 상품 경제가 초기 단계로 발전했다.

당나라와 북송 시대에 아창족 거주 지역은 남조(南詔)와 대리(大理)의 관할 하에 놓였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아창족이 족장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신중국 건국 이전, 아창족 지역은 봉건적인 영주 경제 하에 놓였고, 지주 경제도 어느 정도 발전했다. 당시 영주는 대부분 擺族의 족장이었고, 지주는 대부분 한족(漢民族)이었다.

2. 2. 명나라 시기

13세기 무렵 아창족의 일부는 현재의 룽촨군에, 다른 그룹은 량허에 살게 되었다. 명나라 홍무제(洪武帝) 16년(1383년), 주오나(Zuona)의 지휘 아래 아창족은 명나라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했다.[3] 홍무 시대에 한족 출신의 단보(Duanbo)가 운룡 지역의 지사로 임명되었고, 그때부터 아창족은 몰락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남서쪽의 더훙 지역으로 이주하여 고향 땅을 잃었다.[3] 명청시대에 아창족은 향촌의 촌장역을 많이 맡았었다.

2. 3. 근현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아창족 지역은 봉건적인 영주 경제와 지주 경제 체제였다. 당시 영주는 대부분 파족 출신 족장이었고, 지주는 대부분 한족이었다.[5]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아창족은 자치권을 얻고 자신들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며 발전시키고 있다.

3. 지리적 분포

아창족은 주로 윈난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룽촨현, 량허현, 루시현에 거주하며,[2] 소수는 잉장현, 망시, 루이리시바오산시룽링현, 텅충시에 분포한다.[2]

3. 1. 민족향

4. 문화

아창족 문화에서 음악과 노래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세대를 거쳐 전승되고 있다. 모든 의식은 춤과 노래로 마무리된다. 미혼의 젊은이들은 머리카락을 두 갈래로 땋아 머리 위에 모아 빗는다.[1]

4. 1. 의복

아창족의 전통 의복은 마을마다 차이가 있다. 기혼 여성은 긴 치마를 입고, 미혼 여성은 바지를 입어 구별한다. 남성은 단추가 옆구리 쪽에 달린 파란색이나 검은색 셔츠를 입는다. 미혼 남성은 흰색 천으로 머리를 감싸고, 기혼 남성은 파란색 천을 쓴다.

4. 2. 장례

아창족은 불교식 장례를 치르는데, 20m 길이의 직물 끈으로 관을 묶는다. 의식을 집행하는 승려는 그 끈을 쥐고 관 앞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 의식은 승려가 죽은 이의 영혼이 마지막 종착지까지 무사히 가도록 인도함을 상징한다. 죽은 이의 시체는 아무런 장식 없이 화장하는데, 이는 장식이 죽은 이의 환생을 방해하고 오염시킨다고 믿기 때문이다.[1]

4. 3. 언어

아창족은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 버마어군에 속하는 아창어(阿昌語)를 사용한다.[1] 량허(梁河), 롱촨(隴川), 루시(潞西) 등 3개 지역의 방언이 있다.[2] 자체 문자가 없으며 한자이(彞)족 문자를 사용하는 관습이 있다.[3]

4. 4. 기타

아창족은 户撒刀|후사다오중국어(Husa Knife, 후사도, 아창도라고도 불림)라는 도검 제작으로 유명하다.[5] 이 도검 제작은 아창족 남성의 주요 부업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chang Ethnic Minority http://www.chinacult[...] Ministry of Culture 2007-01-21
[2] 웹사이트 The Achang Ethnic Group – The Ballad Singers https://gbtimes.com/[...] 2019-11-25
[3]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China's Achang People https://theculturetr[...] 2018-06-21
[4] 웹사이트 Achang Minority http://factsanddetai[...] July 2015
[5] 웹사이트 アチャン族 阿昌族@中国まるごと百科事典 http://www.allchinai[...] 2024-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