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치어는 과테말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키체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Ethnologue와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는 아치어를 독립된 언어로 분류하지만,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키체어의 방언으로 보는 시각이 유력하다. 아치어는 음성학적으로 키체어와 유사하며, 연구개음과 구개수음의 구별이 존재하지만, 구개음화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구개수음의 인두음화가 두드러진다. 아치어는 라비날 방언을 표준으로 삼고 있으며, 음운론적으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아치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아치어 |
고유 이름 | Achiʼ |
사용 국가 | 과테말라 |
사용 지역 | 바하베라파스주 |
사용자 수 | 124,000명 (2019년 인구 조사) |
민족 | 161,000명 아치족 (2019년 인구 조사)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마야어족 |
어파 | 키체-맘어군 |
어군 | 대 키체어군 |
어계 | 키체어군 |
분파 | 키체-아치어군 |
언어 코드 | |
ISO 639-3 | acr |
Glottolog | achi1256 |
추가 정보 | |
소수 언어 | 과테말라 |
관리 기관 |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 |
2. 분류
아치어는 키체어와 가까운 언어로, Ethnologue와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에서는 독립된 언어로 분류하지만, 일부 언어학자들은 키체어의 방언으로 보기도 한다[8]。
2. 1. 키체어와의 관계
Ethnologue 제15판(2005년)에서는 라비날의 아치어와 Cubulco|쿠불코영어의 아치어를 두 개의 독립된 언어로 분류했지만, 2009년에 이 구별은 폐지되었다[7]。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와 Ethnologue는 아치어를 독립된 언어로 보고 있지만,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아치어를 키체어의 방언으로 보는 설도 유력하다. 라일 캠벨에 따르면, 키체족과 아치족은 과테말라에서 민족적으로 구분되지만, 언어적으로는 방언으로 취급한다고 한다[8]。
카우프만의 1974년 분류에 따르면, 키체어는 동부·북부·중앙·서부 방언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다시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그러나 화자 자신은 그러한 분류보다는 출신 무니시피오에 따라 언어를 구분한다[9]。로메로에 따르면 고지대 마야에서는 언어의 상호 이해 가능성에 따른 분류와 민족의 분류가 일치하지 않는다[10]。 아치어는 카우프만의 동부 방언의 일부에 해당한다.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는 라비날 방언을 아치어의 표준으로 삼았고, 국립 문해 교육 위원회(Comité Nacional de Alfabetización|코미테 나시오날 데 알파베티사시온es)는 라비날 방언에 기반하여 교과서를 만들었지만, 쿠불코의 아치어는 라비날 방언과 크게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11]。
음성학적으로는 키체어와 마찬가지로 연구개음 k kʼ 과 구개수음 q qʼ 의 구별이 있지만, 키체어의 특징인 일부 언어 환경에서의 연구개음의 구개음화 (예: ''keej'' 「사슴」)는 아치어에서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며[12], 그 대신 구개수음의 인두음화 현상이 두드러진다[13]。
2. 2. 독립된 언어
Ethnologue 제15판(2005년)에서는 라비날의 아치어와 Cubulco|쿠불코영어의 아치어를 두 개의 독립된 언어로 분류했지만, 2009년에 이 구별은 폐지되었다[7]。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와 Ethnologue는 아치어를 독립된 언어로 보고 있지만,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아치어를 키체어의 방언으로 보는 설도 유력하다. 라일 캠벨에 따르면, 키체족과 아치족은 과테말라에서 민족적으로 구분되지만, 언어적으로는 방언으로 취급한다고 한다[8]。
카우프만의 1974년 분류에 따르면, 키체어는 동부·북부·중앙·서부 방언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다시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그러나 화자 자신은 그러한 분류보다는 출신 무니시피오에 따라 언어를 구분한다[9]。로메로에 따르면 고지대 마야에서는 언어의 상호 이해 가능성에 따른 분류와 민족의 분류가 일치하지 않는다[10]。 아치어는 카우프만의 동부 방언의 일부에 해당한다.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는 라비날 방언을 아치어의 표준으로 삼았고, 국립 문해 교육 위원회(Comité Nacional de Alfabetización|코미테 나시오날 데 알파베티사시온es)는 라비날 방언에 기반하여 교과서를 만들었지만, 쿠불코의 아치어는 라비날 방언과 크게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11]。
음성학적으로는 키체어와 마찬가지로 연구개음 k kʼ 과 구개수음 q qʼ 의 구별이 있지만, 키체어의 특징인 일부 언어 환경에서의 연구개음의 구개음화 (예: ''keej'' 「사슴」)는 아치어에서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며[12], 그 대신 구개수음의 인두음화 현상이 두드러진다[13]。
2. 3. 방언
Ethnologue 제15판(2005년)에서는 라비날의 아치어와 Cubulco|쿠불코영어의 아치어를 두 개의 독립된 언어로 분류했지만, 2009년에 이 구별은 폐지되었다[7]。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와 Ethnologue는 아치어를 독립된 언어로 보고 있지만,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아치어를 키체어의 방언으로 보는 설도 유력하다. 라일 캠벨에 따르면, 키체족과 아치족은 과테말라에서 민족적으로 구분되지만, 언어적으로는 방언으로 취급한다고 한다[8]。
카우프만의 1974년 분류에 따르면, 키체어는 동부·북부·중앙·서부 방언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다시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그러나 화자 자신은 그러한 분류보다는 출신 무니시피오에 따라 언어를 구분한다[9]。로메로에 따르면 고지대 마야에서는 언어의 상호 이해 가능성에 따른 분류와 민족의 분류가 일치하지 않는다[10]。 아치어는 카우프만의 동부 방언의 일부에 해당한다.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는 라비날 방언을 아치어의 표준으로 삼았고, 국립 문해 교육 위원회(Comité Nacional de Alfabetización|코미테 나시오날 데 알파베티사시온es, CONALFA)는 라비날 방언에 기반하여 교과서를 만들었지만, 쿠불코의 아치어는 라비날 방언과 크게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11]。
음성학적으로는 키체어와 마찬가지로 연구개음 k kʼ 과 구개수음 q qʼ 의 구별이 있지만, 키체어의 특징인 일부 언어 환경에서의 연구개음의 구개음화 (예: ''keej'' 「사슴」)는 아치어에서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며[12], 그 대신 구개수음의 인두음화 현상이 두드러진다[13]。
3. 음운론
다음 표는 아치어의 자음[1]과 모음[2] 음소를 나타낸다. 왼쪽은 사용되는 철자법[3]이다.
- 무성 파열음은 자음 앞에 오거나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 올 때 유기음 [pʰ tʰ kʰ qʰ]을 가질 수 있다.
- 연구개 자음 는 일부 환경에서 연구개 마찰음 으로도 들릴 수 있다.
- 연구개 자음 앞에 오는 은 연구개 비음 으로 들릴 수 있다.
- 무성 자음 앞에 오거나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 있는 소리 자음 은 무성 으로 소리 날 수 있다.[4]
3. 1. 자음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
파열음/ 파찰음 | 무성 | p | t | цru | чru | k | q | ’ru | |
방출음 | tʼ | цʼru | чʼru | kʼ | |||||
내파음 | bʼ | colspan="2" | | |||||||
마찰음 | s | x | j | ӏru | |||||
전동음 | r | ||||||||
접근음 | w | l | y |
- 무성 파열음은 자음 앞에 오거나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 올 때 유기음 [pʰ tʰ kʰ qʰ]을 가질 수 있다.
- 연구개 자음 는 일부 환경에서 연구개 마찰음 으로도 들릴 수 있다.
- 연구개 자음 앞에 오는 은 연구개 비음 으로 들릴 수 있다.
- 무성 자음 앞에 오거나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 있는 소리 자음 은 무성 으로 소리 날 수 있다.[4]
3. 2. 모음
참조
[1]
문서
Lopez & Iboy
[2]
문서
Lopez & Iboy
[3]
문서
Lopez & Iboy
[4]
서적
Gramática del Idioma Achi
La Antigua Guatemala, Guatemala: Proyecto Lingüístico Francisco Marroquín
[5]
문서
Richards
[6]
간행물
Achi'
http://www.unesco.or[...]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7]
간행물
Achi', Cubulco (retired 2009)
http://www.multitree[...]
MultiTree
[8]
문서
Campbell
[9]
문서
Can Pixabaj
[10]
문서
Romero
[11]
논문
民間小規模支援で実現されたグアテマラ先住民の識字教育
http://www.jca.apc.o[...]
[12]
문서
Romero
[13]
문서
England and Baird
[14]
웹사이트
Rabinal Achi
https://www.ethnolog[...]
[14]
웹사이트
Cubulco Achi
https://www.ethnolog[...]
[14]
에스놀로그
[15]
서적
Gramática del Idioma Achi
La Antigua Guatemala, Guatemala: Proyecto Lingüístico Francisco Marroquí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