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막은 본래 안필승이었으나 일본의 무용가 이시이 바쿠의 이름을 따서 개명한 인물로, 필명은 안추백이다. 경성제2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1930년대 초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의 이론가로 활동하며 평론을 발표했고, 임화, 김남천과 함께 김기진을 비판했다. 카프 해체 후에는 아내 최승희의 매니저 역할을 했다. 광복 후 월북하여 북한 내각의 고위직을 지냈으나, 1958년 한설야 제거를 위한 숙청 과정에서 부르주아 평론가로 몰려 숙청당했다. 무용평론가 안재승이 동생이며, 최승희와의 사이에서 딸 안성희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평론가 - 윤두헌
윤두헌은 일제강점기 친일적인 문학 활동을 했으며 광복 후 월북하여 조선작가동맹 부위원장을 지냈으나 숙청당한 문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평론가 - 백석
백석은 본명이 백기연이며,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시를 썼으며, 일제강점기와 분단 시대를 거쳐 1996년에 사망한 시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주세죽
주세죽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로, 조선공산당 활동, 근우회 결성 참여 등 항일 운동을 전개했으며 박헌영과 결혼 후 소련 망명, 김단야와 재혼, 이후 일본 밀정 혐의 체포 및 유배, 소련 거주 중 사망 후 명예 회복 및 건국훈장 추서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박영호 (극작가)
박영호는 일제강점기 카프 계열 극작가이자 〈짝사랑〉, 〈오빠는 풍각쟁이〉 등의 히트곡을 낸 작사가로, 친일 활동으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광복 후 월북하여 북조선연극인동맹 초대 위원장을 지냈다.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동문 - 권옥연
권옥연은 함경남도 함흥 출신의 서양화가로,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화를 그렸으며, 194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청회색 톤의 작품을 선보이고 무의자박물관을 운영하다 2011년 작고했다.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동문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안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안막 |
| 본명 | 안필승(安弼承) → 안막(安漠) |
| 출생일 | 1910년 4월 18일 |
| 출생지 | 대한제국 경기도 안성군 고삼면 |
| 사망일 | ? |
| 거주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특별시 |
| 본관 | 구 죽산 안씨 |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직업 | 문학 평론가 겸 정치인 |
| 학력 | 일본 도쿄 와세다 대학교 노어노문학과 학사 |
| 정당 | 무소속 |
| 배우자 | 최승희 |
| 자녀 | 안성희(딸) |
| 형제 | 안용승(동복 형) 안재승(이복 아우) |
| 친인척 | 안재수(친조부) 김백봉(이복 제수) 최승일(손윗처남) 석금성(손윗처남댁) 안기옥(6촌 재종형) 안회남(6촌 재종형) 안흥재(동복 조카) 안순옥(동복 조카딸) 안성현(7촌 조카) 성동월(7촌 질부) 안필수(동복 종조부) 안경수(이복 종조부) 안서현(동복 종조부) 안국선(5촌 종숙부) 안영길(5촌 종숙부) 안기(친고조부) 안광일(친증조부) 안길묵(종증조부) |
| 경력 | |
| 주요 경력 | 카프 동맹 중앙위원 역임 |
| 관직 | |
| 직책 | 문화선전성 부상 |
| 임기 | 1955년 12월 15일~1957년 9월 20일 |
| 장관 | 허정숙(문화선전성 문화선전상) |
| 수상 | 김일성 |
| 주석 | 김두봉 김원봉(권한대행) 최용건 |
| 웹사이트 | |
2. 이름
개명 이전의 이름은 '''안필승'''(安弼承)이며, 필명(筆名)은 '''안추백'''(安萩白)이다. 이후 '''안막'''(安漠)으로 개명했는데, 이는 일본의 무용가 이시이 바쿠(石井 漠)의 이름을 따서 스스로 개명한 것이다.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죽산 안씨를 본관으로 하였다. 경성제2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9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유학하며 사회주의 운동에 뛰어들었다. 1931년 최승희와 결혼했다.[1]
3. 생애
1930년대 초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카프)의 핵심 이론가로 활동하며, 임화, 김남천과 함께 김기진을 비판하는 평론을 썼다. 1930년대 중반 카프 해체 및 투옥 이후에는 아내 최승희의 매니저 역할에 전념하였다.
광복 직후 월북하여 1950년대 중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부상을 지내는 등 고위직을 역임했으나, 1958년 한설야 숙청의 사전 작업으로 진행된 카프 계열 문학 인사 정리 과정에서 서만일, 윤두헌과 함께 부르주아 평론가로 몰려 숙청,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
무용평론가 겸 연출가 안재승은 그의 남동생이며, 최승희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 안성희(초명 '안승자')는 발레 무용수였다. 동요 〈엄마야 누나야〉의 작곡가 안성현은 안막의 조카이다.[2]
3. 1. 초기 생애와 사회주의 활동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죽산이다. 경성제2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9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유학하며 사회주의 운동에 뛰어들었다. 사회주의 계열의 문예운동가였던 최승일과 박영희의 소개로 최승희를 만나[1] 1931년 결혼했다. 최승일은 최승희의 오빠이다.
1930년대 초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의 주요 이론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카프 시절 평론으로는 〈프로 예술의 형식문제 -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길로〉(1930), 〈조선 프로예술가가 당면한 긴급한 임무〉(1930), 〈창작방법문제의 재토의를 위하여〉(1933)가 있다. 같은 일본 유학파이며 소장파인 임화, 김남천과 함께 김기진을 비판하는 내용의 평론을 썼다. 1930년대 중반 카프가 해체되고 투옥된 이후에는 뚜렷한 활동이 거의 없었으며 아내 최승희의 매니저 역할에 전념하였다.
무용평론가이자 연출가인 안재승은 남동생이며, 최승희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 안성희(초명 '안승자')는 발레 무용수였다. 동요 〈엄마야 누나야〉의 작곡가 안성현은 안막의 조카이다.[2]
3. 2. 카프 활동과 이론적 기여
1929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유학하며 사회주의 운동에 뛰어들었다. 사회주의 계열의 문예운동가이던 최승일, 박영희의 소개로 최승희와 만나[1] 1931년 결혼했다. 최승일은 최승희의 오빠이다.
1930년대 초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의 이론가로서 활발한 활동을 했으며, 카프 시절의 평론으로는 〈프로 예술의 형식문제 -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길로〉(1930), 〈조선 프로예술가가 당면한 긴급한 임무〉(1930), 〈창작방법문제의 재토의를 위하여〉(1933)가 있다. 같은 일본 유학파이며 소장파인 임화, 김남천과 더불어 김기진을 비판하는 내용의 평론을 썼다.
3. 3. 카프 해체 이후와 월북
1931년 최승희와 결혼했다.[1] 최승희의 오빠는 최승일이다.
1930년대 중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가 해체되고 투옥된 이후에는 두드러지는 활동이 거의 없었으며, 아내 최승희의 매니저 역할에 전념하였다.
광복 후 곧바로 월북했고, 1950년대 중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부상을 지내는 등 내각의 고위직에서 일했으나, 1958년 소설가 한설야 제거에 대한 사전 작업으로 카프 계열 문학 인사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질 때 서만일, 윤두헌과 함께 부르주아 평론가로 몰려 숙청당해 곧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자세한 사망 경위나 사망 연도는 알려진 바가 없다.
3. 4. 북한에서의 활동과 숙청
광복 후 곧바로 월북했고, 1950년대 중반에 문화선전성 부상을 지내는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의 고위직에서 일했으나 1958년 소설가 한설야 제거에 대한 사전 작업으로 카프 계열 문학 인사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질 때 서만일, 윤두헌과 함께 부르주아 평론가로 몰려 숙청당해 곧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 자세한 사망 경위나 사망 연도는 알려진 바가 없다.
4. 가족 관계
| 구 분 | 내 용 |
|---|---|
| 아내 | 최승희(1911년 11월 24일 ~ 1969년 8월 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용가.) |
| 딸 | 안성희(安聖喜, 1936년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발레 무용가. 아명(兒名)은 안승자(安承子).) |
| 동복 친형 | 안용승(安龍承, 1903년 ~ ?, 함경남도 함흥 지역의 유지.) |
| 조카 | 안흥재(安興在, 1924년 ~ 1948년, 함경남도 함흥 지역의 유지 2세.) |
| 조카딸 | 안순옥(安順玉, 1927년 ~ ?, 함경남도 흥남 지역의 부농 집안으로 출가.) |
| 이복 동생 | 안재승(安載承, 1926년 ~ 1996년, 전직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연극 연출가 겸 무용 평론가.) |
| 이복 제수 | 김백봉(1927년 2월 12일 ~ 현재, 무용가 겸 대학 교수, 전직 숙명여자대학교 무용학과 객원교수, 전직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
| 동복 손윗 처남 | 최승일(崔承一, 1901년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겸 극작가.) |
| 6촌 재종형 | 안기옥(安基玉, 1899년 ~ ?, 가야금 산조 명인.) |
| 7촌 재종조카 | 안성현(1920년 7월 13일 ~ 2006년 4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테너 성악가 겸 작곡가.) |
5. 주요 경력
- 카프 동맹 중앙위원 역임
- 조선로동당 당무위원 역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부상 역임
참조
[1]
뉴스
"그를 위해 예술도 버릴 수 있었다" - 박민일 전 강원대 교수, 무용가 최승희 러브스토리 공개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6-07-17
[2]
뉴스
"'엄마야 누나야' 작곡가 안성현 사망"
연합뉴스
2006-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