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 세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토니오 세니는 이탈리아의 정치인으로, 1891년 사사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이탈리아 국민당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기독교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1955년부터 1957년까지,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두 차례 이탈리아 총리를 지냈다. 1962년에는 이탈리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재임 중 뇌출혈로 사임했다. 세니는 유럽 통합을 지지하고, 토지 개혁을 추진하는 등 이탈리아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사리 출신 - 프란체스코 코시가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의 내무부 장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알도 모로 납치 사건과 비밀 조직 글라디오 등의 논란을 거치며 이탈리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논쟁을 남긴 인물이다. - 사사리 출신 - 엔리코 베를링구에르
엔리코 베를링구에르는 이탈리아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파시즘에 저항하며 정치에 입문하여 유럽 공산주의 노선을 추구, 서방 유럽에서 인정받고 이탈리아 사회에 큰 영향을 남긴 정치인이다. - 사르데냐주 출신 - 안토니오 그람시
안토니오 그람시는 이탈리아 공산당 창립에 기여하고 파시즘 정권 하에서 헤게모니 이론을 정립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정치인, 언론인으로, 그의 사상은 서구 마르크스주의와 다양한 분야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사르데냐주 출신 - 미켈라 무르자
이탈리아의 작가, 칼럼니스트, 언론인, 극작가, 배우였던 미켈라 무르자는 콜센터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적 착취 문제를 다룬 데뷔작으로 주목받았고, 소설 《아카바도라》로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사르데냐 지방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으나, 말년에 신세포암종으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대통령 - 프란체스코 코시가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의 내무부 장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알도 모로 납치 사건과 비밀 조직 글라디오 등의 논란을 거치며 이탈리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논쟁을 남긴 인물이다. - 이탈리아의 대통령 - 조르조 나폴리타노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이탈리아 공산당 출신의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 출신 대통령이자 재선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안토니오 세니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
이탈리아 대통령 | [[File:Flag of the President of Italy.svg|20px]] |
임기 시작 | 1962년 5월 11일 |
임기 종료 | 1964년 12월 6일 |
총리 | 아민토레 판파니 조반니 레오네 알도 모로 |
이전 대통령 | 조반니 그론키 |
다음 대통령 | 주세페 사라가트 |
총리 | |
임기 시작 | 1959년 2월 16일 |
임기 종료 | 1960년 3월 26일 |
대통령 | 조반니 그론키 |
이전 총리 | 아민토레 판파니 |
다음 총리 | 페르난도 탐브로니 |
임기 시작 (2) | 1955년 7월 6일 |
임기 종료 (2) | 1957년 5월 20일 |
대통령 (2) | 조반니 그론키 |
부총리 (2) | 주세페 사라가트 |
이전 총리 (2) | 마리오 셸바 |
다음 총리 (2) | 아도네 졸리 |
부총리 | |
총리 | 아민토레 판파니 |
임기 시작 | 1958년 7월 2일 |
임기 종료 | 1959년 2월 16일 |
이전 부총리 | 주세페 펠라 |
다음 부총리 | 아틸리오 피초니 |
장관 | |
외무부 장관 | 페르난도 탐브로니 아민토레 판파니 |
외무부 장관 임기 시작 | 1960년 3월 26일 |
외무부 장관 임기 종료 | 1962년 5월 7일 |
이전 외무부 장관 | 주세페 펠라 |
다음 외무부 장관 | 아민토레 판파니 |
내무부 장관 | 본인 |
내무부 장관 임기 시작 | 1959년 2월 16일 |
내무부 장관 임기 종료 | 1960년 3월 26일 |
이전 내무부 장관 | 페르난도 탐브로니 |
다음 내무부 장관 | 주세페 스파타로 |
국방부 장관 | 아민토레 판파니 |
국방부 장관 임기 시작 | 1958년 7월 2일 |
국방부 장관 임기 종료 | 1959년 2월 16일 |
이전 국방부 장관 | 파올로 에밀리오 타비아니 |
다음 국방부 장관 | 줄리오 안드레오티 |
공공 교육부 장관 | 주세페 펠라 |
공공 교육부 장관 임기 시작 | 1953년 8월 17일 |
공공 교육부 장관 임기 종료 | 1954년 1월 19일 |
이전 공공 교육부 장관 | 조반니 베티올 |
다음 공공 교육부 장관 | 에지디오 토사토 |
공공 교육부 장관 (2)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공공 교육부 장관 (2) 임기 시작 | 1951년 7월 26일 |
공공 교육부 장관 (2) 임기 종료 | 1953년 7월 16일 |
이전 공공 교육부 장관 (2) | 귀도 고넬라 |
다음 공공 교육부 장관 (2) | 조반니 베티올 |
농업부 장관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농업부 장관 임기 시작 | 1946년 7월 13일 |
농업부 장관 임기 종료 | 1951년 7월 26일 |
이전 농업부 장관 | 파우스토 굴로 |
다음 농업부 장관 | 아민토레 판파니 |
의회 | |
상원 의원 | 상원 |
상원 의원 임기 시작 | 1964년 12월 6일 |
상원 의원 임기 종료 | 1972년 12월 1일 |
상원 의원 자격 | 종신 |
하원 의원 | 하원 |
하원 의원 임기 시작 | 1948년 5월 8일 |
하원 의원 임기 종료 | 1962년 5월 10일 |
하원 의원 선거구 | 칼리아리–사사리–누오로 |
제헌 의회 의원 | 제헌 의회 |
제헌 의회 의원 임기 시작 | 1946년 6월 25일 |
제헌 의회 의원 임기 종료 | 1948년 1월 31일 |
제헌 의회 의원 선거구 | 칼리아리–사사리–누오로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91년 2월 2일 |
출생지 | 사사리, 이탈리아 |
사망일 | 1972년 12월 1일 |
사망지 | 로마, 이탈리아 |
배우자 | 라우라 카르타 캄프리노 (1921년 결혼) |
자녀 | 4명 (마리오 세니 포함) |
정당 | PPI (1919–1926) DC (1943–1972) |
수상 | 샤를마뉴상 |
![]() |
2. 초기 생애 및 학문 경력
안토니오 세니는 사사리의 사르데냐인 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법률을 전공하고 농업법 및 상법 학위를 취득했다. 1919년 루이지 스투르초가 이끄는 이탈리아 인민당(PPI)에 입당하여 정치에 입문했다.[11] 1923년 당 전국 위원회에 임명되었으며, 1924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사르데냐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당선되지 못했다.[12] 이후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정당이 해산될 때까지 당 협의회원으로 활동했다.
2. 1. 출생과 가계
안토니오 세니는 1891년 사사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첼레스티노 세니는 사사리대학교의 변호사이자 교수였고, 어머니 아네타 캄푸스는 주부였다. 세니는 사르데냐 정치에 종사하는 유복한 가정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사사리 시의회 및 지방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1910년대 초에는 부시장을 지냈다.[3] 세니는 사사리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이탈리아 가톨릭 행동의 한 부서를 설립했다.[4]1913년, 세니는 사사리대학교에서 로마법의 민사소송법에 관한 논문 ''Il vadimonium''으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4] 그는 로마에서 주세페 키오벤다와 함께 공부를 마쳤는데, 그는 키오벤다의 총애를 받는 제자였다. 그는 그 변호사 사무실에서 피에로 칼라만드레이를 만났고, 그와는 평생 지속될 돈독한 우정을 쌓았다.[5]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세니는 포병 장교로 입대했다. 몇 달 후 제대하고 민사소송법을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로서 직업을 계속했다. 1920년, 그는 페루자대학교에서 법학 교수로서 학계 생활을 시작했다. 1921년, 그는 부유한 지주[7]의 딸인 라우라 카르타 카프리노(1896년 4월 18일 – 1977년 7월 21일)[6]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8]를 두었는데, 그중에는 1990년대 초 유명한 정치인이 된 마리오가 있었다.[9][10]
2. 2. 학업 및 교수 활동
안토니오 세니는 1891년 사사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첼레스티노 세니는 사사리대학교의 변호사이자 교수였고, 어머니 아네타 캄푸스는 주부였다. 그는 사르데냐 정치에 종사하는 유복한 가정에서 자랐으며, 아버지는 사사리 시의회 및 지방 의회 의원을 역임하고 1910년대 초에는 부시장을 지냈다.[3] 세니는 사사리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이탈리아 가톨릭 행동의 한 부서를 설립했다.[4]1913년, 사사리대학교에서 로마법의 민사소송법에 관한 논문 ''Il vadimonium''으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졸업했다.[4] 로마에서 주세페 키오벤다의 총애를 받는 제자로 공부했으며, 변호사 사무실에서 피에로 칼라만드레이를 만나 평생 지속될 돈독한 우정을 쌓았다.[5]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포병 장교로 입대했으나, 몇 달 후 제대하고 민사소송법 전문 변호사로 활동했다. 1920년 페루자대학교에서 법학 교수로 학계 생활을 시작했고, 1921년 부유한 지주의 딸인 라우라 카르타 카프리노(1896년 4월 18일 – 1977년 7월 21일)[6]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8]를 두었다. 그중에는 1990년대 초 유명한 정치인이 된 마리오가 있었다.[9][10]
1926년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모든 정치 조직이 해산될 때까지 이탈리아 국민당 당원으로 남아있었다. 이후 17년 동안 정치계를 떠나 파비아, 페루자, 칼리아리, 사사리 대학교에서 민사소송법과 농업법을 가르쳤고, 1946년부터 1951년까지 사사리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13]
2. 3. 결혼
1921년, 세니는 부유한 지주의 딸인 라우라 카르타 카프리노(1896년 4월 18일 ~ 1977년 7월 21일)와 결혼했다.[6][7] 슬하에 네 자녀를 두었으며,[8] 그중에는 1990년대 초 유명한 정치인이 된 마리오가 있었다.[9][10]3. 정치 경력
1943년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이 몰락한 후, 세니는 기독교 민주당(DC) 창당에 참여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14] 1946년 의원으로 선출되어 데 가스페리 내각에서 농림장관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1955년에는 총리로 취임하여 1957년까지 재직했으며, 이 기간 동안 유럽 경제 공동체(EEC) 창설을 위한 로마 조약 체결을 이끌었다.[41]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다시 총리 겸 내무장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외무장관을 거쳐 1962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3. 1. 이탈리아 인민당 활동
이탈리아 인민당에 참여하여 당 전국위원이 되었지만,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하에서 인민당이 불법화되자 대학에서 법률을 강의하며 생계를 유지했다.[94]3. 2. 기독교민주당 창당과 전후 활동
1943년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 몰락 이후, 세니는 이탈리아 인민당의 계승자인 기독교 민주당(DC)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4] 1944년 12월 12일, 그는 보노미 2차 내각에서 농업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15]3. 3. 농림부 장관 및 토지 개혁
1946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세니는 카글리아리-사사리-누오로-오리스타노 선거구에서 4만 표 이상을 얻어 제헌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16] 1946년 7월 13일, 그는 제2차 데 가스페리 정부에서 농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7] 장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그는 전쟁 종전 후 이탈리아의 상황 개선에 도움이 되는 농업 생산량 증대에 주력했다. 세니는 농업 계약을 개혁하려 했지만 보수파와 기독교 민주당(DC)의 많은 구성원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이 법안의 실패는 토지 개혁의 시행 시기를 앞당겼다.[18]
1950년 10월 이탈리아 의회에서 승인된 토지 개혁은 1947년 미국이 시작한 마셜 플랜 자금의 일부로 지원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전후 시대의 가장 중요한 개혁으로 여긴다.[19] 세니의 개혁은 강제 수용을 통해 토지를 농업 노동자들에게 분배하여 소규모 사업주로 만들고 대지주에게 종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안했다.[20] 이 개혁이 어떤 면에서는 유익한 결과를 가져왔지만, 다른 면에서는 농장 규모를 크게 축소하여 선진적인 사업으로 전환할 가능성을 사실상 제거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는 협동조합 형태를 통해 완화되거나 어떤 경우에는 제거되었다.[21]
지주였던 세니는 사르데냐섬에 있는 자신의 토지 대부분의 수용을 명령했다.[22] 그는 농업 개혁으로 "백색 볼셰비키"로 알려지게 되었다.[23] 현대 역사가들은 지주들이 세니에게 유리하게 대우받았고, 그의 법령으로 이전 행정부가 농민들에게 부여했던 토지를 지주들이 되찾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24]
3. 4. 교육부 장관
1951년 7월, 내각 개편 후 세니는 농업부 장관직을 떠나 데 가스페리 7차 정부의 이탈리아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어 귀도 고넬라의 뒤를 이었다.[25]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세니는 특히 문맹 퇴치, 교육 활동 개선, 그리고 전국적인 새로운 학교 건설에 힘썼다. 그러나 그는 전임자의 중요한 개혁들을 계속하지는 않았다. 그는 개혁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려고 했지만, 이러한 조치에 자금을 지원해야 할 부처들에서조차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세니는 고등학교 입시를 대학 입학 시험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는 거부되었다.[26] 그의 개혁은 고넬라의 것과는 매우 다른 세속적인 학교에 대한 그의 생각으로 인해 야당으로부터 다양한 찬사를 받았지만, 전임자의 개혁만큼 야심 차지는 않았다.[27]

1953년 이탈리아 총선은 선거법의 변화를 특징으로 했다. 일반적인 구조는 손상되지 않았지만, 정부는 전체 투표에서 절대 다수를 얻은 연합에 의회 의석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다수당 보너스 제도를 도입했다. 이 변화는 야당과 이 제도하에서는 성공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없는 기독교민주당의 소규모 연합 파트너들 모두에게 강력하게 반대되었다. 이 새로운 법은 비판자들에 의해 "사기법"이라고 불렸다.[28] 여기에는 기독교민주당의 인위적인 압도적 승리를 부인하기 위해 특별한 야당을 결성한 소규모 정부 당의 일부 반대파도 포함되었다.
선거법에 대한 야당의 선거 운동은 목표를 달성했고, 정부 연합은 전국 투표의 49.9%를 얻었는데, 이는 압도적 다수를 위한 문턱인 몇 천 표에 불과했다. 그 결과 의석의 일반적인 비례 배분이 이루어졌다. 기술적으로 정부는 양원 모두에서 명확한 다수 의석을 얻어 선거에서 승리했다. 1953년 7월, 세니는 새로 구성된 알치데 데 가스페리 정부에서 해임되었다.[29] 압도적 다수를 얻지 못한 데 대한 좌절감은 주요 연합에 상당한 긴장을 초래했고, 데 가스페리는 8월 2일 이탈리아 의회에 의해 사임하도록 강요받았다.[30] 8월 17일, 이탈리아 대통령 루이지 에이나우디는 펠라를 새로운 총리로 임명했고, 펠라는 세니를 교육부 장관으로 선택했다.[31] 펠라는 단 5개월 만에 실각했다.[32][33] 이후 아민토레 판파니와 마리오 셸바 정부에서는 세니가 어떤 직책에도 임명되지 않았다.[34]
3. 5. 총리 재임 (1, 2차)
1955년 이탈리아 대통령 선거에서 조반니 그롱키가 새로운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스첼바 총리와 기독교민주당(DC) 지도자 판파니 사이에 정치적 위기가 발생했다.[36] 1955년 7월, 스첼바가 사임하자 세니가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는 임무를 맡았다.[37] 그는 기독교민주당(DC),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 이탈리아 자유당(PLI)의 승인을 얻었고, 이탈리아 공화당(PRI)의 외곽 지지를 확보하여, 7월 6일 새로운 총리로 취임했다. 7월 18일, 정부 프로그램은 하원에서 찬성 293표, 반대 265표로 승인되었고, 7월 22일 이탈리아 공화국 상원에서 찬성 121표, 반대 100표로 신임 투표가 통과되었다.[38]
세니의 첫 번째 정부는 이탈리아 공화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내각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진다.[39] 1955년 이탈리아는 국제 연합(UN)에 가입했고,[40] 1957년 3월에는 유럽 경제 공동체(EEC) 창설을 가져온 로마 조약에 서명했다.[41] 로마 조약은 오늘날 유럽 연합(EU)의 두 가지 가장 중요한 조약 중 하나이다.[42]
세니는 유럽 통합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서독과의 관계를 강화했다.[43] 총리로서 1956년 수에즈 사태에 직면하여 이탈리아의 경제적 이익을 지켰다.[44]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세니는 판파니와 종종 갈등을 겪었다. 1956년 헝가리 혁명에 대한 소련의 탄압은 두 사람을 더욱 분열시켰다. 세니는 판파니가 요구한 반공 입법 개입에 반대했다.[45]
내정 면에서 세니 정부는 국가 경제 노동 평의회(CNEL)와 사법부 고등 평의회를 설립했으며, 이탈리아 헌법재판소를 공식 개소했다.[46] 1957년 5월, 이탈리아 사회민주당(PSDI)이 정부 지지를 철회하자 세니는 5월 6일에 사임했다.[47]

1958년 7월, 졸리가 의회 다수당 지위를 상실한 후 사임하자 판파니가 다시 총리가 되었고, 세니는 이탈리아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49] 세니는 이탈리아군의 이익을 대변하고, NATO의 미사일 기지(핵무기용)를 수용했다.[50][51]
1959년 1월, 기독교 민주당 의원들이 자당 정부에 반대표를 던지기 시작하여 판파니는 1959년 1월 26일 사임했다.[52] 1959년 2월, 그론키는 세니에게 새로운 내각을 구성할 임무를 맡겼고, 세니는 2월 16일 공식적으로 새로운 총리로 취임했다.[53] 세니는 기독교 민주당(DC) 당원들로만 구성된 일당 정부를 구성했으며, 중도우파 및 우파 소수 정당과 신파시스트 이탈리아 사회운동(MSI)의 외적 지지를 받았다.[54]
세니는 대서양 연대를 강화하고 이탈리아를 미국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유럽 동맹국으로 제시하려고 했다. 그는 또한 판파니가 지지했던 좌파 개방의 시대에 대서양주의를 옹호했다. 이탈리아의 GDP는 6% 이상 성장하여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55]
사회 정책 측면에서는 사회 복지에 대한 다양한 개혁이 이루어졌다. 1959년 3월 21일 법률은 직업병에 대한 보험을 농업 노동자에게까지 확대했으며, 1959년 5월 17일 승인된 법률은 퇴직 공무원에게 특별 추가 보상금을 도입했다. 1959년 7월 4일 자 또 다른 중요한 법률은 모든 장인에게 연금 보험을 확대했다.[56]
1960년 3월, 자유주의당(PLI)이 정부 지지를 철회하면서 세니는 사임해야 했다. 페르난도 탐브로니 정부가 몇 달간 집권한 후, 판파니는 7월 26일 다시 총리가 되었고, 세니는 외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57]
3. 6. 외무부 장관
1961년 6월, 외무장관 재직 중 일본을 방문했다.[94]4. 이탈리아 대통령
1962년 대통령 선거에서 기독교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61][62] 그의 당선에는 군주주의자와 신파시스트 대표들의 표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3] 이로써 기독교민주당의 공식 후보가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85]
대통령 재임 중 바이온트 댐 참사라는 비극적인 사건을 겪어야 했다.[66] 1963년 10월 9일, 포르데노네(Pordenone) 주 몬테 토크(Monte Toc)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인공 호수에서 250m 높이의 파도가 댐을 넘어 5,000만 입방미터의 물이 넘쳐흘렀다. 이로 인해 롱가로네를 비롯한 여러 마을과 도시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1,917명이 사망했다.[67]
1964년 6월에는 알도 모로 정부가 의회에서 패배하면서 정치적 위기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세니는 '피아노 솔로'라는 쿠데타 계획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86][87] 이 계획은 카라비니에리를 동원하여 좌파 정치인들을 체포하고 주요 기관을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87]
같은 해 8월 7일, 세니는 퀴리날레 궁에서 알도 모로, 주세페 사라가트와 회의를 하던 중 심각한 뇌출혈을 겪었다.[77] 당시 그의 나이는 73세였다.[77]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지만, 1964년 12월 6일 사퇴하기로 결정했다.[79] 메르차고라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했다.[78] 사임 직후 세니는 당연직 종신 상원의원으로 임명되었다. 1964년 이탈리아 대통령 선거 결과 사라가트가 12월 29일에 당선되었다.[80]
4. 1. 당선
1962년 5월 6일에 치러진 대선에서 854표 중 443표를 얻어 당선되었다.[61][62] 그의 당선은 군주주의자와 신파시스트 대표들의 표 덕분이었다.[63] 이로써 기독교민주당의 공식 후보가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85]1962년 대통령 선거 | ||||
---|---|---|---|---|
후보 | 지지 정당 | 득표수 | % | |
bgcolor="" | | 안토니오 세니 (Antonio Segni) | DC, MSI, PDIUM | 443 | 51.9 |
bgcolor="" | | 주세페 사라가트 (Giuseppe Saragat) | PSDI, PSI, PCI, PRI | 334 | 39.1 |
bgcolor="" | | 기타/무효표 | 77 | 9.0 | |
합계 | 854 | 100.0 |
4. 2. 바이온트 댐 참사

안토니오 세니는 대통령으로서 이탈리아 공화국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인 바이온트 댐(Vajont Dam) 사고에 직면해야 했다.[66] 1963년 10월 9일, 포르데노네(Pordenone) 주 몬테 토크(Monte Toc)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이 산사태로 인공 호수에서 250m 높이의 파도가 댐을 넘어 5,000만 입방미터의 물이 넘쳐흘렀고, 롱가로네를 비롯한 여러 마을과 도시가 완전히 파괴되어 1,917명이 사망했다.[67] 이전 몇 달 동안, 댐을 소유하고 있던 아드리아 전력회사(SADE)와 이탈리아 정부는 분지 남쪽의 몬테 토크의 지질학적 불안정성과 재난 발생 전에 보고된 기타 조기 경고 징후를 설명하는 증거와 보고서를 무시하고 은폐했다.[68]
다음 날, 세니는 피해 지역을 방문하여 희생자들을 위한 정의를 약속했다.[69] 재난 직후, 정부와 지방 당국은 모두 이 비극을 예측할 수 없고 불가피한 자연 사건으로 돌리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명에도 불구하고, 이전 몇 달 동안 수많은 경고, 위험 징후, 부정적인 평가가 무시되었으며, 결국 호수의 수위를 낮추어 산사태를 안전하게 통제하려는 시도는 산사태가 거의 임박했을 때 이루어졌고, 이를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70] 공산당 신문 ''l'Unità''가 처음으로 경영진과 정부의 행동을 규탄했다.[71] 기독교 민주당(DC)은 이탈리아 공산당(PCI)이 이 비극을 이용하여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 한다고 비난했고, 당시 총리였던 조반니 레오네(Giovanni Leone)는 이 재난으로 사망한 사람들에게 정의를 가져다 줄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총리직이 끝난 지 몇 달 후, 그는 SADE 변호사팀의 수장이 되었고, 이 팀은 생존자에 대한 보상금을 상당히 줄이고 적어도 600명의 희생자에 대한 지불을 배제했다.[72]
4. 3. 1964년 정치 위기와 '피아노 솔로' 쿠데타 계획
1964년 6월 25일, 알도 모로 정부는 사립 교육 자금 조달과 관련된 이탈리아 교육부 예산 법안에서 패배했고, 같은 날 모로는 사임했다. 새 내각 구성을 위한 대통령 협의 과정에서 세니는 네니에게 여당에서 이탈할 것을 요청했다.[73]7월 16일, 세니는 새로운 중도좌파 정부 구성 협상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카라비니에리 장군 조반니 드 로렌조를 기독교민주당(DC) 대표자 회의에 파견했다.[74][75] 일부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드 로렌조는 세니가 상원 의장인 체사레 메르자고라에게 차기 임무를 맡겨 이탈리아 의회의 모든 보수 세력으로 구성된 대통령 내각을 구성하도록 요청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보고했다. 결국 모로는 또 다른 중도좌파 다수파를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협상 과정에서 네니는 그의 개혁 프로그램 축소를 수용했다. 7월 17일, 모로는 임명 수락과 두 번째 정부 장관 명단을 가지고 퀴리날레 궁으로 향했다.[76]
세니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특히 카라비니에리 사령관이자 왕정주의적 이상을 가진 전 파르티잔인 조반니 드 로렌조 장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64년 3월 25일, 드 로렌조는 밀라노, 로마, 나폴리 사단의 카라비니에리 사령관들과 만나 "피아노 솔로"로 알려진 가상의 국가 위기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했다.[86] 이 계획은 로마의 퀴리날레 궁전과 같은 특정 기관과 텔레비전 및 라디오와 같은 필수 미디어 인프라 점령, 그리고 수백 명의 좌파 정치인들을 사르데냐의 비밀 군 기지로 추방하는 것을 포함한 공산당과 사회당의 무력화 등의 조치들을 담고 있었다.[87] 추방 대상 명단에는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와 같은 지식인들도 포함되어 있었다.[88]
5월 10일, 드 로렌조는 세니에게 자신의 계획을 발표했고, 세니는 이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조르조 갈리와 인드로 몬타넬리 기자는 세니가 실제로 쿠데타를 일으키려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으로 이 계획을 위협으로 사용하려고 했다고 믿었다.[89][90] 쿠데타 계획은 1967년에 유제니오 스칼파리와 리노 야누지 기자가 1967년 5월 이탈리아 뉴스 잡지 ''L'Espresso''에 이 계획을 발표하면서 밝혀졌다.[91] 공식 조사 결과는 1990년대 초까지 기밀로 분류되었다. 글라디오 작전에 대한 의회 조사에 이를 공개한 것은 줄리오 안드레오티 총리였다. ''L'Espresso''는 전국에 약 2만 명의 카라비니에리가 배치될 예정이었고, 로마에는 5,000명 이상의 요원이 있었다고 언급했다.[92] 세니는 이 사실에 대해 조사받은 적이 없다.[93]
4. 4. 뇌출혈과 사임
1964년 8월 7일, 세니는 퀴리날레 궁에서 알도 모로, 주세페 사라가트와 회의를 하던 중 심각한 뇌출혈을 겪었다.[77] 당시 그의 나이는 73세였다.[77] 세니는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지만, 1964년 12월 6일 사퇴하기로 결정했다.[79] 그 사이 메르차고라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했다.[78] 사임 직후 세니는 당연직 종신 상원의원으로 임명되었다. 1964년 이탈리아 대통령 선거 결과 사라가트가 12월 29일에 당선되었다.[80]5. 사망과 유산
1962년 5월 6일에 치러진 대선에서 세니는 854표 중 443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5월 11일부터 정식으로 업무를 수행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1964년 8월 7일 업무 중 뇌일혈로 심각한 고통을 느꼈다. 당시 세니는 73세였다. 부분적으로 회복되긴 했지만, 그해 12월 6일 사퇴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이로써 그는 이탈리아 최초로 대통령직을 사퇴한 인물이 되었다.[83] 이후 주세페 사라가트가 선출되기 전까지 체사레 메르차고라 상원의원이 임시 대통령으로 재직했다.
1972년 12월 1일, 로마에서 조용히 눈을 감았다. 향년 81세였다.[81] 사인은 신장병 질환에 의한 심장마비였다.[94] 정치 경력 내내 온건 보수주의자로 활동했던 세니는, 판파니와 모로가 제안한 "좌파 개방"에 단호히 반대했지만, 동시에 자신의 당이 너무 우익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노력했다.[82]
허약하고 자주 병을 앓았던 세니는 애정 어린 시선으로 "철의 병자(il malato di ferro)"라고 불렸다.[84] 타임지는 한때 그의 친구의 말을 인용하며 "그는 콜로세움과 같습니다. 폐허처럼 보이지만 오랫동안 남아 있을 것입니다."라고 보도했다.[85]
아들인 마리오 세니도 정치인으로, 탕젠토폴리 사건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현재 유럽 의회 의원이다. 1970년대에 이탈리아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유로공산주의를 추진했던 엔리코 베를린게르와 1980년대에 대통령을 지낸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모두 그의 조카이다.
참조
[1]
서적
Parla il Capo dello Stato: sessanta anni di vita repubblicana attraverso il Quirinale 1946–2006
https://books.google[...]
Gangemi Editore spa
2012-10-02
[2]
뉴스
Dimissioni de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https://www.panorama[...]
Panorama
[3]
웹사이트
Antonio Segni, Dizionario Biografico
http://www.treccani.[...]
[4]
서적
The A to Z of Modern Ital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4-02
[5]
뉴스
Antonio Segni, un europeista al Quirinale
https://www.lanuovas[...]
La Nuova Sardegna
[6]
웹사이트
LE SORELLE SASSARESI LAURA E VANNINA CARTA CAPRINO, MOGLI RISPETTIVAMENTE DEL PRESIDENTE ANTONIO SEGNI E DEL PROF. CARLO VERCESI
http://www.tottusinp[...]
[7]
웹사이트
Laura Carta Caprino
https://www.gettyima[...]
[8]
웹사이트
Accademia sarda di storia di cultura e di lingua » Blog Archive » Protagoniste del caritatismo cattolico sassarese (1856–1970) a cura di Angelino Tedde
http://www.accademia[...]
2019-08-21
[9]
웹사이트
Mariotto Segni
http://www.treccani.[...]
[10]
웹사이트
Celestino Segni
https://www.geni.com[...]
2019-08-21
[11]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https://archive.org/[...]
Univ of Wisconsin Press
1995
[12]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13]
웹사이트
La Biografia del Presidente Segni
http://presidenti.qu[...]
[14]
서적
Legitimacy and the European Un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08-26
[15]
웹사이트
Governo Bonomi II
http://www.governo.i[...]
[16]
웹사이트
Elezioni del 1946: Collegio di Cagliari–Sassari–Nuoro
https://elezionistor[...]
[17]
웹사이트
Governo De Gasperi II
http://www.governo.i[...]
[18]
웹사이트
La Riforma Agraria
http://www.occupazio[...]
[19]
서적
Teoria e storia della riforma agraria
Vallecchi
1957
[20]
웹사이트
Riforma agraria e modernizzazione rurale in Italia nel ventesimo secolo
https://agriregionie[...]
[21]
웹사이트
Alcide De Gasperi tra riforma agraria e guerra fredda (1948–1950)
https://www.jstor.or[...]
[22]
잡지
Italy: New Man on the Job
http://content.time.[...]
2019-08-21
[23]
서적
Il colle più alto
https://books.google[...]
[24]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Italy: Society and Politics, 1943–198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3
[25]
웹사이트
VII Governo De Gasperi
http://storia.camera[...]
[26]
웹사이트
Antonio Segni
https://www.mulino.i[...]
il Mulino
[27]
서적
Educazione, laicità e democrazia
https://books.google[...]
[28]
학술지
Come il Senato si scoprì vaso di coccio
https://web.archive.[...]
2014
[29]
웹사이트
Governo De Gasperi VIII
https://storia.camer[...]
[30]
웹사이트
Come il Senato si scoprì vaso di coccio
https://web.archive.[...]
[31]
뉴스
Mattarella cita Einaudi e l'incarico a Pella: fu il primo governo del presidente
http://www.repubblic[...]
repubblica.it
[32]
웹사이트
Governo Pella
https://storia.camer[...]
[33]
뉴스
Cattolico e risorgimentale, Pella e il caso di Trieste
https://www.corriere[...]
corriere.it
[34]
웹사이트
Composizione del Governo Scelba
http://www.senato.it[...]
[35]
잡지
Danger on the Left
http://205.188.238.1[...]
2020-06-00
[36]
웹사이트
Segni Hopeful of Breaking Up Crisis in Italy
https://news.google.[...]
Google News
2020-07-21
[37]
웹사이트
Governo Segni I
http://www.governo.i[...]
[38]
웹사이트
Il governo Segni I
http://www.dellarepu[...]
[39]
웹사이트
I primi passi della Presidenza Gronchi ed il governo Segni
https://www.federali[...]
[40]
웹사이트
60 anni dell'Italia all'ONU
https://www.esteri.i[...]
Ministero degli Esteri
[41]
웹사이트
Cosa sono i Trattati di Roma e perché sono importanti
https://www.ilpost.i[...]
[42]
웹사이트
Trattati di Roma: cosa sono e perché sono stati celebrati
https://www.ilpost.i[...]
[43]
웹사이트
Italia e mondo tedesco all'epoca di Adenauer
http://www.gianninis[...]
[44]
웹사이트
La crisi di Suez e la fine del primato dell’Europa
https://www.restoric[...]
[45]
서적
Diario (1956–1964)
2012
[46]
웹사이트
I primi due anni di funzionamento della Corte Costituzionale Italiana
https://www.jstor.or[...]
[47]
웹사이트
I Governo Segni
https://storia.camer[...]
[48]
웹사이트
Governo Zoli
https://storia.camer[...]
[49]
웹사이트
Governo Fanfani II
http://www.senato.it[...]
[50]
잡지
Italy: Right Turn
http://content.time.[...]
2019-08-21
[51]
웹사이트
L’Italia nella guerra fredda e i missili americani IRBM Jupiter
http://www.fondazion[...]
[52]
잡지
Italy's Fanfan
https://web.archive.[...]
1961-06-16
[53]
웹사이트
II Governo Segni
http://www.dellarepu[...]
[54]
서적
L'anima nera della Repubblica: storia del MSI
https://books.google[...]
[55]
웹사이트
Il miracolo economico italiano
http://www.treccani.[...]
[56]
서적
Growth to Limits: The Western European Welfare States Since World War II Volume 4
[57]
웹사이트
III Legislatura: 12 giugno 1958 – 15 maggio 1963
http://www.dellarepu[...]
[58]
웹사이트
Fanfani e Segni al ritorno da Mosca
https://patrimonio.a[...]
[59]
웹사이트
Corsa al Colle: L'elezione di Antonio Segni (1962)
https://www.panorama[...]
[60]
웹사이트
Tutti i presidenti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s://www.repubbli[...]
[61]
웹사이트
L'elezione del Presidente Segni
http://presidenti.qu[...]
[62]
웹사이트
Elezione a Presidente della Repubblica di Antonio Segni
https://storia.camer[...]
[63]
Youtube
La Repubblica italiana ha il suo terzo presidente
https://www.youtube.[...]
[64]
웹사이트
Elezioni del 1963
https://elezionistor[...]
Ministero dell'Interno
[65]
웹사이트
I Governo Moro
http://www.governo.i[...]
[66]
웹사이트
Il 9 settembre 1963 il disastro del Vajont: commemorazioni in tutta la regione
https://www.ilfriuli[...]
[67]
웹사이트
Vaiont Dam photos and virtual field trip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Wisconsin
2009-07-01
[68]
웹사이트
La cronaca del disastro e il processo
https://www.ansa.it/[...]
[69]
웹사이트
Mauro Corona: «Una mano assassina lanciò il sasso che distrusse la mia Erto»
https://www.ilgazzet[...]
[70]
웹사이트
La tragedia del Vajont
http://www.raiscuola[...]
[71]
웹사이트
Mattolinimusic.com
http://www.mattolini[...]
Mattolinimusic.com
2012-10-29
[72]
웹사이트
Vajont, Due Volte Tragedia
http://www.sopravvis[...]
Sopravvissutivajont.org
2002-10-09
[73]
서적
Storia d'Italia
RCS Quotidiani
2004
[74]
서적
L'Italia dei colpi di Stato
Newton Compton Editori
[75]
뉴스
Cesare Merzagora: uno statista contro I partiti
Corriere della Sera
2005-03-14
[76]
웹사이트
Governo Moro II
http://www.governo.i[...]
[77]
뉴스
Segni, uomo solo tra sciabole e golpisti
https://www.ilfattoq[...]
Il Fatto Quotidiano
[78]
웹사이트
Merzagora e Fanfani, supplenti del passato
https://ricerca.repu[...]
[79]
뉴스
Il 6 dicembre 1964, Antonio Segni si dimette da presidente della Repubblica
https://www.unionesa[...]
L'Unione Sarda
[80]
웹사이트
Giuseppe Saragat – Storia della Camera
https://storia.camer[...]
[81]
웹사이트
Antonio Segni – Portale storico della Presidenza della Repubblica
https://archivio.qui[...]
[82]
뉴스
Tra Segni e Moro braccio di ferro per la supremazia
https://www.lanuovas[...]
La Nuova Sardegna
[83]
뉴스
Dimissioni di Segni e Leone. I precedenti
https://ricerca.repu[...]
la Repubblica
[84]
간행물
Italy: Malato di Ferro
http://content.time.[...]
1964-10-02
[85]
간행물
Italy: Symbol of the Nation
http://content.time.[...]
1962-05-01
[86]
서적
Paranoia Within Reason: A Casebook on Conspiracy as Explan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03-01
[87]
서적
L'Italia dei colpi di Stato
Newton Compton Editori
[88]
웹사이트
Piano Solo
http://www.misteridi[...]
[89]
서적
Affari di Stato
Edizioni Kaos
1991
[90]
웹사이트
Antonio Segni e il Piano Solo: una storia da riscrivere
https://web.archive.[...]
[91]
서적
Italian Neofascism
[92]
뉴스
Twenty-Six Years Later, Details of Planned Rightist Coup Emerge
Associated Press
1991-01-05
[93]
뉴스
Il Piano Solo? Non fu un golpe
https://www.avvenire[...]
Avvenire
[94]
뉴스
訃報欄
朝日新聞
1972-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