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트라사이클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트라사이클린은 1960년대에 발견된 항생 물질 계열의 항암제로, DNA/RNA 합성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등이 있으며, 특히 독소루비신은 다양한 암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안트라사이클린은 효과적인 항암 치료제이지만, 골수 억제, 심장 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리포솜 제형을 통해 부작용을 줄이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요법 - 이마티닙
    이마티닙은 Bcr-Abl 티로신 키나아제를 포함한 여러 티로신 키나아제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표적 항암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과 위장관기질종양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FDA 승인 후 CML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고, 사회경제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암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약물로 평가받는다.
  • 화학요법 - 다우노루비신
    다우노루비신은 DNA에 삽입되어 복제와 전사를 억제하는 항암제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신경모세포종 치료에 사용되며, 암세포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고 다른 항암제 원료나 유사 약물 제조에도 사용되지만 심각한 심장 독성 부작용이 있다.
안트라사이클린
일반 정보
종류항생제
작용 메커니즘DNA에 삽입하여 복제 및 전사를 억제
부작용골수 억제
심장 독성
오심
구토
탈모
투여 경로정맥 주사
대사
배설담즙
약물학적 상세 정보
ATC 코드L01DB (다양한 제형)
구조 정보
원형다우노루비신
관련 화합물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2. 역사

다우노루비신은 1960년대 초 이탈리아와 프랑스 연구진이 거의 동시에 ''Streptomyces peucetius'' 균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초기에는 백혈병림프종 치료에 효과를 보였다.[8][9][4] 이후 다우노루비신의 구조를 약간 변형하여 더 광범위한 암 치료에 효과적인 독소루비신이 발견되었다.[10][11][12][13][14]

안트라사이클린의 성공 이후,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등 다양한 유사체들이 개발되었다. 연구자들은 DNA 삽입 기능을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미토잔트론과 같은 새로운 화합물을 발견하기도 했다.[17][18]

안트라사이클린은 발견된 지 5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다양한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표적 치료가 어려운 삼중 음성 유방암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9][20]

2. 1. 안트라사이클린의 발견

다우노루비신은 1960년대 초에 발견된 붉은 색소 약물이다. 이탈리아의 파르마이탈리아 연구소에서 일하는 A. 디 마르코와 동료들이 ''Streptomyces peucetius'' 균주로부터 분리했으며, 이를 다우노마이신이라고 명명했다.[8] 거의 같은 시기에 프랑스의 뒤보스트와 동료들 또한 이 화합물을 발견하고 루비도마이신이라고 명명했다.[9] 다우노루비신은 국제적인 명칭으로 채택되었다.[4] 처음에는 종양에 대한 활성을 보였고, 임상 시험에서 백혈병림프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소루비신은 S. ''peucetius''의 돌연변이 변종(var. ''caesius'')으로부터 분리되었다. 다우노루비신과 14번 탄소 위치에 수산기(-OH)가 추가된 것만 다르다. 이러한 변형으로 약물의 활성이 크게 바뀌어 광범위한 고형 종양, 백혈병 및 림프종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는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10][11][12][13][14]

초기 안트라사이클린의 성공으로 인해, 치료적 응용 분야를 개선하기 위해 수천 개의 유사체가 생산되었다. 에피루비신이다루비신만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도록 채택되었다. 에피루비신은 독소루비신과 유사한 활성을 가지지만, 심장 독성 부작용이 감소했다.[15] 이다루비신은 다우노루비신의 지용성 변종으로 경구 투여가 가능하다.[4][16]

여러 연구진들은 안트라사이클린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발색단을 유지(DNA 삽입 선호)하고 당 잔기를 단순한 측쇄로 대체하는 화합물을 설계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안트라센디온 화합물로 분류되어 다양한 암 치료에 사용되는 미토잔트론의 발견으로 이어졌다.[17] 이당류 유사체는 항암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용 기전에 관해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18]

안트라사이클린이 발견된 지 50년이 지났음에도, 그리고 암 표적 치료법의 최근 발전에도 불구하고, 약 32%의 유방암 환자, 57%-70%의 고령 림프종 환자, 50-60%의 소아암 환자가 안트라사이클린으로 치료받고 있다.[19]

2. 2. 독소루비신 및 유사체 개발

다우노루비신은 1960년대 초 이탈리아 파르마이탈리아 연구소의 A. 디 마르코와 동료들이 ''Streptomyces peucetius'' 균주에서 분리한 붉은 색소 약물로, 다우노마이신으로 명명되었다.[8] 거의 같은 시기 프랑스의 뒤보스트와 동료들도 이 화합물을 발견하고 루비도마이신이라 명명했으나, 다우노루비신이 국제적인 명칭으로 채택되었다.[9][4] 초기에는 종양에 대한 활성을 보였고, 임상 시험에서 백혈병림프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소루비신은 S. ''peucetius''의 돌연변이 변종(var. ''caesius'')에서 분리되었으며, 다우노루비신에 14번 탄소 위치에 수산기(-OH)가 추가된 구조이다. 이러한 차이로 약물 활성이 크게 변화하여 광범위한 고형 종양, 백혈병 및 림프종에 매우 효과적이며,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 평가의 기준이 되었다.[10][11][12][13][14]

초기 안트라사이클린의 성공으로 치료적 응용 분야 개선을 위해 수천 개의 유사체가 생산되었다. 에피루비신이다루비신만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도록 채택되었는데, 에피루비신독소루비신과 유사한 활성을 가지면서 심장 독성 부작용이 감소했고, 이다루비신다우노루비신의 지용성 변종으로 경구 투여가 가능하다.[15][4][16]

2. 3. 현재의 안트라사이클린 치료

다우노루비신: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카포시 육종에 사용


독소루비신: 유방암, 폐암, 난소암, 간암, 갑상선암, 백혈병, 림프종에 사용


에피루비신: 유방암, 난소암, 위암, 폐암, 림프종에 사용


이다루비신: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에 사용


안트라사이클린이 발견된 지 50년이 지나고 암 표적 치료법이 발전했음에도, 여전히 많은 암 환자들이 안트라사이클린으로 치료받고 있다. 유방암 환자의 약 32%, 고령 림프종 환자의 57%-70%, 소아암 환자의 50-60%가 안트라사이클린 치료를 받는다.[19] 특히, 표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삼중 음성 유방암은 보조 안트라사이클린 기반 요법이 효과적이다.[20]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는 다른 유형의 유방암 환자보다 안트라사이클린 사용 시 반응률과 병리학적 반응률이 더 높게 나타나며, 이는 장기적인 치료 결과 개선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된다.[20]

3. 작용 기전

안트라사이클린은 다음 3가지 주요 기전을 통해 작용한다.

1. DNA/RNA 사슬의 염기쌍 사이에 인터칼레이션하여 DNARNA 합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증식이 빠른 암세포의 복제를 방해한다.[69]

2. DNA 및 세포막에 손상을 주는 철 매개 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킨다.[69]

3. 1. DNA 삽입 (Intercalation)

안트라사이클린은 세포에 쉽게 흡수되어 핵으로 이동한다. 안트라사이클린의 발색단 부분은 삽입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DNA의 인접한 염기쌍 사이에 삽입된다.[26] 이 삽입 기능은 복제가 활발한 세포에서 DNA 및 RNA 합성을 억제하여 전사 및 복제 과정을 차단한다.[26]

3. 2.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I 억제

세포의 DNA/RNA 염기쌍 가닥을 손상시킴으로써 세포의 분열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암세포처럼 그 과정이 활발한 세포일수록 더 큰 피해를 받는다. 대부분은 작용의 결과가 세포의 분열 방해인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과정도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

안트라사이클린은 세포 구성 요소와의 상호 작용 및 세포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여기에는 배양 세포 및 전체 동물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다. 과학 문헌에서 수많은 약물-세포 상호 작용이 기록되었으며, 이는 표적 세포의 특성, 약물 용량 및 생성된 약물 중간체와 관련하여 다양하다. 인위적인 작용 기전이 관찰될 수 있으므로,[26] 임상적으로 관련된 약물 농도에서 발생하는 다음 기전이 가장 중요하다.

임상적으로 관련된 약물 농도에서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I 매개 독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므로 안트라사이클린의 작용을 설명하는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기전이다.[18][26]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I는 일시적인 이중 가닥 DNA(dsDNA) 절단을 생성하고 DNA 초나선의 꼬임을 관리한 후 이를 다시 닫는 효소이다. DNA에 삽입된 안트라사이클린은 안정적인 안트라사이클린-DNA-토포아이소머레이스 II 삼원 복합체를 형성하여 효소를 "독성화"하고 이중 가닥 DNA 절단의 재결합을 방해한다.[27] 이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I 매개 DNA 손상은 그 후 성장 정지를 유발하고 DNA 복구 기전을 모집한다. 복구 과정이 실패하면 병변이 세포 자멸사를 시작한다.

II형 토포이소머라제를 억제하여 DNA 슈퍼코일의 이완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DNA 전사DNA 복제를 방해한다. 한 연구에서는 II형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가 토포II와 핵산 기질의 해리에 필요한 토포II의 턴오버를 방해한다고 한다.[70][71]

3. 3. 활성 산소 생성

안트라사이클린의 퀴논 부분은 사이토크롬 P450 환원 효소, NADH 탈수소 효소, 잔틴 산화 효소와 같은 산화환원 효소 존재 하에 과도한 활성 산소(ROS)를 생성하기 위해 산화환원 반응을 겪을 수 있다.[28][29] 퀴논이 세미퀴논으로 전환되면 산소와 활발히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하이드록실 라디칼 및 과산화물을 생성하는 자유 라디칼이 생성된다.[28][29] 또한, 세포 내 철의 존재는 산화환원 반응을 촉매하여 ROS를 추가로 생성한다.[28][29] 해독되지 못하는 과도한 ROS는 산화 스트레스, DNA 손상 및 지질 과산화를 유발하여 세포 자멸사를 유발한다.[28][29]

3. 4. DNA 부가물 형성

안트라사이클린은 다우노사민의 3'-아미노에서 구아닌의 곁아미노로의 아민 연결을 통해 DNA와 단일 공유 결합 부가물을 형성할 수 있다.[30] 포름알데히드 방출 전구약물을 사용한 세포 외 포름알데히드 공급은 공유 DNA 부가물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물은 GpC 특이적 전사 인자를 차단하고 세포자멸사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31]

4. 주요 안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물질

다음은 주요 안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물질이다.



이들은 학술적으로 항생물질로 불린다.

5. 부작용

안트라사이클린은 골수 억제와 심장 독성 외에도 다른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정맥 내 투여 시 주사 부위에서 혈관 외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발생률은 0.1%에서 6% 사이로 추정된다.[38] 혈관 외 유출은 주변 조직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조직 괴사 및 피부 궤양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38]

덱스라족산은 안트라사이클린 투여 후 혈관 외 유출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토포이소머라제 II 억제제 및 킬레이트제로 작용하여 안트라사이클린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를 줄인다.[38] 덱스라족산은 심장 보호 화합물로도 사용된다.[39][37]

방사성 표지 독소루비신은 파일럿 연구에서 유방암 병변 영상화제로 활용되기도 했다. 99mTc-독소루비신은 여성 환자의 유방 종양 병변에 국소화되어 유방 종양 영상화를 위한 잠재적인 방사성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41]

어떤 경우에는 약물 내성으로 인해 안트라사이클린이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약물 내성은 초기 치료에 대한 비민감 반응인 1차 내성이거나, 치료에 대한 반응 후 나타나는 후천적 내성일 수 있다.[42] 안트라사이클린에 대한 내성은 여러 요소를 포함하지만, 종종 안트라사이클린을 암세포에서 제거하는 막 횡단 약물 유출 단백질 P-당단백질(P-gp) 또는 MRP1의 과발현과 관련이 있다.[43][42]

5. 1. 심장 독성

안트라사이클린 투여는 골수 억제와 심장 독성을 포함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29][21] 치료용 사이토카인의 도입으로 골수 억제는 관리할 수 있게 되었지만,[29][21] 심장 손상은 여전히 안트라사이클린 기반 항암제의 주요 단점으로 남아있다. 환자와 쥐의 심장 독성은 순환 헤모펙신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33]

안트라사이클린 매개 심장 독성은 용량 의존적이고 누적적이며, 첫 번째 용량부터 심장에 손상이 발생하여 각 주기마다 축적된다. 이러한 심장 독성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설명된다.

안트라사이클린 매개 심장 독성 진행 및 증상[29][34]
심장 독성 유형발현 시간증상
급성약물 투여 중 및 직후혈관 확장, 저혈압, 일시적인 심장 리듬 장애
아급성약물 투여 후 1~3일심낭염-심근염
초기 만성안트라사이클린 치료 완료 후 1년 미만확장성 심근병증, 제한성 심근병증(드물게 발생), 좌심실 수축 기능 부전, 울혈성 심부전
지연/후기 발현 만성안트라사이클린 치료 완료 후 1년 이상제한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울혈성 심부전



임상에서는 울혈성 심부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안트라사이클린에 권장되는 최대 누적 용량이 설정되어 있다.[35]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을 400mg/m2, 550mg/m2, 700mg/m2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울혈성 심부전 발생률은 각각 4.7%, 26%, 48%였다.[19] 따라서 평생 누적 독소루비신 노출은 울혈성 심부전 발생률을 5% 미만으로 줄이기 위해 400mg/m2에서 450mg/m2 사이로 제한되지만, 개인 간 독소루비신 내성에는 차이가 있다.[35]

안트라사이클린으로 인한 심장 손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에는 유전적 다양성, 연령(저연령 또는 고연령), 심장 독성 약물로의 이전 치료, 심장 질환 병력 등이 있다.[29] 어린이는 미성숙한 심장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안트라사이클린 활성으로 인해 특히 위험하다.[35]

안트라사이클린 초기 용량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심장 손상은 투여 직후 트로포닌 수치 상승으로 감지할 수 있다.[35] 생검을 통해 심장 초미세 구조 변화를 평가하여 심장 손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도 있다.[35] 안트라사이클린 누적 용량을 투여받으면 좌심실 기능 부전이 발생하며, 지속적인 투여로 2D 심장 초음파 및 스트레인 속도 영상과 같은 비침습적 기술로 임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특정 임계값에 도달한다. 보다 민감한 영상 기술 및 생체 지표 개발의 발전으로 심장 독성을 조기에 감지하고 심장 보호 개입을 통해 안트라사이클린 매개 심장 독성을 예방할 수 있다.[35]

심장이 안트라사이클린에 대한 지배적인 감수성을 가지는 이유는 부분적으로 안트라사이클린의 미토콘드리아 선호적 국소화 때문이다. 이는 심장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는 인지질인 카르디올리핀과 안트라사이클린 간의 높은 친화력 상호 작용에 기인하며, 심장 조직은 세포당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고 있다.[29] 또한 심장 조직은 안트라사이클린 매개 활성 산소 종(ROS)을 해독하기 위한 카탈라제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력이 손상되어 있다.[29]

안트라사이클린 유발 심장 손상을 설명하는 메커니즘은 복잡하고 상호 관련되어 있다. 처음에는 안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29] 최근에는 안트라사이클린 매개 심장 독성이 안트라사이클린-토포이소머라제 IIb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여 하류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설명이 나타났다.[36]

안트라사이클린에 대한 반응으로 심장 손상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 심장 보호 전략이 탐구되었다. 안트라사이클린의 리포솜 제형(아래 논의)은 심장 손상을 줄이기 위해 개발 및 사용되었다.[37] 에피루비신이다루비신과 같은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 유사체도 부작용을 줄일 수 있지만, 모 화합물보다 우수한 항암 활성을 보이지는 못했다.[35] 볼루스 투여에 비해 72시간 동안의 지속적 주입을 포함하는 대체 약물 투여 방법은 어느 정도의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높은 누적 용량이 예상될 때 사용할 수 있다.[35]

안트라사이클린을 정맥 내 투여하면 주사 부위에서 우발적인 혈관 외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 외 유출 발생률은 0.1%에서 6% 사이로 추정된다.[38] 혈관 외 유출은 조직 괴사 및 피부 궤양의 증상과 함께 주변 조직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38] 덱스라족산은 주로 토포이소머라제 II 억제제이자 안트라사이클린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킬레이트제로 작용하여 안트라사이클린 투여 후 혈관 외 유출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38] 덱스라족산은 또한 300mg/m2 이상의 독소루비신으로 치료받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뿐만 아니라 높은 누적 용량의 독소루비신으로부터 유익한 효과를 예상하는 환자에서 독소루비신과 함께 심장 보호 화합물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39][37]

심장 보호 치료가 효과적인지 확인할 고품질 증거는 없다.[40] 덱스라족산의 심장 보호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안트라사이클린 치료의 항종양 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심장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덱스라족산을 안트라사이클린 치료와 함께 투여받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심부전 위험이 감소했지만, 생존에는 영향이 없었다.

6. 약물 상호 작용

안트라사이클린과의 약물 상호 작용은 복잡할 수 있으며, 안트라사이클린의 효과, 부작용 또는 대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시토크롬 P450 또는 기타 산화 효소를 억제하는 약물은 안트라사이클린의 제거를 감소시켜 순환 반감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이는 심장 독성 및 기타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57] 안트라사이클린은 항생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광암 치료를 위한 칼메트-게랭 간균 요법과 같은 생균 배양 치료법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58] 또한 골수 억제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면역 체계를 억제하여 백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59]

몇 가지 상호 작용은 특히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덱스라족산은 안트라사이클린의 심장 독성 또는 혈관 외 유출 손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효과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덱스라족산 치료는 초기 안트라사이클린 치료 시 시작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60] 트라스투주맙(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HER2 항체)은 안트라사이클린의 심장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61][62] 안트라사이클린과 트라스투주맙 투여 사이에 시간 간격을 두어 상호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63] 탁산(도세탁셀 제외)은 안트라사이클린 대사를 감소시켜 안트라사이클린의 혈청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64] 따라서 탁산과의 병용 치료가 필요한 경우, 안트라사이클린으로 먼저 치료하는 것이 권장된다.[58]

7. 리포솜 제형

리포솜은 인지질이나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구형 모양의 인지질 소포이다.[45] 리포솜은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 화합물을 모두 캡슐화할 수 있어 다양한 약물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DDS)이 될 수 있다.[45]

안트라사이클린의 리포솜 제형은 안트라사이클린의 치료 효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면서 건강한 조직, 특히 심장 독성에 대한 독성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현재, 클리닉에서는 독소루비신의 두 가지 리포솜 제형인 독실/캐릭스와 마이오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7. 1. 독실/캐릭스 (Doxil/Caelyx)

리포솜 제형인 독실/캐릭스(Doxil/Caelyx)는 199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리포솜 약물 전달 시스템(DDS)이다. AIDS 관련 카포시 육종 치료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재발성 난소암, 심장 위험이 증가한 전이성 유방암 및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사용된다.[46][21][47] 독소루비신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이 공유 결합된 단층 리포솜으로 구성된 Stealth 또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리포솜이라는 나노 운반체에 캡슐화된다.[48] PEG 코팅은 옵소닌화로부터 보호하여 약물이 암모늄 황산염 화학 기울기를 통해 나노 운반체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신속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37][49]

독실 투여 후 유리 독소루비신의 최대 혈장 농도는 기존 독소루비신에 비해 낮아 심장 독성이 적다.[37] 그러나 독실은 피부에 축적되어 손발 홍반성 감각 이상증(PPE, 손발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독실의 최대 내약 용량(MTD)은 4주마다 50mg/m2로, 3주마다 60mg/m2인 유리 독소루비신보다 낮다.[37]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실의 최대 누적 용량은 심장 보호 특성으로 인해 독소루비신보다 여전히 높다.[48]

독실과 마이오세트의 특성 비교
독실마이오세트참고 문헌
리포솜 구성PEG-인지질, 인지질, 콜레스테롤인지질, 콜레스테롤[37][54]
크기80nm – 100nm150nm - 250nm[55]
약물 로딩 방법암모늄 염 기울기구연산 기울기[37][54]
약동학용량: 단일 용량 10mg/m2 - 20mg/m2용량: 단일 용량 60mg/m2[37][56]
임상 적응증AIDS 관련 카포시 육종, 재발성 난소암 및 전이성 유방암전이성 유방암[21]


7. 2. 마이오세트 (Myocet)

마이오세트(Myocet)는 유럽과 캐나다에서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1차 치료로 사이클로포스파미드와 병용하여 사용하도록 승인된 비-PEG화 리포솜 캡슐화 독소루비신 시트르산염 복합체이다. 독소루비신은 환자에게 투여하기 직전에 리포솜에 로딩되며, 최대 단일 용량은 3주마다 75mg/m2이다.[48] 마이오세트는 기존 독소루비신과 유사한 효능을 보이며, 심장 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51][52][53]

'''독실과 마이오세트의 특성 비교'''
독실마이오세트참고 문헌
리포솜 구성PEG-인지질, 인지질, 콜레스테롤인지질, 콜레스테롤[37][54]
크기80nm – 100nm150nm - 250nm[55]
약물 로딩 방법암모늄 염 기울기구연산 기울기[37][54]
약동학용량: 단일 용량 10mg/m2 - 20mg/m2용량: 단일 용량 60mg/m2[37][56]
임상 적응증AIDS 관련 카포시 육종, 재발성 난소암, 전이성 유방암전이성 유방암[21]


8. 임상 시험

안트라사이클린은 여전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학 요법제 중 하나이지만, 용량 제한적 독성으로 인해 잠재력이 제한된다. 현재, 더 나은 항종양 효능을 가지거나 부작용이 감소된 안트라사이클린을 찾기 위해 다양한 나노기술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21][22][23][24]

참조

[1] 논문 Structural comparison of anticancer drug-DNA complexes: adriamycin and daunomycin 1990-03
[2] 서적 Pharmacology Examination & Board Review McGraw-Hill Medical 2010
[3] 논문 Anthracycline Antibiotics
[4] 논문 The anthracyclines: will we ever find a better doxorubicin? 1992-12
[5] 논문 Anthracyclines: molecular advances and pharmacologic developments in antitumor activity and cardiotoxicity 2004-06
[6] 논문 The cardiotoxicology of anthracycline chemotherapeutics: translating molecular mechanism into preventative medicine 2005-06
[7] 논문 Predicting individual risk of neutropenic complications in patients receiving cancer chemotherapy 2011-05
[8] 논문 'Daunomycin', a new antibiotic of the rhodomycin group 1964-02
[9] 논문 Rubidomycin: a new antibiotic with cytostatic properties 1964-09
[10] 논문 Adriamycin, 14-hydroxydaunomycin, a new antitumor antibiotic from S. peucetius var. caesius 1969-11
[11] 논문 Adriamycin. A new anticancer drug with significant clinical activity 1974-02
[12] 서적 Cancer management in man : chemotherapy, biological therapy, hyperthermia and supporting measures Springer 2011
[13] 서적 DeVita, Hellman, and Rosenberg's cancer : principles & practice of oncology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14] 논문 Doxorubicin-induced cardiomyopathy from the cardiotoxic mechanisms to management 2007-03
[15] 논문 Adriamycin (NSC 123127): new chemical developments and analogs. 1975
[16] 논문 Synthesis and antitumor activity of 4-demethoxydaunorubicin, 4-demethoxy-7,9-diepidaunorubicin, and their beta anomers 1976-07
[17] 논문 Mitoxantrone, More than Just Another Topoisomerase II Poison 2016-03
[18] 논문 Anthracyclines as Topoisomerase II Poisons: From Early Studies to New Perspectives 2018-11
[19] 논문 Anthracycline Chemotherapy and Cardiotoxicity 2017-02
[20] 논문 Current approaches in treatment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2015-06
[21] 논문 Doxorubicin: nanotechnological overviews from bench to bedside 2017-02
[22] 논문 Lyso-thermosensitive liposomal doxorubicin: a novel approach to enhance efficacy of thermal ablation of liver cancer 2009-02
[23] 논문 A first-in-human Phase 1 study of epirubicin-conjugated polymer micelles (K-912/NC-6300) in patients with advanced or recurrent solid tumors 2017-06
[24] 논문 Development of polymeric micelles for targeting intractable cancers 2016-07
[25] 논문 Role of autophagy and lysosomal drug sequestration in acquired resistance to doxorubicin in MCF-7 cells 2016-09
[26] 논문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mechanisms of action proposed for the antitumor effects of the anthracycline antibiotics adriamycin and daunorubicin 1999-04
[27] 논문 Anthracyclines: selected new developments 2001-08
[28] 논문 Chemotherapy-Induced Cardiotoxicity: Overview of the Roles of Oxidative Stress 2015
[29] 논문 Anthracycline-induced cardiotoxicity: overview of studies examining the roles of oxidative stress and free cellular iron 2009-01
[30] 논문 Potential Therapeutic Advantages of Doxorubicin when Activated by Formaldehyde to Function as a DNA Adduct-Forming Agent 2015
[31] 논문 The power and potential of doxorubicin-DNA adducts 2005-02
[32] 논문 Predicting Anthracycline Benefit: TOP2A and CEP17-Not Only but Also 2015-05
[33] 논문 Circulating hemopexin modulates anthracycline cardiac toxicity in patients and in mice 2022-12-23
[34] 논문 Anthracycline cardiotoxicity in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2007
[35] 논문 Cardiotoxicity of anticancer treatments 2015-09
[36] 논문 Topoisomerase 2β: a promising molecular target for primary prevention of anthracycline-induced cardiotoxicity 2014-01
[37] 논문 Pharmacokinetics of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review of animal and human studies 2003
[38] 논문 Anthracycline extravasation injuries: management with dexrazoxane 2009-04
[39] 논문 A tale of the two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s 2015-07-13
[40] 논문 Cardioprotective interventions for cancer patients receiving anthracyclines 2011-06
[41] 논문 Use of (99m)Tc-doxorubicin scintigraphy in females with breast cancer: a pilot study 2015-08
[42] 논문 Impact, mechanisms, and novel chemotherapy strategies for overcoming resistance to anthracyclines and taxane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2009-03
[43] 논문 Development, Maintenance, and Reversal of Multiple Drug Resistance: At the Crossroads of TFPI1, ABC Transporters, and HIF1 2015-10
[44] 논문 Development of liposomal formulations: From concept to clinical investigations 2013-04
[45] 논문 Advances and Challenges of Liposome Assisted Drug Delivery 2015-12-01
[46] 논문 Doxil®--the first FDA-approved nano-drug: lessons learned 2012-06
[47] 논문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in the treatment of AIDS-related Kaposi's sarcoma 2007
[48] 논문 Clinical pharmacology of liposomal anthracyclines: focus on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2008-02
[49] 논문 Transmembrane ammonium sulfate gradients in liposomes produce efficient and stable entrapment of amphipathic weak bases 1993-09
[50] 논문 The EPR effect for macromolecular drug delivery to solid tumors: Improvement of tumor uptake, lowering of systemic toxicity, and distinct tumor imaging in vivo 2013-01
[51] 논문 Cardiac safety of liposomal anthracyclines 2007
[52] 논문 Myocet (liposome-encapsulated doxorubicin citrate): a new approach in breast cancer therapy 2002-12
[53] 논문 Improving the therapeutic index of anthracycline chemotherapy: focus on liposomal doxorubicin (Myocet) 2009-08
[54] 논문 Liposome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Myocet™(liposomal doxorubicin citrate). 2001-06
[55] 논문 Liposomal Formulations in Clinical Use: An Updated Review 2017-03
[56] 논문 Pharmacokinetics of liposomal doxorubicin (TLC-D99; Myocet)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an open-label, single-dose study 2004-12
[57] 논문 The role of human cytochrome P450 enzymes in the metabolism of anticancer agents: implications for drug interactions 1995-12
[58] 웹사이트 Product Information: Adriamcycin (Doxorubcin HCl) for Injection, USP. In (pp. 8). https://www.accessda[...] Bedford Laboratories 2012
[59] 논문 Doxorubicin: an update on anticancer molecular action, toxicity and novel drug delivery systems 2013-02
[60] 논문 Topoisomerase IIbeta mediated DNA double-strand breaks: implications in doxorubicin cardiotoxicity and prevention by dexrazoxane 2007-09
[61] 논문 Troponin I provides insight into cardiotoxicity and the anthracycline-trastuzumab interaction 2010-09
[62] 논문 Anthracycline-trastuzumab regimens for HER2/neu-overexpressing breast cancer: current experience and future strategies 2008-09
[63] 논문 Use of chemotherapy plus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HER2 for metastatic breast cancer that overexpresses HER2 2001-03
[64] 논문 Human pharmacokinetic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doxorubicin and paclitaxel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1997-05
[65] 논문 Anthracycline Antibiotics
[66] 논문 The anthracyclines: will we ever find a better doxorubicin?
[67] 논문 Anthracyclines: molecular advances and pharmacologic developments in antitumor activity and cardiotoxicity
[68] 논문 The cardiotoxicology of anthracycline chemotherapeutics: translating molecular mechanism into preventative medicine
[69] 간행물 Principles of Oncologic Pharmacotherapy Pazdur R, Wagman LD, Camphausen KA, Hoskins WJ 2008
[70] 논문 Eukaryotic Topoisomerase II: characterisation of enzyme turnover
[71] 간행물 . Different modes of anthracycline interaction with topoisomerase II: Separate structures critical for DNA-cleavage, and for overcoming topoisomerase II-related drug resist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