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평은 신라 건국에 기여한 인물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따르면 하늘에서 내려와 알천양산촌의 촌장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57년 신라 건국 당시 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하여 좌명대신이 되었으며, 유리왕 9년에 급량부로 개칭된 알천양산촌은 이씨 성을 하사받았다. 경주 이씨 족보에 따르면 기원전 117년에 태어났으며, 이후 900여 년간의 후계 기록이 없다가 고려 공민왕 때 이제현의 묘지명에 의해 중시조 이거명을 통해 계대가 이어졌다. 알평의 후손들은 여러 본관으로 분적해 나갔으며, 생전에 이씨 성을 하사받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공신 - 소벌도리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설화 속 돌산고허촌 촌장으로, 박혁거세를 발견하고 양육하여 신라 건국에 기여, 사량부 대인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은 경주 최씨와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되었다. - 신라의 공신 - 김인문
김인문은 태종 무열왕과 문희의 아들이자 문무왕의 동생으로, 신라의 삼국통일에 기여했으며, 당나라에서 벼슬을 지내다 사망한 인물이다. - 신라 신화의 인물 - 소벌도리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설화 속 돌산고허촌 촌장으로, 박혁거세를 발견하고 양육하여 신라 건국에 기여, 사량부 대인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은 경주 최씨와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되었다. - 신라 신화의 인물 - 김알지
김알지는 신라 탈해 이사금 9년에 시림에서 금색 궤짝 안에 발견된 인물로,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며, 김씨 성을 받고 계림에서 발견되어 신라 국호의 기원이 되었다. - 기원전 1세기 한국 사람 - 소벌도리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설화 속 돌산고허촌 촌장으로, 박혁거세를 발견하고 양육하여 신라 건국에 기여, 사량부 대인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은 경주 최씨와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되었다. - 기원전 1세기 한국 사람 - 도절
도절은 고구려 유리명왕의 아들이자 첫 번째 태자였으며, 부여의 공격을 받았으나 폭설로 인해 물러났고, 기원전 1년에 사망하였다.
알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慶州李氏始祖諱謁平景募碑)경주시 동천동에 위치하고 있다. | |
직책 | 사로국의 알천양산촌장 |
군주 | 혁거세 거서간 |
군주 칭호 | 거서간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미상 |
매장지 | 미상 |
국적 | 사로국 |
성별 | 남성 |
2. 생애
알평의 출생지에 대한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따르면, 알평은 하늘에서 진한 땅 표암봉에 내려와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이 되었다고 한다.[2] 경주 이씨 족보에 따르면, 그는 기원전 117년에 태어났다고 한다.
경주 이씨 족보에 따르면, 알평은 기원전 117년에 하늘에서 진한(辰韓) 땅의 표암봉으로 내려왔다고 한다. 자(字)는 천서(天瑞), 호(號)는 표암(瓢巖)이다. 신라 시조 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한 좌명대신(佐命大臣)으로 200세 가까이 살았다고 한다. 법흥왕 23년(서기 535년) 사후 충헌공(忠憲公)이라는 시호를 받았고,[5] 태종 무열왕 3년(서기 656년) 은열왕(恩烈王)으로 추봉되었다.[6][7]
알평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기원전 69년, 6촌장이 알천의 둑 위에 모여 나라를 세울 것을 논하였다.[3] 마침 남쪽 양산 밑의 나정에서 혁거세 거서간을 발견하여 왕으로 삼기로 하고 함께 양육하여 기원전 57년에 왕위에 추대하고 신라를 건국하였다. 양산촌은 유리왕 9년(서기 32년) 급량부(及梁部)로 개칭하고[4] 이씨(李氏) 성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3. 경주 이씨 족보
시조 이알평 이후 900여 년간의 후계 기록이 없다가,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지낸 대학자 이제현의 묘지명에서 알평의 후손이자 진골 출신인 신라말 소판 이거명이 언급되면서,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여 계대를 잇고 있다.[8]
4. 가계
관계 이름 비고 배위 泰華公主|태화공주중국어 기씨(箕氏) 마한 태조의 딸 배위 부인 박씨(夫人 朴氏) 신라 시조왕 혁거세와 알영부인의 딸[10] 아들 이유(李侑) 손자 이타(李它) [9]
4. 1. 배우자
4. 2. 자녀
4. 3. 후손
5. 분관
이알평의 자손들은 여러 집안으로 분적해 나갔다. 분적된 집안으로는 차성 이씨(車城李氏), 합천 이씨(陜川李氏), 우계 이씨(羽溪李氏) 등이 시조 후손에서 분적되었고, 아산 이씨(牙山李氏), 재령 이씨(載寧李氏), 원주 이씨(原州李氏), 진주 이씨(晋州李氏), 장수 이씨(長水李氏), 성주 이씨(星州李氏), 울산 이씨(蔚山李氏) 등은 중시조 후손 계대에서 분적하였다.
5. 1. 시조 후손 분적
이알평 이후 그의 자손들은 여러 집안으로 분적해 나갔다.
시조 후손 분적 | 중시조 후손 분적 |
---|---|
1987년도 간행 정묘보이며 중앙표준보인 경주이씨 대종보(전46권)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 분적도 참조.
5. 2. 중시조 후손 분적
차성 이씨(車城李氏), 합천 이씨(陜川李氏), 우계 이씨(羽溪李氏)는 이알평의 시조 후손에서 분적하였고, 다음의 7본은 중시조 후손 계대에서 분적하였다.- 아산 이씨(牙山李氏) - 시조 이주좌(李周佐)
- 재령 이씨(載寧李氏) - 시조 이우칭(李禹偁)
- 원주 이씨(原州李氏) - 시조 이반계(李攀桂)
- 진주 이씨(晋州李氏) - 시조 이영재(李永榟)·이군재(李君榟) 형제
- 장수 이씨(長水李氏) - 시조 이직간(李直幹)·이임간(李林幹) 형제
- 성주 이씨(星州李氏) - 시조 이순유(李純由)
- 울산 이씨(蔚山李氏) - 시조 이철(李哲)
위 내용은 1987년에 간행된 정묘보이며 중앙표준보인 경주 이씨 대종보(전46권)와 경주 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 분적도를 참조하였다.
6. 논란과 의혹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따르면 유리 이사금 때 6부 촌장에게 성씨를 하사할 때 급량부대인에게 이씨 성을 사성했다고 한다. 그러나 유리 이사금 재위 당시 이씨 성을 처음으로 하사받은 급량부대인의 이름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4]
그가 생전에 이씨 성을 하사받았는지, 아니면 그의 후손 중 누군가가 이씨 성을 하사받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7. 기타
안악 이씨(양산 이씨) 족보에 따르면, 전한 무제(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한 낙랑군 태수 이진의 증손 중 이천보는 흉노 공격에 참여한 공로로 양산후에 봉해졌다고 한다. 또한 이천보의 동생 이천록은 사로국으로 이주하여 알평의 선조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1]
참조
[1]
문서
[2]
서적
삼국유사
:s:삼국유사/권제1#신라 시조 혁거[...]
1281
[3]
서적
삼국유사
:s:삼국유사/권제1#신라 시조 혁거[...]
1281
[4]
서적
삼국유사
:s:삼국유사/권제1#신라 시조 혁거[...]
1281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뉴스
한국의 성씨 이야기 <16> 이씨(李氏)의 기원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1-10-04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