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흥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흥왕은 신라의 제23대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왕권 강화, 불교 공인, 국가 제도 정비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지증왕의 아들로 태어나 514년에 즉위하여, 병부 설치 (517년), 율령 반포 (520년), 상대등 설치 (531년) 등을 통해 통치 체제를 정비했다. 528년에는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고 흥륜사 건립을 시작했으며, 536년에는 신라 고유의 연호인 건원을 사용했다. 대외적으로는 백제와 함께 양나라에 조공하고 가야 세력을 견제했으며, 532년에는 금관국을 멸망시키고 김유신의 조상을 신라 귀족으로 편입시켰다. 540년에 사망하여 법흥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흥왕 - 경주 법흥왕릉
신라 최초로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한 법흥왕의 업적을 기리는 경주 법흥왕릉은 신라 왕릉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능의 규모와 둘레돌, 위치 변화를 통해 당시 신라 사회의 변화와 왕권 강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 법흥왕 - 경주 흥륜사지
신라 최초의 절인 경주 흥륜사지는 아도가 창건하고 법흥왕 때 재건되어 진흥왕 때 '대왕흥륜사'로 번성했으나, 현재 절터에는 석조와 배례석 등의 유물만 남아 있으며, 영묘사 터라는 설도 있다. - 540년 사망 - 비티게스
비티게는 디트리히와 결투 후 형제의 맹약을 맺고 에첼의 군사 작전에 참여하며, 디트리히와 대립하다가 결국 결투에서 패배하여 죽음을 맞이하는 중세 서사 문학의 영웅이다. - 540년 사망 - 쿠마라굽타 3세
죄송합니다. 쿠마라굽타 3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위키백과 스타일의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한국의 태왕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한국의 태왕 -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제19대 왕으로, 374년에 태어나 391년부터 412년까지 재위하며 영락 연호를 사용하고 백제, 왜, 거란 등을 정벌하여 고구려 영토를 확장했으며, 신라를 지원하여 왜군을 물리치고 내치에도 힘썼다.
법흥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김원종(金原宗) |
본명 | 모즉지(牟卽智), 另卽智(이름이름) |
별칭 | 진(秦), 탁부 모즉지 매금왕, 모즉지 마립간, 건원왕(建元王) |
묘호 | 없음 |
시호 | 법흥(法興) |
존호 | 무즉지태왕(另卽智太王) |
재위 기간 | 514년 - 540년 7월 (음력) |
출생 | 미상 (500년 이후) |
출생지 | 신라 서라벌 탁부 |
사망일 | 540년 7월 (음력) |
사망지 | 신라 서라벌 |
연호 | 건원(建元, 536년 ~ 540년) |
종교 | 불교 |
능묘 | 법흥왕릉 |
23대 신라 국왕 | 제23대 신라 국왕 |
정치 | |
왕국 | 신라 |
섭정 | 김구해(538~540) |
즉위 | 514년 |
이전 국왕 | 지증왕 |
다음 국왕 | 진흥왕 |
가족 관계 | |
부왕 | 지증왕 |
모후 | 연제태후 박씨 |
배우자 | 보도부인 김씨 |
형제자매 | 입종 갈문왕, 어사추 여랑왕, 김진종(?) |
자녀 | 지소왕후, 비대, 모도, 남모 |
2. 생애
지증왕 대에 마립간 대신 중국식 칭호인 국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울진 봉평신라비에서 탁부 모즉지 매금왕(啄部 牟卽智 寐錦王)이라 하여, 법흥왕 생존 당시에도 매금이라는 칭호를 비공식적으로 사용했음이 확인되었다.
2. 1. 즉위 전
지증 마립간과 소지 마립간의 후비였던 등혼의 딸 연제부인 박씨의 장남으로 훼부에서 태어났다. 중국 측 사서인 《양서(梁書)》54권 신라전에는 “왕성모명진(王姓募名秦)”이라 하여 그의 성(姓)이 모씨(募氏)이고 이름은 진(秦)이라 하였고, 《남사(南史)》79권 신라전에는 성이 모씨(募氏)이고 이름이 태(泰)라 하였다. 중국측 사서에는 그의 성을 모씨라 했지만, 조선 후기의 학자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그의 성을 모씨로 기록한 것은 잘못인 듯하다고 평하였다. 그의 출생지와 유년 시절에 대한 기록은 미상이었으나, 1988년 1월 20일[13]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2리 521번지에서 발견된 울진 봉평신라비를 해석하던 중, 그를 탁부 모즉지 매금왕(喙部 牟卽智 寐錦王)이라 칭한 대목이 발견되어 그가 신라의 수도인 금성의 탁부에서 태어난 것이 확인되었다.[14] 출생연도는 미상이지만 지증왕과 연제부인의 결혼시점이 500년인데 이에 따르면 법흥왕은 최소 500년 이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5] 체구가 커서 신장이 7척[16]이었다 하며 성격이 관후하고 넓어서 백성을 사랑하였다 한다.아버지 지증 마립간은 내물 마립간의 증손자로 복호 갈문왕의 손자이자 습보 갈문왕의 아들이었다. 어머니 연제부인 박씨는 이찬 박등혼의 딸로 본래는 소지 마립간의 후비 중 한사람이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기골이 장대하고 체구가 커서 배우자가 없었던 지증 마립간에게 맞는 배우자가 없었는데, 사신을 파견하여 신라 국내를 수소문하던 중 연제부인을 발견하여 배우자로 삼았다 한다. 정비는 보도부인이다. 아버지 지증 마립간이 법흥의 7촌 재종숙이 되는 소지 마립간의 서자 산종(山宗)을 대신하여 마립간으로 즉위했다.
지증 마립간의 대에 마립간 대신 중국식 칭호인 국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울진 봉평신라비에 탁부 모즉지 매금왕(啄部 牟卽智 寐錦王)이라 하여 매금이라는 칭호를 법흥왕의 생존 당시에도 비공식적이지만 사용하였던 것이 확인되었다.
2. 2. 재위 기간의 주요 업적
법흥왕은 514년 아버지 지증왕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 그는 '건원'이라는 신라 최초의 연호를 사용했다. 불교식 별칭인 성법흥대왕(聖法興大王) 등으로도 불렸다.517년 병부를 설치하여 군사 제도를 개혁했다.[17] 520년에는 국가의 법령을 문서로 성문화한 율령을 반포하고, 관리들의 관복을 제정하여 붉은색과 자줏빛으로 등급을 구분했다.[18] 531년에는 최고 관직인 상대등을 설치하여 국정을 총괄하게 했다.
528년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국교로 정했다.[19] 이후 불교에 기반한 통치를 통해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삼국통일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다.[20][21] 살생을 금지하는 칙령을 내리고, 532년 금관가야를 정복했다.[22] 536년에는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23]
지증왕 때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4] 국가 제도를 정비했다.[5] 536년 건원이라는 신라 고유의 연호를 제정했다.
대외적으로는 521년 백제와 함께 양나라에 조공을 바쳤고, 나제 동맹을 바탕으로 가야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522년 가야의 통혼 요청을 수락했고, 532년 금관가야를 멸망시켰다. 항복한 금관국 왕 일족을 우대하고, 김무력을 등용했다. 김무력의 손자 김유신은 훗날 삼국 통일에 큰 공을 세웠다.[6]
528년 불교를 공인하고, 534년 흥륜사 건립을 시작했다. 법흥왕은 불교에 귀의하여 스스로 승려가 되었고, 흥륜사를 창건했다.[24] 『삼국유사』에는 법흥왕이 불교에 귀의하고 살생을 금했다는 기록이 있다.
540년 7월에 사망하여 애공사 북봉(경주시 효현리)에 묻혔다.[7]
2. 3. 불교 진흥과 관련된 내용
528년 귀족층의 반대를 무릅쓰고 불교를 공인하였고,[19] 이차돈의 순교를 거쳐 국교로 정하였다. 이후 불교에 의한 통치를 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삼국통일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였다.[20][21] 살생을 금하는 칙령을 발표하였다.[22]534년 흥륜사 건립을 시작하여 불교를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삼국유사 왕력에는 십일행을 행하고 살생을 금했으며, 왕비가 왕의 사후 출가하여 법류라 칭하고 영흥사에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삼국유사 흥법・원종흥법조에는 법흥왕 스스로 출가하여 이름을 법운이라 하고 법공이라 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법흥왕은 불교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어 이름을 법공(法空)이라 하고 흥륜사에 머물렀는데, 흥륜사는 신라 최초의 사찰이었다고 한다.[24]
2. 4. 최후
아들이 없었으므로 동생 입종 갈문왕의 아들이자 조카이며 외손자인 삼맥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왕비 보도부인과 함께 경주 흥륜사로 물러나 불교 승려로 출가해 있다가 그해 여름 7월에 붕어하였다. 그의 시호는 법흥으로, 불교를 장려하였다는 뜻에서 법흥왕이라는 시호가 붙게 된 것이며, 성법흥왕, 법흥성왕이라고도 불렀다. 동사강목 제3권에 의하면 그가 최초로 중국식 시법을 도입했다 한다. 보도부인은 그의 생전 혹은 사후에 여승으로 있다가 사망하였다. 경주 애공사 북쪽 산 봉우리에 장사지냈다고 하며 사망원인과 능지는 실전되어 미상이다.[1]3. 가계
구 분 | 내용 |
---|---|
부왕 | 지증왕(437~514 재위:500~514) |
모후 | 연제태후 박씨 |
동생 | 입종 갈문왕 |
숙부 | 김아진종 |
왕후 | 보도부인 박씨 |
왕후 | 보도부인 박씨 |
자녀 | 지소태후 |
외손자 | 진흥왕, 미진부 |
후궁 | 옥진궁주 김씨 (위화랑과 오도낭주의 딸) |
자녀 | 각간 비대전군, 제3대 풍월주 모랑 |
후궁 | 보과공주 부여씨 (백제 동성왕의 딸) |
자녀 | 남모공주 |
4. 기타
지증왕 대에 마립간 대신 중국식 칭호인 국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울진 봉평신라비에는 탁부 모즉지 매금왕(啄部 牟卽智 寐錦王)이라 하여 매금이라는 칭호를 법흥왕의 생존 당시에도 비공식적이지만 사용하였던 것이 확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법흥왕
https://terms.naver.[...]
2019-05-31
[2]
웹사이트
Buddhism: A New Tradition
https://www.metmuseu[...]
2023-08-30
[3]
웹사이트
Nara to Norwich
https://naratonorwic[...]
2023-08-30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11]
문서
https://db.history.g[...]
[12]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13]
뉴스
울진 봉평신라비 기념관 “1500년전 신라 역사를 말하다”
http://www.idaegu.co[...]
대구일보
2015-02-06
[14]
문서
https://db.history.g[...]
[15]
문서
http://contents.hist[...]
[16]
문서
[17]
서적
삼국사기
[18]
서적
삼국사기
[19]
서적
삼국사기
[20]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1]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2]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3]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4]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세계유산’ 울산 반구천 암각화 가보니… “훼손 걱정, 교통∙시설 등은 아쉬워”
어미 고래의 애틋함·활 쏘는 사람…'세계유산' 암각화 속 그림
반구천 암각화, 선사시대 ‘고래 사냥’ 구체적 묘사 높은 가치…훼손 방지 과제
‘반구천 암각화’ 한국 17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침수 문제 해결은 과제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코앞
신라 시대 ‘영천 청제비’ 국보 된다
제방 세우고 관리한 신라인의 흔적…'영천 청제비' 국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