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준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왕은 고조선의 마지막 왕으로,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시기에 즉위했다. 위만이 고조선에 망명해온 후 서쪽 변방을 지키게 했으나, 위만이 반란을 일으키자 남쪽으로 피신하여 위만조선이 건국되었다. 이후 한왕을 칭하며 마한 지역으로 이동했다. 준왕은 기자조선의 후손으로 기록되나, 기자조선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준왕은 서씨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백제의 관료 답혼춘초가 그의 후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조선 국왕 - 부왕 (고조선)
    부왕은 기원전 3세기경 고조선의 왕으로 추정되며, 진시황 만리장성 축조 후 진나라에 복종했으나 직접 조회하지 않았고, 아들 준왕 대에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겼으며, 혈통은 기자조선 관련 논란이 있다.
준왕 - [인물]에 관한 문서
준왕 (고조선)
이름기준(箕準)
다른 이름미상
즉위준왕(準王)
별명미상
출생일기원전 3세기
출생지고조선(古朝鮮)?
사망일기원전 184년
사망지마한(漢羅羅)
재위기원전 208년 ~ 기원전 194년
매장지미상
배우자미상
자녀태화공주 기씨(泰華公主 箕氏)
아버지부왕(否王)
어머니미상
친인척미상
이전부왕(否王)
이후왕조 멸망 남하
묘호미상
시호미상
종교미상
가문미상
왕조고조선(古朝鮮)
연호미상
목록고조선 국왕
작위2마한의 왕
재위2기원전 194년 ~ ?
정보
한국어 (문화관광부 2000년식)준왕
한국어 (매큔-라이샤워식)Chun Wang
한글준왕
한자準王
히라가나じゅんおう
중국어
간체准王
병음Zhǔn Wáng
일본어
이름準王
요미가나じゅんおう
직업기자조선의 제41대 왕

2. 생애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했을 무렵에 즉위하였다. · 교체기에 중국에서 망명해오는 유민들을 받아들였다. 기원전 194년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측근을 데리고 남쪽으로 피신하여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마한으로 갔다. 준왕은 그곳에서 한왕(韓王)을 자칭했다.[3] 이후의 생애는 알려진 것이 없다.

2. 1. 위만과의 관계

진시황(秦始皇)이 중국을 통일했을 무렵 준왕이 즉위하였다. (秦)·(漢) 교체기에 중국에서 망명해오는 유민들을 받아들였으며, 기원전 195년 망명해 온 위만을 박사(博士)로 삼고 서쪽 변방을 지키게 하였다. 기원전 194년 위만이 중국 출신 유민들을 모아 역성혁명을 일으키자 준왕은 측근을 데리고 남쪽으로 피신했다. 그렇게 되어 단군조선은 멸망하고 위만조선이 건국된다.[1]

준왕은 한지(韓地)로 들어가 한왕(韓王)을 자칭했으며, 조선과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진 것이 없다.[3]

연에서 망명한 위만을 보호하고 있었으나, 위만이 망명자들을 데리고 조선을 지키겠다고 준왕에게 접근하여 조선 서부에 망명자 집단을 만들었다.[1] 이후, 이 쳐들어오자 준왕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왕도에 쳐들어왔다.[2] 준왕과 위만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으나, 『위략』에는 "준은 위만과 싸웠으나 승부가 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2] 그 결과, 위만에게 나라를 찬탈당했다(위만조선).

3. 혈통 및 기자조선과의 관계

삼국지》에는 준왕을 기자의 40여 세손이라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기자조선 문제와 함께 많은 논란의 대상이다. 조선 시대에는 준왕을 기자의 후손으로 인정하여 기준(箕準)이라 칭하고 있으나, 근대 이후에는 기자조선의 실존 여부를 부정하는 설이 부각되면서 특정한 혈통을 상정하지 않은 채 준왕이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조선 말기의 사학자 단재 신채호는 기자가 불조선(番韓, 번한)의 군주가 되었고, 부왕 · 준왕은 기자의 후손으로 불조선의 군주라 주장하기도 하였다.

한국의 일부 사학계는 기자조선의 실체를 부정하나 《삼국지》에 그가 기자의 후손이라 언급되어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환단고기》에 따르면 기씨(箕氏)의 계보는 "기대(箕詡) → 기욱(箕煜) → 기석(箕釋) → 기윤(箕潤) → 기비(箕否) → 기준(箕準)"으로 이어진다. 기대(箕詡)는 순유인(須臾人)이라고 하며, 기자조선인이며, 한인이 아니다.[5] 기대는 번조선왕(番朝鮮王)이 된다. 진한(眞韓)·번한(番韓)은 연(燕)의 침공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구원한 것이 기대이다. 기대는 군대를 번한에 넣어 그곳에 근거하여 번조선왕을 칭했고, 번한을 침략하여 왕이 되었다. 기자조선의 기대가 번한을 병합하여 번조선왕이 된 것은 기원전 323년이다.[5] 기원전 194년, 기준은 연(燕)의 망명자 위만에게 휩쓸려 공격받아 한(韓) 땅으로 도망갔고, 번조선은 멸망한다.

4. 가계


  • 부왕 : 부왕
  • * 딸 : 태화공주 기씨(泰華公主 箕氏)
  • * 사위 : 이알평
  • ** 외손자 : 이유(李侑)
  • ** 외증손자 : 이타(李它)[15]

백제 관료인 답혼춘초는 준왕의 자손이다.[12][13] 준왕의 손자 때 백제귀화한 은인이다.[12][13]

5. 마한과의 관계

기원전 195년, 위만· 교체기에 중국에서 망명해 오자, 준왕은 그를 박사(博士)로 삼고 서쪽 변방을 지키게 하였다.[1] 그러나 기원전 194년, 위만이 중국 출신 유민들을 모아 역성혁명을 일으키자 준왕은 측근을 데리고 남쪽으로 피신하여 한지(韓地)에서 한왕(韓王)을 자칭했으며, 조선과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3]

후한서》 주석에는 준왕이 마한의 왕을 쳐부수고 한왕이 되어 삼한을 지배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조선 시대에는 기자가 이주한 땅을 금마군(金馬郡, 현재의 익산)으로 보았고, 익산의 무강왕릉(武康王陵)을 기자의 능이라 하였다. 또한 준왕이 마한의 왕이 되었다고 보았으며(준왕남천설), 이에 따라 마한을 정통으로 보는 사서도 편찬되었다.[16]

《위지》 한전에는 준왕이 연나라 망명객 위만에게 공격받아 나라를 탈출하여 궁인을 데리고 바다를 건너 한에 정착하여 스스로 한왕이라 칭했다는 기록이 있다.[10] 준왕 일파가 한반도로 남하한 것은 기원전 194년에서 기원전 180년 사이이다. 이들은 남부 한반도에 물질 문화 변동을 일으켰는데, 동경은 거친 무늬 거울에서 세문경으로 발달하고, 청동기는 의기에서 무기 및 실용품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한반도에 철기가 처음 나타나고, 청동 실용구는 점차 철기로 대체되는 등 철기 문화의 등장은 이주민인 준왕 일파의 남하에 의해 등장했다.[10]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준왕은 '한왕'을 칭했지만, 준왕 일파가 마한을 공격하고 나라를 세울 가능성이나 권력 기반을 얻기 위해 마한 제국과 국지적인 전투를 벌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주민이 마한의 문화를 파괴하거나 대체하는 현상은 보이지 않으므로, 마한 전체에 대한 토벌을 감행할 의지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0] 준왕 일파는 상당 규모의 해상 선단을 이끌고 한반도 남부 해안 일대의 문화를 변화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식 동검 문화와 신철기 문화로 대표되는 삼한 문화는 해로를 따라 호서-호남을 거쳐 이동했다.[10]

최근에는 준왕의 일파가 진국(辰國)에서 세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마한의 진왕(辰王) 세력에게 패하여 와해된 것으로 보고 있다.[17][18] 준왕 일파가 보유한 다뉴세문경과 철기 문화가 보이지 않으므로, 문화 전파 경로에서 진한변한에 해당하는 영남 해안 일대는 배제되며, 《위지》 동이전에 '준왕 일파가 멸망했다'는 기사로부터 추측하여, 준왕 일파는 마한에 일차적으로 정착한 후 동화된 것으로 판단된다.[10]

6. 서씨(徐氏)의 기원

기자의 40세손이자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인 준왕은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뱃길로 남쪽으로 옮겨, 진(辰)나라 북쪽 변방인 지금의 경기도 이천 서아성(徐阿城) 지방에 자리를 잡았다. 이때 지명을 따 성씨를 서씨라 하였다고 《동국문헌비고》에 기록되어 있다.

7. 준왕이 등장한 작품

8. 주요 연표

연도사건
기원전 323년기준, 번조선 건국.[5]
기원전 315년기준(箕煜) 즉위.
기원전 290년기준(箕釋) 즉위.
기원전 284년연나라 장수 진개의 공격으로 천 리를 후퇴.[11]
기원전 251년기준(箕潤) 즉위.
기원전 231년기준(箕否) 즉위.
기원전 221년준왕(箕準) 즉위.
기원전 195년위만이 망명, 준왕에게 귀순하여 서쪽 변경의 지휘관으로 임명됨.
기원전 194년위만의 반란으로 준왕은 마한으로 쫓겨남.[3]


참조

[1] 서적 隋唐帝国と古代朝鮮 中央公論新社 1997-01
[2] 서적 隋唐帝国と古代朝鮮 中央公論新社 1997-01
[3] 서적 韓國歷史與現代韓國 https://books.google[...] 台湾商務印書館 2005-08-01
[4] 서적 倭人のルーツと渤海沿岸 星雲社 1997-12-01
[5] 서적 倭人のルーツと渤海沿岸 星雲社 1997-12-01
[6] 서적 倭人のルーツと渤海沿岸 星雲社 1997-12-01
[7] 서적 倭人のルーツと渤海沿岸 星雲社 1997-12-01
[8] 서적 倭人のルーツと渤海沿岸 星雲社 1997-12-01
[9] 서적 7世紀以前の中国・朝鮮関係史 法政大学経済学部学会 2020-03-20
[10] 뉴스 三韓時代韓半島南部と東アジア社会の変動 壱岐市立一支国博物館 2005-06
[11] 서적 倭人のルーツと渤海沿岸 星雲社 1997-12-01
[12] 서적 日本書紀通釈 https://dl.ndl.go.jp[...] 大鐙閣 1927
[13] 서적 大日本史 第七巻 https://www.google.c[...] 吉川弘文館 1912
[14] 문서 삼국지 위서 03세기
[15] 문서 35대로 된 실전세계(失傳世系)
[16] 서적 동사강목 1778
[1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준왕 http://100.empas.com[...]
[18] 문서 준왕남천설에 대한 비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