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마다 오토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다 오토조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기병 장교로 복무했다.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제12사단 사령관, 중국 파견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1944년 관동군 사령관으로 만주국에 배치되었다. 그는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포로로 잡혀 전범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굴라크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1956년 석방되어 일본으로 귀국했다. 731 부대의 생체 실험 관련 혐의를 받았으며, 196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1년 출생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1881년 출생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임시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나 10월 혁명으로 실각하여 망명했다.
  • 1965년 사망 - 살로테 투포우 3세
    살로테 투포우 3세는 1900년 통가에서 태어나 1918년 즉위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통가를 이끌었고, 문화 보존과 학술 연구를 지원하다 1965년 사망한 통가의 여왕이다.
  • 1965년 사망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야마다 오토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9년 야마다
1939년의 야마다
출생일1881년 11월 6일
사망일1965년 7월 18일
출생지나가노현, 일본 제국
사망지도쿄, 일본
묘소시부야구의 지코지 (시부야구)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903년 – 1945년
최종 계급[[파일:帝國陸軍の階級―襟章―大将.svg|40px]] 육군 대장
지휘제12사단
제3군
중국 파견군
방위총사령부
관동군
참전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소련-일본 전쟁
관동주 장관
직책관동주 장관
대수18대
임기 시작1944년 7월 18일
임기 종료1945년 8월 28일
군주쇼와 천황
수상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이전우메즈 요시지로
재판 정보
재판하바롭스크 전범 재판
죄목전쟁 범죄
형벌25년 강제 노동 수감
훈장 정보
훈장서보장

2. 생애

야마다 오토조는 나가노현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1903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기병 제3연대에 배속되었고, 이후 육군 중위, 육군 대위로 진급하며 육군사관학교 교관, 기병 제3연대 중대장, 참모본부 근무 등을 역임했다. 1918년 육군 소령으로 진급한 후에는 육군 기병학교 교관, 기병감부원, 기병 제26연대장, 조선군 참모, 참모본부 통신과장 등을 거쳤다. 1930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육군 기병학교 교육부장, 기병 제4여단장, 육군 통신학교 교장, 참모본부 제3부장을 역임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후, 야마다는 만주국에 주둔한 제12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38년 제3군 사령관, 1939년 중지나 파견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40년 대장으로 진급, 1944년까지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을 역임했으며, 1941년에는 방위총사령관을 겸임했다.

1944년, 도조 히데키 내각 퇴진과 함께 야마다는 마지막 관동군 사령관 겸 주 만주국 일본 대사로 부임했다.[3] 당시 관동군은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전력이 약화된 상태였고, 야마다는 대본영의 지원 없이 징집병과 지원병을 동원하여 새로운 부대를 편성해야 했다.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야마다가 급조한 부대는 전투 준비 부족으로 궤멸되었다. 일본 항복 후, 야마다는 소련포로로 잡혀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전쟁 범죄 혐의로 25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4] 그는 731 부대의 세균전 관련 범죄를 인정했다.[4] 1956년 일소공동선언으로 석방되어 귀국, 1965년에 사망했다.

2. 1. 초기 군 경력

야마다 오토조는 나가노현에서 육군 경리관 이치카와 가쿠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야마다 간유키의 양자가 되었다. 세이조 학교를 거쳐 육군 중앙 유년 학교를 졸업하고, 1902년 육군사관학교 14기를 졸업했다. 동기로는 고소 간로, 니시오 스조, 우사미 고야 등이 있었다. 1912년에는 육군대학교 24기를 졸업했으며, 동기로는 도이하라 겐지, 이다 사다카타, 우시지마 사다오, 가즈키 세이지, 사카이 고지, 타니 히사오, 야나가와 헤이스케, 야마오카 시게아쓰가 있었다.

1903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기병 제3연대에 배속되었고, 1905년 육군 중위로 진급하여 육군사관학교 교관이 되었다. 1912년 육군 대위로 진급,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기병 제3연대 중대장이 되었다. 1913년에는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1918년 육군 소령으로 진급하여 육군 기병학교 교관을, 1922년 육군 중령으로 진급하여 기병감부원을 역임했다. 1924년 기병 제26연대장이 되었고, 1925년 육군 대령으로 진급했다. 1926년 조선군 참모, 1927년 참모본부 통신과장을 거쳐 1930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 육군 기병학교 교육부장이 되었다. 1931년 기병 제4여단장, 1932년 육군 통신학교 교장을 거쳐, 1933년 참모본부 제3부장을 역임했다.

2. 2.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야마다는 만주국에 주둔한 제12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제12사단은 당시 정예 부대로 상당한 화력과 중장비를 갖추고 있었다.[2] 1938년에는 제3군 사령관이 되었고, 같은 해부터 1939년까지 중지나 파견군 사령관을 지냈다.

1940년 8월 대장으로 진급했으며,[9] 1940년부터 1944년까지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을 역임했다. 1941년 7월에는 방위총사령관을 겸임하기도 했다.[2]

1944년 도조 히데키 내각이 퇴진하면서, 야마다는 마지막 관동군 사령관 겸 주 만주국 일본 대사로 부임했다.[3] 당시 관동군은 숙련된 병력과 장비 대부분이 태평양 전쟁 전선으로 재배치되어 전력이 크게 약화된 상태였다. 야마다는 대본영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받지 못했고, 징집병과 지원병들을 동원하여 새로운 부대를 편성하고 국경 지역에서 철수하여 국가의 전략적 핵심을 보호하려 했다.

1945년 8월 9일, 소련이 만주를 침공했을 때, 야마다가 급조한 부대는 전투 준비가 부족하여 궤멸되었다. 일본 항복 당시 야마다는 소련하바롭스크포로로 잡혀갔다. 그는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전쟁 범죄 혐의로 25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굴라크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4] 그는 재판에서 731 부대가 세균전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이시이 폭탄의 사용을 승인했다고 인정했다.[4] 1956년 일소공동선언으로 외교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석방되어 일본으로 귀국했다.

2. 3. 관동군 사령관 시절

1944년 도조 히데키 내각이 총사퇴하면서 야마다는 정치적 지위를 잃었고, 7월에 관동군의 마지막 사령관으로 만주국에 재배치되었다.[3] 그는 동시에 만주국 주재 일본 대사와 관동주 총독 직책을 겸임했다. 야마다는 대본영에 할당된 병력으로는 소련과의 국경을 지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조언했는데, 이는 관동군이 태평양 전쟁 전선으로 병력과 장비를 차출당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한 야마다는 징집병과 지원병을 동원하여 8개의 보병 사단과 7개의 보병 여단을 새로 조직하고, 국가의 전략적 핵심을 보호하기 위해 국경 지역에서 철수하려 했다.

2. 3. 1. 소련의 만주 침공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대일 참전을 개시했다.[7] 1944년 도조 히데키 내각이 총사퇴하면서 관동군 사령관으로 부임한 야마다 오토조는 소련의 침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당시 야마다는 대사 자격으로 다롄에서 열리는 만주국 국방 단체 결성 대회에 참석 중이었기 때문에, 소련의 침공 소식을 듣고 급히 신징으로 귀환했다.[7]

야마다는 즉시 대본영에 병력 부족을 호소했지만,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지원을 받지 못했다. 그는 징집병과 지원병으로 8개의 보병 사단과 7개의 보병 여단을 급조했지만, 이들의 전투 준비는 15%에 불과했다. 결국 야마다는 사령부를 퉁화로 이동시켜 지구전을 시도했으나, 8월 15일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면서 상황이 종료되었다. 8월 19일, 야마다는 자리코프에서 바실레프스키 원수(극동 소련군 사령관)와 정전 협상을 시작했다.[8]

2. 4. 전후

일본 항복 이후 야마다는 소련 하바롭스크포로로 잡혀갔다. 그는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전쟁 범죄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고 굴라크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4] 재판 과정에서 야마다는 731 부대가 세균전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이시이 폭탄( 발진티푸스흑사병 박테리아가 들어있는 깨지기 쉬운 도자기 수류탄)의 사용을 승인했음을 인정했다. 또한 강제로 동원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생화학 무기 실험을 주도하고 장려하여 수천 명을 고문하고 살해한 혐의도 받았다.[4] 1950년, 야마다는 비밀 소련 생물학 무기 시설이 있던 NKVD 제48호 특별 수용소로 이송되었다.[5]

1956년 12월, 소련-일본 공동 선언에 따라 일본소련 간의 외교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야마다는 석방되어 일본으로 귀국했다. 1965년에 사망했다.

3. 평가 및 논란

야마다 오토조는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의 침략 행위에 가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관동군 사령관 시절 731 부대의 세균전 및 생체 실험을 묵인하거나 승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4]

3. 1. 부정적 평가

야마다 오토조는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의 침략 행위에 가담했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 특히, 관동군 사령관 시절 731 부대의 세균전 및 생체 실험을 묵인하거나 승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4] 그는 재판에서 731 부대가 세균전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이시이 폭탄, 즉 발진티푸스흑사병 박테리아가 들어있는 깨지기 쉬운 도자기 수류탄의 사용을 승인했다고 인정했다. 또한 강제로 동원된 인간을 대상으로 생화학 무기 실험을 주재하고 장려하여 수천 명의 사람들을 고문하고 살해한 혐의도 받았다.[4]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야마다의 부대는 전투 준비가 15%에 불과했고, 곧 궤멸되었다. 그는 대본영에 할당된 병력으로는 소련과의 국경을 지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조언했으나, 일본으로부터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했다.[3] 이러한 상황은 그가 소련의 침공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관동군이 궤멸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게 하였다.

4. 연보


  • 1901년(메이지 34년) 5월 육군 중앙유년학교 졸업
  • 1902년(메이지 35년) 11월 육군사관학교 졸업
  • 1903년(메이지 36년) 6월 육군 소위. 기병 제3연대 부속
  • 1905년(메이지 38년) 2월 육군 중위. 육군사관학교 교관
  • 1912년(다이쇼 원년)
  • * 9월 육군 대위.
  • * 11월 육군대학교 졸업. 기병 제3연대 중대장
  • 1913년(다이쇼 2년) 8월 참모본부
  • 1918년(다이쇼 7년) 6월 육군 소령. 육군 기병학교 교관
  • 1922년(다이쇼 11년) 8월 육군 중령. 기병감부원
  • 1924년(다이쇼 13년) 2월 기병 제26연대장
  • 1925년(다이쇼 14년) 8월 육군 대령
  • 1926년(다이쇼 15년) 3월 조선군 참모
  • 1927년(쇼와 2년) 7월 참모본부 통신과장
  • 1930년(쇼와 5년) 8월 육군 소장. 육군 기병학교 교육부장
  • 1931년(쇼와 6년) 8월 기병 제4여단장
  • 1932년(쇼와 7년) 8월 육군 통신학교 교장
  • 1933년(쇼와 8년) 8월 참모본부 제3부장
  • 1934년(쇼와 9년) 8월 육군 중장. 참모본부 총무부장
  • 1935년(쇼와 10년)
  • * 8월 겸 참모본부 제3부장
  • * 12월 육군사관학교 교장
  • 1937년(쇼와 12년) 3월 제12사단장
  • 1938년(쇼와 13년)
  • * 1월 제3군 사령관
  • * 12월 중지나파견군 사령관
  • 1939년(쇼와 14년) 10월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
  • 1940년(쇼와 15년) 8월 육군 대장[9]
  • * 10월 면 겸
  • 1941년(쇼와 16년) 7월 겸 방위총사령관
  • * 12월 면 겸
  • 1944년(쇼와 19년) 7월 관동군 총사령관, 재만주국 특명전권대사
  • 1945년(쇼와 20년) 8월 15일 종전
  • 1956년(쇼와 31년) 6월 26일 시베리아 억류에서 복원
  • 1965년(쇼와 40년) 7월 18일 사망

5. 서훈

1934년 (쇼와 9년) 2월 7일 - 훈2등 서보장[11]

6. 계급

연도계급
1903년육군 소위
1905년육군 중위
1912년육군 대위
1918년육군 소령
1922년육군 중령
1925년육군 대령
1930년육군 소장
1934년육군 중장
1940년육군 대장
1943년종삼위[2]


참조

[1]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3-04-21
[3] 웹사이트 Axis History Database
[4] 서적 Arming Mother Nature: The Birth of Catastrophic Environmen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서적 Stalin's Secret Weapon: The Origins of Soviet Biological Warfa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15
[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4-02-08
[7] 서적 満州国崩壊8・15 潮書房光人新社 2021-06-24
[8] 서적 シベリア抑留全史 原書房 2013-08-08
[9] 뉴스 梅津美治郎、山田乙三が大将に進級 東京日日新聞 1940-08-02
[10] 서적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1949
[1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4-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