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 사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외 사생은 예술가들이 자연 속에서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의미한다. 19세기 초, 프랑스의 바르비종파 화가들이 빛의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 야외 사생을 시작했으며, 튜브형 유화의 발명과 프렌치 박스 이젤의 개발은 야외 사생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인상주의 화가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국가의 화가들이 야외 사생 기법을 활용했으며, 클로드 모네와 같은 화가들은 야외 사생을 통해 특정 순간의 자연을 묘사하고자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화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 회화 - 현판
현판은 건축물이나 장소의 이름, 의미를 나타내는 표지판으로 건물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권위와 상징성을 부여하며 역사와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 미술 기법 - 마키에
마키에는 금속 가루를 옻칠로 표면에 입혀 장식하는 일본 전통 칠기 기법이며, 히라마키에, 도기다시마키에, 다카마키에 등의 기법으로 나뉘고, 헤이안 시대에 발전하여 일본 칠기 공예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 미술 기법 - 해칭
해칭은 선의 밀도, 두께, 방향을 조절하여 이미지의 밝기와 형태를 강조하는 기법으로, 입체감 표현, 기술 도면의 단면 표시, CAD 프로그램의 면 채우기 등에 활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야외 사생 | |
---|---|
야외 사생 | |
![]() | |
정의 및 특징 | |
정의 |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는 행위 |
다른 이름 | plein air (플랭 에어, 프랑스어) en plein air (엉 플랭 에어, 프랑스어) |
특징 | 자연광 아래에서 그림을 그림 즉흥적인 표현과 색감 강조 야외의 분위기와 느낌을 담아냄 |
역사 | |
기원 | 19세기 중반 프랑스 바르비종파 화가들이 시작 |
주요 화가 | 클로드 모네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카미유 피사로 외젠 부댕 |
기법 및 재료 | |
주요 기법 | 짧고 빠른 붓터치 사용 빛과 그림자의 변화를 포착 색의 혼합을 최소화 |
사용 재료 | 휴대용 이젤 유화 물감 또는 아크릴 물감 캔버스 또는 종이 팔레트 붓 나이프 |
현대의 야외 사생 | |
영향 | 현대 미술에도 큰 영향을 미침 |
활동 | 여전히 많은 화가들이 야외 사생을 즐김 |
2. 역사
19세기 이전에는 예술가들이 다양한 매체에서 나온 원료를 직접 갈아서 자신만의 페인트를 혼합해 만들었기 때문에 재료들을 휴대하고 다니기가 불편했고, 대부분의 그림 그리기 활동이 스튜디오에서만 진행됐었다. 그러나 1830년대에 샤를프랑수아 도비니와 테오도르 루소 등 프랑스의 바르비종파는 날씨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빛의 모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야외 사생을 선호했다.[4]
1800년대 후반에는 튜브형 유화 물감이 등장하면서 휴대성이 개선되어 더 많은 예술가가 야외 사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1841년 미국의 초상화가 존 고프 랜드(John G. Rand)가 발명한 접이식 페인트 튜브 덕분이었다.[5]
당시 프랑스 전역에는 예술가들이 모인 집단 거주지가 많았는데, 그 중 에타플의 해안지역 Côte d'Opale에는 풍경화가 외젠 치고(Eugène Chigot)와 앙리 르 시다네르(Henri Le Sidaner) 등의 예술가 집단이 있었다. 특히, 시다네르는 오일과 파스텔을 사용하여 야광 빛을 캔버스로 옮기는 것을 전문으로 했다.[8]
2. 1. 프랑스 인상주의
클로드 모네, 오귀스트 르누아르, 알프레드 시슬레, 프레데리크 바지유는 1860년대 초 샤를 글레르에게 그림을 배우면서 만난 젊은 화가들이었다. 이들은 풍경과 현대 생활을 그리는 데 관심이 많았고, 함께 시골에서 야외 사생을 하곤 했다.[6] 이들은 자연의 햇빛 아래에서 직접 그림을 그리고, 당시 사용 가능했던 선명한 합성 안료를 활용하여 귀스타브 쿠르베의 사실주의와 바르비종파보다 더 밝고 가벼운 화풍을 개발했다.[7]2. 2. 이탈리아와 영국
19세기 후반 토스카나에서 활동한 화가 집단인 마키아이올리는 이탈리아 미술 아카데미의 낡은 관습을 깨고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며 자연광, 음영, 색상을 직접 포착했다.[9] 이러한 관행은 마키아이올리가 다소 다른 목적을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몇 년 후 유명해진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들과 연결시킨다. 마키아이올리 운동은 1850년대 후반 피렌체에서 시작되었다.19세기 후반 영국의 뉴린파(Newlyn School)도 야외 사생 기법을 지지했다.[9] 웨스트서식스의 앰버리(Amberley)에는 에드워드 스톳을 중심으로 자유분방하고 비교적 덜 알려진 예술가 집단이 활동했는데, 이들은 빅토리아 시대 후반의 일부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분위기 있는 시골 풍경을 만들어냈다.[10]
2. 3. 미국과 기타 국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야외 사생은 캘리포니아에서 시작하여 허드슨강 등 자연 채광이 뛰어난 다른 지역까지 퍼져나갔다.
19세기 이전에는 예술가들이 직접 원료를 갈아 페인트를 만들어 사용했기 때문에 재료 휴대가 불편하여 주로 스튜디오에서 그림을 그렸다. 그러나 1830년대 프랑스 바르비종파는 변화하는 빛의 모습을 묘사하기 위해 야외 사생을 선호했다.[4] 1841년 미국의 초상화가 존 고프 랜드가 접이식 페인트 튜브를 발명하면서 휴대성이 개선되어,[5] 1860년대에는 클로드 모네, 오귀스트 르누아르 등 젊은 화가들이 야외에서 함께 그림을 그리며 자연광과 합성 안료를 활용한 새로운 화풍을 개발했다.[6][7]
프랑스 에타플의 해안지역 Côte d'Opale에는 외젠 치고(Eugène Chigot)와 앙리 르 시다네르(Henri Le Sidaner) 등의 예술가 집단이 있었고,[8] 이탈리아 마키아이올리는 야외에서 그림을 그려 자연광, 음영, 색상을 담았다. 19세기 후반 영국의 뉴린파도 야외 사생 기법을 지지했으며,[9] 웨스트서식스주 앰버리에는 에드워드 스톳을 중심으로 한 예술가 집단이 활동했다.[10] 이러한 야외 사생 활동은 21세기에도 계속 인기를 얻고 있다.[11]
3. 준비와 조건
19세기 중반, '프렌치 박스 이젤' 또는 '필드 이젤'로 알려진 '박스 이젤'이 발명되었다. 누가 이젤을 발명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와 페인트가 내장된 상자, 팔레트를 갖춘 휴대하기 편리한 이젤 덕분에 숲이나 언덕에서 그림을 그리기 쉬워졌다.[12] 오늘날에도 이러한 이젤은 여전히 제작되며, 최근에는 서류가방 크기로 접을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13]
포차드 박스는 화구와 팔레트를 넣고 뚜껑 안쪽에 작품을 놓을 수 있는 작은 화구 상자이다. 일부 화구 상자는 뚜껑에 내장된 죔쇠로 그림을 고정하여 더 큰 캔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14] 주로 야외 현장에서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므로 캔버스나 작업 표면은 일반적으로 50cm가 넘지 않는다.[15]
야외 사생에는 날씨, 주변 동물, 벌레, 구경꾼, 사용하는 페인트 종류 등 다양한 조건이 영향을 미친다. 습도가 높고 비가 오는 날에는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기 어렵다. 아크릴 물감은 따뜻하고 햇볕이 강한 날씨에 빨리 굳어 재사용할 수 없다. 야외 사생은 아크릴 물감이 발명되기 전에 먼저 등장했으며, 전통적인 야외 사생 방법으로는 유화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4. 야외 사생 화가
클로드 모네, 카미유 피사로, 알프레드 시슬리,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등 프랑스 인상파 화가들은 야외 사생을 즐겨 했다.[16]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러시아에서는 바실리 폴레노프, 이삭 레비탄, 발렌틴 세로프, 콘스탄틴 코로빈, 이고르 그라바르 등이 야외 사생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16] 19세기 후반, 야외 사생은 구세계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올드 라임 학교의 인상파를 비롯한 미국의 인상파 화가들도 야외 사생 화가로 활발히 활동했다. 당시 야외 사생을 즐겨했던 미국의 유명한 인상파 화가로는 가이 로즈, 로버트 윌리엄 우드, 메리 드닐 모건, 존 갬블, 아서 힐 길버트 등이 있다.[16] 1880년대와 1890년대 호주에서는 아서 스트리튼, 프레드릭 맥커빈, 톰 로버츠 등 호주 인상주의의 하이델베르크 학파 구성원들도 야외 사생 화가로 활동했다.[16] 1920년대 캐나다의 그룹 오브 세븐과 톰 톰슨 역시 대표적인 야외 사생 화가이다.[16]
4. 1. 프랑스
클로드 모네, 카미유 피사로, 알프레드 시슬리,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등 프랑스 인상파 화가들은 야외 사생을 즐겨 했으며, 그들의 작품 대부분은 야외에서 커다랗고 하얀 우산 속 희미한 빛 아래에서 그려졌다. 특히, 클로드 모네는 특정 순간에 외부 환경의 근접성과 유사성을 화폭에 담기 위해서는 스튜디오에서 그리기보다 외부에 나가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열렬한 야외 사생 화가였다.[16]4. 2. 러시아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러시아에서는 바실리 폴레노프, 이삭 레비탄, 발렌틴 세로프, 콘스탄틴 코로빈, 이고르 그라바르 등의 화가들이 야외 사생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16]4. 3. 미국
19세기 후반 야외 사생은 구세계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올드 라임 학교의 인상파를 비롯한 미국의 인상파 화가들도 야외 사생 화가로 활발히 활동했다. 당시 야외 사생을 즐겨했던 미국의 유명한 인상파 화가로는 가이 로즈, 로버트 윌리엄 우드, 메리 드닐 모건, 존 갬블, 아서 힐 길버트 등이 있다.[16]4. 4. 호주
1880년대와 1890년대 호주에서는 아서 스트리튼, 프레드릭 맥커빈, 톰 로버츠 등 호주 인상주의 하이델베르크 학파 구성원들이 야외 사생을 했다.[16]4. 5. 캐나다
1920년대 캐나다의 그룹 오브 세븐과 톰 톰슨은 대표적인 야외 사생 화가이다.[16]참조
[1]
서적
Nineteenth Century Theories of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2]
서적
The Barbizon School and the Origins of Impressionism
Phaidon Press
1997
[3]
서적
The Thames and Hudson Encyclopaedia of Impressionism
Thames and Hudson
1990
[4]
저널
The Transformation of Landscape Painting in France
https://www.metmuseu[...]
2004-10
[5]
웹인용
A Real Squeeze: Paint in Tubes
https://www.christie[...]
Christie's
2023-04-20
[6]
서적
Canvases and Careers: Institutional Change in the French Painting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7]
저널
The History of the ''Plein Air'' Movement
http://connection.eb[...]
2009-10
[8]
서적
Eugène Chigot, Sa Vie, Son Oevre Peint
Editions Henri
2008
[9]
웹인용
Newlyn School, Landscape Painting Artist Colony, Cornwall: History, Artists, Stanhope Forbes, Frank Bramley
http://www.visual-ar[...]
Visual-arts-cork.com
2010-08-20
[10]
서적
Edward Stott (1855 – 1918):A Master of Colour and Atmosphere
Sansom & Company
2018
[11]
웹인용
Artists who work ''en plein air'' share their motivations: Arts
https://web.archive.[...]
adn.com
2010-06-06
[12]
웹인용
Invention of box/ Field easel
http://artmovement.w[...]
2015-11-02
[13]
웹인용
Plein Air
https://web.archive.[...]
PBS
2007-08-06
[14]
웹인용
''Pochade Boxes''
http://www.dickblick[...]
[15]
웹인용
Pochade box
http://www.artworkes[...]
2016-12-29
[16]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15th ed.)
Cengage Learning
1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