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우카시에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우카시에비치는 1878년 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난 폴란드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이다. 그는 리비우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바르샤바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르부프-바르샤바 논리 학파를 이끌었다. 우카시에비치는 다치 논리의 선구자였으며, 논리 연산자를 위한 폴란드 표기법을 발명하여 컴퓨터 과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하여 아일랜드에서 수학 논리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56년 더블린에서 사망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현대 형식 논리의 관점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 등이 있으며, 1998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철학자 - 지그문트 바우만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반유대주의를 피해 폴란드를 떠난 후 영국 리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유동하는 근대'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성, 홀로코스트, 포스트모더니티, 소비주의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명한 학자이다. - 폴란드의 철학자 -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는 레이즘이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키고 프락세올로지를 옹호한 폴란드의 철학자, 논리학자, 윤리학자로서, 윤리적 관점에서 인간 존엄성을 존중하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1878년 출생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1878년 출생 - 잭 존슨 (권투 선수)
흑인 최초로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등극한 잭 존슨은 1908년부터 1915년까지 챔피언으로 활동하며 인종차별 속에서 "세기의 대결" 승리 후 인종 폭동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맨 법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수감되었고 사후 사면된, 도전적인 삶으로 후대 복서들에게 영감을 준 전설적인 권투 선수이다. - 1959년 사망 - 호세 라우렐
호세 라우렐은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변호사, 상원의원, 대법원 판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 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전후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사면 후 상원의원과 경제 사절 단장을 지내다 1959년 사망했다. - 1959년 사망 - 존 포스터 덜레스
존 포스터 덜레스는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국무장관을 지낸 미국의 변호사이자 외교관으로,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NATO 등 반공 동맹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강경한 외교 정책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국제 협력에도 기여했다.
얀 우카시에비치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78년 12월 21일 |
출생지 | 리비우,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사망일 | 1956년 2월 13일 |
사망지 | 더블린, 아일랜드 공화국 |
국적 | 폴란드 |
학문 분야 | |
주요 관심사 | 철학 논리학, 수리 논리학, 논리학사 |
모교 | 리비우 대학교 |
사상적 경향 | 르부프-바르샤바 학파, 분석철학 |
영향 | 아리스토텔레스, 데이비드 흄, 프레게, 후설, 트바르도프스키, 러셀 |
영향 받은 인물 | 타르스키, 보헨스키, 스우페츠키, 코코란, 스마일리 |
주요 아이디어 | 폴란드 표기법, 우카시에비치 논리, 우카시에비치-모이실 대수, 환원적 추론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Jan Łukasiewicz (얀 우카시에비치) |
2. 생애
얀 우카시에비치는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렘베르크(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나 1956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사망한 폴란드의 논리학자이자 철학자이다.
리비우 대학교와 바르샤바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레비우-바르샤바 논리 학파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폴란드 종교 및 공공 교육부 장관을 역임하며 폴란드 교육 과정 개발을 주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점령 하의 지하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종전 후에는 벨기에를 거쳐 아일랜드로 이주하여 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에서 수학 논리학 교수로 재직했다.
그의 주요 업적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들을 참고하면 된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스트리아-헝가리 렘베르크(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인 아버지 파베우 우카시에비치(Paweł Łukasiewicz)와 어머니 레오폴디나(Leopoldina) 사이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다.[1] 김나지움에서 인문학을 전공하고, 1897년 리비우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자 카지미에시 트바르도프스키에게 철학과 수학을 배웠다.[1]1902년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의 후원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황제는 그에게 다이아몬드가 박힌 특별한 박사 학위 반지를 수여했다.[1] 1905년까지 베를린 대학교와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철학 연구를 계속했다.[1]
2. 2. 학자로서의 경력
1911년에 르비우 대학교 외원 교수로 취임했다.[1] 1915년에 바르샤바 대학교로 옮겨 1920년부터 1939년까지 교수를 역임했다.[1] 1919년, 문부대신에 취임했다.[1] 바르샤바에서는 스타니스와프 레시니에프스키 등과 함께, 이른바 Szkoła_lwowsko-warszawska|르부프-바르샤바 학파pl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다.[1]2. 3.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벨기에로 망명했으며, 전후에는 아일랜드로 건너가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가르쳤다.[1]2. 4. 사망과 유산
얀 우카시에비치는 1956년 2월 13일에 더블린에서 사망했다. 그는 마운트 제롬 묘지에 묻혔다. 폴란드 아르메니아 공동체의 권고에 따라, 66년 후 그의 유해는 폴란드로 송환되었다. 2022년 11월 22일 바르샤바의 구 포봉스키 묘지에 다시 안장되었다. 2008년 폴란드 정보 처리 학회는 가장 혁신적인 폴란드 IT 회사에 수여하는 얀 우카시에비치 상을 제정했다.3. 주요 업적
얀 우카시에비치는 고전 명제 논리의 여러 공리화에 기여했으며, 특히 단 세 개의 공리를 특징으로 하는 우아한 공리화를 제시하여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과학 철학에 관한 글을 썼으며, 과학 이론을 만드는 그의 접근 방식은 칼 포퍼의 사고 방식과 유사했다.
1998년에 발견된 소행성우카셰비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다치 논리
얀 우카시에비치는 다치 논리의 선구적인 연구자였다. 1917년에 그가 소개한 3치 명제 계산법은 최초로 명시적으로 공리화된 비고전적 논리 계산법이었다.3. 2. 폴란드 표기법
얀 우카시에비치는 1920년경에 논리 연산자를 위해 괄호가 필요 없는 폴란드 표기법을 발명했다. 그는 1924년에 이 표기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떠올렸고, 자신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다고 밝혔다.우카시에비치는 자신의 표기법 원리가 함수자를 인자 앞에 써서 괄호를 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알프레드 타르스키와 함께 쓴 명제 계산에 관한 논문을 예시로 들었다.
이 표기법은 1957년에 처음 구현된 재귀 스택 아이디어의 근본이 되었으며, 앨런 튜링 등을 포함한 여러 연구자들이 제안한 후입 선출 컴퓨터 메모리 저장 장치의 개념적 기초가 되었다. 1960년, 우카시에비치의 표기법 개념과 스택은 버로스의 버로스 B5000 컴퓨터 설계의 기초로 사용되었다. 이 개념은 KDF9 컴퓨터 시스템 설계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역 폴란드 표기법(RPN, 후위 표기법)의 기초가 되어 휴렛 팩커드 계산기, Lisp 및 Forth 프로그래밍 언어, PostScript 페이지 설명 언어 등에서 활용되었다.
3. 3.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연구
현대 형식 논리의 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을 재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1951년에 《현대 형식 논리의 관점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 논법》을 저술했다.3. 4. 기타 연구
칼 포퍼와 유사하게 과학 철학에 관한 글을 썼다. 1910년에 모순율과 배중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1]4. 한국과의 관계
1998년 발견된 소행성 우카시에비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그의 저서 "수리 논리학 원론"은 1992년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으며,[1] 그의 논리학 연구는 한국의 전산학, 논리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1]
5. 저서
- Elementy logiki matematycznej|엘레멘티 로기키 마테마티츠네이pl, 1928, 폴란드어.
- Elements of Mathematical Logic|엘레멘츠 오브 매서매티컬 로직영어, 1963, 영어 번역.
- Aristotle's Syllogistic from the Standpoint of Modern Formal Logic|아리스토텔레스 실로지스틱 프롬 더 스탠드포인트 오브 모던 포멀 로직영어, 1951.
- Selected Works|셀렉티드 워크스영어, 루드비크 보르코프스키 편집, 1970.
- Logika i metafizyka. Miscellanea|로기카 이 메타피지카. 미스첼라네아pl, 야체크 야다키 편집, 1998, 폴란드어.
- 수리 논리학 원론: 근대 폴란드 논리학의 원전한국어, 다카마츠 츠루키치 역, 1992, 한국어.
6. 논문
연도 | 논문 제목 |
---|---|
1903년 | 귀납을 연역의 역으로 |
1906년 | 원인의 개념의 분석과 구성 |
1910년 | 아리스토텔레스의 모순율에 관하여 |
1913년 | 근거와 결과 관계의 가역성에 관하여 |
1920년 | 3치 논리에 관하여 |
1921년 | 2치 논리 |
1922년 | 명제 이론의 수치적 해석 |
1928년 | 철학에서의 방법에 관하여 |
1929년 | 수리 논리의 원리 |
1929년 | 수리 논리의 중요성과 요구 |
1930년 | 다치 명제 논리 체계에 대한 철학적 고찰 |
1930년 | 명제 계산 연구 (알프레드 타르스키와 공저) |
1931년 | 니코드의 공리 및 일반화 연역에 대한 논평 |
1934년 | 과학에 관하여 |
1934년 | 지식에 대한 논리적 분석의 중요성 |
1934년 | 명제 논리사 개요 |
1936년 | 로지스틱과 철학 |
1937년 | 로지스틱 옹호 |
1938년 | 데카르트의 철학에 관하여 |
1943년 | 명제 계산의 함축적 계산에 대한 최단 공리 |
1951년 | 명제 논증의 가변적 함수자에 관하여 |
1952년 | 직관주의적 연역 이론에 관하여 |
1953년 | 양상 논리 체계 |
1954년 | 아리스토텔레스의 양상 삼단논법의 논쟁적 문제에 관하여 |
참조
[1]
간행물
Jan Łukasiewicz
https://plato.stanfo[...]
[2]
뉴스
Today, at the Old Powązki Cemetery, Prof. Jan Łukasiewicz
https://polskieradio[...]
Polskie Radio 24
2022-11-22
[3]
웹사이트
Jan Łukasiewicz, Professor of Mathematical Logic at the Royal Irish Academy
https://www.ria.ie/n[...]
Royal Irish Academy
2022-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