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치 논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치 논리는 참, 거짓 외에 제3의 값을 허용하는 다치 논리 체계이다. 1910년경 찰스 샌더스 퍼스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으나, 얀 우카시에비치가 미래의 불확실성을 표현하기 위해 3치 논리를 개발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3치 논리는 진리값을 표현하기 어려운 명제, 물리적으로 결정 불가능한 값, 알고리즘으로 결정할 수 없는 술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3치 논리에는 우카시에비치, 클리니, 보흐바르, 포스트, RM3, HT 논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세 번째 값을 해석한다.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3치 논리는 정보 처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3진 컴퓨터 개발 시도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양자 컴퓨터 분야에서 큐비트 대신 큐트리트를 사용하여 계산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진법 컴퓨터 - 삼진법
    삼진법은 0, 1, 2 세 가지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표현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3의 배수 계산에 유리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음수를 포함하는 변형된 형태도 존재한다.
  • 3진법 컴퓨터 - 트리트
  • 논리학 - 모순
    모순은 논리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주장이나 사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사물의 내재적 대립으로서 역사 발전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 논리학 - 특수
    특수는 철학에서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존재를, 언어학에서는 눈에 띄는 또는 예외적인 의미를 가지며, 사회적으로 특별함이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3치 논리
기본 정보
이름삼치 논리
다른 이름삼가치 논리
다치 논리
유형비고전 논리
역사적 배경
창시자얀 우카시에비치
클라렌스 어빙 루이스
창시 시기1920년대
논리 체계
진리값
거짓
미정 (또는 불확실)
주요 연산부정
논리곱
논리합
함의
특징
응용 분야철학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
언어학
관련 개념퍼지 논리
다치 논리
직관주의 논리
예시
명제"내일 비가 올 것이다" (참, 거짓, 또는 미정)

2. 역사적 배경

고전 논리에서 진리값은 참과 거짓의 2가지 값이다. 그러나 철학이나 수학 등을 논리로 다룰 때 "가능성"이나 "미정의" 등과 같이 참도 거짓도 아닌 진리값이 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내일은 비가 온다"라는 명제는 내일이 되기 전까지는 참이라고도 거짓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래서 또 하나의 값을 추가한 논리의 체계가 3치 논리이다. 3치 논리는 비고전 논리의 하위 분야인 다치 논리의 하위 분야이기도 하다.

3치 논리에 대한 개념은 오래전부터 막연하게 생각되어 왔으며, 고대 그리스아리스토텔레스는 미래의 사건을 나타내기 위해 참도 거짓도 아닌 가능성(미래 우연 명제)으로서 제3의 값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3] 현대적인 3치 논리는 1920년에 얀 우카시에비치가 발표한 On 3-valued logic|3치 논리에 관하여영어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1910년경, 찰스 샌더스 퍼스다치 논리 체계를 정의했지만 출판하지 않았다. 그는 세 개의 값을 갖는 연산자를 정의한 세 페이지 분량의 노트에 페이지 번호도 매기지 않았다.[4] 퍼스는 모든 명제가 참 또는 거짓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단호히 거부하며, 경계 명제는 "P와 not P 사이의 한계"에 있다고 썼다.[5] "3치 논리는 보편적으로 참"이라고 확신하면서도,[6] "이 모든 것은 거의 무의미하다"라고 적었다.[7] 1966년에 맥스 피쉬와 애트웰 터키트가 그의 미출판 원고에서 재발견한 내용을 출판하기 시작하면서 퍼스의 삼항 아이디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 3치 논리의 필요성 및 동기

3치 논리는 참 또는 거짓으로 표현될 수 없는 명제의 진리값을 표현하기 위해 연구되었다.[8] 얀 우카시에비치는 결정되지 않은 미래에 대한 명제의 진리값을 표현하기 위해 미래 우연성 문제에 대한 3치 논리를 처음으로 개발했다.[9][10][11] 브루노 데 피네티는 "어떤 개인이 적어도 주어진 시점에는 [정확한] 응답을 알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해 세 번째 값을 사용했다.[12][8] 힐러리 퍼트넘은 물리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값을 표현하기 위해 3치 논리를 사용했다.[13]

힐러리 퍼트넘은 다음과 같이 3치 논리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속도계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이러저러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면, 그러한 세상에서는 그 순간의 위치에 대한 특정 명제를 확인하거나 반증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특정 관찰 데이터와 함께 물리 법칙을 참조하여 자동차 위치에 대한 명제가 결코 거짓이거나 참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그 명제를 참 또는 거짓으로 간주하지 않고 "중간"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거시적 경험에서 우리가 경험적으로 의미 있는 명제로 간주하는 모든 것이 적어도 잠재적으로 확인 가능하거나 반증 가능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그러한 명제가 참 또는 거짓이라고 말하는 관례를 선호하지만, 많은 경우에 우리는 어느 쪽인지 모른다.영어

마찬가지로, 스티븐 콜 클리니는 참 또는 거짓 여부가 "[어떤] 알고리즘으로도 결정할 수 없는" 술어를 표현하기 위해 세 번째 값을 사용했다.[14][8]

4. 3치 논리의 값 표현

균형 3진법에서 각 숫자는 -1, 0, +1 중 하나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값은 각각 -, 0, +로 단순화될 수도 있다.[15] 중복 이진 표현에서는 각 숫자가 -1, 0, 0/1의 값을 가질 수 있다(값 0/1은 두 가지 다른 표현을 가짐). 3진법에서 각 숫자는 0, 1, 2의 값을 갖는 '트릿'(3진수)이다. 기울어진 이진수에서 가장 낮은 유효 자릿수만 2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나머지 자릿수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이 외에도 다양한 표현 방식이 있는데,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참(1), 거짓(2), 알 수 없음/결정 불가능/무관/둘 다(0)[16]
  • 거짓(0), 참(1), 그리고 ?, #, 등과 같은 세 번째 비정수 기호[17]


3진법 컴퓨터 내부에서 3진법 값은 3진 신호로 표현된다.

5. 3치 논리의 종류

부울 논리는 4개의 단항 연산자를 허용하지만, 삼진 논리에서는 세 번째 값을 추가하여 27개의 단항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울 논리는 16개의 이항 연산자를 가지지만, 삼진 논리는 19,683개의 이항 연산자를 가진다. 그러나 모든 연산자에 이름이 붙여지지는 않으며, 기능적으로 완전한 연산자 집합을 사용하여 삼진 논리 연산을 구성할 수 있다.[18]

3치 논리에는 다양한 체계가 존재하며, 대표적인 체계는 다음과 같다.


  • 클리니 & 프리에스트 논리:
  • 진리값: F(거짓), U(알 수 없음), T(참)
  • 클리니 논리: U는 참도 거짓도 아닌 값.
  • 프리에스트 논리: U는 참이자 거짓인 값.
  • 클리니 논리는 T만 지정된 진리값, 프리에스트 논리는 T와 U 모두 지정된 진리값.
  • 논리 연산:

클리니 & 프리에스트 논리 연산
A¬AA ∧ BA ∨ BA ⊕ B
FUTFUTFUT
FTFFFFUTUUT
UUFUUUUTUUU
TFFUTTTTTUF


  • 숫자값 기반 3치 논리:
  • 진리값: -1(거짓), 0(알 수 없음), +1(참)
  • 논리 연산:

숫자값 기반 3치 논리 연산
A¬AA ∧ BA ∨ BA ⊕ B
-10+1-10+1-10+1
-1+1-1-1-1-10+1-10+1
00-10000+1000
+1-1-10+1+1+1+1+10-1


  • 위 연산은 산술 연산 또는 최소/최대 함수로 표현 가능:

:

\begin{align}

x \wedge y & = \frac{1}{2} (x+y-x^2-y^2+xy+x^2y^2) = \min(x,y)\\

x \vee y & = \frac{1}{2} (x+y+x^2+y^2-xy-x^2y^2) = \max(x,y)\\

\neg x & = -x

\end{align}


  • 클리니 논리의 재료 함축:
  • A \rightarrow B \ \overset{\underset{\mathrm{def}}{}}{=} \ \mbox{OR} ( \ \mbox{NOT}(A), \ B )

클리니 논리 재료 함축
A → BB (OR(¬A, B))B (MAX(−A, B))
FUT-10+1
AFTTT+1+1+1
UUUT00+1
TFUT-10+1


  • 우카시에비치 논리와는 다름.


클리니 논리는 모든 구성 요소가 '알 수 없음'일 때 결과도 '알 수 없음'이 되므로 타당 명제가 존재하지 않는다.[19]

  • 기타 3치 논리:
  • 포스트의 3치 논리: not(a) = (a + 1) mod 3으로 정의되는 단항 연산을 가짐.
  • RM3 논리: 약화 공리(Weakening|위크닝영어)가 없음.
  • HT 논리 (여기-저기 논리, 스메타노프 논리, 괴델 G3 논리): 1930년 헤이팅이 직관주의 논리 연구를 위해 도입.[21]

5. 1. 우카시에비치의 3치 논리

야안 우카시에비치는 1920년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래 우연 명제를 형식화하기 위해 3치 논리를 제안했다.[24] 이는 진리값으로 참(T)과 거짓(F) 외에 제3의 값인 '불확정'(I)을 도입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일은 비가 온다"라는 명제는 내일이 되기 전까지는 참이라고도 거짓이라고도 말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명제의 진리값을 '불확정'으로 표현한다.

우카시에비치는 '불확정' 진리값 I를 포함하는 논리 연산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v(T) = 1
  • v(F) = 0
  • v(I) = 0.5
  • v(A) = v(B) ↔ A = B


이 진리 함수를 사용하여 논리 연산을 정의한다.

  • v(A & B) = min(v(A), v(B))
  • v(A ∨ B) = max(v(A), v(B))
  • v(¬A) = 1 - v(A)
  • v(A → B) = min(1, 1 - v(A) + v(B))


이를 진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BA & BA ∨ BA → B¬A
TTTTTF
TFFTF
TIITI
FTFTTT
FFFFT
FIFIT
ITITTI
IFFII
IIIIT



우카시에비치의 3치 논리에서는 배중률(A ∨ ¬A)과 무모순율(¬(A ∧ ¬A))이 성립하지 않는다.

이 3치 논리는 러셀의 역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러셀의 역설에서 X = {x | x ∉ x}라는 집합을 정의했을 때, X ∈ X = I라고 하면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카시에비치의 3치 논리는 모사오쿠이의 역설[25]과 같은 새로운 역설을 야기한다. 모사오쿠이의 역설은 X = {x | x ∈ x → ¬(x ∈ x)}라는 집합을 정의했을 때, X ∈ X의 진리값이 T, F, I 중 어떤 값을 가져도 모순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5. 1. 1. 무한값 논리

야안 우카시에비츠는 3치 논리를 확장하여 1930년에 구간의 임의의 값을 진리값으로 하는 무한값 논리(Infinite-valued logic)를 제창했다.[24] 이는 3치 논리에서 진리값을 확장하는 방식을 응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진리값 T, F, I1, I2의 4값을 갖는 논리 시스템을 만들 경우,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

: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리값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5. 2. 클리니의 3치 논리

스티븐 콜 클리니는 알고리즘의 정지성에 대한 논의에서 귀납 함수 이론의 "미정의" (undefinedness영어)를 표현하기 위해 3치 논리를 제안했다.[26] 클리니는 '강한 3치 논리'와 '약한 3치 논리' 두 가지를 제안했는데, 여기서는 강한 3치 논리에 대해 설명한다. 약한 3치 논리는 후술할 보흐바르의 3치 논리와 유사한 체계이다.

클리니의 세 번째 값 는 "미정의" 또는 "계산 중"이다. 이 값은 직관적으로 는 (참) 또는 (거짓) 중 하나이지만, 어느 것인지 알 수 없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다음과 같은 논리식을 생각해보자.

:

이 때, 만약 의 부분이 또는 인 경우에도 결과는 가 된다. 따라서 이 논리식의 진리값은 이다. 반대로

:

라고 하면, 이 논리식의 진리값은 가 이면 가 되고 이면 가 된다. 따라서 이 논리식의 진리값은 인지 인지 알 수 없고, 즉 이다.

이상을 바탕으로, 이 3치 논리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rowspan=3|
rowspan=3|
rowspan=3|



클리니의 3치 논리는 인 것을 제외하면 우카셰비치의 3치 논리와 유사하다.

이 라는 정의는 종종 비판을 받는다. 이는 라고 했을 때, 가 되어 고전 논리학에서 항진명제로 여겨졌던 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식은 "가 미정의라면 는 미정의이다"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참으로 하지 않는 것은 직관에 반한다고 할 수 있다.

클리니의 3치 논리는 SQL 등에도 응용되고 있으며, SQL에서는 비교식에 NULL이 들어간 경우, 참 (true영어)도 거짓 (false영어)도 아닌 불명 (unknown영어)이라는 값을 반환한다.

5. 3. 보흐바르의 3치 논리

보흐바르의 3치 논리는 "거짓말쟁이의 역설"로 대표되는 의미론적 자기 지시의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 1939년에 고안되었다.[28]

보흐바르는 세 번째 진리값으로 M영어을 제안했으며, 이 M영어은 "무의미"(meaningless영어)로 해석된다. 보흐바르의 3치 논리는 명제의 구성 요소에 M영어이 있는 경우, 그 진리값은 무조건 M영어이라고 정의했다. 구체적으로 진리값은 다음과 같다.

ABAB영어AB영어AB영어¬A영어
T영어T영어T영어T영어T영어F영어
T영어F영어F영어T영어F영어
T영어M영어M영어M영어M영어
F영어T영어F영어T영어T영어T영어
F영어F영어F영어F영어T영어
F영어M영어M영어M영어M영어
M영어T영어M영어M영어M영어M영어
M영어F영어M영어M영어M영어
M영어M영어M영어M영어M영어



보흐바르는 이 3치 논리에 명제 연산자 T영어를 추가했으며, T영어는 다음과 같다.

ATA영어
T영어T영어
M영어F영어
F영어F영어



이 3치 논리에서는 "이 문장은 거짓이다"와 같은 명제의 진리값을 M영어으로 했을 때, 거짓말쟁이의 역설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강화된 거짓말쟁이 문장 (strengthened liar sentence영어)의 경우 역시 역설이 발생한다.

# 이 문장은 거짓(F영어)이거나 무의미(M영어)하다.

5. 4. 포스트의 3치 논리

포스트의 3치 논리는 not(a) = (a + 1) mod 3으로 정의되는 단항 연산을 갖는 체계이다.

5. 5. RM3 논리

RM3는 약화 공리(Weakening|위크닝영어)가 없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결합에 의해, 곱에서 사영(projection)하는 것과 동일하다.

RM3의 물질적 함의에 대한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IMP(A, B)
A → BB
FUT
AFTTT
UFUT
TFFT



RM3는 비-데카르트 대칭 모노이드 닫힌 범주이다. 함의에 대한 왼쪽 인접자(left-adjoint)인 곱에는 유효한 사영이 없고, U를 모노이드 항등원으로 가집니다.

이 논리는 대우(contrapositive)를 따르는 "이상적인" 반모순 논리와 동일하다.

5. 6. HT 논리 (여기-저기 논리, 스메타노프 논리, 괴델 G3 논리)

여기-저기 논리('''HT''', 스메타노프 논리 '''SmT''' 또는 괴델 G3 논리라고도 함)는 1930년 헤이팅이 직관주의 논리 연구를 위한 모델로 도입한[21] 세 가지 값을 갖는 중간 논리입니다. 여기서 세 번째 진리값 NF(not false, 비-거짓)는 직관주의적으로 거짓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지만, 정확성에 대한 직관주의적 증명이 없는 명제의 의미를 갖습니다.

NOT(A)
A¬A
T
NFF
F



IMP(A, B)
A → BB
NF
ATTT
NFFTT
FNFT



이는 직관주의 논리의 공리에 (¬''q'' → ''p'') → (((''p'' → ''q'') → ''p'') → ''p'') 또는 ''p''∨(¬''q'')∨(''p'' → ''q'') 중 하나를 추가하거나 연산에 대한 명시적인 진리표를 통해 정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결합과 분리는 클레이니 논리 및 루카셰비츠 논리와 동일하며, 부정이 다릅니다.

HT 논리는 중간 논리 격자에서 유일한 코원자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전 논리 다음으로 "두 번째로 강력한" 중간 논리로 볼 수 있습니다.

6. 컴퓨터 과학과의 관련성

3진 논리는 컴퓨터 분야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2진법을 채택한 현대 컴퓨터는 트랜지스터의 ON/OFF, 전압의 HIGH/LOW 등 2개의 상태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한다. 이와 달리, 3진 논리를 이용하면 3개의 상태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의 HIGH/LOW/MIDDLE, 전류의 흐름/멈춤/역흐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3진 논리는 2진 논리보다 더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정보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진 논리를 이용한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하는 컴퓨터보다 더 적은 소자로 같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회로의 복잡성을 줄이고, 전력 소비를 절감하며, 계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6. 1. 3진 컴퓨터 개발 시도

1950년대에는 소련에서 SETUN이라는 3진 컴퓨터가 개발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에는 일본 연구진이 광학 소자를 이용한 3진 컴퓨터를 개발했다. 하지만 3진 컴퓨터는 2진 컴퓨터에 비해 기술적인 난점이 많아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6. 2. 양자 컴퓨터와 3치 논리

최근 양자 컴퓨터 분야에서 3진 논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큐비트를 이용하는 양자 컴퓨터는 2진 논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큐트리트를 이용하면 3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어, 계산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큐트리트를 이용한 양자 컴퓨터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지만, 3진 논리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rilean (Stanford JavaNLP API) https://nlp.stanford[...] Stanford NLP Group
[2] 논문 Introduction to a General Theory of Elementary Propositions 1921
[3] 웹사이트 Peirce's Deductive Logic > Peirce's Three-Valued Logic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Summer 2020 Edition) https://plato.stanfo[...] 2024-05-15
[4] 웹사이트 Triadic Logic http://www.commens.o[...] 2001
[5] 웹사이트 Logic : autograph manuscript notebook, November 12, 1865-November 1, 1909 https://iiif.lib.har[...] Houghton Library, Harvard University 1839–1914
[6] 웹사이트 Logic : autograph manuscript notebook, November 12, 1865-November 1, 1909 https://iiif.lib.har[...] Houghton Library, Harvard University 1839–1914
[7] 웹사이트 Triadic Logic http://www.digitalpe[...] 2020-07-30
[8] 논문 Foreword: Three-valued logics and their applications 2014-01-02
[9] 논문 Three-Valued Logic and Future Contingents https://www.jstor.or[...] 1953
[10] 논문 The Problem of Future Contingencies https://www.jstor.or[...] 1957
[11] 논문 Łukasiewicz, determinism, and the four-valued system of logic 2021-05-01
[12] 논문 The logic of probability (translated) 1995-01-01
[13] 논문 Three-valued logic 1957-10-01
[14] 서적 Introduction to metamathematics North-Holland Publishing Co., Amsterdam, and P. Noordhoff, Groningen 1952
[15]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Vol. 2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6] 논문 Third base http://bit-player.or[...] Sigma Xi, the Scientific Research Society 2001-11
[17]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Mathematics. Fourth Edi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8] 문서 Standard Ternary Logic http://homepage.cs.u[...] Douglas W. Jones 2013-02-11
[19] 문서 Beyond Propositional Logic http://www.uky.edu/~[...]
[20] 서적 "Many-valued Logic and its Philosophy" https://books.google[...] Elsevier
[21] 논문 Die formalen Regeln der intuitionistischen Logik. 1930
[22] 서적 Multiple valued logic: concepts and representations Morgan & Claypool Publishers
[23] 문서 Multiple-Valued Logic Synthesis and Optimization http://dl.acm.org/ci[...]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논문 On 3-valued logic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25] 논문 Logical paradoxes for many-valued systems https://www.cambridg[...] 1954-03
[26] 서적 Introduction to Metamathematics Noth Holland Publ. 1952
[27] 서적 Log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llis Horwood Ltd. 1984
[28] 논문 On a three-valued logical calculus and its application to the analysis of the paradoxes of the classical extended functional calculus https://doi.org/10.1[...] 198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