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현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현악기는 현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통칭하며, 악기 구조, 연주 방식, 음역 등에 따라 분류된다. 손가락, 피크, 활 등을 사용하여 연주하며, 하프, 기타, 가야금, 바이올린 등이 대표적이다. 발현악기는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고유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류트, 만돌린, 밴조, 코라 등이 민속 음악에, 기타, 베이스 기타 등이 대중음악에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현악기 - 하프시코드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로, 플렉트럼으로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음높이의 현과 레지스터를 통해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피아노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에 부활하여 고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 발현악기 - 기타
    기타는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로,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로 구분되며, 넥, 바디, 헤드로 구성되고 다양한 튜닝과 연주법, 액세서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연주한다.
발현악기
개요
정의현악기의 일종으로, 손가락, 손톱, 플렉트럼 등으로 줄을 뜯거나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
발현악기
다양한 발현악기
다양한 발현악기
연주 방법
주요 방법손가락
손톱
플렉트럼 (피크)
종류
일반적인 종류기타
류트
하프
만돌린
밴조
우쿨렐레
차랑고
비파
가야금

거문고
샤미센
고토
라바브
세타르
시타르
탐부라
산투르
카눈
발랄라이카
돔브라
역사
기원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역
초기 형태활의 형태에서 발전
초기 발현악기수메르의 리라
고대 이집트하프 형태의 악기 사용
고대 그리스키타라와 같은 발현악기 사용
동아시아비파고토와 같은 악기 사용
특징
음색맑고 청아한 음색
연주 기법다양한 연주 기법 가능 (아르페지오, 트레몰로 등)
음악 장르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사용 (클래식, 포크, 팝 등)
같이 보기
관련 항목현악기
악기

2. 발현 악기의 분류

발현악기는 현을 뜯거나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악기의 구조, 연주 방식, 음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2. 1. 악기 구조에 따른 분류

발현악기는 몸통의 형태, 현의 개수와 재질, 공명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다음은 악기 구조에 따른 발현악기 목록이다.

2. 2. 연주 방식에 따른 분류

발현악기는 현을 뜯거나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연주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종류악기
동아시아가야금(한국), 거문고(한국), 고금(중국), (중국), 공후(중화인민공화국), 월금(중국), 비와(일본), 고토(일본), 샤미센(일본), 산시안(중국), 류친(중국), 피파(중국), 다루안(중국), 둑시안친(중국), 구친(중국), 구정(중국), 친친(중국), 주(중국), 위에친(중국), 중루안(중국)
동남아시아단 짜인(베트남), 단 바우(베트남), 단 응우엣(베트남), 단 탐(베트남), 단 쩐(베트남), 단 띠 바(베트남), 칵(인도네시아), 쿡(인도네시아), 자케(태국), 카차피(인도네시아), 쿠티야피(필리핀), 옥타비나(필리핀), 사웅(버마), 사산도(인도네시아)
남아시아시타르(인도), 도타라(인도), 엑타라(인도), 고투바디암(인도), 모한 비나(인도), 루드라 비나(인도), 사가르 비나(파키스탄), 사라스와티 비나(인도), 사로드(인도), 스와라지(인도), 탄푸라, 타티(나갈랜드, 인도), 비나(인도), 비치트라 비나(인도)
중앙아시아돔브라(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코비즈(카자흐스탄), 코무즈(중앙아시아)
서아시아바르바트(이란), 우드(중동, 그리스), 칸부스(아라비아 반도), 라와프, 루밥(이란), 살라네(이란), 세타르(이란), 탄부르(이란), 타르(이란)
아프리카베게나(에티오피아), 콘티기(나이지리아), 코라(서아프리카), 크라르(에티오피아), 냐티티(케냐), 발리하(마다가스카르), 잘람
오세아니아우쿨렐레(하와이)
유럽발랄라이카(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반두리아(스페인), 부주키(그리스), 하프, 하프시코드(건반 악기), 키타라(고대 그리스), 류트(유럽), 리라, 만돌린, 솔터리, 치터, 돔라(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바글라마(터키), 바글마스(그리스), 반두라(우크라이나), 반두리아(스페인), 반조레레(영국), 부가리야(크로아티아), (터키), 키타라 바텐테(이탈리아), 치프텔리아(알바니아 및 코소보), 시톨, 시턴, 콥자(루마니아 및 헝가리), 콜라스시오네, 춤부쉬(터키), 줌부쉬(터키), 아이리쉬 부주키, 요히코(핀란드, 카렐리야), 캉클레스(리투아니아), 칸넬 (악기)](에스토니아), 칸텔레(핀란드), 코클레스(라트비아), 랑엘레이크(노르웨이), 라우드, 아치류트, 테오르보, 만도라, 만돌라, 옥타브 만돌라, 만돌첼로, 만도베이스, 만돌론, 라우토(그리스, 키프로스, 루마니아, 알바니아), 판두라, 판두리(조지아), 판다르(체첸 및 잉구셰티야), 포르투갈 기타, 핑기르(우크라이나), 카눈(중동, 페르시아, 그리스), 로트, 사르기야(동유럽), 탐부리차(판노니아 평원), 토르반, 트레몰로아, 비우엘라(스페인), 비올라 토에이라(포르투갈)
아메리카밴조(아메리카), 차랑고(남아메리카), 콘트라베이스, 일렉트릭 베이스, 기타, 공명 기타 (즉, 도브로), 채프먼 스틱, 전기 기타, 애팔래치안 덜시머(미국), 오토하프, 바호 섹스토(멕시코), 반돌린(에콰도르), 디들리 보우(미국), 일렉트릭 업라이트 베이스, 솔리드 바디 클래식 기타, 어쿠스틱 기타, 강철 현 어쿠스틱 기타, 시가 박스 기타, 슬라이드 기타, 하프 기타, 레조네이터 기타(일명 도브로), 리라 기타, 칠레 기타론, 멕시코 기타론, 하라나 우아스테카(멕시코), 하라나 하로차(멕시코), 메호라네라, 쿠아트로, 트레스(쿠바), 티플레, 콜롬비아 티플레


2. 3. 음역에 따른 분류

발현악기는 음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음역대를 가진 발현악기들이 많이 존재한다.

3. 주요 발현 악기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발현 악기가 존재한다. 주요 발현 악기는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악기 분류별 목록#발현 악기

3. 1. 한국

한국의 발현악기로는 가야금거문고가 대표적이다.

3. 1. 1. 가야금

한국의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은 깊고 풍부한 소리로 한국 음악의 정수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악기 중 하나이다. 가야금은 오랜 역사와 전통 속에서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연주 기법과 음악적 시도를 통해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가야금한국어은 오동나무 공명판에 명주실로 만든 12개의 줄을 걸어 만든다. 각 줄은 안족이라는 기러기 발 모양의 나무 받침대로 고정되며, 안족을 움직여 음높이를 조절한다. 가야금은 손가락으로 줄을 뜯거나 튕겨 소리를 내며, 섬세하고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가야금은 정악 가야금과 산조 가야금으로 나뉜다. 정악 가야금은 궁중 음악이나 풍류방 음악 등 정악 연주에 사용되며, 비교적 크기가 크고 소리가 웅장하다. 산조 가야금은 민속악인 산조 연주에 사용되며, 정악 가야금보다 크기가 작고 소리가 경쾌하다.

가야금 연주는 한국 전통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독주, 병주, 합주 등 다양한 형태로 연주된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가야금 연주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음악과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3. 1. 2. 거문고

거문고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이다. 예로부터 선비들이 즐겨 연주하던 악기로, 민주적인 가치와 정신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2. 유럽

유럽에서는 다양한 발현 악기가 발전했다. 그 중 대표적인 악기는 다음과 같다.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이지만, 현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발현 악기의 원리가 적용되었다.[1]

악기 종류설명
기타클래식 기타, 통기타, 베이스 기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류트유럽의 현악기이다.
만돌린만돌린, 만도라, 만돌론, 만돌첼로 등의 악기군을 통칭한다.



하위 섹션에서 기타, 류트, 만돌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오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종류만 언급하는 식으로 수정하였다.

3. 2. 1. 기타

클래식 기타, 통기타,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베이스 기타, 채프먼 스틱, 전기 기타, 공명 기타(도브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3. 2. 2. 류트

류트유럽의 현악기이다.

3. 2. 3. 만돌린

3. 3. 아시아

한국가야금거문고는 한국의 전통적인 발현 악기이다.[1]

일본에는 샤미센 외에도 비와고토가 있다.

중국에는 비파 외에도 고금, , 공후, 월금, 류친, 다루안, 둑시안친, 구친, 구정, 친친, 산시안, 위에친, 중루안, 주 등이 있다.

인도에는 시타르 외에도 도타라, 엑타라, 고투바디암, 루드라 비나, 사라스와티 비나, 사로드, 스와라지, 비나, 비치트라 비나 등이 있다.

그 외 아시아 지역의 발현악기에는 다음 악기들이 있다.

3. 3. 1. 샤미센

샤미센일본의 대표적인 발현 악기이다.[1]

3. 3. 2. 시타르

인도의 대표적인 발현 악기이다.

3. 3. 3. 비파 (피파)

비파는 중국의 전통 악기이다.

3. 4. 아프리카

코라는 서아프리카의 발현 악기이다. 콘티기는 나이지리아, 냐티티는 케냐, 베게나와 크라르는 에티오피아, 발리하는 마다가스카르의 발현 악기이다.

아프리카의 발현 악기
악기지역
코라서아프리카
콘티기나이지리아
냐티티케냐
베게나에티오피아
크라르에티오피아
발리하마다가스카르


3. 4. 1. 코라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코라'에 대한 정보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코라'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결과물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코라에 대한 정보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3. 5. 아메리카

밴조아메리카의 대표적인 발현 악기로, 컨트리 음악, 블루그래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서 사용된다. 차랑고는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발현 악기이며, 우쿨렐레하와이주의 발현 악기이다.[1]

3. 5. 1. 밴조

아메리카의 대표적인 발현 악기인 밴조는 특유의 경쾌하고 흥겨운 소리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밴조는 컨트리 음악, 블루그래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서 사용된다.

3. 5. 2. 차랑고

차랑고는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발현악기이다.

3. 5. 3. 우쿨렐레

우쿨렐레하와이주의 발현 악기이다.[1]

4. 발현 악기의 역사

발현 악기는 인류 역사와 함께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해 왔다. 고대 문명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발현 악기는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고대에는 키타라, 공후, 수금과 같은 악기들이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류트, 하프시코드 (건반 악기), 키타라, 리라 등이 유럽아시아 전역에서 발전하였다.

근현대에 들어서는 기타를 비롯하여 더욱 다양한 발현 악기들이 등장하였다. 러시아발랄라이카, 스페인반두리아, 미국밴조, 그리스부주키 등이 대표적이다. 남아메리카차랑고, 베트남단 짜인도 이 시기에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가야금거문고가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4. 1. 고대

고대 문명에서는 키타라, 공후, 수금 등의 다양한 발현 악기가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키타라는 전문적인 연주자들이 사용하던 악기였다.[1] 중국공후는 현을 뜯어 소리를 내는 발현 악기였다.

4. 1. 1. 키타라

고대 그리스의 키타라는 전문적인 류트 연주자들이 사용하던 악기였다.

4. 1. 2. 공후

중국의 발현악기이다.

4. 2. 중세

중세 시대에는 발현 악기가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유럽에서는 류트, 하프시코드(건반 악기), 키타라, 리라 등이 사용되었다.

4. 2. 1. 류트의 발전

류트는 유럽에서 발전한 발현 악기이다. 중세 시대 류트는 다음과 같이 발전하였다.

  • 류트
  • 아치 류트
  • 테오르보

4. 3. 근현대

근현대에 들어 다양한 발현 악기가 등장하고 발전했다. 러시아발랄라이카, 스페인반두리아, 미국밴조, 그리스부주키 등이 대표적이다. 남아메리카의 차랑고, 베트남단 짜인도 이 시기에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가야금거문고가 여전히 사랑받는 발현 악기이다.[1]

이 외에도 중국고금, , 유럽하프, 하프시코드(건반 악기), 고대 그리스키타라, 중화인민공화국공후, 유럽류트, 일본샤미센, 인도시타르, 하와이주우쿨렐레, 중국월금 등이 근현대에 사용된 발현 악기이다.[1]


4. 3. 1. 기타의 현대화

기타는 현대에 들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발전했다.

4. 3. 2. 새로운 발현 악기의 등장

전기 기타는 기타의 몸통에서 울리는 소리를 픽업이 전기 신호로 바꾸어 앰프를 통해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채프먼 스틱도 이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는 발현 악기이다. 일렉트릭 베이스어쿠스틱 베이스 기타 역시 전기를 이용해 소리를 증폭하는 현대적인 발현 악기이다.[1]

5. 발현 악기의 연주 기법

발현 악기의 연주 기법은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손가락으로 현을 뜯는 핑거스타일, 피크를 이용하는 피크 연주,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는 슬라이드 연주 등이 있다. 핑거스타일은 여러 발현악기 연주에 사용되는 주법이다.[1]

5. 1. 핑거스타일

핑거스타일은 손가락으로 현을 뜯는 연주 기법이다. 여러 발현악기 연주에 사용되는 주법이다.

5. 2. 피크 연주

피크를 사용하여 현을 뜯는 악기는 다음과 같다.

5. 3. 슬라이드 연주

슬라이드 기타 연주는 슬라이드 바를 사용하여 현을 미끄러지듯 연주하는 기법이다.

6. 발현 악기의 활용

발현 악기는 클래식 음악, 민속 음악, 대중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클래식 기타하프, 하프시코드는 클래식 음악에 사용된다. 가야금거문고를 포함한 수많은 발현 악기들이 세계 각국의 민속 음악에 사용된다. 기타, , 재즈 등 대중 음악에서 널리 사용되며, 전기 기타는 록 음악의 상징적인 악기가 되었고 베이스 기타는 리듬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우쿨렐레는 하와이 음악을 대표하는 악기이다.[1]

6. 1. 클래식 음악

클래식 기타기타의 한 종류로, 클래식 음악 연주에 주로 사용된다. 하프는 오케스트라에서 자주 사용되는 발현 악기이다. 하프시코드건반 악기이지만, 현을 뜯어 소리를 내는 발현 악기이기도 하다.

6. 2. 민속 음악

발현악기한국어는 세계 각국의 민속 음악에서 널리 사용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국가악기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발랄라이카, 돔라
스페인반두리아
미국밴조
그리스부주키
남아메리카차랑고
베트남단 짜인
대한민국가야금, 거문고
중국고금, , 월금, 공후, 다루안, 둑시안친, 류친, 피파, 친친, 산시안, 위에친, 중루안, 주
일본샤미센, 비와, 고토, 산신
인도시타르, 도타라, 엑타라, 고투바디암, 루드라 비나, 사라스와티 비나, 사로드, 스와라지, 비나, 비치트라 비나
하와이주우쿨렐레
터키바글라마, 줌부쉬
멕시코바호 섹스토, 멕시코 기타론, 하라나 우아스테카, 하라나 하로차
우크라이나반두라, 코브자
에콰도르반돌린
이란바르바트, 루밥, 살라네, 세타르, 탄부르, 타르
에티오피아베게나, 크라르
크로아티아부가리야
인도네시아칵, 쿡, 카차피, 사산도
포르투갈, 브라질카바키뇨
알바니아, 코소보치프텔리아
루마니아, 헝가리콥자
베트남단 바우, 단 응우엣, 단 탐, 단 쩐, 단 띠 바
미국디들리 보우
동유럽, 중앙아시아돔브라
투바도슈풀루르
칠레칠레 기타론
러시아구슬리
태국자케
핀란드, 카렐리야요히코
리투아니아캉클레스
에스토니아칸넬
핀란드칸텔레
카자흐스탄코비즈
라트비아코클레스
중국콩후
나이지리아콘티기
중앙아시아코무즈
서아프리카코라
필리핀쿠티야피, 옥타비나
노르웨이랑엘레이크
그리스, 키프로스, 루마니아, 알바니아라우토
중동, 그리스우드
조지아판두리
체첸, 잉구셰티야판다르
중동, 페르시아, 그리스카눈
아라비아 반도칸부스
파키스탄사가르 비나
버마사웅
터키바글라마
인도타티
쿠바트레스
마다가스카르발리하
스페인비우엘라
포르투갈비올라 토에이라


6. 3. 대중 음악

기타, , 재즈 등 다양한 대중 음악 장르에서 널리 사용되는 발현 악기이다. 전기 기타는 강렬한 소리로 록 음악의 상징적인 악기가 되었으며, 베이스 기타는 리듬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우쿨렐레는 하와이 음악을 대표하는 악기로, 경쾌하고 밝은 소리가 특징이다.[1]

7. 발현 악기 관련 인물

다음은 발현 악기 연주와 관련된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