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형제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식형제단은 14세기 말 발트해에서 활동한 해적 집단으로, 스웨덴과 덴마크의 분쟁 중 스톡홀름 봉쇄를 뚫기 위해 메클렌부르크 공후에 의해 고용된 용병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뤼베크를 중심으로 한 한자동맹에 대항하며 해적 행위로 전환하여 발트해 연안을 약탈했다. 1394년 고틀란드섬을 점령하여 전성기를 맞았으나, 칼마르 동맹 결성 이후 쇠퇴하여 독일 기사단에 의해 섬에서 쫓겨났다. 이후 북해로 활동 무대를 옮긴 잔당들은 평등공유단으로 불리며 클라우스 슈퇴르테베커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1401년 슈퇴르테베커가 처형된 후에도 해적 행위를 지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의 해적 - 롤로
롤로는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에 활동한 바이킹 지도자이자 노르망디 공국의 창건자로, 서프랑크 왕국과 생클레르쉬르에프트 조약을 맺어 노르망디 지방을 할양받고 공작으로 서임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잉글랜드를 정복하여 노르만 왕조를 세웠다. - 중세의 해적 - 알비다 (해적)
알비다는 5세기 스칸디나비아 공주로, 덴마크 왕자와의 결혼을 거부하고 해적이 되어 해적 활동으로 명성을 떨치다 덴마크 왕자와 결혼했다는 전설적인 인물이다. - 한자동맹 - 중세 저지 독일어
중세 저지 독일어는 12세기에서 16세기까지 동방 식민 운동과 한자동맹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나 초기 근대 고지 독일어에 밀려 쇠퇴한, 당시 화자들이 작센어라 불렀던 언어이다. - 한자동맹 - 한자 박물관
한자 박물관은 브뤼겐에 위치하여 한자동맹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물들을 소장하고, 요한 빌헬름 비베르그와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 코렌 비베르그가 수집한 유물들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브뤼겐 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한자동맹 시대를 엿볼 수 있는 자료와 한자 관련 참고 문헌들을 제공한다.
양식형제단 |
---|
2. 어원
"빅투알(Victual)"은 "식량"을 의미하는 라틴어 빅투알리아/victualiala에서 파생되었다.[23] 백년전쟁 때 급양 담당 부대를 vitailleurs프랑스어 라고 부른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23] 1389년-1392년에 스톡홀름이 포위공성 당했을 때 스톡홀름에 식량을 공급하기 위한 봉쇄돌파선으로서 이 길드가 처음 조직되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설[24][25]이 오랫동안 정설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스톡홀름 공성전이 일어나기 전부터 함부르크의 회계장부에 양식형제단의 이름이 등장하기 때문에,[26] 이 설은 틀린 것으로 여겨진다. 백년전쟁 중이었던 1347년 칼레의 봉쇄돌파를 위해 해적을 고용했을 때 프랑스 국왕에게 올라간 보고서에서 그 해적들을 vitaillers 라고 부르는 사례도 발견되기 때문에, 이 이름은 스톡홀름 공성전 훨씬 전부터 존재했다고 보는 게 옳다.[23]
14세기 말,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1세는 스칸디나비아의 패권을 놓고 스웨덴 국왕이자 메클렌부르크 공작인 알브레히트와 항쟁하고 있었다.[24][25] 1389년, 알브레히트와 그의 아들 에리히는 마르그레테 여왕에게 포로로 잡혔고, 마르그레테의 군대가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을 포위 공격했다. 이에 메클렌부르크의 공후들이 양식형제단을 고용하여 봉쇄돌파를 시도했다.
3. 역사
"양식형제단"은 수직적인 위계제(hierarchy)가 아니라 수평적인 연대체(confraternity)로서 조직된 길드였다. 1392년 당시 양식형제단의 주적은 강력한 한자동맹의 맹주 뤼베크였는데, 뤼베크가 전쟁에서 덴마크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뤼베크 이외의 한자동맹시들은 덴마크의 승리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양식형제단을 지원했다.
1392년부터 몇 년간 양식형제단은 발트해에서 강력한 세력이었다.[24][25] 로스토크, 립니츠, 비스마르, 슈트랄준트를 안전지대로 확보했다.[27] 그들은 곧 해적 행위와 해안 약탈로 전환하여, 1393년 베르겐을 처음으로 털었고, 1394년에는 말뫼를 정복했다.[4] 또한 프리지아와 슐레스비히 해안의 일부 지역을 점령했으며, 투르쿠, 비푸리, 스튀레스홀름, 코르스홀름, 쇠데르함을 노략질했다.[27]
1394년, 양식형제단은 고틀란드섬을 점령하고 비스뷔에 본부를 설치하며 전성기를 맞았다.[6][7] 이로 인해 발트해 해상 무역과 어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4] 마르그레테 1세는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에게 해적 퇴치를 요청하기도 했다. 1395년, 마르그레테 1세는 칼마르 동맹을 결성하며 정치적 우위를 점했고, 한자동맹은 마르그레테 1세에게 복종하게 되면서 양식형제단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398년, 알브레히트는 고틀란드를 독일기사단에 양도했고, 독일기사단 총장 콘라트 폰 융깅겐은 비스뷔를 파괴하고 양식형제단을 섬에서 쫓아냈다.[28][29]
1398년 양식형제단이 고틀란드섬에서 쫓겨난 후, 한자동맹은 발트해 제해권을 되찾으려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양식형제단의 잔당들은 보트니아만, 핀란드만에서 쫓겨나 엠스강 하구의 슐라이를 비롯한 프리슬란트 지역으로 근거지를 옮겼다.[28][29] 이들은 스스로를 '''평등공유단'''(Likedeelersnds, 고지 Gleichteilerde, Equal Sharers영어)이라고 불렀는데, 노략물을 가난한 해안 주민들과 나누었기 때문이다.
평등공유단은 북해에서 대서양으로 활동 범위를 넓혀 브라반트 공국을 털고 프랑스, 심지어 에스파냐까지 공격했다. 가장 유명한 지도자는 클라우스 슈퇴르테베커였다.[30] "슈퇴르베커"는 저지독일어로 "가득한 비커를 비우는(Down the beakerful영어)"이라는 뜻인데, 맥주 4리터를 원샷할 수 있었기에 이런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1401년, 시몬 판 위트레흐트의 함대가 헬골란트섬 근처에서 슈퇴르테베커의 해적단을 포위, 3일 밤낮의 추격전 끝에 슈퇴르베커와 해적들은 패배하고 처형되었다.[31]
슈퇴르테베커 사후에도 평등공유단의 해적 행위는 계속되었다. 1429년, 베르겐을 다시 공격하여 도시를 완전히 파괴했다. 1440년경까지 북해와 발트해 해상 무역은 이들의 위협에 노출되었다.
3. 1. 결성 배경
14세기 말,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1세는 스칸디나비아의 패권을 놓고 스웨덴 국왕이자 메클렌부르크 공작인 알브레히트와 항쟁하고 있었다.[24][25] 1389년, 알브레히트와 그의 아들 에리히는 마르그레테 여왕에게 포로로 잡혔고, 마르그레테의 군대가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을 포위 공격했다. 이에 메클렌부르크의 공후들이 양식형제단을 고용하여 봉쇄돌파를 시도했다.
"양식형제단"은 수직적인 위계제(hierarchy)가 아니라 수평적인 연대체(confraternity)로서 조직된 길드였다. 1392년 당시 양식형제단의 주적은 강력한 한자동맹의 맹주 뤼베크였는데, 뤼베크가 전쟁에서 덴마크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뤼베크 이외의 한자동맹시들은 덴마크의 승리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양식형제단을 지원했다.
3. 2. 해적으로의 전환
1392년부터 몇 년간 양식형제단은 발트해에서 강력한 세력이었다.[24][25] 로스토크, 립니츠, 비스마르, 슈트랄준트를 안전지대로 확보했다.[27] 그들은 곧 해적 행위와 해안 약탈로 전환하여, 1393년 베르겐을 처음으로 털었고, 1394년에는 말뫼를 정복했다.[4] 또한 프리지아와 슐레스비히 해안의 일부 지역을 점령했으며, 투르쿠, 비푸리, 스튀레스홀름, 코르스홀름, 쇠데르함을 노략질했다.[27]
3. 3. 고틀란드 점령과 쇠퇴
1389년, 스칸디나비아의 패권을 놓고 스웨덴 국왕 알브레히트와 항쟁하던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1세는 알브레히트와 그의 아들 에리히를 포로로 잡고,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을 공격했다. 이에 메클렌부르크의 공후들이 양식형제단을 고용하여 스톡홀름의 봉쇄돌파를 시도했다.[24][25]
양식형제단은 수직적 위계제가 아닌 수평적 연대체(길드)로 조직되었다.[2] 1392년 당시 양식형제단의 주적은 한자동맹의 맹주 뤼베크였는데, 뤼베크가 덴마크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자동맹 도시들은 덴마크의 승리를 원하지 않아 양식형제단을 지원했다. 양식형제단은 로스토크, 립니츠, 비스마르, 슈트랄준트를 거점으로 삼고 해적질을 시작했다. 1393년 베르겐을 약탈하고(베르겐 약탈), 1394년에는 말뫼를 정복했으며, 프리지아와 슐레스비히 해안 일부를 점령했다. 또한 투르쿠, 비푸리, 스튀레스홀름, 코르스홀름, 쇠데르함을 노략질했다.[27]
1394년, 양식형제단은 고틀란드섬을 점령하고 비스뷔에 본부를 설치하며 전성기를 맞았다.[6][7] 이로 인해 발트해 해상 무역과 어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4] 마르그레테 1세는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에게 해적 퇴치를 요청하기도 했다. 1395년, 마르그레테 1세는 칼마르 동맹을 결성하며 정치적 우위를 점했고, 한자동맹은 마르그레테 1세에게 복종하게 되면서 양식형제단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398년, 알브레히트는 고틀란드를 독일기사단에 양도했고, 독일기사단 총장 콘라트 폰 융깅겐은 비스뷔를 파괴하고 양식형제단을 섬에서 쫓아냈다.[28][29]
3. 4. 평등공유단(Likedeelers)
1398년 양식형제단이 고틀란드섬에서 쫓겨난 후, 한자동맹은 발트해 제해권을 되찾으려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양식형제단의 잔당들은 보트니아만, 핀란드만에서 쫓겨나 엠스강 하구의 슐라이를 비롯한 프리슬란트 지역으로 근거지를 옮겼다.[28][29] 이들은 스스로를 '''평등공유단'''(Likedeelersnds, 고지 Gleichteilerde, Equal Sharers영어)이라고 불렀는데, 노략물을 가난한 해안 주민들과 나누었기 때문이다.
평등공유단은 북해에서 대서양으로 활동 범위를 넓혀 브라반트 공국을 털고 프랑스, 심지어 에스파냐까지 공격했다. 가장 유명한 지도자는 클라우스 슈퇴르테베커였다.[30] "슈퇴르베커"는 저지독일어로 "가득한 비커를 비우는(Down the beakerful영어)"이라는 뜻인데, 맥주 4리터를 원샷할 수 있었기에 이런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1401년, 시몬 판 위트레흐트의 함대가 헬골란트섬 근처에서 슈퇴르테베커의 해적단을 포위, 3일 밤낮의 추격전 끝에 슈퇴르베커와 해적들은 패배하고 처형되었다.[31]
슈퇴르테베커 사후에도 평등공유단의 해적 행위는 계속되었다. 1429년, 베르겐을 다시 공격하여 도시를 완전히 파괴했다. 1440년경까지 북해와 발트해 해상 무역은 이들의 위협에 노출되었다.
4. 한국과의 관계 (별도 하위 항목)
4. 1. 고려 말-조선 초 왜구와의 비교
4. 1. 1. 왜구의 활동
고려 말, 왜구는 한반도 연안을 빈번하게 침입하여 약탈을 일삼았다. 이들은 고려의 국력을 쇠퇴시키고, 조선 건국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조선 건국 이후에도 왜구의 침입은 계속되었으며, 세종 대에 이르러 대마도 정벌을 통해 어느 정도 소탕되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왜구의 활동은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다.4. 1. 2. 공통점과 차이점
빅투알 형제단과 왜구는 모두 해적 집단으로, 해상 무역과 연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는 공통점이 있다.하지만, 빅투알 형제단은 특정 정치 세력(메클렌부르크 공작)에 고용되어 활동을 시작한 반면, 왜구는 다양한 세력의 연합체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빅투알 형제단은 '평등공유단'이라는 이름으로 노략물을 나누는 등 사회적 성격을 띠기도 했지만, 왜구는 그러한 성격이 뚜렷하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Piraten in Norddeutschland
http://www.blinde-ku[...]
2013-02-10
[2]
웹사이트
vitaliebrødrene
https://snl.no/vital[...]
[3]
웹사이트
Margrete Valdemarsdatter, Dronning
https://nbl.snl.no/M[...]
[4]
웹사이트
Vitalianer
http://runeberg.org/[...]
1921
[5]
서적
Koroinen - Suomen ensimmäinen kirkollinen keskus
Turun historiallinen yhdistys
[6]
웹사이트
Die Vitalienbrüder
http://www.jadu.de/m[...]
2005-02-04
[7]
웹사이트
Konrad von Jungingen
http://www.deutsche-[...]
[8]
문서
Meier
[9]
뉴스
Germany's most famous pirate
http://www.dw.de/ger[...]
Deutsche Welle
[10]
학위논문
北欧商業史の研究 : 世界経済の形成とハンザ商業
https://hdl.handle.n[...]
2023-06-12
[11]
웹사이트
ハンザ 12-17世紀 LA HANSE
https://www.msz.co.j[...]
みすず書房
2020-10-24
[12]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
[13]
웹사이트
Piraten in Norddeutschland
http://www.blinde-ku[...]
2013-02-10
[14]
웹사이트
vitaliebrødrene
https://snl.no/vital[...]
[15]
웹사이트
Margrete Valdemarsdatter, Dronning
https://nbl.snl.no/M[...]
[16]
웹사이트
Vitalianer
http://runeberg.org/[...]
1921
[17]
서적
Koroinen - Suomen ensimmäinen kirkollinen keskus
Turun historiallinen yhdistys
[18]
웹사이트
Die Vitalienbrüder
http://www.jadu.de/m[...]
2005-02-04
[19]
웹사이트
Konrad von Jungingen
http://www.deutsche-[...]
[20]
문서
Meier
[21]
뉴스
Germany's most famous pirate
http://www.dw.de/ger[...]
Deutsche Welle
[22]
웹사이트
Piraten in Norddeutschland
http://www.blinde-ku[...]
2013-02-10
[23]
간행물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Vitalienbrüder
http://mvdok.lbmv.de[...]
2016-12-15
[24]
웹사이트
vitaliebrødrene
https://snl.no/vital[...]
[25]
웹사이트
Margrete Valdemarsdatter, Dronning
https://nbl.snl.no/M[...]
[26]
문서
Anno Domini 1390. EXPOSITA. Ad reysam dominorum supra Weseram contra Vitalienses: 230 ℔ 14 ß.
http://books.google.[...]
[27]
웹사이트
Vitalianer
http://runeberg.org/[...]
1921
[28]
웹사이트
Die Vitalienbrüder
http://www.jadu.de/m[...]
2005-02-04
[29]
웹사이트
Konrad von Jungingen
http://www.deutsche-[...]
[30]
문서
Meier
[31]
뉴스
Germany's most famous pirate
http://www.dw.de/ger[...]
Deutsche Wel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