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항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항공은 인류의 비행에 대한 꿈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기술적 발전과 사회적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른 활동과 관련 산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초기에는 열기구와 비행선 개발을 거쳐 비행기가 등장했으며, 현재는 항공기 산업, 항공 운송, 산업 항공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항공기는 공기보다 가벼운 경항공기와 무거운 중항공기로 나뉘며, 민간 항공과 군사 항공으로 목적에 따라 분류된다. 항공 산업은 항공기 설계, 생산, 운송, 정비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며, 항공학, 항공역학, 항공공학 등 관련 학문 분야도 존재한다. 항공 안전은 사고 예방과 관제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며, 환경 문제로는 온실 가스 배출, 소음 공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 - 항공기
    항공기는 공기보다 가볍거나 무거운 기체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동력 또는 무동력 비행체로, 비행 원리, 동력 유무, 탑승 인원,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운송 수단으로 친환경 항공기 개발이 진행 중이다.
  • 항공 - 시차증
    시차증은 여러 시간대 이동으로 생체리듬이 깨지면서 수면 장애, 소화 불량, 두통, 피로 등을 유발하는 현상이며, 빛 노출 조절, 멜라토닌 복용 등으로 관리하고 조울증 재발 및 자살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항공
지도 정보
개요
정의항공기의 설계, 개발, 생산, 운영 및 사용
역사
초기 발전19세기 말, 글라이더와 동력 비행 실험
라이트 형제1903년 최초의 동력 비행 성공
제1차 세계 대전항공 기술의 급속한 발전
제2차 세계 대전항공 기술의 추가적인 발전
제트 시대제트 엔진 개발로 인한 비행 속도와 효율성 향상
현대 항공첨단 기술과 안전 개선에 집중
분야
항공기 설계공기역학
재료 과학
구조 공학
제어 시스템
항공기 개발시뮬레이션
프로토타이핑
테스트
항공기 생산제조 공정
조립
품질 관리
항공기 운영항공 교통 관제
항공기 정비
조종사 훈련
주요 요소
항공기고정익기
회전익기
무인 항공기
비행선
공항활주로
유도로
터미널
관제탑
항공 교통 관제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 교통 관리 시스템
항공사항공편 운항을 담당하는 회사
기술 및 혁신
복합 재료항공기 무게 감소 및 성능 향상
디지털 시스템항공 전자 공학 및 자동화 기술
연료 효율지속 가능한 항공 기술에 대한 연구
무인 항공기 기술드론 개발과 활용
안전
항공 안전사고 예방 및 완화에 대한 규제와 노력
환경 영향
배출 가스항공 산업의 탄소 발자국 감소 노력
소음 공해소음 감소 기술 개발 노력
사회적 영향
경제적 영향관광 및 운송 산업 촉진
문화적 영향국제 교류 증진
정치적 영향국가 간 협력 및 경쟁
미래 전망
자율 비행자율 항공 기술 개발
전기 항공전기 추진 시스템 연구
초음속 비행초음속 비행 기술의 부활
관련 학문 분야
항공우주공학항공기 및 우주선의 설계, 개발 및 운영
기계공학엔진 및 기계 시스템 연구
전기공학항공 전자 시스템 연구
재료공학항공기 재료 연구
컴퓨터공학항공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물리학항공 역학 연구

2. 역사

항공의 역사는 인류가 하늘을 날고자 했던 꿈에서 시작되었으며, 수많은 기술 발전과 사회적 변화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초기 비행에 대한 상상은 그리스 신화의 이카루스 이야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초기 역사,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초기 비행선 개발에는 1852년 앙리 지파르(Henri Giffard)의 기계식 추진, 1896년 다비드 슈바르츠(David Schwarz)의 강체 골조, 1901년 알베르토 산토스 두몽(Alberto Santos-Dumont)의 향상된 속도와 조종성이 포함되었다.

항공의 역사를 '''항공사'''라고 하며, 항공과 관련된 사고를 '''항공 사고'''라고 한다. 항공사는 글라이더 실험, 열기구비행선 개발, 비행기를 포함한 다양한 항공기, 항공기 산업, 항공사, 항공 행정의 역사를 포괄한다. 넓게는 우주왕복선 등의 역사도 포함된다.[43]

2. 1. 초기 역사

초기 비행에 대한 상상은 그리스 신화의 이카루스, 페르시아 신화의 잠셰드와 카이 카우스[2]에 관한 이야기에서 나타난다. 타란토아르키타스(기원전 428~347년)는 비행 자동 장치를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아바스 이븐 피르나스(810~887, 17세기에 기록됨), 맬즈베리의 에일머(11세기, 12세기에 기록됨) 등 단거리 비행에 대한 비교적 신빙성 있는 주장들이 나타났다. 바르톨로메우 로렌수 드 구스망(1685~1724)은 열기구 파사롤라를 만들었다.

2. 2.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 (경항공기)

현대 항공 시대는 1783년 11월 21일, 몽골피에 형제가 설계한 열기구의 최초의 무동력 비행으로 시작되었다.[3] 기구는 바람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었기 때문에 활용도가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조종 가능한, 즉 디리자블(dirigible)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즉시 알게 되었다. 장-피에르 블랑샤르(Jean-Pierre Blanchard)는 1784년에 최초의 인간 동력 디리자블을 비행했고, 1785년에는 이를 이용하여 영국 해협을 횡단했다.

강체 비행선(Rigid airship)은 장거리에 걸쳐 승객과 화물을 운송한 최초의 항공기가 되었다. 이 유형의 가장 잘 알려진 항공기는 독일 체펠린(Zeppelin)사에서 제작했다.

가장 성공적인 체펠린 비행선은 LZ 127 그라프 체펠린호(Graf Zeppelin)였다. 1929년 8월 세계 일주 비행을 포함하여 100만 마일 이상을 비행했다. 그러나 당시 수백 마일의 항속거리밖에 되지 않았던 비행기에 비해 체펠린 비행선의 우위는 비행기 설계의 발전과 함께 감소하고 있었다. 비행선의 "황금기"는 1937년 5월 6일에 끝났다. 그 해 LZ 129 힌덴부르크호(Hindenburg)가 화재를 일으켜 36명이 사망했다. 힌덴부르크호 사고의 원인은 처음에는 부양 가스로 헬륨 대신 수소를 사용했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제작사의 내부 조사 결과, 골조를 덮는 재료에 사용된 코팅이 매우 가연성이었고, 비행선에 정전기가 축적되도록 했다. 코팅 조성물을 변경하여 힌덴부르크호와 같은 사고의 위험을 줄였다. 사용을 재개하려는 정기적인 시도가 있었지만, 그 이후로 비행선은 틈새 시장에만 적용되었다.[4]

2. 3.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 (중항공기)

1799년, 조지 케일리 경(Sir George Cayley)은 양력, 추진력, 조종을 위한 별개의 시스템을 갖춘 고정익 비행기라는 현대 비행기의 개념을 제시했다.[7][8]

1895년경 베를린에서 비행 중인 오토 릴리엔탈


오토 릴리엔탈(Otto Lilienthal)은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잘 기록되고 반복적으로 성공적인 비행을 한 최초의 사람이었으며,[9] "공기보다 무거운" 비행을 현실로 만들었다. 신문과 잡지에 실린 릴리엔탈의 활공 사진은 비행기 실용화에 대한 대중과 과학계의 여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릴리엔탈의 연구는 현대 날개 개념 개발로 이어졌다.[10][11] 1891년 베를린에서의 그의 비행 시도는 인간 비행의 시작[12]으로 여겨지며, 릴리엔탈 노르말제겔아파라트(Lilienthal Normalsegelapparat)는 최초의 양산 항공기로, 베를린의 "마시넨파브리크 오토 릴리엔탈(Maschinenfabrik Otto Lilienthal)"은 세계 최초의 항공기 생산 회사가 되었다.[13] 릴리엔탈은 "항공의 아버지"[14][15][16] 또는 "비행의 아버지"[17]로 불린다.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 형제의 최초의 동력 및 조종 비행


최초의 동력 비행에 대한 경쟁적인 주장이 많다. 최초로 기록된 동력 비행은 1890년 10월 9일 클레망 아데르(Clément Ader)가 박쥐 날개를 가진 자체 추진 고정익 항공기인 아데르 에올(Ader Éole)로 수행했다. 이것은 평지에서 약 50m를 비행한 최초의 유인 동력 비행으로 알려져 있지만, 고도는 낮았다.[18][19][20] 1897년 10월 14일, 아데르의 아비옹 3세는 프랑스 전쟁부 관리 앞에서 시험 비행을 했지만 실패했다. 보고서는 군사 기밀로 1910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1906년 11월, 아데르는 1897년 10월 14일에 약 300m의 비행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21][22]

라이트 형제는 1903년 12월 17일 최초로 성공적인 동력, 조종, 지속 비행을 달성했는데, 이는 3축 제어[23]와 충분한 중량 대비 출력 비율을 갖춘 엔진 개발[24] 덕분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무렵, 공기보다 무거운 동력 항공기는 정찰, 포병 관측, 지상 목표물 공격에 사용되었다.

항공기 설계가 발전하면서 사람과 화물 수송이 시작되었다. 라이트 형제는 1908년 5월 14일 정비사 찰스 퍼너스(Charles Furnas)를 최초의 승객으로 태워 비행했다.[25][26]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1919년 알콕과 브라운의 알콕과 브라운의 대서양 횡단 비행, 1927년 찰스 린드버그의 대서양 횡단 단독 비행, 1928년 찰스 킹스포드 스미스의 태평양 횡단 비행 등 항공 분야에서 큰 발전이 있었다. 더글러스 DC-3는 승객만으로 수익을 낸 최초의 여객기로, 현대 여객 항공 서비스 시대를 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무렵 많은 도시에 공항이 건설되었고, 수많은 조종사들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스 폰 오하인(Hans con Ohain)은 최초의 제트 엔진 중 하나를 개발, 1939년 세계 최초의 제트 동력 비행을 달성했다.[27] 이 전쟁은 최초의 제트 항공기와 액체 연료 로켓 등 항공 분야의 혁신을 가져왔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북미에서는 군 복무에서 해방된 조종사들과 저렴한 잉여 수송기 및 훈련기 덕분에 개인 및 상업용 일반 항공이 붐을 이뤘다. 세스나(Cessna), 파이퍼, 비치크래프트(Beechcraft)는 중산층 시장을 위한 경항공기 생산을 확장했다.

1950년대에는 드 하빌랜드 코멧(de Havilland Comet)으로 시작하여 민간 제트기 개발이 증가했지만, 보잉 707이 최초로 널리 사용된 여객기가 되었다. 터보프롭 추진은 소형 통근용 비행기에 등장하여 더 넓은 범위의 기상 조건에서 소량 노선 운항을 가능하게 했다.

1960년대 이후 복합재료 동체와 더 조용하고 효율적인 엔진이 사용되었고, 콩코드는 20년 이상 초음속 여객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가장 중요한 혁신은 계기와 제어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반도체 전자 장치, 전 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 위성 통신, 컴퓨터, LED 디스플레이는 여객기와 소형 항공기의 조종석을 변화시켰다. 조종사는 더 정확하게 항법을 할 수 있으며, 야간이나 저시정에서도 지형, 장애물, 주변 항공기를 지도나 합성 시각으로 볼 수 있다.

NASA의 헬리오스는 태양열 비행을 연구한다.


2004년 6월 21일, 스페이스십원(SpaceShipOne)은 최초로 민간 자금 우주 비행을 한 항공기가 되어 지구 대기를 벗어날 수 있는 항공 시장의 가능성을 열었다. 탈탄소화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후 위기에 직면하여 항공 산업 탈탄소화를 위해 에탄올, 전기, 수소, 태양 에너지 등 대체 연료 항공기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비행 프로토타입이 일반화되고 있다.

3. 목적에 의한 분류

민간 항공은 군용 항공을 제외한 모든 비군사적 비행으로, 일반 항공과 정기 항공 운송을 포함한다.

군용 항공은 18세기 초부터 기구를 이용한 정찰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군용 항공기 제조업체들은 정부 계약을 통해 항공기를 공급한다.

3. 1. 민간 항공

민간 항공은 군사 항공을 제외한 모든 항공 활동을 의미하며, 크게 일반 항공과 항공 운송 사업으로 구분된다.

민간 수송기 제조사는 에어버스(Airbus)(유럽), 보잉(Boeing)(미국), Bombardier)(캐나다), 엠브라에르(Embraer)(브라질), 유나이티드 항공기 제조회사(United Aircraft Corporation)(러시아, 자회사로 일류신(Ilyushin), 투폴레프(Tupolev), 수호이(Sukhoi)가 있음)의 다섯 곳이다. 보잉, 에어버스, 일류신, 투폴레프는 광폭 동체 및 협폭 동체 제트 여객기에 집중하는 반면, 봄바디어, 엠브라에르, 수호이는 지역 항공기에 집중한다. 전 세계의 전문 부품 공급업체들이 이들 제조업체들을 지원하며, 제조업체들은 자체 공장에서 초기 설계와 최종 조립만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중국의 ACAC 컨소시엄도 코맥 ARJ21 지역 제트기를 통해 민간 수송기 시장에 진출했다.[29][30]

일반 항공은 사업 비행, 항공기 임대, 개인 항공, 비행 훈련, 열기구, 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 글라이더, 행글라이딩, 항공 사진 촬영, 동력 행글라이더, 공중 구급, 농약 살포, 전세기 운항, 교통 정보 제공, 경찰 항공 순찰, 산불 진압 등을 포함한다. 각 국가마다 항공 규정이 다르지만, 일반항공은 개인용 또는 상업용, 관련 장비의 종류에 따라 다른 규정을 따른다. 소형 항공기 제조업체는 개인 항공 및 비행 훈련에 중점을 두고 일반항공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소형 항공기의 최근 발전으로는 고급 항전장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포함)와 복합재료 도입이 있다. 초경량 항공기와 자작 항공기도 레저용으로 인기가 높다.

국제적으로는,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가 항공 관련 국제기준, 권고,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있다.[45]

3. 1. 1. 항공 운송 사업

2011년 1월 런던 히드로 공항 활주로를 이동 중인 유나이티드 항공보잉 777-200 항공기. 보잉 777은 광폭 동체 항공기를 운영하는 항공사에서 선호하는 기종이다.


2017년 7월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에서 이륙하는 델타 항공에어버스 A330-323 항공기.


항공 운송 사업은 민간 기업이 운영하는 항공 사업 중 여객기나 화물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을 가리킨다. 항공 운송의 주체는 항공사(Airline)이다.

일본의 항공법에서는 항공 운송 사업을 “타인의 요구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국제 항공 운송 사업과 국내 정기 항공 운송 사업 등으로 구분한다.

1970년대까지 대부분의 주요 항공사는 정부의 지원을 받고 경쟁으로부터 보호받는 국가 기반 항공사였다. 그 이후 개방 하늘 협정으로 인해 소비자에게는 경쟁과 선택의 폭이 늘어나고 항공사의 가격은 하락했다. 높은 유가, 낮은 운임, 높은 임금, 그리고 9.11 테러 및 사스(SARS) 팬데믹과 같은 위기는 많은 오래된 항공사들을 정부의 구제 금융, 파산 또는 합병으로 이끌었다. 동시에 라이언에어(Ryanair), Southwest, 웨스트젯(WestJet) 등과 같은 저가 항공사들은 번창했다.

3. 1. 2. 항공기 사용 사업

항공기 사용 사업은 타인의 요구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 운송 이외의 행위를 도급하는 사업이다.[1] 구체적으로 사진 촬영, 보도 취재, 농약 살포, 조종 훈련, 송전선 순시 등이 있으며, 헬리콥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1]

3. 1. 3. 일반 항공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은 항공운송사업을 제외한 모든 민간 항공 활동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개인용 항공기를 이용한 비행이나 스카이스포츠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항공기 운항도 포함된다.[44]

일반항공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레저 비행
  • 개인용 항공기를 이용한 비행
  • 스카이스포츠
  • 공공기관에 의한 운항


대한민국에서는 개인용 항공기 수가 적어, 일반 항공이 산업 항공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에서는 하치오지 공항이 일반 항공의 거점으로 유명하다. 공공기관에 의한 운항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주로 일본 기준).[44]

비행 검사를 제외하면, 임무 특성상 헬리콥터가 많이 사용된다.

3. 2. 군사 항공

18세기 초부터 간단한 기구가 정찰 항공기로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군용 항공기는 계속 증가하는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제작되었다. 군용 항공기 제조업체들은 정부의 무기고를 공급하기 위한 계약을 두고 경쟁한다. 항공기는 비용, 성능 및 생산 속도와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선택된다.[31]

록히드 SR-71은 많은 성능 면에서 여전히 탁월하다.


군사 항공은 군용기를 이용한 군사 활동을 의미하며, 공군, 해군, 육군 등에서 항공기를 운용한다. 군용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전투기: 다른 항공기를 파괴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예: F-35, 유로파이터 타이푼, F-15, MiG-29, Su-27, F-22)
  • 근접 지원 항공기: 지상의 전술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예: 파나비아 토네이도, A-10, Il-2, J-22 오라오, AH-64, Su-25)
  • 폭격기: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유전과 같은 더욱 전략적인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예: B-2, Tu-95, 미라주 IV, B-52)
  • 수송기: 장비와 인원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예: C-17 글로브마스터 III, C-130 허큘리스, 밀 Mi-26)
  • 정찰 및 정찰 항공기: 적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예: RC-135, E-8, U-2, OH-58, MiG-25R)
  • 무인 항공기(UAV): 주로 정찰용 고정익 항공기로 사용되지만, 많은 무인 항공기가 페이로드를 운반하기도 한다. (예: MQ-9, RQ-4, MQ-1C 그레이 이글) 수송용 무인 항공기도 개발 중이다.
  • 미사일: 탄두(보통 폭발물)를 운반한다.


이처럼 항공기를 이용한 직접적인 전투 행위(공중전, 폭격 등)나 지상·해상의 군사 행위 지원(정찰, 수송, 통신 등)과 같은 군의 활동을 군사 항공이라 한다.

4. 항공 산업

항공 산업은 항공기의 설계, 생산, 판매, 정비 등을 다루는 항공기 산업,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 운송, 그리고 항공기를 이용해 운송 외에 약제 살포, 사진 촬영, 광고 홍보 등을 하는 산업 항공을 포함한다. 항공 시스템은 항공기 제조업체, 항공사 등의 항공기 운영자뿐만 아니라 정부, 국제기구, 대학교, 연구기관, 금융기관 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4. 1. 항공기 산업

항공과 관련된 산업인 "'''항공산업'''"에는 항공기의 설계, 생산, 판매, 정비를 담당하는 "'''항공기 산업'''", 사람이나 화물 등을 수송하는 "'''항공 운송'''", 그리고 항공기를 이용하여 운송 외에 약제 살포, 사진 촬영, 광고 홍보 등을 수행하는 "'''산업 항공'''"이 포함된다. 항공을 시스템으로 보면 항공기 제조업체, 항공기 운영자(항공사 등)뿐만 아니라 정부 및 국제기구, 대학교·연구기관, 금융기관 등이 밀접하고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4. 2. 항공 운송 산업



항공 운송 산업은 사람이나 화물 등을 수송하는 산업이다. 항공사 외에도, 공항,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민간 수송기 제조사는 에어버스(Airbus)(유럽 소재), 보잉(Boeing)(미국 소재), Bombardier)(캐나다 소재), 엠브라에르(Embraer)(브라질 소재), 유나이티드 항공기 제조회사(United Aircraft Corporation)(러시아 소재, 자회사로 일류신(Ilyushin), 투폴레프(Tupolev), 수호이(Sukhoi)가 있음) 등이 있다.

보잉, 에어버스, 일류신, 투폴레프는 광폭 동체 및 협폭 동체 제트 여객기에 집중하는 반면, 봄바디어, 엠브라에르, 수호이는 지역 항공기에 집중한다. 전 세계의 전문 부품 공급업체들이 이들 제조업체들을 지원하며, 제조업체들은 자체 공장에서 초기 설계와 최종 조립만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중국의 ACAC 컨소시엄도 최근 코맥 ARJ21 지역 제트기를 통해 민간 수송기 시장에 진출했다.[29][30]

1970년대까지 대부분의 주요 항공사는 정부의 지원을 받고 경쟁으로부터 보호받는 국가 기반 항공사였다. 그 이후 개방 하늘 협정으로 인해 소비자에게는 경쟁과 선택의 폭이 늘어나고 항공사의 가격은 하락했다. 높은 유가, 낮은 운임, 높은 임금, 그리고 9.11 테러 및 사스(SARS) 팬데믹과 같은 위기는 많은 오래된 항공사들을 정부의 구제 금융, 파산 또는 합병으로 이끌었다. 동시에 라이언에어(Ryanair), Southwest), 웨스트젯(WestJet) 등과 같은 저가 항공사는 번창했다.

4. 3. 산업 항공

산업항공은 다양한 항공 산업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항공기를 사용하여 운송 외에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일본 항공법에 따른 산업 항공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비고
항공사진 촬영, 측량, 지도 제작항공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거나, 지형을 측량하고, 지도를 만든다.소형 비행기나 헬리콥터가 자주 사용된다.
광고 비행항공기를 이용하여 광고를 한다.
농약 살포항공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뿌린다.
비행 훈련항공기를 조종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5. 항공 관련 학문

항공 관련 학문 분야에는 항공을 위한 기술 및 과학의 모든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항공학"이 있으며, 항공기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공기력과 그 운동을 다루는 "항공역학", 항공기의 설계, 시험, 제작 및 운용을 다루는 "항공공학" 등이 있다.

5. 1. 항공학

항공과 관련된 학문 분야에는 항공을 위한 기술 및 과학의 모든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학문으로서 "항공학"이 있으며, 비행하는 항공기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공기력과 그 운동을 다루는 "항공역학" 및 항공기의 설계, 시험, 제작 및 운용을 다루는 "항공공학" 등이 있다.

5. 2. 항공역학

항공역학은 비행하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과 그 운동을 다루는 학문이다.

5. 3. 항공우주공학

항공우주공학은 항공기의 설계, 시험, 제작, 운용을 다루는 항공공학과 비행하는 항공기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공기력과 그 운동을 다루는 항공역학을 포함한다.

6. 항공 안전

항공 안전은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위험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줄이고 통제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비행 실패의 이론, 관행, 조사 및 분류와 규정, 교육 및 훈련을 통한 그러한 실패의 예방이 포함된다. 또한 대중에게 항공 여행의 안전성을 알리는 캠페인의 맥락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항공 안전의 중요한 요소로는 항공 사고 및 사건 조사, 항공 안전 규정, 조종사 및 관제사 교육 등이 있다.

6. 1. 항공 사고 및 사건

2003년 에어쇼에서 미 공군 썬더버즈 조종사가 F-16 항공기에서 탈출하는 모습


항공 사고는 국제민간항공기구 부속서 13에서 정의하기를, 어떤 사람이 비행 의도를 가지고 항공기에 탑승한 시점부터 모든 사람이 항공기에서 내릴 때까지 발생하는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사건으로, 사망 또는 중상자가 발생하거나, 항공기에 손상 또는 구조적 결함이 발생하거나, 항공기가 실종되거나 완전히 접근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36] 항공기 손상이 심각하여 기체가 감가상각되어야 하거나, 항공기가 파괴된 사고는 '기체 손실 사고'라고 한다.[37]

최초의 치명적인 항공 사고는 1908년 9월 17일 미국 버지니아주 포트 마이어에서 라이트 모델 A 항공기로 발생했으며, 조종사 오빌 라이트는 부상을 입고, 승객인 신호부대 중위 토마스 셀프리지는 사망했다. 역사상 최악의 항공 사고는 1977년 3월 27일에 발생한 테네리페 공항 충돌 사고로, 팬암과 KLM이 운항하는 보잉 747 점보 제트기 2대가 로스 로데오스 공항(현 테네리페 노스 공항) 활주로에서 충돌하여 583명이 사망했다.

항공 사건은 사고를 제외한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사건으로, 운항 안전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37]

6. 2. 항공 교통 관제

항공 교통 관제(ATC, Air Traffic Control)는 항공기 간의 충돌 위험을 없애기 위해 항공기를 분리하고 항공기와 소통하는 것을 말한다. 관제사는 조종사가 제공하는 위치 보고를 조정하거나, 미국과 같이 항공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레이더를 사용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한다.[38]

일반적으로 네 가지 유형의 ATC가 있다.

유형설명
관제센터 관제사공항 간 항공로를 운항하는 항공기를 관제한다.
관제탑공항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평 10~15km, 수직 1,000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항공기를 관제한다. (탑, 지상 관제, 이륙 허가 등의 서비스 포함)
해상 관제사대륙 간 국제 해상 상공을 운항하는 항공기를 일반적으로 레이더 서비스 없이 관제한다.
터미널 관제사바쁜 공항 주변의 넓은 지역(일반적으로 50~80km)에서 항공기를 관제한다.



ATC는 특히 조종사가 다른 항공기를 볼 수 없는 기상 조건일 수 있는 계기 비행 규칙(IFR)에 따라 비행하는 항공기에 중요하다. 그러나 주요 공항 근처의 항공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육안 비행 규칙(VFR)에 따라 비행하는 항공기도 ATC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38]

ATC는 다른 항공기와의 분리 외에도 업무량에 따라 조종사에게 기상 정보, 지형 분리, 항법 지원 및 기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38]

ATC가 모든 비행을 관제하는 것은 아니다. 북미 지역의 대부분의 VFR(육안 비행 규칙) 항공편은 (혼잡한 터미널 지역을 통과하거나 주요 공항을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면) ATC와 연락할 필요가 없으며, 캐나다 북부 및 스코틀랜드 북부의 저고도 지역과 같이 많은 지역에서는 저고도 IFR 항공편에도 항공 교통 관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38]

7. 환경 문제

항공기는 운항 과정에서 검댕 등 오염 물질과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이 외에도 항공 운항으로 인한 환경 문제가 존재한다.[39][40][41][42]

항공기 이착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공해 또한 환경 문제 중 하나이다. 콩코드와 같은 초음속 항공기의 경우 소닉붐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7. 1. 온실 가스 배출

모든 연소 관련 활동과 마찬가지로, 동력 항공기(여객기부터 열기구까지)를 운영하면 검댕 및 기타 오염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CO2)도 생성된다. 또한 항공과 관련된 특정한 환경적 영향도 있다.

  • 권계면 근처 고고도에서 운항하는 항공기(주로 대형 제트 여객기)는 에어로졸을 배출하고 권운을 남기는데, 이 두 가지 모두 권운 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항공의 시작 이후 구름 덮개가 최대 0.2% 증가했을 수 있다.[39] 구름은 냉각 효과와 온난화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 구름은 태양 광선의 일부를 우주로 반사하지만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의 일부도 차단한다. 평균적으로 얇은 자연 권운과 권운 모두 순 온난화 효과를 갖는다.[40]

고고도 제트 여객기가 남긴 수증기 권운. 이는 권운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

  • 권계면 근처 고고도에서 운항하는 항공기는 그 고도에서 온실 가스와 상호 작용하는 화학 물질, 특히 질소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데, 이는 오존과 상호 작용하여 오존 농도를 증가시킨다.[41][42]
  • 대부분의 경량 피스톤 항공기는 테트라에틸납(TEL)이 포함된 항공휘발유를 연소한다. 일부 저압축 피스톤 엔진은 무연 모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납이 필요 없는 터빈 엔진과 디젤 엔진은 일부 신형 경량 항공기에 등장하고 있다.

7. 2. 응축운

고고도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는 에어로졸을 배출하고 응축운을 남기는데, 이는 권운 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항공이 시작된 이후 구름 덮개가 최대 0.2% 증가했을 수 있다.[39] 구름은 태양 광선의 일부를 우주로 반사하지만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의 일부도 차단하기 때문에 냉각 효과와 온난화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 평균적으로 얇은 자연 권운과 응축운 모두 순 온난화 효과를 갖는다.[40]

7. 3. 질소 산화물

권계면 근처의 고고도에서 운항하는 항공기는 해당 고도에서 온실 가스와 상호 작용하는 화학 물질, 특히 질소산화물을 방출할 수 있는데, 이는 오존과 상호 작용하여 오존 농도를 증가시킨다.[41][42]

7. 4. 소음 공해

항공기 이착륙으로 인한 소음 공해는 환경적인 영향 중 하나이다. 콩코드와 같은 초음속 항공기에서는 소닉붐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8. 용어

"항공(aviation)"이라는 단어는 1863년 프랑스 작가이자 전 해군 장교였던 가브리엘 라 랑델(Gabriel La Landelle)이 만들었다.[1] 그는 "날다"라는 뜻의 동사 "avier"에서 이 용어를 유래시켰는데, 이 동사는 라틴어 단어 "avis"(“새”)와 접미사 "-ation"에서 유래되었다.

8. 1. 어원

"항공(aviation)"이라는 단어는 1863년 프랑스 작가이자 전 해군 장교였던 가브리엘 라 랑델(Gabriel La Landelle)이 만들었다.[1] 그는 "날다"라는 뜻의 동사 "avier"에서 이 용어를 유래시켰는데, 이 동사는 라틴어 단어 "avis"(“새”)와 접미사 "-ation"에서 유래되었다.

8. 2. 단위

항공에서는 야드-파운드법에서 유래한 단위인 피트(ft), 해리(nmi), 노트(kt), 수은주 인치를 표준적으로 사용한다. 피트, 해리, 노트는 항공기의 강하에서 매우 중요하고 간편한 계산식을 제공한다.[46] 수은주 인치는 고도계 규정치의 단위로 사용하면 고도계의 표시 변화를 알기 쉽게 한다.[47] 이 때문에 국제단위계(SI)와 각국의 계량 제도·법령에서 목적을 한정하여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viation ou Navigation aerienne par G. de La Landelle http://archive.org/d[...] E. Dentu 1863-06-06
[2] 서적 The Sháhnáma of Firdausí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Ltd 1906
[3] 웹사이트 Balloon flight aviation https://www.britanni[...] 2021-06-06
[4] 백과사전 Civil Transport Aircraft http://doi.wiley.com[...] John Wiley & Sons, Ltd 2010-12-15
[5] 간행물 The Accident to H.M. Airship R. 38 http://www.flightglo[...] 1922-03-02
[6] 웹사이트 The Hindenburg, Before and After Disaster https://www.britanni[...] 2023-08-25
[7] 웹사이트 Aviation History http://www.aviation-[...] 2009-07-26
[8] 백과사전 Sir George Carley (British Inventor and Scientist) https://www.britanni[...] 2009-07-26
[9] 웹사이트 DLR baut das erste Serien-Flugzeug der Welt nach https://www.dlr.de/d[...] 2017-03-03
[10] 웹사이트 Otto-Lilienthal-Museum Anklam http://www.lilientha[...] 2022-03-04
[11] 웹사이트 The Lilienthal glider project – DLR Portal https://www.dlr.de/c[...] 2022-03-04
[12] 웹사이트 Otto-Lilienthal-Museum Anklam http://www.lilientha[...] 2022-03-04
[13] 웹사이트 Like a bird | MTU AEROREPORT https://aeroreport.d[...] 2022-03-04
[14] 웹사이트 DPMA | Otto Lilienthal https://www.dpma.de/[...] 2022-03-04
[15] 웹사이트 In perspective: Otto Lilienthal https://www.cobaltre[...] 2022-03-05
[16] 뉴스 Remembering Germany's first "flying man" https://www.economis[...] 2011-09-20
[17] 웹사이트 Otto Lilienthal, the Glider King http://scihi.org/ott[...] SciHi Blog 2022-03-04
[18] 웹사이트 Clement Ader – French inventor https://www.britanni[...]
[19] 웹사이트 FLYING MACHINES – Clement Ader http://www.flyingmac[...]
[20] 웹사이트 EADS N.V. – Eole/Clément Ader http://www.eads.com/[...] 2007-10-20
[21] 서적 Aviation NMSO 2003
[22] 서적 L'homme, l'air et l'espace
[23] 웹사이트 The Last Piece of the Puzzle https://www.wright-b[...] 2024-03-29
[24] 웹사이트 1903 Wright Engine https://www.wright-b[...] 2024-03-29
[25] 웹사이트 1908: The Year the Airplane Went Public http://www.airspacem[...] 2012-08-21
[26] 웹사이트 This Month in Exploration: May http://www.nasa.gov/[...] NASA 2012-08-21
[27] 서적 Aircraft propulsion and gas turbine engine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017
[28] 웹사이트 The 20 Most Produced Aircraft Of All Time https://www.boldmeth[...] 2021-01-03
[29] 간행물 Eyes on the Skies http://www.time.com/[...] 2010-04-26
[30] 뉴스 China's COMAC delivers first ARJ21 jet plane to domestic airline https://www.reuters.[...] 2022-08-12
[31] 웹사이트 In Homeland Security https://inhomelandse[...] 2020-10-25
[32] 논문 Adversarial Service Networks: A Study of Service Firms' Response to Manufacturer-led Servitization in Aviation 2024
[33] 서적 Aviation Maintenance Management https://www.accessen[...] McGraw-Hill Education 2013
[34] 웹사이트 Inside MRO | Aviation Week Network https://aviationweek[...] 2024-05-06
[35] 웹사이트 Foreign Part-145 Organisations | EASA https://www.easa.eur[...] 2024-05-06
[36] 웹사이트 International Investigation Standards http://www.iprr.org/[...] The Investigation Process Research Resource Site 2012-05-07
[37] 웹사이트 Definitions of Key Terms Used by AirSafe.com http://www.airsafe.c[...] 2012-05-07
[38] 웹사이트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https://www.bls.gov/[...] 2023-12-04
[39] 웹사이트 Aviation and the Global Atmosphere http://www.grida.no/[...]
[40] 웹사이트 It turns out planes are even worse for the climate than we thought https://www.newscien[...] 2019-07-05
[41] 논문 On the nonlinearity of the tropospheric ozone production https://zenodo.org/r[...] 1988
[42] 논문 Origin and variability of upper tropospheric nitrogen oxides and ozone at northern mid-latitudes 2001-07
[4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99
[44] 웹사이트 法務省・日本法令外国語訳データベース http://www.japanesel[...]
[45] 웹사이트 国際民間航空機関(ICAO) https://www.mofa.go.[...]
[46] 일반 착륙각도 계산
[47] 일반 고도계 보정값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