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은 영국에서 태어나 캐나다에서 성장한 작가이자 박물학자, 그리고 보이스카우트 운동가이다. 그는 아버지를 피해 자연 속에서 동물들을 관찰하며 그림을 그렸고, 영국 왕립 미술원에서 공부했다.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동물 관찰 기록과 동물 이야기를 썼으며, 대표작으로는 《내가 아는 야생 동물들》이 있다. 시턴은 또한 우드크래프트 운동을 창시하고, 보이스카우트(BSA)의 창설에 기여했다. 그는 동물 소설의 선구자로서, 작품을 통해 자연주의적 가치관을 널리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카우트 선구자 - 제1대 베이든파월 남작 로버트 베이든파월
    영국의 군인이자 작가인 로버트 베이든파월은 마페킹 포위전 지휘로 국민적 영웅이 되었고, 스카우트 운동을 창시하여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식민지 행적, 파시즘 옹호 논란, 동성애 혐오 및 인종차별적 발언 등으로 비판과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1년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
본명어니스트 에번 톰프슨
출생일1860년 8월 14일
출생지영국 사우스쉴즈, 더럼 주
사망일1946년 10월 23일
사망지시턴빌리지 (뉴멕시코주), 미국
다른 이름어니스트 시턴-톰프슨
블랙 울프
추장
직업작가, 야생화가
활동
알려진 활동우드크래프트 인디언 창립자 및 미국 보이 스카우트 창립 선구자
수상
수상존 버로스 메달 (1927)
대니얼 지로드 엘리엇 메달 (1928)
실버 버팔로 상
가족
배우자그레이스 갤러틴 (1896년 결혼–1935년)
줄리아 모스 버트리
자녀아냐 시턴 (딸)
디 바버 시턴 (딸)
부모조셉 로건 톰프슨 (아버지)
앨리스 스노든 톰프슨 (어머니)
서명
서명

2. 생애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은 영국에서 태어나 캐나다에서 성장한 작가, 화가, 자연주의자이자 우드크래프트 운동의 창시자이다. 본명은 어니스트 이반 톰프슨(Ernest Evan Thompsoneng)이었으나, 아버지와의 불화 후 성을 시턴(Setoneng)으로 바꾸었다.[37][38] 영국 사우스실즈에서 스코틀랜드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1866년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주하여 토론토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36] 왕립예술원 등에서 미술을 공부했으나,[3]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박물학 연구에도 몰두했다.

캐나다 매니토바주에서 주(州) 자연주의자로 임명받아 활동하며[8] 동물 연구와 글쓰기를 시작했고,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특히 1898년 출간된 《내가 알았던 야생 동물들》(Wild Animals I Have Knowneng)은 큰 성공을 거두며 '동물기'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미국 전역을 다니며 동물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많은 이야기를 썼다.

1902년에는 미국의 원주민 문화를 바탕으로 한 청소년 단체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을 창설했으며, 이는 이후 로버트 배든-파웰의 보이스카우트 운동 창설에도 영향을 미쳤다.[10] 시턴은 미국 보이스카우트의 초대 최고 스카우트를 역임하기도 했다.

1930년 뉴멕시코주 산타페로 이주하여 정착했으며, 1931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두 번 결혼하여 작가 애냐 세턴을 포함한 자녀를 두었다. 1946년 뉴멕시코주 세턴 빌리지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1960년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세턴 빌리지 상공에 뿌려졌다.[24]

2. 1. 어린 시절

시턴의 본명은 어니스트 이반 톰프슨(Ernest Evan Thompsoneng)으로, 1860년 영국 사우스실즈에서 스코틀랜드 출신 부모에게서 12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36] 아버지 조셉 로건 톰프슨은 선박 회사를 경영했으나 사업에 실패했고, 시턴이 5세 되던 1866년에 가족은 캐나다로 이주했다. 처음에는 온타리오주 린지에서 4년간 산림 개척 등에 종사했으나, 아버지의 건강 악화 후 토론토로 이주하여 회계사 일을 시작했다. 시턴의 어린 시절 대부분은 토론토에서 보냈으며, 가족은 케이비지타운 에이번데일 애비뉴 6번지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시턴은 활발한 소년으로, 학교가 끝나면 숲에서 탐험을 즐겼다고 한다. 특히 학대적이고 엄격했던 아버지를 피해 돈 강 주변 숲으로 들어가 동물들을 관찰하고 그림을 그리는 데 몰두했다.[2] 아버지 조셉은 엄격한 기독교 신자이자 고전적인 신사였으나, 시턴에게는 '폭군'과 같은 존재였다고 전해진다. 일요일에는 종교적 의무만을 강요하고 읽을 수 있는 책도 제한했으며, 작은 반항에도 체벌을 가했다. (다만 당시에는 체벌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는 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시턴은 박물학자가 되기를 원했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화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는 1879년 온타리오 예술 디자인 대학교(OCAD)에 입학하여 존 콜린 포브스에게 배웠고[3]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으며, 특히 좋아하는 동물을 그리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880년에는 영국 런던왕립예술원에서 예술 장학금을 받으며 유학했다.[3] 1890년대에는 파리의 쥘리앙 아카데미에서 수학하기도 했다. 1893년에서 1894년 사이에는 캐나다 왕립 예술 아카데미의 준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시턴이 21세가 되던 날, 아버지는 그에게 어린 시절 양육비는 물론 출산 비용까지 포함된 청구서를 내밀며 상환을 요구하는 극단적인 모습을 보였다.[37][38] 한 기록에 따르면 그는 청구서를 지불하고 아버지와 다시는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5][6] 하지만 시턴 자신의 자서전에서는 당시 돈이 없어 지불할 수 없었으며, 일을 시작해 돈을 벌자마자 집을 영원히 떠났다고 밝혔다.[7] 이후 그는 중요한 가족 이름이라 믿었던 시턴( Setoneng )을 자신의 성으로 삼아 이름을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으로 바꾸었다.

2. 2. 예술 및 박물학 연구

시턴은 어린 시절, 학대하는 아버지를 피해[37][38] 돈 강의 숲으로 들어가 동물들을 그리며 관찰하는 것을 좋아했다.[2] 이는 그의 예술 및 박물학 연구의 시작이 되었다. 1879년 온타리오 예술 대학에 입학하여 John Colin Forbeseng에게서 미술 수업을 들었고,[3] 같은 해 졸업했다.

졸업 후 그림 공부를 위해 영국으로 건너가 1880년 왕립예술원에서 예술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했다.[36][3] 시턴은 왕립예술원 재학 중 입학 시험 과제를 위해 대영박물관을 방문했다가 그곳의 도서관에 매료되었다. 도서관에는 전 세계의 다양한 박물학 서적들이 소장되어 있어 박물학자의 꿈을 다시 꾸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도서관은 21세 미만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으나, 19세였던 시턴은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도서관장의 조언에 따라 영국 왕세자, 잉글랜드 국교회대주교, 총리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특별 허가를 요청했다. 그의 열정 덕분인지 세 사람 모두 답장을 보내왔고, 시턴은 도서관장으로부터 평생 이용 가능한 회원증을 발급받았다. 이후 그는 낮에는 박물관에서 그림을 그리고, 밤에는 도서관이 문을 닫는 밤 10시까지 박물학 서적을 읽으며 연구에 몰두했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은 건강 악화로 이어져 결국 토론토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후 1890년대에는 프랑스 파리의 쥘리앙 아카데미에서 수학했으며, 1893년1894년 사이에는 캐나다 왕립 예술 아카데미의 준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882년에는 형과 함께 캐나다 매니토바주 카베리 외곽 농장에 합류하여 글쓰기를 시작했다. 1891년에는 《매니토바의 새들》(The Birds of Manitobaeng)을 출판했고, 매니토바 정부로부터 주(州) 자연주의자로 임명받았다.[8] 그는 이후에도 《북부 동물의 생애사: 매니토바 포유류에 대한 보고서》(Life-Histories of Northern Animals: An Account of the Mammals of Manitobaeng) 등 매니토바의 자연에 관한 책들을 꾸준히 출판했다. 작가, 화가, 자연주의자로서 성공을 거둔 시턴은 경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미국 뉴욕시로 이주했다.

2. 3. 작가로서의 성공과 동물기

1882년, 시턴은 형과 함께 매니토바주 카베리 외곽의 농장에 합류하여 글쓰기를 시작했다.[8] 1883년에는 뉴욕의 한 출판사에서 동물 그림을 그리는 일을 시작했으나, 자연에 대한 그리움으로 다시 캐나다로 돌아왔다. 1890년에는 그림 공부를 위해 파리로 갔지만, 역시 캐나다로 돌아왔다. 1891년, 그는 "매니토바의 새들"을 출판했고, 매니토바 정부로부터 주 자연주의자로 임명되었다.[8] 1892년부터 5년간 매니토바주 정부의 박물학자로 일하며 박물학 전문서 2권을 출판했다. 그는 수십 년 동안 "북부 동물의 생애사: 매니토바 포유류에 대한 보고서"를 포함하여 매니토바에 관한 책을 계속 출판했다.

아버지와의 금전 문제 및 관계 악화 이후[5][6][7], 그는 자신의 이름을 어니스트 세턴-톰슨으로 바꾸었다가, 중요한 가족 이름이라고 믿었던 세턴을 사용하여 어니스트 톰슨 시턴으로 최종 변경했다.

1893년, 미국 뉴멕시코의 한 사업가로부터 목장의 소를 공격하는 늑대 문제 해결을 요청받아 뉴멕시코로 향했다. 이곳에서 악명 높은 늑대 로보를 사냥한 경험은 그의 작가 경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작가, 화가, 자연주의자로서 성공을 거둔 시턴은 경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뉴욕시로 이주했다. 1898년, 그는 수년간 잡지에 발표했던 8편의 이야기들("로보", "은빛 별", "찢어진 귀의 아이", "빙고", "스프링필드의 여우", "굽은 다리의 머스탱", "월리", "붉은 목도리")을 모아 첫 작품집 『내가 알았던 야생 동물들』(Wild Animals I Have Known영어)을 출판했다. 이 책은 즉시 큰 성공을 거두었고, 시턴의 이름을 미국 전역에 알렸으며, 흔히 '동물기'로 알려진 그의 대표적인 작품 세계의 시작이 되었다. 이 성공으로 그는 여러 곳에서 강연 요청을 받기 시작했다. 『내가 알았던 야생 동물들』은 현대 동물 소설의 길을 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여기에 수록된 네 편의 이야기는 1900년에 『로보, 래그, 빅슨』(Lobo, Rag, and Vixen영어)으로 재출간되기도 했다.

시턴의 초기 작가 시절


그러나 그의 동물 이야기가 지나치게 감상적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1903년, 존 버로스가 애틀랜틱 먼슬리에 시턴과 같은 작가들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하면서 자연 사기꾼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 문학 논쟁은 4년간 지속되었으며,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까지 참여할 정도로 큰 관심을 끌었다.[19]

이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시턴의 업적은 인정받았다. 그는 그의 작품 『사냥감 동물들의 삶 4권』으로 192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수여하는 다니엘 지로드 엘리엇 메달을 수상했다.[20] 1931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캐나다 왕립 예술 아카데미의 회원이기도 했다.[22]

2. 4. 우드크래프트 운동과 보이스카우트

코스 코브에 있는 그의 저택 윈디굴[9] 주변에서 지역 청소년들의 기물 파손을 경험한 후, 시턴은 그들을 자신의 사유지에 초대해 주말 동안 미국의 원주민과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10] 그는 미국 캠프파이어 클럽의 초기 회원이자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으며, 그의 윈디굴 사유지에서 클럽의 첫 공식 행사를 여러 차례 열었다.[11]

1902년, 시턴은 코네티컷주에서 소년 캠프를 열고 '우드크래프트 인디언'(Woodcraft Indians)이라는 청소년 단체를 창설하여 지역 청소년들을 모집했다. 이름과 달리 이 단체는 원주민이 아닌 소년 소녀들로 구성되었다. 시턴이 제창한 우드크래프트(woodcraft, 임업 생활법)는 미국의 원주민의 삶을 이상으로 삼는 소박한 생태주의와 자연주의에 기반했다. 그는 이 활동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레이디스 홈 저널(Ladies' Home Journal)에 연재했으며, 이 내용들은 1906년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의 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The Birch Bark Roll of the Woodcraft Indians)"라는 책으로 출간되었다. 1903년에는 우드크래프트의 본격적인 보급을 위해 "두 명의 작은 야만인(Two Little Savages)"을 출판했다.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은 이후 1922년에 청소년 프로그램을 위한 비영리 단체인 우드크래프트 레인저스(Woodcraft Rangers)로 발전했다. 우드크래프트 레인저스는 시턴의 봉사, 진실, 불굴의 정신, 아름다움이라는 인격 함양 모델을 통해 현재까지도 로스앤젤레스 지역 청소년들에게 봉사하고 있다.[12]

어니스트 톰슨 시턴과 로버트 배든-파웰(앉아있는 사람) 그리고 다니엘 카터 비어드(오른쪽)


1906년, 시턴은 스카우트 운동의 창시자인 로버트 배든-파웰 경을 만났다. 배든-파웰은 시턴의 책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의 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를 읽고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두 사람은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 시턴의 우드크래프트 아이디어는 배든-파웰이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창설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시턴은 미국 보이스카우트(BSA) 창립 위원회의 회장이 되어 1910년 초대 최고 스카우트(Chief Scout)로 임명되었다. 이는 BSA의 유일한 최고 스카우트 직책이었다. BSA는 시턴의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스(청소년 단체), YMCA 등 다른 단체들의 초기 스카우트 활동, 그리고 다니엘 카터 비어드의 다니엘 분의 아들들(Sons of Daniel Boone)과 같은 단체들을 통합하여 형성되었다.[13] 시턴과 비어드의 활동은 전통 스카우팅 운동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시턴은 1910년부터 1915년까지 BSA 최고 스카우트로 활동하며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국의 원주민 문화를 BSA의 전통에 접목시키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비어드나 BSA의 행정 책임자였던 제임스 E. 웨스트와 성격 및 철학적인 면에서 상당한 갈등을 겪었다. 갈등의 원인에는 보이스카우트 핸드북 내용에 대한 이견 외에도, 시턴의 아내 그레이스 갤러틴 시턴 톰슨의 여성 참정권 활동과 당시 시턴이 영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도 작용했다. 특히 시민권 문제는 웨스트가 BSA의 연방 헌장 승인을 추진하면서 불거졌는데, 연방 헌장은 이사회 구성원이 미국 시민일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결국 시턴은 1915년 1월 29일에 사직서를 작성했으나 5월에 BSA에 제출하며 최고 스카우트 직에서 물러났다.[15] 이후 최고 스카우트 직책은 폐지되었고, 제임스 웨스트가 "최고 스카우트 집행자(Chief Scout Executive)"라는 직책을 맡게 되었다. 시턴은 이후에도 우드크래프트 운동을 통해 아이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가르치고 조류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에도 힘썼으며, 1931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2. 5. 말년

1930년 뉴멕시코주 산타페로 이주했으며, 이듬해인 1931년 미국인으로 귀화했다.[16] 그는 두 번 결혼했는데, 첫 번째 부인인 그레이스 갤러틴과는 1896년에 결혼하여 외동딸 앤(1904~1990)을 두었다. 앤은 후에 애냐 세턴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며 역사 및 전기 소설 분야에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앤의 소설 《그린 다크니스》 서문에 따르면 그레이스는 신지학자였다고 한다. 어니스트와 그레이스는 1935년에 이혼했다.

이혼 직후, 시턴은 줄리아 모스 버트리와 재혼했다. 줄리아 역시 작가로 활동했으며, 어니스트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작품을 썼다. 두 사람 사이에 친자녀는 없었으나, 1930년대에 뉴멕시코에서 수년간 함께 살았던 줄리아의 조카 릴라 모스를 입양하려 시도했다.[16] 이후 1938년에는 딸 비율라(디) 시턴(후에 디 시턴 바버)을 입양했다. 디 시턴 바버는 토라 덮개와 같은 회당 물품을 수놓는 재능 있는 자수가였으며, 2006년에 세상을 떠났다.[17]

시턴은 아버지 조셉 로건 톰슨에 대해 "내가 역사에서나 소설에서 알았거나 들어본 가장 이기적인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아버지가 자신이 태어날 때의 진료비를 포함한 모든 양육 비용 목록(총 537.5달러)을 청구하자, 시턴은 이 금액을 지불한 후 아버지와 완전히 관계를 끊었다.[18] 시턴의 부모는 그의 형 존 이녹 톰슨(약 1846~1932)과 함께 토론토에서 생을 마감했다. 다른 두 형제 조셉 로건 톰슨(1849~1922)과 찰스 시턴 톰슨(1851~1925)은 브리티시컬럼비아로 이주했으며, 또 다른 형 조지 시턴 톰슨(1854~1944)은 일리노이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사망했다.

시턴은 1946년, 86세의 나이로 뉴멕시코주 세턴 빌리지(Seton Village)의 자택에서 노쇠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뉴멕시코주 알버커키에서 화장되었다. 1960년, 그의 탄생 100주년과 산타페 건설 350주년을 기념하여 딸 디(Dee)와 손자 시턴 코티어(애냐의 아들)가 비행기를 이용해 세턴 빌리지 상공에 그의 유골을 뿌렸다.[24]

3. 유산 및 영향

필몬트 스카우트 랜치에는 세턴 기념 도서관 및 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다. 세턴이 마지막 거주지로 삼았던 산타페의 세턴 성에는 그의 많은 유품이 보관되어 있었다. 안타깝게도 세턴 성은 2005년 복원 작업 중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다행히 모든 미술품, 원고, 서적 등은 화재 이전 안전한 곳으로 옮겨져 보존될 수 있었다.[25]

산타페의 교육 기관인 러브 오브 러닝 아카데미는 2003년 세턴 성과 그 유산을 인수했다. 2011년 문을 연 아카데미 센터에는 세턴 레거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의 미술품과 자료를 전시하는 갤러리와 기록 보관소가 마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10년 5월 23일 뉴멕시코 역사 박물관에서 세턴에 관한 대규모 전시회를 개최했으며, 데이비드 L. 윗이 저술한 ''어니스트 톰슨 세턴: 예술가이자 환경 보호론자의 삶과 유산''이라는 제목의 도록을 출판하기도 했다.

세턴은 여러 장소에서 기념되고 있다. 그리니치에는 어니스트 톰슨 세턴 스카우트 보호 구역이 있으며, 토론토에는 E.T. 세턴 공원이 조성되었다. 이 공원 부지는 본래 1960년대 초 메트로 토론토 동물원의 예정지였으나, 이후 공원으로 변경되어 현재 온타리오 과학 센터가 들어서 있다. 또한, 세턴이 어린 시절 살았던 토론토 에버딘 애비뉴 6번지 건물 앞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3. 1. 동물 문학의 선구자



세턴은 현대 동물 소설의 초기 개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늑대 로보를 죽인 경험을 바탕으로 쓴 『내가 알았던 야생 동물들』(Wild Animals I Have Knowneng, 1898)이다. 이 책에 실린 네 편의 이야기는 이후 『로보, 래그, 빅슨』(Lobo, Rag, and Vixeneng, 1900)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간되기도 했다.

그의 작품들은 때로 감상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1903년 존 버로스가 애틀랜틱 먼슬리에 감상적인 동물 이야기를 쓰는 작가들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하면서 자연 사기꾼 논쟁(Nature fakers controversy)이 시작되었다. 이 문학 논쟁은 4년간 이어졌으며,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19] 등 환경 및 정치 분야의 주요 인물들도 관심을 보였다.

세턴은 그의 저작 『사냥감 동물들의 삶 4권』(Lives of Game Animals: An Account of Those Land Animals in America, North of the Mexican Border, which are Considered "Game"eng)으로 192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다니엘 지로드 엘리엇 메달을 수상했다.[20] 그는 북미 아메리카 원주민 연구에도 힘썼다.

세턴의 작품과 사상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콘라트 로렌츠는 그의 저서 『솔로몬의 반지』 서문에서 세턴을 동물 연구에 평생을 바친 선구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높이 평가했다.
  • 일본에서는 내산 켄지가 번역한 시턴의 작품집이 히라이와 요네키치에 의해 소개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내산은 1935년 히라이와가 주관하는 잡지 『동물 문학』(動物文学jpn)에 시턴의 첫 작품집 『내가 아는 야생 동물』의 일본어 번역을 발표했는데, 이것이 일본에서 시턴 문학이 처음 출판된 사례이다.
  • 시라토 산페이는 1961년부터 1965년까지 세턴의 여러 작품을 바탕으로 5권짜리 만화 《세턴 동물기》(シートン動物記jpn)를 출판했다.
  • 유리 이오시포비치 코발은 1988년 세턴의 단편 <빈민가의 고양이>(The Slum Cateng)를 각색한 단편 소설 《샤마이카》(Шамайкаrus)를 발표했다.
  • 1993년 일본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에서는 등장인물 쿠죠 죠타로가 "추적할 수 없는 동물은 없다"는 세턴의 말을 인용한다.[29]
  • 포식자의 관점에서 쓰인 세턴의 여러 작품들은 로버트 T. 배커의 소설 《랩터 레드》(Raptor Redeng, 1995)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30]
  • 만화가 타니구치 지로와 시나리오 작가 이마이즈미 요시하루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세턴의 삶을 그린 4권짜리 만화 《시턴》(シートンjpn)을 출판했다. 이 작품은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로도 번역되었다.
  • 만화 《골든 카무이》에 등장하는 학자이자 동물애호가인 시톤 아네하타(シートン阿音波多jpn) 캐릭터는 세턴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았다.
  • 필립 로스는 2010년 소설 《네메시스》(Nemesiseng)에서 세턴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지식을 미국의 캠핑 문화에 도입한 점을 언급했다.[31]


그의 두 번째 부인 줄리아 시턴(Julia Seton)이 쓴 회상록 『타오르는 불 곁에서: 시턴 전기』(By a Thousand Fires: The Biography of Ernest Thompson Setoneng, 일본어판 제목: 燃えさかる火のそばで シートン伝jpn)가 있다. (번역: 사토 료이치 (번역가), 하야카와 쇼보, 신판 2006년)

3. 2. 우드크래프트와 보이스카우트 운동



1902년, 시턴은 코네티컷에서 소년 캠프를 열고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스'라는 독자적인 소년단을 창설했다. 시턴이 제창한 우드크래프트(woodcraft|우드크래프트eng, 임업 생활법)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삶을 이상으로 삼은 소박한 생태주의자연주의에 기반한 청소년 교육 방식이었다. 그는 이 무렵 잡지 레이디스 홈 저널에 우드크래프트와 캠프 생활에 대한 글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1903년에는 자신의 경험과 철학을 담은 책 『두 명의 작은 야만인』(Two Little Savageseng)을 출판하여 우드크래프트 운동의 본격적인 보급에 나섰다. 이 운동을 영국에도 알리기 위해, 당시 청소년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군인 로버트 배든-파웰에게 편지와 자신의 저서를 보냈다. 이는 훗날 배든-파웰이 세계적인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창설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06년, 시턴은 영국에서 배든-파웰을 직접 만났다. 배든-파웰은 시턴의 책 『The Birch Bark Roll of the Woodcraft Indians』를 읽고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두 사람은 만나 서로의 교육 철학과 구상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이후 배든-파웰은 전 세계적인 스카우트 운동을 시작했고, 시턴은 미국 보이스카우트(BSA) 창립을 주도한 위원회의 회장이자 초대 최고 스카우트(Chief Scout)가 되었다. BSA는 시턴의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스, YMCA 등 여러 단체의 초기 스카우팅 활동, 그리고 다니엘 카터 비어드가 이끌던 다니엘 분의 아들들과 같은 청소년 단체들이 통합되어 결성되었다.[13] 시턴과 비어드의 활동은 전통 스카우팅 운동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4]

시턴은 1910년부터 1915년까지 BSA의 최고 스카우트로 활동하며,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를 BSA의 활동과 정신에 접목시키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니엘 카터 비어드나 BSA의 행정 책임자였던 제임스 E. 웨스트와 같은 다른 지도자들과 성격 및 철학적인 면에서 상당한 갈등을 겪었다.

갈등의 원인은 여러 가지였다. 보이스카우트 핸드북 내용에 대한 시턴의 기여 문제, 그의 아내 그레이스 갤러틴 시턴 톰슨의 여성 참정권 운동 지지 활동, 그리고 당시 시턴이 영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시민권 문제는 웨스트가 BSA의 연방 헌장 승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는데, 이 헌장은 이사회 구성원이 미국 시민이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턴의 입지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결국 시턴은 1915년 1월 29일에 사직서를 작성했고, 같은 해 5월 BSA에 제출했다.[15] 그의 사임 이후 최고 스카우트 직책은 폐지되었고, 실질적인 운영 책임은 '최고 스카우트 집행자(Chief Scout Executive)'라는 직책으로 제임스 웨스트가 맡게 되었다. 시턴은 이후에도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스를 통해 아이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가르치는 활동을 이어갔으며, 1931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3. 3. 한국에서의 영향

(내용 없음)

3. 4. 대중문화

세턴의 오리 그림은 로저 토리 피터슨의 현장 안내서 아이디어에 영감을 주었다.


로저 토리 피터슨은 세턴이 《두 명의 작은 야만인》에 그린 간단한 오리 그림에서 자신의 현장 안내서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26]

세턴의 작품들은 여러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제목원작제작사방영 연도비고
シートン動物記 くまの子ジャッキー|시턴 도부쓰키 쿠마노코 자키일본어 (탈락의 큰 곰 왕)탈락의 큰 곰 왕니혼 애니메이션197726부작
シートン動物記 りすのバナー|시턴 도부쓰키 리스노 바나일본어 (깃털꼬리 다람쥐)깃털꼬리 다람쥐 (1922년작)니혼 애니메이션197926부작, 《깃털꼬리 다람쥐: 회색 다람쥐의 이야기》(Bannertail: The Story of Gray Squirrel영어)
シートン動物記|시턴 도부쓰키일본어 (세턴 동물기)세턴 동물기 (만화), 내가 알고 지낸 야생 동물 (1898년작) 등에이켄1989–199045부작. 특히 "커럼파우의 왕 로보" 에피소드(17-18화)는 2009년 다큐멘터리 《미국을 바꾼 늑대》(The Wolf That Changed America영어)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독일어, 카탈로니아어, 아랍어로 더빙되었으며, 아랍권에서는 《동물들의 친구 모클레스》(مخلص صديق الحيوان|모클레스 사디크 울 하야완ar)라는 제목으로 인기를 끌었다.



또한, "강아지 친크의 성장" 이야기는 1992년 러시아에서 만화 영화로 만들어졌다.[27]

2015년 10월, 미국 코미디 센트럴의 프로그램 《술 취한 역사》(Drunk History영어) 시즌 3의 10화에서 마이크 스틸이 세턴에 대해 소개했으며, 배우 콜린 행크스가 세턴 역을 연기했다. 이 에피소드는 주로 《커럼파우의 왕 로보》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면서 보이스카우트의 기원과 문제 청소년을 도왔던 내용도 간략히 다루었다.[28]

만화 분야에서도 세턴의 영향력을 찾아볼 수 있다.

제목작가연재/출판 연도비고
シートン動物記|시턴 도부쓰키일본어 (세턴 동물기)시라토 산페이 (그림)
우치야마 켄지 (번역)
1961–19655권 구성, 세턴의 다양한 작품을 묘사.
シートン|시턴일본어 (시턴)타니구치 지로 (그림)
이마이즈미 요시하루 (글)
2004–20064권 구성, 세턴의 삶을 낭만적으로 그림.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로 번역 출판됨.



문학 작품에서도 세턴과 그의 작품이 언급되거나 영향을 주었다.

  • 1988년 러시아 작가 유리 이오시포비치 코발(Юрий Иосифович Коваль|유리 이오시포비치 코발ru)은 세턴의 《빈민가의 고양이》를 각색한 단편 소설 《샤마이카》(Шамайка|샤마이카ru)를 출판했다.
  • 세턴의 여러 작품은 포식자의 관점에서 서술되었는데, 이는 로버트 T. 배커의 1995년 소설 《랩터 레드》(Raptor Red영어)에 영향을 미쳤다.[30]
  • 필립 로스의 2010년 소설 《네메시스》(Nemesis영어)에서는 세턴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 지식을 미국의 캠핑 문화에 도입한 인물로 언급된다.[31]

4. 작품 목록

「내가 알고 있는 야생 동물들」(1898년, 스크라이브너 출판사)에 수록된 그림


「두 명의 작은 야만인들」(1903년, 더블데이 출판사)에 수록된 그림


「우드크래프트와 인디언 전승의 책」(1912년, 더블데이 출판사)에 수록된 그림


「인디언들의 사인 언어」(1918년, 더블데이 출판사)의 한 페이지

  • 매니토바의 포유류 (1886)
  • 매니토바의 조류, 포스터 (1891)
  • 늑대를 잡는 방법 (1894)
  • 동물 해부학 예술 연구 (1896)
  • 내가 알고 있는 야생 동물들 (1898)
  • *"커럼파우의 왕, 로보"
  • 샌드힐 사슴의 발자취 (1899)
  • 로보, 래그, 빅슨 (1900)
  • 어린이를 위한 야생 동물극 (뮤지컬) (1900)
  • 회색곰의 전기 (1900)
  • 티토: 배우는 코요테의 이야기 (1900)[32]
  • 조류 초상화 (1901)
  • 사냥당하는 동물들의 삶 (1901)
  • 야생 동물 12장의 그림 (1901)
  • 크랙과 조니 베어 (1902)
  • 인디언 놀이 방법 (1903)
  • 두 명의 작은 야만인들 (1903)
  • 진짜 인디언 티피 만드는 방법 (1903)
  • 소년들이 어떻게 인디언 부족을 형성할 수 있는지 (1903)
  • 빨간 책 (1904)
  • 탈락의 큰 곰, 모나크 (1904)
  • 우드미스 & 페이블 (1905)
  • 동물 영웅들 (1905)
  •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의 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 (1906)
  • 십계명의 자연사 (1907)
  • 매니토바의 동물상, 영국 협회 안내서 (1909)
  • 은여우의 전기 (1909)
  • 북부 동물의 생애사 (2권) (1909)
  • 미국 보이스카우트: 공식 핸드북, 로버트 배든-파월 장군과 함께 (1910)
  • 임업가의 매뉴얼 (1910)
  • 북극 대초원 (1911)
  • 숲 속의 롤프 (1911)
  • ''The Book of Woodcraft and Indian Lore'' (1912)
  • 붉은 오두막 (1912)
  • 집에서 야생 동물 (1913)
  • 빈민가 고양이 (1915)
  • 흰 순록의 전설 (1915)
  • 우드크래프트 인디언의 매뉴얼 (1915)
  • 야생 동물의 길 (1916)[33]
  • 소녀들을 위한 우드크래프트 매뉴얼 (1916)
  • 시다 산의 설교자 (1917)
  • 소년들을 위한 우드크래프트 매뉴얼; 16번째 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 (1917)
  • 소년들을 위한 우드크래프트 매뉴얼; 17번째 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 (1918)
  • 소녀들을 위한 우드크래프트 매뉴얼; 18번째 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 (1918)
  • 인디언들의 사인 언어 (1918)
  • 우드크래프트의 작은 오두막의 법률과 명예 (1919)
  • 브라우니 위그엄: 브라우니의 규칙 (1921)
  • 버팔로 바람 (1921)
  • 숲 이야기 (1921)
  • 우드크래프트의 책 (1921)
  • ''The Book of Woodcraft and Indian Lore'' (1922)
  • 배너테일: 회색 다람쥐의 이야기 (1922)
  • 브라우니 매뉴얼, 6판 (1922)
  • 동물 세계의 십계명 (1923)
  • 동물들 (1926)
  • 알 가치 있는 동물들 (1928)
  • 사냥감 동물들의 삶 (4권) (1925–1928)
  • 길 위의 불꽃 (1928)
  • 크랙, 쿠테네이 램과 다른 이야기들 (1929)
  • 성공한 개, 빌리 (1930)
  • 귀여운 코요테와 다른 이야기들 (1930)
  • 로보, 빙고, 페이싱 머스탱 (1930)
  • 유명한 동물 이야기들 (1932)
  • 알 가치 있는 동물들 (1934)
  • 조니 베어, 로보와 다른 이야기들 (1935)
  • 적색 인디언의 복음, 줄리아 M. 세턴과 함께[34]
  • 북극 여우의 전기 (1937)
  • 위대한 역사적 동물들 (1937)
  • 주로 늑대에 관하여 (1937)
  • 구 남서부의 그림 문자 (1937)
  • 버팔로 바람 (1938)
  • 길과 캠프파이어 이야기들 (1940)
  • 예술가이자 자연주의자의 길: 어니스트 톰슨 세턴의 자서전 (1940)
  • 프랑스의 영웅견, 산타나 (1945)
  • 어니스트 톰슨 세턴 최고의 작품 (1949)
  • 어니스트 톰슨 세턴의 미국 (1954)
  • 동물 발자국과 사냥꾼의 흔적 (1958)
  • 어니스트 톰슨 세턴의 세계 (1976)
  • 「세턴 동물기」 항목 참조.

참조

[1] 서적 Trail of an Artist-Naturalist WindRush Publishers 2015-08-00
[2] 서적 To Do My Best: James E. West and the History of the Boy Scouts of America Las Vegas International Scouting Museum
[3] 서적 Art Gallery of Ontario: the Canadian Collection https://search.libra[...] McGraw Hill 2020-08-02
[4] 서적 Royal Canadian Academy of Art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11-21
[5] 서적 Payback: Debt And The Shadow Side Of Wealth Bloomsbury
[6] 서적 Debt: The First 5,000 Years https://archive.org/[...] Melville House Publishing
[7] 서적 Trail of An Artist-naturalist: The Autobiography of Ernest Thompson Seton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20-07-14
[8] 웹사이트 Memorable Manitoba: Ernest Thompson Seton http://www.mhs.mb.ca[...] Manitoba Historical Society
[9] 웹사이트 The Houses http://www2.theseton[...] www2.thesetonfamily.com
[10] 웹사이트 Woodcraft League Histories https://web.archive.[...] Ernest Thompson Seton Institute
[11] 뉴스 CAMP FIRE CLUB IN QUEER CONTESTS https://www.nytimes.[...] 1910-06-12
[12] 웹사이트 woodcraftrangers.org Home http://www.woodcraft[...]
[13] 학술지 The Origins of BSA's 1910 Handbook
[14] 웹사이트 Traditional Scouting http://www.inquiry.n[...] American Traditional Scouting
[15] 학술지 Ernest Thompson Seton and BSA — The Partnership Collapse of 1915 2006-06-00
[16] 서적 The Storyteller: My Years with Ernest Thompson Seton Langdon Street Press 2015-00-00
[17] 부고 Dee Barber Obituary https://www.blevinsc[...]
[18] 웹사이트 Squaring Accounts https://www.futility[...] 2014-07-08
[19] 간행물 T.R. and the 'nature fakers' http://www.americanh[...] 1971-02-00
[20] 웹사이트 Daniel Giraud Elliot Medal https://web.archiv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1] 웹사이트 1938-1942 Santa Fe http://clemhull.com/[...]
[22] 웹사이트 Members since 1880 https://web.archive.[...] Royal Canadian Academy of Arts
[23] 뉴스 Seton Castle: An academy rises from the ruins https://archive.toda[...] 2010-10-10
[24] 서적 The Chief: Ernest Thompson Seton and the Changing West
[25] 웹사이트 Seton Castle destroyed by fire http://www.freenewme[...] Santa Fe New Mexican.com
[26] 서적 Roger Tory Peterson: A Biography University of Texas Press
[27] 웹사이트 Russian animation in letters and figures | Films | "CHINK" http://animator.ru/d[...]
[28] 웹사이트 This Drunk History makes you feel drunk even if you're not http://www.avclub.co[...] 2015-11-04
[29] 서적 Diamond is Unbreakable Weekly Shonen Jump 1993-11-04
[30] 뉴스 Robert Bakker digs the dinosaurs; scientist has prehistoric tales to tell. 1995-08-17
[31] 보고서 Nemesis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1-10-04
[32] 단편소설 Tito: The Story of the Coyote That Learned How http://shortstories.[...]
[33] 서적 Wild Animal Ways iarchive:wildanimalw[...]
[34] 웹사이트 (1936) http://www.worldwisd[...]
[35] 웹사이트 Ernest Thompson Seton fonds description at Library and Archives Canada https://central.bac-[...] 2016-11-25
[36] 서적 To Do My Best: James E. West and the History of the Boy Scouts of America Las Vegas International Scouting Museum
[37] 서적 Payback: Debt And The Shadow Side Of Wealth Bloomsbury
[38] 서적 Debt: The First 5,000 Years Melville House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