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빙 랭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빙 랭뮤어는 미국의 화학자, 물리학자, 공학자로, 백열전구, 플라스마, 표면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에서 1909년부터 1950년까지 근무하며 텅스텐 필라멘트 백열전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플라스마 현상을 연구하여 랭뮤어파와 랭뮤어 탐침을 개발했다. 또한, 표면 화학 연구를 통해 단분자막 개념을 제시하고, 193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랭뮤어는 '병적인 과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과학 연구의 편향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스마 물리학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플라스마 물리학자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미국의 기상학자 -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나비 효과를 제시하고 로렌츠 끌개를 발견하여 기상 예측의 한계를 밝힌 미국의 기상학자이자 수학자이며, MIT 교수로서 대기과학 연구에 기여하고 칼-구스타프 로스비 연구 메달, 크라포드상, 교토상 등을 수상했다.
  • 미국의 기상학자 - 윌리엄 페렐
    윌리엄 페렐은 코리올리 효과를 활용한 대기 운동 이론 발전, 조석 예측 기계 개발 기여, 인간 시각 작용 이론 제시 등 대기 과학과 조석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미국의 기상학자이자 과학자이다.
  • 물리화학자 - 길버트 뉴턴 루이스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열역학, 화학 결합, 산-염기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미국의 물리화학자이다.
  • 물리화학자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어빙 랭뮤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랭뮤어의 사진 (날짜 미상)
랭뮤어 (날짜 미상)
이름어빙 랭뮤어
출생일1881년 1월 31일
출생지뉴욕 주 뉴욕 시 브루클린
사망일1957년 8월 16일
사망지매사추세츠 주 우즈홀
국적미국
종교(정보 없음)
학력 및 경력
출신 대학컬럼비아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직장스티븐스 공과대학교
제너럴 일렉트릭
학위 논문 제목Ueber partielle Wiedervereinigung dissociierter Gase im Verlauf einer Abkühlung (냉각 과정에서 해리된 기체의 부분 재결합에 대하여)
학위 취득 년도1909년
학문적 조언자발터 네른스트
주목할 만한 제자발터 네른스트 (참조 오류, 스승으로 기재되어 있음)
연구 분야화학
물리학
업적
주요 업적고진공 튜브 발명
랭뮤어 등온 흡착식
랭뮤어 파
d-제곱 법칙
수상
수상 내역윌리엄 H. 니콜스 메달 (1915년, 1920년)
휴즈 메달 (1918년)
퍼킨 메달 (1928년)
윌러드 기브스 상 (1930년)
노벨 화학상 (1932년)
프랭클린 메달 (1934년)
패러데이 강연상 (1939년)
패러데이 메달 (1944년)
존 J. 카티 과학 발전상 (1950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
참고 자료
로마자 표기Iring Raengmyueo

2. 생애

어빙 랭뮤어는 1903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괴팅겐 대학교 대학원에서 발터 넬른스트에게 화학을 배워 190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09년부터 1950년까지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에서 연구하면서 병리 과학을 정의하기도 했다.[11][12][13]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찰스 H. 랭뮤어는 그의 조카이다.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구 분야내용
백열전구 연구비활성 기체 충전을 통한 텅스텐 필라멘트 백열전구 수명 연장 (1913년)
흡착 연구랭뮤어 흡착 등온식 제안
플라스마 연구수소 플라스마 연구 및 플라스마 명명 (1928년), 랭뮤어 탐침 고안
진공 펌프 개발고진공 확산 펌프/수은 펌프 발명, 랭뮤어 진공계 발명
원자가 이론루이스-랭뮤어 원자가 이론 (1919년) → 옥텟 규칙
촉매 연구백금의 촉매 작용 연구
단분자막 연구단분자막(랭뮤어-블로젯 막: LB막) 연구 (1934년, 캐서린 블로젯과의 공동 연구)
인공강우 연구인공강우 실험 (1946년, 버나드 보네거트가 요오드화 은이 구름 핵 형성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어빙 랭뮤어는 1881년 1월 31일 뉴욕주 브루클린에서 찰스 랭뮤어와 세이디 코밍스 사이에서 태어난 네 명의 자녀 중 셋째였다. 어린 시절, 랭뮤어의 부모는 그에게 자연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다양한 관찰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도록 격려했다. 어빙이 열한 살 때 시력이 좋지 않다는 것이 발견되었고,[5] 이 문제가 해결되자 이전에는 알아채지 못했던 세부 사항들이 드러났고, 자연의 복잡성에 대한 그의 관심은 더욱 커졌다.[6]

어린 시절, 랭뮤어는 그의 형인 아서 랭뮤어의 영향을 받았다. 아서는 연구 화학자였으며 어빙에게 자연과 사물의 작동 방식에 대해 호기심을 갖도록 격려했다. 아서는 어빙이 침실 한쪽 구석에 그의 첫 번째 화학 실험실을 설치하도록 도왔고, 어빙이 던지는 수많은 질문에 기꺼이 답해주었다.

랭뮤어, 1900년경


랭뮤어는 고등학교를 필라델피아의 부유한 체스트넛 힐 지역에 위치한 명문 사립학교인 체스트넛 힐 아카데미(1898년)를 졸업하기 전에 미국과 파리(1892~1895년)의 여러 학교와 연구소에 다녔다. 그는 1903년 컬럼비아 대학교 광산학교(컬럼비아 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야금 공학(Met.E.)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06년 네른스트가 발명한 전기 램프인 "네른스트 글로워"를 사용한 연구로 괴팅겐에서 프리드리히 돌레잘렉|Friedrich Dolezalekde[7]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논문 제목은 "냉각 중 용해된 기체의 부분적 재결합에 관하여"(Ueber partielle Wiedervereinigung dissociierter Gase im Verlauf einer Abkühlungde)였다.[8] 그는 나중에 화학 분야에서 대학원 과정을 이수했다. 랭뮤어는 1909년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뉴욕주 셰넌데이드)에서 일하기 시작할 때까지 뉴저지주 호보켄의 스티븐스 공과대학교에서 강의를 했다.

2. 2.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

랭뮤어의 초기 과학적 업적은 백열전구 연구(박사 학위 연구의 연장선)에서 나왔다. 그의 첫 번째 주요 업적은 확산 펌프의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고진공 정류관과 증폭관의 발명으로 이어졌다. 1년 후, 그는 동료 루이 톤크스와 함께 텅스텐 필라멘트의 수명을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로 전구를 채움으로써 크게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중요한 요소(다른 연구자들이 간과한 부분)는 모든 공정 단계에서 극도의 청정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는 또한 필라멘트를 촘촘한 코일 모양으로 꼬면 효율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백열전구 역사상 중요한 발전이었다. 그의 표면 화학 연구는 이 시점부터 시작되었는데, 그는 텅스텐 필라멘트 전구에 도입된 분자 수소가 원자 수소로 분리되어 전구 표면에 원자 하나 두께의 층을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9]

그의 진공관 연구 조수는 그의 사촌인 윌리엄 커밍스 화이트였다.[10]

그는 진공 및 다양한 기체 환경에서 필라멘트를 계속 연구하면서, 고온 필라멘트에서 대전 입자의 방출(열전자 방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플라스마를 연구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고, 이러한 이온화된 기체를 플라스마라고 부른 최초의 사람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그에게 혈장을 연상시켰기 때문이다.[11][12][13] 랭뮤어와 톤크스는 플라스마에서 전자 밀도파를 발견했는데, 이것은 현재 랭뮤어파로 알려져 있다.[14]

그는 전자 온도 개념을 도입했고, 1924년에는 정전 탐침(현재 랭뮤어 탐침으로 불리며 플라스마 물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됨)을 사용하여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는 진단 방법을 발명했다. 바이어스된 탐침 끝의 전류를 바이어스 전압의 함수로 측정하여 국부 플라스마 온도와 밀도를 결정한다. 그는 또한 원자 수소를 발견하여 원자 수소 용접 공정을 발명했는데, 이는 최초로 이루어진 플라스마 용접이었다. 플라스마 용접은 그 이후로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으로 발전했다.

1917년, 그는 오일 필름의 화학에 관한 논문[15]을 발표했는데, 이는 나중에 1932년 노벨 화학상 수상의 근거가 되었다. 랭뮤어는 지방족 사슬과 친수성 말단기(아마도 알코올 또는 )로 구성된 오일이 물 표면에 분자 하나 두께의 필름으로 배열되어 친수성기는 물 속으로, 소수성 사슬은 표면에 응집되어 있다고 이론화했다. 필름의 두께는 알려진 오일의 부피와 면적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분광법 기술이 사용 가능하기 전에 분자 구조를 조사할 수 있었다.[16]

1909년부터 1950년까지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에서 연구했다.

그의 주요 연구 업적들은 다음과 같다.

연구 분야내용
백열전구비활성 기체 충전에 의한 텅스텐 필라멘트 백열전구 수명 연장 (1913년). 이는 이후 100년에 걸쳐 사용된 백열전구의 완성형이었다.
흡착랭뮤어 흡착 등온식 제안
플라스마수소 플라스마 연구, 플라스마 명명 (1928년), 정전탐침 고안
진공 펌프고진공 확산 펌프/수은 펌프 발명
진공계랭뮤어 진공계 발명
원자가 이론루이스-랭뮤어 원자가 이론 (1919년) → 옥텟 규칙
촉매백금의 촉매 작용 연구
단분자막단분자막(랭뮤어-블로젯 막: LB막) 연구 (1934년). 캐서린 블로젯과의 공동 연구이다.
인공강우인공강우 실험 (1946년). 같은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던 버나드 보네거트가 요오드화 은이 구름의 핵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 3.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



랭뮤어는 진공 및 다양한 기체 환경에서 필라멘트를 연구하면서, 고온 필라멘트에서 대전 입자의 방출(열전자 방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플라스마를 연구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고, 이러한 이온화된 기체를 플라스마라고 부른 최초의 사람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그에게 혈장을 연상시켰기 때문이다.[11][12][13] 랭뮤어와 루이 톤크스는 플라스마에서 전자 밀도파를 발견했는데, 이것은 현재 랭뮤어파로 알려져 있다.[14]

그는 전자 온도 개념을 도입했고, 1924년에는 정전 탐침(현재 랭뮤어 탐침으로 불리며 플라스마 물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됨)을 사용하여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는 진단 방법을 발명했다. 바이어스된 탐침 끝의 전류를 바이어스 전압의 함수로 측정하여 국부 플라스마 온도와 밀도를 결정한다. 그는 또한 원자 수소를 발견하여 원자 수소 용접 공정을 발명했는데, 이는 최초로 이루어진 플라스마 용접이었다. 플라스마 용접은 그 이후로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으로 발전했다.

2. 4. 표면 화학 연구



랭뮤어의 초기 과학적 업적은 백열전구 연구(박사 학위 연구의 연장선)에서 나왔다. 그는 확산 펌프를 개선하여 고진공 정류관과 증폭관의 발명으로 이어졌다. 1년 후, 동료 루이 톤크스와 함께 텅스텐 필라멘트의 수명을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로 전구를 채움으로써 크게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때 모든 공정 단계에서 극도의 청정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중요한 요소를 발견했다. 그는 또한 필라멘트를 촘촘한 코일 모양으로 꼬면 효율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백열전구 역사상 중요한 발전이었다.[9]

그의 표면 화학 연구는 텅스텐 필라멘트 전구에 도입된 분자 수소가 원자 수소로 분리되어 전구 표면에 원자 하나 두께의 층을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9]

진공관 연구 조수는 그의 사촌인 윌리엄 커밍스 화이트였다.[10]

그는 진공 및 다양한 기체 환경에서 필라멘트를 계속 연구하면서, 고온 필라멘트에서 대전 입자의 방출(열전자 방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플라스마를 연구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고, 이러한 이온화된 기체를 플라스마라고 부른 최초의 사람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그에게 혈장을 연상시켰기 때문이다.[11][12][13] 랭뮤어와 톤크스는 플라스마에서 전자 밀도파를 발견했는데, 이것은 현재 랭뮤어파로 알려져 있다.[14]

그는 전자 온도 개념을 도입했고, 1924년에는 정전 탐침(랭뮤어 탐침)을 사용하여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발명했다. 바이어스된 탐침 끝의 전류를 바이어스 전압의 함수로 측정하여 국부 플라스마 온도와 밀도를 결정한다. 그는 또한 원자 수소를 발견하여 원자 수소 용접 공정을 발명했는데, 이는 최초로 이루어진 플라스마 용접이었다. 플라스마 용접은 그 이후로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으로 발전했다.

1917년, 그는 오일 필름의 화학에 관한 논문[15]을 발표했는데, 이는 나중에 1932년 노벨 화학상 수상의 근거가 되었다. 랭뮤어는 지방족 사슬과 친수성 말단기(알코올 또는 )로 구성된 오일이 물 표면에 분자 하나 두께의 필름으로 배열되어 친수성기는 물 속으로, 소수성 사슬은 표면에 응집되어 있다고 이론화했다. 필름의 두께는 알려진 오일의 부피와 면적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분광법 기술이 사용 가능하기 전에 분자 구조를 조사할 수 있었다.[16]

그의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구 분야내용
백열전구 연구비활성 기체 충전을 통한 텅스텐 필라멘트 백열전구 수명 연장 (1913년)
흡착 연구랭뮤어 흡착 등온식 제안
플라스마 연구수소 플라스마 연구 및 플라스마 명명 (1928년), 랭뮤어 탐침 고안
진공 펌프 개발고진공 확산 펌프/수은 펌프 발명, 랭뮤어 진공계 발명
원자가 이론루이스-랭뮤어 원자가 이론 (1919년) → 옥텟 규칙
촉매 연구백금의 촉매 작용 연구
단분자막 연구단분자막(랭뮤어-블로젯 막: LB막) 연구 (1934년, 캐서린 블로젯과의 공동 연구)
인공강우 연구인공강우 실험 (1946년, 버나드 보네거트가 요오드화 은이 구름 핵 형성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


2. 5. 기타 연구 및 활동

랭뮤어의 초기 과학적 업적은 백열전구 연구(박사 학위 연구의 연장선)에서 나왔다. 그의 첫 번째 주요 업적은 확산 펌프의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고진공 정류관과 증폭관의 발명으로 이어졌다. 1년 후, 그는 동료 루이 톤크스와 함께 텅스텐 필라멘트의 수명을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로 전구를 채움으로써 크게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중요한 요소(다른 연구자들이 간과한 부분)는 모든 공정 단계에서 극도의 청정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는 또한 필라멘트를 촘촘한 코일 모양으로 꼬면 효율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백열전구 역사상 중요한 발전이었다. 그의 표면 화학 연구는 이 시점부터 시작되었는데, 그는 텅스텐 필라멘트 전구에 도입된 분자 수소가 원자 수소로 분리되어 전구 표면에 원자 하나 두께의 층을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9]

그의 진공관 연구 조수는 그의 사촌인 윌리엄 커밍스 화이트였다.[10]

그는 진공 및 다양한 기체 환경에서 필라멘트를 계속 연구하면서, 고온 필라멘트에서 대전 입자의 방출(열전자 방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플라스마를 연구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고, 이러한 이온화된 기체를 플라스마라고 부른 최초의 사람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그에게 혈장을 연상시켰기 때문이다.[11][12][13] 랭뮤어와 톤크스는 플라스마에서 전자 밀도파를 발견했는데, 이것은 현재 랭뮤어파로 알려져 있다.[14]

그는 전자 온도 개념을 도입했고, 1924년에는 정전 탐침(현재 랭뮤어 탐침으로 불리며 플라스마 물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됨)을 사용하여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는 진단 방법을 발명했다. 바이어스된 탐침 끝의 전류를 바이어스 전압의 함수로 측정하여 국부 플라스마 온도와 밀도를 결정한다. 그는 또한 원자 수소를 발견하여 원자 수소 용접 공정을 발명했는데, 이는 최초로 이루어진 플라스마 용접이었다. 플라스마 용접은 그 이후로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으로 발전했다.

1917년, 그는 오일 필름의 화학에 관한 논문[15]을 발표했는데, 이는 나중에 1932년 노벨 화학상 수상의 근거가 되었다. 랭뮤어는 지방족 사슬과 친수성 말단기(아마도 알코올 또는 )로 구성된 오일이 물 표면에 분자 하나 두께의 필름으로 배열되어 친수성기는 물 속으로, 소수성 사슬은 표면에 응집되어 있다고 이론화했다. 필름의 두께는 알려진 오일의 부피와 면적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분광법 기술이 사용 가능하기 전에 분자 구조를 조사할 수 있었다.[1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랭뮤어는 현대적인 원자가전자껍질과 동위원소 개념을 정의함으로써 원자 이론과 원자 구조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

랭뮤어는 1923년 무선공학연구소(Institute of Radio Engineers) 회장을 역임했다.[17]

제너럴 일렉트릭에서의 그의 연구를 바탕으로 존 B. 테일러는 알칼리 금속 이온 빔 검출기를 개발했는데,[18] 오늘날 이것은 랭뮤어-테일러 검출기라고 불린다. 1927년 그는 벨기에 국제 솔베이 물리학 연구소에서 열린 제5회 솔베이 회의에 참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캐서린 블로젯(Katharine B. Blodgett)과 함께 박막과 표면 흡착을 연구했다. 그들은 단분자층(분자 하나 두께의 물질 층)의 개념과 그러한 표면을 설명하는 2차원 물리학을 소개했다. 1932년 그는 "표면 화학에 대한 발견과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38년 랭뮤어의 과학적 관심은 대기 과학과 기상학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그의 초기 연구 중 하나는, 비록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만, 곤충학자 찰스 H. T. 타운젠드가 사슴파리가 시속 800마일이 넘는 속도로 날아간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었다. 랭뮤어는 파리의 속도를 시속 25마일로 추정했다.

사르가소 해에서 표류하는 해조류의 해류를 관찰한 후, 그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표면 순환을 발견했다. 이것은 현재 랭뮤어 순환이라고 불린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랭뮤어와 연구원 빈센트 J. 셰이퍼는 잠수함 탐지를 위한 해군 소나 개선 작업을 하고, 나중에는 방호용 연막과 항공기 날개의 제빙 방법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충분히 습한 저온 구름(과냉각수)에 빙정핵인 드라이아이스와 요오드화은을 도입하면 강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우고, 실험실과 대기 중에서 실증하게 했지만, 특히 호주와 중국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이 기술의 효율성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1953년 랭뮤어는 "병적인 과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는데, 이는 과학적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지만 무의식적인 편향이나 주관적인 영향으로 왜곡된 연구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이것은 과학적 방법을 따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유사과학과 대조적이다. 그의 원래 연설에서 그는 ESP와 미확인비행물체를 병적인 과학의 예로 제시했으며, 그 이후로 이 용어는 폴리워터와 저온 핵융합에도 적용되었다.

2. 6. 말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랭뮤어는 현대적인 원자가전자껍질과 동위원소 개념을 정의함으로써 원자 이론과 원자 구조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

1927년 그는 벨기에 국제 솔베이 물리학 연구소에서 열린 제5회 솔베이 회의에 참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캐서린 블로젯(Katharine B. Blodgett)과 함께 박막과 표면 흡착을 연구했다. 그들은 단분자층(분자 하나 두께의 물질 층)의 개념과 그러한 표면을 설명하는 2차원 물리학을 소개했다. 1932년 그는 "표면 화학에 대한 발견과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38년 랭뮤어의 과학적 관심은 대기 과학과 기상학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그의 초기 연구 중 하나는, 곤충학자 찰스 H. T. 타운젠드가 사슴파리가 시속 약 1287.47km가 넘는 속도로 날아간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었다. 랭뮤어는 파리의 속도를 시속 약 40.23km로 추정했다.

사르가소 해에서 표류하는 해조류의 해류를 관찰한 후, 그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표면 순환을 발견했다. 이것은 현재 랭뮤어 순환이라고 불린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랭뮤어와 연구원 빈센트 J. 셰이퍼는 잠수함 탐지를 위한 해군 소나 개선 작업을 하고, 나중에는 방호용 연막과 항공기 날개의 제빙 방법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충분히 습한 저온 구름(과냉각수)에 빙정핵인 드라이아이스와 요오드화은을 도입하면 강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우고, 실험실과 대기 중에서 실증하게 했지만, 특히 호주와 중국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이 기술의 효율성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1953년 랭뮤어는 "병적인 과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는데, 이는 과학적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지만 무의식적인 편향이나 주관적인 영향으로 왜곡된 연구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이것은 과학적 방법을 따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유사과학과 대조적이다. 그의 원래 연설에서 그는 ESP와 미확인비행물체를 병적인 과학의 예로 제시했으며, 그 이후로 이 용어는 폴리워터와 저온 핵융합에도 적용되었다.

스케넥터디에 있는 그의 집인 어빙 랭뮤어 하우스(Irving Langmuir House)는 1976년 미국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었다.

3. 주요 업적


  • 비활성 기체 충전을 통해 텅스텐 필라멘트 백열전구의 수명을 연장했다(1913년). 이는 이후 100년에 걸쳐 사용된 백열전구의 완성형이었다.[1]
  • 랭뮤어 흡착 등온식을 제안했다.[1]
  • 수소 플라스마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를 명명하고(1928년), 정전탐침을 고안했다.[1]
  • 고진공 확산 펌프/수은 펌프를 발명했다.[1]
  • 랭뮤어 진공계를 발명했다.[1]
  • 루이스-랭뮤어 원자가 이론(1919년)을 통해 옥텟 규칙을 제안했다.[1]
  • 백금의 촉매 작용을 연구했다.[1]
  • 캐서린 블로젯과 공동으로 단분자막(랭뮤어-블로젯 막: LB막)을 연구했다(1934년).[1]
  •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했다(1946년). 같은 연구소의 버나드 보네거트가 요오드화은이 구름 핵 형성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1]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및 경력
1915년윌리엄 H. 니콜스상
1918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25]
1918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26]
1920년윌리엄 H. 니콜스상 (2회)
1922년미국 철학 학회 회원[27]
1928년퍼킨 메달[28]
1930년윌러드 기브스상
1932년노벨 화학상
1934년프랭클린 메달
1944년패러데이 메달
1950년존 카티 상[29]
1989년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
기타


참조

[1] 논문 Irving Langmuir 1881-1957
[2] 서적 Webster's Biographical Dictionary Merriam-Webster
[3] 논문 The Arrangement of Electrons in Atoms and Molecules https://zenodo.org/r[...] 1919-06-00
[4] 서적 Cathedrals of Science: The Personalities and Rivalries That Made Modern Chemist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Langmuir – The man and the scientist. Collected Works of Irving Langmuir Pergamon Press
[6] 논문 Irving Langmuir – A Pioneering Industrial Physical Chemist https://www.ias.ac.i[...] 2008-07-00
[7] 웹사이트 Langmuir, Irving, 1881-1957 https://history.aip.[...] 2024-03-24
[8] 논문 Irving Langmuir 1881—1957 https://www.nasonlin[...] 1974-00-00
[9] 서적
[10] 논문 Irving Langmuir and the origins of electronics
[11] 논문 History of "plasmas" https://www.nature.c[...]
[12] 논문 The birth of "plasma"
[13] 서적 Gaseous Electronics Academic Press 1978
[14] 논문 Oscillations in ionized gases http://www.columbia.[...]
[15] 논문 The Constitution and Fundamental Properties of Solids and Liquids: II. Liquids https://zenodo.org/r[...] 1917-09-00
[16] 서적
[17] 웹사이트 Irving Langmuir http://www.ieeeghn.o[...] IEEE 2011-08-09
[18] 논문 The Reflection of Beams of the Alkali Metals from Crystals
[19] 뉴스 Dr. Irving Langmuir Dies at 76; Winner of Nobel Chemistry Prize https://www.nytimes.[...] 1957-08-17
[20] 서적 The Quintessence of Irving Langmuir Pergamon Press
[21] 논문 There Must Be More to Love Than Death: A Conversation With Kurt Vonnegut 1980-08-02
[22] 뉴스 Bernard Vonnegut, 82, Physicist Who Coaxed Rain From the Sky https://www.nytimes.[...] NY Times 1997-04-27
[23] 논문 The genius who ended up in a Vonnegut novel https://cosmosmagazi[...] 2019-06-09
[24] 논문 The Chemist Who Thought He Could Harness Hurricanes. Irving Langmuir's ill-fated attempts at seeding hurricane King showed just how difficult it is to control the weather https://www.theatlan[...] 2017-09-05
[25]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L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6] 웹사이트 Irving Langmuir http://www.nasonline[...] 2023-09-06
[2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9-06
[28] 웹사이트 SCI Perkin Medal https://www.scienceh[...] 2016-05-31
[29] 웹사이트 John J. Carty Award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