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금가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가지》는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가 쓴 종교학, 민속학, 신화학 연구서이다. 1890년에 초판이 간행되었으며, 이후 증보를 거쳐 1936년 13권의 결정판이 완성되었다. 이 책은 고대 및 미개 신앙을 집성하여 신성왕과 왕의 살해, 희생양, 희생, 식물신, 곡령, 금기, 주술 등 전 세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논하며, 마법에서 종교를 거쳐 과학적 사고로 이어지는 인류의 지적 발전 과정을 제시한다.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하지만, 종교적 상상력의 다양성을 묘사한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황금가지》는 초기 인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도 영감을 주었다. 한국어 번역본은 1977년에 처음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0년 책 - 경제학원론
    경제학원론은 경제 현상 분석 및 이해를 위한 기본 원리와 개념을 다루는 학문으로, 앨프레드 마셜의 《경제학 원리》를 통해 경제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부의 분배, 생산 요소, 수요와 공급, 가치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한다.
  • 1890년 책 - 스트롱의 용어색인
    스트롱의 용어색인은 스트롱 성경 용어 색인에서 원어 단어에 부여된 고유 번호로, 성경에서 특정 단어의 위치를 찾고 언어 간 일치 연구를 용이하게 한다.
  • 디아나 - 미녀와 야수 (1946년 영화)
    장 콕토가 감독하고 조세트 데이와 장 마레가 출연한 1946년 프랑스 영화 《미녀와 야수》는 잔 마리 르 프랭스 드 보몽의 동화를 각색하여 아버지의 빚을 갚기 위해 야수의 성에 들어간 벨의 이야기를 몽환적인 분위기와 독창적인 영상미로 그려낸 작품이다.
  • 디아나 - 포이베
    포이베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순수하고 밝은"의미의 티탄 여신으로, 코이오스와 결혼하여 레토와 아스테리아를 낳았으며,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할머니이자 델포이 신탁소를 다스린 여신으로 전해진다.
  • 단계 이론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단계 이론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꿈을 억압된 욕망의 충족 시도로 보고 꿈의 내용이 왜곡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하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이론을 담은 저서이다.
황금가지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6년 맥밀란 프레스 에디션 1권 표지
1976년 맥밀란 프레스 에디션 1권 표지
제목황금 가지
원제The Golden Bough
저자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삽화가해당 없음
표지 아티스트해당 없음
국가영국
언어영어
시리즈해당 없음
주제비교 종교학
출판사맥밀런 & Co.
출판일1890년
미디어 유형인쇄물 (하드커버페이퍼백)
쪽수해당 없음
ISBN해당 없음
이전 작품해당 없음
다음 작품해당 없음

2. 발간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에드워드 버넷 타일러의 저작에 영향을 받아 종교학, 민속학, 신화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890년 초판(2권)이 간행되었으며, 1권은 [https://archive.org/details/goldenboughstudy01fraz I], 2권은 [https://archive.org/details/goldenboughstudy02fraz II]에서 볼 수 있다. 이후 증보를 거듭하여 1900년 제2판(3권)이 나왔고, 1권은 [https://archive.org/details/goldenboughstudy01frazuoft I], 2권은 [https://archive.org/details/goldenboughstud02frazuoft II], 3권은 [https://archive.org/details/goldenboughstudy03frazuoft III]에서 볼 수 있다. 1911년 제3판(11권)이 나왔다.

1914년 색인 및 문헌 목록, 1936년 보유가 추가되어 총 13권의 결정판이 완성되었다. 1936년에 나온 『황금가지의 여파: 부록』은 [https://archive.org/details/aftermathasupple025677mbp]에서 볼 수 있다. 3판 전체는 맥밀란 출판사(Macmillan Press)에서 13권으로 재판되었다.

1922년에는 방대한 분량으로 인해 일반 독자를 위한 요약본(1권)이 프레이저 자신에 의해 간행되었다. 이 판본은 프레이저의 기독교 관련 언급을 제외한다. 테오도르 H. 가스터(Theodor H. Gaster) 편집본(1959년), 메리 더글러스(Mary Douglas) 편집본(1978년), 로버트 프레이저(Robert Fraser) 편집본(1994년), 로버트 K. G. 템플(Robert K. G. Temple) 요약본(1996년) 등이 있다.

3. 내용 및 구성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는 고대 및 미개 신앙을 집성하여 신성왕과 왕의 살해, 희생양, 희생, 식물신, 곡령, 금기, 주술 등의 주제를 전 세계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논한다.[29] 그는 마법에서 종교를 거쳐 과학적 사고로 이어지는 인류의 지적 발전 과정을 제시하며, 종교적 신념과 과학적 사고의 공유 요소를 정의하려 시도했다.[2] 가장 고대 종교가 계절의 순환에 따라 숭배와 주기적인 희생을 중심으로 하는 다산 의례 숭배였다는 것이다.[2]

프레이저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나오는 '황금가지' 사건을 중심으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한다. 아이네이아스와 시빌레는 지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 신성한 숲에서 가져온 황금 가지를 하데스의 문지기에게 제시한다. 이 사건은 J. M. W. 터너의 1834년 그림 ''황금가지''로 묘사되었다. 프레이저는 그림이 네미 호를 묘사한다고 잘못 진술했지만, 실제로는 아베르누스 호이다.[3]

thumb의 1834년 그림, ''아이네이스''에 나오는 황금가지 사건]]

프레이저는 렉스 네모렌시스를 기반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쳤는데, 그는 네미 호수에서 디아나를 섬기는 사제였으며, 그의 후계자에 의해 의례적으로 살해되었다. 이 왕은 죽고 부활하는 신, 즉 태양신의 화신이었으며, 대지의 여신과 신비로운 결혼을 하고, 수확기에 죽었다가 봄에 환생했다. 프레이저는 이 부활 전설이 거의 모든 세계 신화의 중심이라고 주장한다.

프레이저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을 연구한 적은 없지만, 그의 친구 제임스 워드와 철학자 J. M. E. 맥테가트가 모두 그에게 헤겔이 "마법과 종교의 본질과 역사적 관계"에 대한 그의 견해를 예견했다고 제안했다.[5] 프레이저는 헤겔의 ''종교 철학 강의''(1832)에서 발췌한 내용을 포함시켰다.[5]

본서에는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마술, 주술, 금기, 관습 등 프레이저가 사료나 고전 기록, 또는 구전을 통해 수집한 엄청난 사례들이 제시되어 있다. 미개 사회에서의 정령 신앙, 종교적 권위를 가진 왕이 약화되면 그를 살해하고 새로운 왕을 옹립하는 "왕 살해" 풍습, 유사 주술, 감염 주술 등 신앙의 신화적 배경을 탐구한 민속학, 신화학, 종교학의 기본서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프레이저의 연구 자세는 서재에서의 문헌 조사를 통한 사례 수집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현지 조사 연구자들로부터 "서재의 학문", "안락 의자 인류학"으로 비판을 받았다. 또한, 미개 사회와 문명 사회 사이에 서열을 두는 문화 진화론적 사고방식 또한 시대적 제약이긴 하지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고대 신앙·주술에 관한 이처럼 방대한 사례를 널리 수집·종합한 예는 거의 없으며, 그것만으로도 매우 높은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이탈리아의 네미 마을에는 네미 호수라고 불리는 성스러운 호수와, 아리키아의 숲이라고 불리는 성스러운 숲이 있었고, 숲에는 성스러운 나무(겨우살이)가 자라고 있었다. 이 나무의 가지(금가지)는 아무도 꺾어서는 안 된다고 여겨졌지만, 예외적으로 도망 노예만이 꺾는 것이 허용되었다.

디아나 네모렌시스(숲의 디아나) 신을 찬양하는 이 성소에는 "숲의 왕(렉스 네모렌시스)"이라고 불리는 사제가 있었다.

4. 비판적 평가

프레이저의 연구는 현장 연구보다는 문헌 조사 중심이었기 때문에 '서재 학문', '안락의자 인류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9] 문화 진화론적 사고방식은 미개 사회와 문명 사회 사이에 서열을 두는 것이므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29] 자료 취급의 자의성과 단순한 진화론적 구조로 인해 비판받았지만, 종교적 상상력의 다양성과 심층 구조의 유사성을 널리 묘사한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초기에는 이 책이 새롭게 부상하는 인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폴란드 인류학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는 '''황금 가지'''에 대해 "이 위대한 작품을 읽자마자 나는 그 속에 몰입되어 그것에 사로잡혔다."라고 말했다.[12] 그러나 1920년대에 이르러 프레이저의 아이디어는 이미 "과거의 것이 되기 시작했다".[10]

에드먼드 리치는 "프레이저의 과장된 문체와 극적인 효과를 위한 출처의 문학적 장식에 대한 가장 참을성 없는 비평가 중 한 명"이었다.[6][10]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에 대한 논평'''에서 "프레이저는 그의 '야만인'보다 훨씬 더 야만적이다"라고 비판했으며,[10] R.G. 콜링우드도 이에 동의했다.[11]

프랑스 역사학자이자 문학 평론가인 르네 지라르는 왕의 희생을 "주요 원시 의식"으로 인정한 프레이저를 칭찬했지만, 그 의식에 대한 그의 해석을 "민족학에 대한 심각한 불의"라고 묘사했다.[13][14] 지라르는 '''황금 가지'''에 대한 비판에서 기독교가 원시 신화-의례주의의 단순한 연장이라는 프레이저의 주장에 반대했다.[13]

프레이저 자신도 자신의 이론이 추측에 불과하며, 그가 맺은 연관성은 정황적이며 일반적으로 유사성에만 근거한다는 것을 인정했다.[8] 그는 "나와 같은 책들은 단지 추측에 불과하며, 더 완전한 지식에 기초한 더 나은 귀납법에 의해 조만간 (진실을 위해 더 빨리) 대체될 것입니다."라고 썼다.[9]

5. 영향

《황금가지》는 출판 당시 기독교 이야기를 비교 연구에 포함시켜 영국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다.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등 초기 인류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화학자 조지프 캠벨은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1949)에서 신화가 자연 세계를 설명하려는 원시적인 시도라는 프레이저의 견해를 받아들였지만, 그것을 신화에 대한 여러 유효한 설명 중 하나로 간주했다. 캠벨은 나중에 프레이저의 작품을 "기념비적"이라고 묘사했다.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황금 가지》에 대한 논평은 러쉬 리스가 편집하여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에 대한 소고》로 묶여 1967년에 처음 출판되었다(영어판은 1979년에 출판되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왕국의 번영을 위해 희생되는 죽어가는 왕에 대한 프레이저의 개념을, 그의 시집, 의식, 신화에 대한 책인 《백색 여신》(1948)에서 시인의 뮤즈-여신을 위한 고통이라는 낭만적인 관념에 적용했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는 그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에서 프레이저의 주장을 언급한다. T. S. 엘리엇은 그의 시 《황무지》에 대한 첫 번째 주석에서 프레이저에게 빚을 지고 있음을 인정했다. 제임스 조이스, 어니스트 헤밍웨이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더 도어스의 노래 "대지를 만지지 말라"의 가사는 《황금가지》의 영향을 받았으며, 제목과 첫 구절은 책의 목차에서 따왔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의 영화 《지옥의 묵시록》은 악당 커츠가 그의 은신처에 이 책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그의 죽음은 의례적 희생으로 묘사된다.

평론가 카미유 파글리아는 《황금가지》를 그녀의 저서 《성적 페르소나》(1990)에 가장 중요한 영향 중 하나로 꼽았다. 파글리아는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에 담긴 "가장 훌륭한 통찰력"을 "예수와 죽어가는 신들의 유비"라고 묘사했지만, "신중함에 의해 완화되었다"고 언급했다.

6. 한국어 번역본

1977년 삼省출판사에서 장병길 역으로 《황금가지》가 처음 출간되었다. 이후 1990년1998년삼성출판사에서 재출간되었다. 1996년에는 을유문화사에서 김상일 역의 《황금의 가지》가 출간되었다. 2003년에는 이용대 역, 로버트 프리이저 편으로 《황금가지》가 한겨레신문사에서 출간되었다. 2005년 을유문화사에서 박규태 역의 《황금가지》가 출간되었다.

7. 관련 항목 및 서적

wikitext

주술, 금기, 신화학, 종교학, 민속학, 애니미즘, 왕 살해와 관련된 항목이다.


  • 야마다 히토시, 「황금가지를 꺾어 - 프레이저가 남긴 것」(『인도학 종교학회 논집 34호』, 2007) 213-237쪽
  • 후지카와 요시유키, 『영국의 세기말』 (신서관, 1999) 제1장 「황금의 가지」를 중심으로, 세기말 문학의 시점에서 읽는다.

7. 1. 관련 항목

주술, 금기, 신화학, 종교학, 민속학, 애니미즘, 왕 살해와 관련된 항목이다.

7. 2. 관련 서적


  • 야마다 히토시, 「황금가지를 꺾어 - 프레이저가 남긴 것」(『인도학 종교학회 논집 34호』, 2007) 213-237쪽
  • 후지카와 요시유키, 『영국의 세기말』 (신서관, 1999) 제1장 「황금의 가지」를 중심으로, 세기말 문학의 시점에서 읽는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British Writers, 180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2] 서적 The Golden Bough Wordsworth 1993
[3] 서적 The Golden Bough: A New Abrid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 서적 The Golden Bough Wordsworth 1993
[5] 서적 The Golden Bough. A Study in Magic and Religion. Part 1: The Magic Art and the Evolution of Kings. Vol. 1 The Macmillan Press 1976
[6] 논문 Kingship and divinity: The unpublished Frazer Lecture 2011
[7] 논문 When the bough breaks 1973
[8] 간행물 Aspects of British Calendar Customs Sheffield Academic Press 1993
[9] 간행물 Frazer and the Golden Bough Victor Gallancz 1970
[10] 간행물 Frazer's anthropology: science and sensibility 1993
[11] 서적 The Principles of Art Clarendon Press 1911
[12] 뉴스 From Ape to Angel: An Informal History of Social Anthropology Chandler & Sharp 1974
[13] 논문 The Frazerian roots of contemporary theories of religion and violence 2011
[14] 서적 The Scapegoa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15] 서적 Things Hidden Sinc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Athlone Press 1978
[16] 서적 H. P. Lovecraft: A Life Necronomicon Press 1996
[17] 서적 Tales of the Cthulhu Mythos Ballantine Books 1998
[18] 웹사이트 Paterson – William Carlos Williams https://archive.org/[...] 1963-05-05
[19] 서적 No One Here Gets Out Alive Warner Books 1995
[20]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New World Library 2008
[21] 서적 The Masks of God: Primitive Mythology Secker & Warburg 1960
[22] 문서 The Human Animal Chicago 1954
[23] 웹사이트 Phil.uni-passau.de http://www.phil.uni-[...]
[24] 서적 Freud: The Man and the Cause Jonathan Cape and Weidenfeld & Nicolson 1980
[25] 서적 Sex, Art, and American Culture: Essays Penguin Books 1993
[26] 서적 Sexual Personae: Art and Decadence from Nefertiti to Emily Dickinson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1991
[27] 웹사이트 Pelosi's victory for women http://www.salon.com[...] 2009-11-10
[28] 웹사이트 In defense of "The Golden Bough" http://www.salon1999[...] 1999-03-10
[29] 웹사이트 crazy-history-star-wars https://www.newyor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