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페란토 상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토 상징은 에스페란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들을 의미한다. 가장 오래된 상징은 녹색 별(Verda Stelo)로, 1892년 잡지 라 에스페란티스토에 처음 등장했다. 에스페란토기는 녹색 바탕에 흰색 정사각형과 녹색 별을 배치하여 희망, 평화, 중립, 5개 대륙을 상징하며, 1905년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채택되었다. 1987년에는 제1서 출판 100주년을 기념하여 100주년 상징물(Jubilea Simbolo)이 제정되었으며, 동서양의 화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징들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 사이에서 연대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구글 두들에도 활용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 문화 -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는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을 위해 매년 다른 도시에서 개최되는 행사이며, 개회식과 폐회식을 비롯한 학술, 문화 프로그램과 단체 회의가 진행되고, 1905년 처음 개최된 이후 두 차례의 세계 대전 기간을 제외하고는 매년 열리고 있다.
  • 에스페란토 문화 - 스페스밀로
    스페스밀로 기호(₷)는 에스페란토어 '스페스밀시뇨'를 나타내는 기호로, 꼬리에서 "m"이 뻗어 나오는 필기체 대문자 "S"의 모노그램이며, 'Sm'으로 표기되기도 하고, 유니코드 U+20B7에 할당되어 모노폴리의 에스페란토 버전에서 놀이 돈으로 사용된다.
  • 평화의 상징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평화의 상징 - 올리브 가지
    올리브 가지는 고대부터 평화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권력자에게 간청하거나 승리자에게 수여되었고, 현대에는 다양한 상징물에 등장하며 평화를 나타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에스페란토 상징
상징
에스페란토 깃발
에스페란토 깃발
초록별에스페란토의 가장 흔한 상징
에스페란토 깃발에스페란토 깃발
라 에스페로에스페란토의 찬가
자멘호프의 날에스페란토 문화에서 기념되는 날

2. 역사

에스페란토 초창기부터 녹색은 서로를 알아보기 위한 상징색으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에스페란토 상징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다.[1] 이는 에스페란토 창시자 L. L. 자멘호프가 녹색을 희망의 상징으로 여긴 것과 관련이 있다.[2]

1892년 라 에스페란티스토 잡지에 실린 기사를 통해 녹색의 오각별인 Verda Stelo|베르다 스텔로epo에스페란티스토들 사이의 상호 인식을 위한 상징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이후 이 상징을 포함한 깃발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의 에스페란토 클럽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1905년 같은 도시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의 결정을 통해 전 세계 에스페란토 운동의 공식 깃발로 채택되었다.

2. 1. 녹색 별 (Verda Stelo)

녹색 별(Verda Stelo|베르다 스텔로eo)은 에스페란토의 가장 오래된 상징물이다. 1892년 ''라 에스페란티스토'' 잡지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이름 그대로 녹색 오각 별 모양이며, 오각은 5개 대륙(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을 상징한다.

에스페란토 초창기부터 녹색은 서로를 알아보기 위한 색으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에스페란토 상징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다.[1] 에스페란토 창시자 L. L. 자멘호프는 1911년 ''The British Esperantist''에 보낸 편지에서 녹색의 유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저에게는 리처드 H. 지오헤건 씨가 녹색에 주목하게 한 것 같고, 그때부터 저는 모든 작품을 녹색 표지로 출판하기 시작했습니다. . . 우연히 녹색 표지로 인쇄된 팸플릿을 보면서, 그는 이것이 자신의 고향인 아일랜드의 색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때 저는 그 색을 희망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각별에 관해서는, 처음에는 루이 드 보프롱 씨가 그의 [에스페란토] 문법에 그것을 새겨 넣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그것이 마음에 들어 상징으로 채택했습니다. 그 후 연상 작용으로 별은 녹색으로 나타났습니다.[2]

Verda Stelo|베르다 스텔로eo(녹색 별)는 1892년 라 에스페란티스토에 게재된 기사에서 에스페란티스토들이 서로 알아보기 위한 상징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이 깃발은 불로뉴쉬르메르의 에스페란토 클럽에서 처음에는 자체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1905년 그 도시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의 결정에 따라 전 세계 에스페란토 운동의 깃발로 채택되었다.

2. 2. 에스페란토기

에스페란토기는 녹색 바탕에, 좌측 상단에 흰색 정사각형(칸톤)과 그 안에 있는 녹색의 오각별로 구성된다.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이사회의 권고에 따르면, 깃발의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며, 깃발의 가로 너비와 흰색 사각형 변의 비율은 3:1이다. 또한 흰색 사각형의 변과 별을 외접하는 원의 반지름 비율은 10:3.5이다.[5]

에스페란토 깃발의 비율


녹색 바탕은 희망을 상징하고, 흰색 바탕은 평화와 중립을 상징한다.[5] 녹색 별의 다섯 꼭짓점은 5개의 대륙(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을 나타낸다.[5]

이 깃발은 원래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Boulogne-sur-Mer|불로뉴쉬르메르프랑스어) 에스페란토 클럽의 기였다. 1905년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에스페란토 운동 전체를 대표하는 기로 공식 선정되었다. 에스페란토기는 자멘호프가 이 대회에서 발표한 시 "Preĝo sub la verda standardo|푸른 깃발 아래서 기도eo"에서도 언급된다.

2009년 12월 15일, 자멘호프의 생일 150주년을 기념하여 구글은 로고의 'l'을 깃대로 삼아 에스페란토기를 추가하였다.[8]

2. 2. 1. 에스페란토기의 변형

1905년 불로뉴 쉬르 메르에서 열린 제1차 에스페란토 회의 대표들은 현재 사용되는 기와는 약간 다른, 녹색 별 위에 "E" 문자를 겹쳐 놓은 형태의 기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존재했는데, 예를 들어 기독교 에스페란티스트들은 녹색 별 위에 흰색 십자가를 추가한 기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좌파 진영에서는 녹색 대신 빨간색을 사용한 기를 사용하기도 했다.[3]

축제 상징


그러나 일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전통적인 깃발이 국제 언어를 상징하기에는 지나치게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띤다고 여겼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단체에서는 더 이상 전통적인 깃발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대신 jubilea simbolo|유빌레아 심볼로eo('축제 상징')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축제 상징은 흰색 바탕에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녹색 "E"자 형태(혹은 라틴 문자 "E"와 키릴 문자 "Э"가 마주보는 형태)로 디자인되었다.[4] 이 상징은 에스페란토 창시 100주년이었던 1987년에 브라질의 한 에스페란티스트가 고안한 것이다.

2. 3. 100주년 상징물 (Jubilea Simbolo)

제1서 출판 100주년이 되는 1987년을 맞아,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Universala Esperanto-Asocioepo )는 이를 기념하는 상징 디자인을 공모했다. 이 공모에서 브라질의 이우바르 이우통 페레이라( Hilbar Ilton S. Ferreirapor )의 디자인이 채택되었으며, 이것이 오늘날 '''100주년 상징물'''( Jubilea Simboloepo )로 불린다. 모양 때문에 간혹 "멜론"( La Melonoepo )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100주년 상징물은 녹색의 타원형 모양으로, "ϵ϶"와 비슷하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사용되는 녹색은 팬톤( Pantoneeng ) 389번(RGB #CCE82E)이다. 왼쪽 반은 에스페란토( Esperantoepo )의 로마자 머리글자인 E 또는 그리스 문자 Εσπεράντοell의 머리글자인 Ε을 상징한다. 오른쪽 반은 에스페란토의 키릴 문자 표기 Эсперантоrus의 머리글자 Э를 상징한다. 이는 동서양의 화합과 냉전의 종식을 의미한다.

3. 디자인

에스페란토를 상징하는 주요 디자인 요소들은 각각 에스페란토 운동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에스페란토기는 녹색 바탕으로 희망을, 흰색 부분으로 평화와 중립을, 그리고 녹색 오각별로는 다섯 대륙의 결속을 상징한다.[5] 또한, 에스페란토 100주년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100주년 상징물'''은 로마자 'E'와 키릴 문자 'Э'를 결합한 형태로 디자인되어 동서양의 화합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처럼 에스페란토 상징들의 디자인은 단순한 시각적 표현을 넘어, 국제적 이해와 평화 증진이라는 에스페란토의 이상을 반영하고 있다.

3. 1. 에스페란토기

에스페란토 깃발은 녹색 바탕에, 좌측 상단 모서리에 흰색 정사각형(칸톤)이 있고 그 안에 녹색의 오각별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녹색 바탕은 희망을 상징하고,[5] 흰색 바탕은 평화와 중립을 상징한다. 녹색 별은 5개의 대륙(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을 나타낸다.[5]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이사회의 권고에 따라 깃발은 다음과 같은 비율을 가져야 한다. 기는 가로세로 비율이 3:2인 직사각형이며, 기의 가로 너비와 흰 정사각형의 한 변의 비율은 3:1이다. 흰 정사각형의 한 변과 별에 외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비율은 10:3.5이다.

이 기는 원래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 Boulogne-sur-Mer프랑스어 ) 에스페란토 클럽의 기였으나,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열린 1905년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에스페란토 운동 전체를 대표하는 기로 선정되었다. 에스페란토기는 자멘호프가 불로뉴쉬르메르 세계 대회에서 발표한 시 "푸른 깃발 아래서 기도"( Preĝo sub la verda standardoeo )에서도 등장한다.

2009년 12월 15일, 자멘호프의 생일 150주년을 맞아 구글은 로고의 'l'을 깃대로 삼아 에스페란토기를 로고에 추가하기도 했다.[8]

3. 2. 100주년 상징물

제1서 출판 100주년이 되는 1987년을 기념하여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Universala Esperanto-Asocio|우니베르살라 에스페란토 아소치오eo )는 상징 디자인 공모를 진행했다. 이 공모에서 브라질의 이우바르 이우통 페레이라( Hilbar Ilton S. Ferreira|이우바르 이우통 페레이라pt )의 디자인이 채택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100주년 상징물'''( Jubilea Simbolo|유빌레아 심볼로eo )로 불린다. 독특한 모양 때문에 때때로 "멜론"( La Melono|라 멜로노eo )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100주년 상징물은 녹색의 타원형 모양이며, 두 부분으로 나뉘어 "ϵ϶"와 비슷한 형태를 띤다. 사용된 녹색은 팬톤( Pantone|팬톤영어 ) 389번(RGB #CCE82E)이다. 상징물의 왼쪽 절반은 에스페란토( Esperanto|에스페란토eo )의 로마자 머리글자인 E (또는 그리스 문자 표기 Εσπεράντο|에스페란토el 의 머리글자인 엡실론)를 나타내고, 오른쪽 절반은 에스페란토의 키릴 문자 표기 Эсперанто|에스페란토ru 의 머리글자 Э를 상징한다. 이는 동서양의 화합과 냉전 시대의 종식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대중문화 속 에스페란토 상징

대부분의 에스페란토 사용자는 국제적 또는 초국가적 연대의 상징으로 녹색 별(Verda Stelo)을 소중히 여기며, 일부는 유빌레아 심볼(Jubilea simbolo)을 농담으로 "멜론"(la melonoeo)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다른 상징보다 특정 상징을 선호하는 것은 순전히 개인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에스페란토 대회에서는 세 가지 주요 상징이 전시물이나 배지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때로 에스페란토 여행객들은 다른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깃발을 게시하거나, 위 상징 중 하나가 새겨진 배지를 착용하거나, 심지어 녹색 옷을 입기도 한다.[6]

4. 1. 구글 두들

2009년 12월 15일, L. L. 자멘호프의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구글은 홈페이지 로고에 에스페란토기를 게양하였다.[8][7] 이때 구글 로고의 'L' 글자를 깃대로 활용하는 디자인을 선보였다.

5.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When global and local culture meet: Esperanto in 1920s rural Japan https://www.jbe-plat[...] 2013-01-01
[2] 논문 La Deveno de la Verda Stelo https://archive.org/[...] 1912-02
[3] 웹사이트 Esperanto Flag https://www.fotw.inf[...]
[4] 서적 Esperanto revolutionaries and geeks : language politics, digital media and the making of an international community 2021
[5] 논문 Dr. Esperanto, or Anthropology as Alternative Worlds: Dr. Esperanto, or Anthropology as Alternative Worlds 2017-03
[6] 논문 Linguistic worldview in multilingual groups as an indicator of developing a communal identity : the case of Esperanto https://ispan.waw.pl[...] 2018
[7] 웹사이트 150th Birthday of LL Zamenhof https://doodles.goog[...] 2020-08-30
[8] 웹사이트 https://www.googl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